KR20090072724A - 벽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724A
KR20090072724A KR1020070140921A KR20070140921A KR20090072724A KR 20090072724 A KR20090072724 A KR 20090072724A KR 1020070140921 A KR1020070140921 A KR 1020070140921A KR 20070140921 A KR20070140921 A KR 20070140921A KR 20090072724 A KR20090072724 A KR 20090072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arc
link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688B1 (ko
Inventor
여진동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688B1/ko
Priority to PCT/KR2008/007318 priority patent/WO2009084825A1/en
Priority to ES08868920T priority patent/ES2420683T3/es
Priority to US12/810,727 priority patent/US8480049B2/en
Priority to EP08868920.3A priority patent/EP2232854B1/en
Priority to CN2008801228342A priority patent/CN101919240B/zh
Publication of KR2009007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2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fr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장치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전방으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링크부; 상기 한 쌍의 링크부가 양측부에 연결되는 연결패널;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고, 부분적인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아크부가 형성되는 기기 안착부; 및 상기 아크부와 접하여 상기 아크부를 가압하는 판상의 가압판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하이동, 좌우이동, 및 전후이동 등 어떠한 이동 및 운동에 대해서도 이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에 대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아크형상이, 넓게 제공됨으로써, 부드러운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다.
벽걸이,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벽걸이 장치{Wall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벽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벽에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양한 자유도를 가지고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벽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발전을 거듭하여 근래 들어서는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자유로운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작이 가능하기에 이르렀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엘씨디 또는 피디피 방식이 이용되는 기기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자체적인 두께를 제외하면 그 외에는 어떠한 두께도 가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형상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근래 들어서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벽에 걸려서 사용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차지하게 되는 실내공간이 거의 없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벽에 걸려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벽걸이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들 벽걸이 장치에는, 사용자가 어느 곳에 위치하더라도 그 곳을 향하여 디스플레이 기기가 바라보는 각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각도조절기구 와, 디스플레이 기기가 자체적인 자중에 의해서도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마찰기구와, 디스플레이 기기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전방이동기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근래 들어서는 심미감을 중요시하는 고객들의 요청에 따라서, 외부에서는 벽걸이 장치가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 좋은 등, 근래 들어서는 고객들의 요청이 거세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되는 다양한 기구(mechanics) 중에서도, 상기 마찰기구는 벽걸이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주된 불만족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그 설계가 제대로 제안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처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마찰력이 불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움직이는 중에 불쾌하게 걸리는 부분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불만을 사게 된다.
물론, 상기되는 다양한 기구 중의 그 어느 것이라도 제대로 동작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벽걸이 장치로서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더욱 부드럽고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벽걸이 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어떠한 자세도 원활하게 구현이 가능한 벽걸이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벽걸이 장치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전방으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 상기 기기 안착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기 안착부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아크부; 상기 아크부의 접하도록, 상기 아크부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아크부 및 상기 가압판이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벽걸이 장치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전방으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링크부; 상기 한 쌍의 링크부가 양측부에 연결되는 연결패널;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고, 부분적인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아크부가 형성되는 기기 안착부; 및 상기 아크부와 접하여 상기 아크부를 가압하는 판상의 가압판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세, 위치,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이 가능하고, 설정된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그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구성부품이 있을 때에는, 어느 한 쪽의 구성부품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그 반대쪽의 설명도 거울과 같은 구성 및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간략하게 본 실시예의 벽걸이 장치에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에 뒷쪽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신축이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링크부(20)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20)에 좌우측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연결패널(30)과,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어 디스플레이 기기와 함께 움직이는 기기 안착부(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상하방향으로 운동에 대하여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 안착부(50)를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상기 기기 안착부(50)를 가압하는 전방판(60) 및 후방판(4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판(60), 후방판(40) 및 연결패널(30)이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조음판(70)이 포함된다.
상기되는 구성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기기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할 때에는, 상기 링크부(20)의 후단부가 고정부(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링크부(20)가 펼쳐진다. 그러면, 서로 접혀있던 링크부(20)가 펼쳐지면서 고정부(10)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물론, 이 때에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잡고서 움직이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도 있다. 이 때에는 좌우 한쌍으로 마련되는 링크부(20) 중에서 어느 일측의 링크부를 더 인출하면 된다. 물론, 이 경우에는 양측의 링크부(20)를 일정 길이 이상으로 인출한 다음에 어느 일측의 링크부(20)를 더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도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전방판(60) 및 후방판(40)이 상기 연결패널(3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기기안착부(5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상기 기기안착부(50)가 접하는 전방판(60) 및 후방판(40)의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되어, 상기 기기안착부(50)의 회동동작에 저항을 발생시키게 되고, 회전이 종료된 다음에는 그 마찰력에 의해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자체적인 구성 및 인접되는 구성요소와의 상호 관계를 더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정부(10)는 벽에 고정되는 부품으로서, 나사가 삽입되는 홀이 제공되어 벽에 고정된다.
상기 링크부(20)는 제 1 링크(21) 및 제 2 링크(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링크(21)는 바깥쪽 부분이 상기 고정부(10)에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링크(21)의 안쪽 부분은 상기 제 2 링크(22)의 안쪽 부분에 힌지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기기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와 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발생되더라도, 제 1, 제 2 링크(21)(22)는 외부에서 쉽게 관찰되지 아니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인 벽걸이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느끼는 심미감이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제 1, 제 2 링크(21)(22) 간의 연결부가 가장 외측에 놓여있는 것 보다는 내측에 놓여있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의 육안으로는 보이게 될 우려가 적기 때문이다.
상기 제 1, 제 2 링크(21)(22) 간의 힌지연결부에는 와셔가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축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제 2 링크(21)(22)가 힌지회동되는 중에는 마찰력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힘을 제공하지 않으면 링크부(20)가 펼쳐지지 않게 된다. 그 힘은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2)의 바깥쪽 부분에는 상기 연결패널(30)의 단부가 힌지 연결된다. 상기 연결패널(30)과 제 2 링크(22)의 힌지연결부분에도 마찰와셔가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축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를 움직이는 데에는 어느 정도의 마찰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패널(30)의 바깥쪽 부분이 상기 제 2 링크(22)의 바깥쪽 부분에 힌지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패널(30)이 인출될 때, 링크부(20)의 인출가능거리는 전체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 1 링크(21), 및 제 2 링크(22)의 전체 길이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인출거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패널(30)의 앞쪽 부분에는 후방판(40)이 고정된다. 상기 후방판(40)의 전면에는 돌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1)에 의해서 전방판(60)과의 체결은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에는 관통홀(92)이 형성되어, 체결부재(90)가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방판(40)의 전면부에는, 상기 후방판(40)의 전방에 놓이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후방 아크면(42)이 마련된다. 상기 후방 아크면(42)은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배면에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후방판(40)의 앞쪽에는 기기 안착부(50)가 놓인다. 상기 기기 안착부(50)는 상기 전방판(60) 및 상기 후방판(40)의 사이에 끼이는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 기기가 여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움직이게 되면, 마찰력의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기기 안착부(50)는 상기 후방판(40)과 동일한 양상으로서,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좌우로 연장되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적인 원통 형상의 아크부(52)가 제공된다. 상기 아크부(52)는 상기 전방판(60) 및 후방판(40)이 직접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 된다. 상기 아크부(52)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연장되는 슬롯(93)이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롯(93)에 의해서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회전 가능한 한계가 설정된다.
상기 아크부(52)의 상방 및 하방으로는 수직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이 제 공되고, 그 연장된 부분에는 안착홀(51)이 좌우측에 각각 마련된다. 상기 안착홀(51)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볼트와 유사한 고정부재의 머리부가 안착홀(51)의 상방으로 끼워진 다음에 하측으로 이동하여 안착홀(51)의 하측부에서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안착홀(51)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네 귀퉁이 부분에서 후방으로는 스토퍼(8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최대한 벽으로 밀착되는 위치를 정의하는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기기 안착부(50)가 최대한으로 뒤로 밀려있을 때에는, 기기 안착부(50)가 직접 벽에 닿는 것이 아니라, 스토퍼(80)가 벽에 닿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80)에 더 설치되는 완충고무(81)가 제공되고, 상기 완충고무(81)가 끼워지는 돌출판(82)이 상기 스토퍼(80)에 더 제공된다. 상기 완충고무(81)는 상기 돌출판(82)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80)는 기기 안착부(5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끼워지는 제 1 나사와, 앞쪽에서 후방으로 끼워지는 제 2 나사에 의해서 기기 안착부(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부(52)의 전면에는 전방판(60)이 접촉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방판(60)의 배면에는 전방 아크면(61)이 형성되고, 그 전방 아크면(61)은 상기 아크부(52)의 전면에 전체적으로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판(60)의 전면 테두리부에는 벽(62)이 형성되는데, 상기 벽(62)의 내부 면적으로 정의되는 전방판(60)의 전면에는 조음판(70)이 놓인다.
상기되는 구성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하 회동동작 중에 마찰력이 발생되는 구조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연결패널(30), 후방판(40), 전방판(60) 및 조음판(70)에는 각각 관통홀(91)(92)(94)(9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에는 체결부재(90)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조음판(7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90)의 꼬리부는 너트(96)에 의해서 체결된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90)의 체결력에 의해서 상기 후방판(40) 및 전방판(60)의 아크면(42)(62)은 기기 안착부(50)의 아크부(52)의 접촉부분을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90)의 조임력은 상기 조음판(70)이 전방판(60)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패널(30)은 상기 후방판(40)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아크면(42)(62)과 아크부(52)의 접촉면 간의 마찰력은 그 접촉면에서 전체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크부(52)에는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슬롯(93)이 제공되는데, 상기 슬롯(93)에 의해서 상기 체결부재(90)가 이동가능한 한계가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상하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서, 슬롯(93)이 움직이는 것에 반하여, 상기 체결부재(90) 및 상기 체결부재(90)가 끼워지는 돌출부(41)는 벽걸이 장치 전체로 볼 때, 움직이지 않고 원래의 위치에 멈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기기 안착부(50)의 움직임은 체결부재(90)에 대하여 슬롯(93)이 움직이는 여행 범위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영역이 소정의 면적으로 제공되는 것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동범 위 내에서 마찰력이 불균일하게 발생될 우려가 줄어드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아크면(42)(62)과 아크부(52)의 접촉면이 넓게 제공되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마찰력이 발생되는 것이 아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접촉면의 마찰계수가 작아도 되고, 이 경우에는 어느 한 부분에 마찰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접촉면 중의 어느 한 부분에 요철등이 있더라도 전체로서 마찰력의 발생될 때에는 부드럽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벽걸이 장치가 최대한 벽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80)는 벽에 붙어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자체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을 뿐더러, 디스플레이 기기와 벽이 충돌되는 것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기기의 파손 등이 방지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전방으로 인출할 때에는, 상기 링크부(20)가 펼쳐지는 것에 의해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링크부(20)가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링크부(20)가 펼쳐지는 길이가 서로 달라지는 것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는, 벽걸이 장치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놓이는 체결부재(90) 및 돌출부(41)에 대하여, 기기 안착부(5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체 결부재(90)가 삽입되는 돌출부(41)가 슬롯(93)을 여행하는 것에 의해서 기기 안착부(50)의 회동범위,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동한계가 설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벽걸이 장치에서 마찰력이 발생되는 구조를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90)의 머리부는 연결패널(30)에 걸리고, 꼬리부는 조음판(70)을 통과한 상태에서 너트가 체결된다. 그러면, 상기 조음판(70) 및 상기 연결패널(3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조음판(70) 및 연결패널(30)은 전방판(60) 및 후방판(40)을 전체적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전방판(60) 및 상기 후방판(40)이 기기 안착부(50)와 접하는 면은 마찰면(100)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음판(70) 및 연결패널(30)은 전방판(60) 및 후방판(40)을 전체적으로 가압하여 기기안착부(50)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마찰면(100)은 그 면 전체가 마찰을 발생시키는 면으로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마찰면의 면적이 크게 되므로, 전체 마찰면 중에서 어느 일정 부분이 비정상적인 형상을 가지게 되더라도, 전체적으로 마찰력의 크기가 크게 달라지는 일은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슬롯(93)의 내면과 접하여 슬롯(93)의 내부 간격을 따라서 이동하는 부재는, 상기 체결부재(90)가 아니라 돌출부(41)이다. 그리고, 돌출부(41)의 좌우폭은 슬롯(93)의 좌우폭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기기 안착부(50) 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발생될 수 있는 흔들림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기기(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무게 중심 특히, 전후방향으로의 무게중심(C)은 기기 안착부(50)의 곡률반경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마찰면(100)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로 인한 모멘트의 인가는 없고, 하방을 향한 자중만이 가하여지게 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디스플레이 기기(1)가 저절로 상방으로 회전되거나, 하방으로 회전되는 일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상기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하여서, 본 발명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음판(70)은 별도로 제공되지 아니할 수도 있어서, 상기 관통홀(94)에 상기 체결부재(90)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조음판(70)에 의해서 마찰력이 적절히 조절되지 아니할 수 있고, 전방 아크면(61)에서 마찰력이 발생되는 부분이 관통홀(94)의 주변부로 제한될 수 있어서, 마찰력이 고르게 발생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조음판(70)이 제공되는 것이 본 발명 사상의 구현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링크부 및 고정부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고정부를 단일의 판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의 분리되는 부분으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디스플레이 기기의 좌우회전을 위해서는 고정 부 및 링크부가 좌우 한쌍으로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판 및 상기 후방판은 그 어느 하나는 실질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되지 않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에는 마찰력의 크기가 감소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두 개의 판에 의해서 동시에 마찰력이 발생되는 것이 기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은 제공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 2 링크의 바깥쪽 부분이 직접 후방판에 체결될 수도 있으나, 그와 같은 경우에는 후방판에서는 부분적으로 마찰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하이동, 좌우이동, 및 전후이동등 어떠한 이동 및 운동에 대해서도 이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에 대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아크형상이, 원통형상으로 넓은 면적으로 제공됨으로써, 부드러운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벽걸이 장치가 최대한 벽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벽걸이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

Claims (9)

  1.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전방으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
    상기 기기 안착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기 안착부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아크부;
    상기 아크부의 접하도록, 상기 아크부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아크부 및 상기 가압판이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부재가 포함되는 벽걸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 중에서 상기 기기 안착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판의 전방에 놓여서, 상기 전방판의 전체면이 상기 아크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전방판을 가압하는 판상의 조음판이 포함되는 벽걸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 중에서 상기 기기 안착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방판의 후방에 는, 상기 후방판의 전체면이 상기 아크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후방판을 가압하는 판상의 연결패널이 포함되는 벽걸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슬롯이 포함되는 벽걸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 삽입되도록, 상기 가압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기 안착부의 이동한계를 정의하는 돌출부가 포함되는 벽걸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부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기기 안착부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는 벽걸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안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기 안착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가 포함되는 벽걸이 장치.
  8.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전방으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링크부;
    상기 한 쌍의 링크부가 양측부에 연결되는 연결패널;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고, 부분적인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아크부가 형성되는 기기 안착부; 및
    상기 아크부와 접하여 상기 아크부를 가압하는 판상의 가압판이 포함되는 벽걸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부는, 상기 기기 안착부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인 벽걸이 장치.
KR1020070140921A 2007-12-28 2007-12-28 벽걸이 장치 KR10143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1A KR101437688B1 (ko) 2007-12-28 2007-12-28 벽걸이 장치
PCT/KR2008/007318 WO2009084825A1 (en) 2007-12-28 2008-12-10 Wall mounting apparatus
ES08868920T ES2420683T3 (es) 2007-12-28 2008-12-10 Aparato de montaje en pared
US12/810,727 US8480049B2 (en) 2007-12-28 2008-12-10 Wall mounting apparatus
EP08868920.3A EP2232854B1 (en) 2007-12-28 2008-12-10 Wall mounting apparatus
CN2008801228342A CN101919240B (zh) 2007-12-28 2008-12-10 墙壁支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1A KR101437688B1 (ko) 2007-12-28 2007-12-28 벽걸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24A true KR20090072724A (ko) 2009-07-02
KR101437688B1 KR101437688B1 (ko) 2014-09-03

Family

ID=4082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921A KR101437688B1 (ko) 2007-12-28 2007-12-28 벽걸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80049B2 (ko)
EP (1) EP2232854B1 (ko)
KR (1) KR101437688B1 (ko)
CN (1) CN101919240B (ko)
ES (1) ES2420683T3 (ko)
WO (1) WO20090848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31A1 (en) * 2012-07-12 2014-01-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9965B2 (ja) * 2011-10-07 2013-08-21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CN103883855B (zh) * 2014-03-20 2016-03-09 宁波乐歌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壁挂组件
CN105221919B (zh) * 2015-10-27 2017-12-05 苏州罗普斯金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框体
KR20180014297A (ko) * 2016-07-28 2018-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344911B2 (en) * 2016-09-20 2019-07-09 Colebrook Bosson Saunders (Products) Limited Tilt mechanism
KR102497490B1 (ko) * 2020-12-29 2023-02-07 황인국 무타공 벽걸이 고정장치
EP4253821A1 (en) 2021-05-31 2023-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l moun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same
KR20220161942A (ko) * 2021-05-31 2022-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월 마운트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15425A (en) * 1928-07-13 1930-09-25 Jacques Paren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rackets
US4564166A (en) * 1983-01-21 1986-01-14 Delta Data Systems Corporation Rotary tilt base for video terminal
US4478968A (en) 1983-04-06 1984-10-23 Ciba-Geigy Corporation Manufacture of resin extended pigments
US4562988A (en) * 1984-06-27 1986-01-07 Northern Telecom Limited Video display mounting mechanism providing pivoting and tilting of the display
US4880191A (en) * 1984-07-05 1989-11-14 Unisys Corporation Mounting arrangement for display terminal
US4621782A (en) * 1984-07-26 1986-11-11 At&T Bell Laboratories Arrangement for mounting apparatus
FR2599990B1 (fr) 1986-03-19 1993-03-26 Ceramiques Composites Filtre pour metaux liquides a base de materiau ceramique alveolair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application a la filtration de metaux ou d'alliages liquides de tres haut point de fusion
KR920002985Y1 (ko) * 1989-06-21 1992-05-11 삼성전관 주식회사 모니터용 스탠드
US5518216A (en) * 1993-11-05 1996-05-21 Acer Peripherals, Inc. Direction and an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a video display device
KR20010026202A (ko) * 1999-09-03 2001-04-06 박종섭 높이조절용 모니터 받침대
KR100499035B1 (ko) 2003-03-24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장치
US7028961B1 (en) 2003-05-30 2006-04-18 Csav, Inc. Self-balancing adjustable flat panel mounting system
WO2007037565A1 (en) 2005-09-30 2007-04-05 Se A Mechanics Co., Ltd.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display device
CN2938322Y (zh) * 2006-08-22 2007-08-22 陈振立 防盗显示器壁挂支架
JP5018083B2 (ja) * 2006-12-28 2012-09-05 船井電機株式会社 パネル型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31A1 (en) * 2012-07-12 2014-01-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9386711B2 (en) 2012-07-12 2016-07-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all mounting apparatus
US9839148B2 (en) 2012-07-12 2017-12-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all mou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1798A1 (en) 2010-10-28
CN101919240A (zh) 2010-12-15
EP2232854B1 (en) 2013-05-29
KR101437688B1 (ko) 2014-09-03
CN101919240B (zh) 2012-09-05
EP2232854A1 (en) 2010-09-29
EP2232854A4 (en) 2011-10-05
ES2420683T3 (es) 2013-08-26
WO2009084825A1 (en) 2009-07-09
US8480049B2 (en)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2724A (ko) 벽걸이 장치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JP5038492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装置
KR10256555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372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20070029458A1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EP1959185A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GB2452624A (en) A cable management arm supporting device
JP2007248542A (ja) 表示画面支持機構
KR20110119193A (ko) 독서대 받침대
KR10150603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0659716B1 (ko) 듀얼 모니터 힌지장치
KR101009572B1 (ko) 노트북 거치대
CN209960130U (zh) 支撑装置及显示设备
KR1016827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20110024001A (ko) 강의용 의자
KR100787158B1 (ko) 상다리 절첩장치
JP4419902B2 (ja) 音響拡散パネル装置
WO2024001480A1 (zh) 折叠组件及折叠式显示设备
JP2016018018A (ja) ディスプレイハンガー
KR200279716Y1 (ko)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TWI730910B (zh) 燈具結構及其支撐模組
KR101599964B1 (ko) 물품 거치대
JP2001051750A (ja) 情報処理装置用スタンド
KR200367834Y1 (ko) 듀얼 모니터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