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528A -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 Google Patents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528A
KR20090072528A KR1020070140665A KR20070140665A KR20090072528A KR 20090072528 A KR20090072528 A KR 20090072528A KR 1020070140665 A KR1020070140665 A KR 1020070140665A KR 20070140665 A KR20070140665 A KR 20070140665A KR 20090072528 A KR20090072528 A KR 20090072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
reinforcing
polymer
reinforcement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658B1 (ko
Inventor
이정윤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4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6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체강성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하는 코어부재(C) 및; 이 코어부재(C)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체로 결합되어 코어부재(C)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어부재(C)와 단일체를 이루면서 코어부재(C)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켜서 코어부재(C)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R);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R) 및 코어부재(C)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보강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강부재(R)가 코어부재(C)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므로 강도가 강화된다.
구조물, 보강, 인장, 압축, 중합체

Description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 DEFFERENT MATERIAL REINFORCING BAR FOR ARTIFICIAL STRUCTURE }
본 발명은 인공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토목이나 건축에 의한 교량이나 건물과 같은 인공구조물에 사용되는 보강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서로 다른 재질에 의해 우수한 강성을 갖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건물과 같은 인공구조물은 철근이나 빔과 같은 자재를 이용하여 골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인공구조물은 최근 높은 인장강도와 경량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봉형태의 FRP 보강근(Fiber Reinforced Polymer, 섬유복합재 보강근)을 철근이나 빔과 함께 사용하여 골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FRP 보강근은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지재료에 탄소섬유나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와 같은 섬유재가 함유되어 제조된다. 따라서, FRP 보강근은 높은 인장강도와 경량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다. 물론, FRP 보강근은 재질특성으로 인하여 비자기성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FRP 보강근은 철근의 부식성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철근의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FRP 보강근은 비자기성으로 인하여 자기부상열차의 선로와 같이 비자성체가 필요한 구조물의 건설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FRP 보강근은 탄소섬유 FRP보강근, 유리섬유 FRP보강근 또는 아라미드섬유 FRP보강근으로 대별되며, 이들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유리섬유 FRP보강근이다. 이렇게, 유리섬유 FRP보강근이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유리섬유가 세 가지 종류의 섬유(유리, 탄소, 아라미드)중에서 가장 저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리섬유 FRP보강근은 가격은 저렴하지만 탄성계수가 강재(예: 철근)나 탄소섬유 FRP보강근의 약 1/10에 해당하므로 강재나 탄소섬유 FRP보강근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참고: 철근의 경우 탄성계수 약 200,000MPa이지만 유리섬유 FRP 보강근의 경우 20,000MPa 임)
또한, 유리섬유 FRP보강근은 낮은 탄성계수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균열의 폭이 매우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더하여 처짐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즉, 유리섬유 FRP보강근은 일반적인 구조 부재로는 사용이 곤란하다.
따라서, 유리섬유 FRP보강근은 낮은 강성으로 인하여 구조계의 시스템을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를 야기시켰다.(예: 거더교에서 경간 중앙의 처짐을 억제하기 위한 사장케이블의 채용)
물론, 유리섬유 FRP보강근 보다 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FRP보강근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설계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탄소섬유 FRP보강근은 탄소섬유가 너무 고가이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FRP 보강근은 인장에는 강하나 압축에는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FRP 보강근은 인장재로만 사용하고 압축재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각각의 재질특성으로 인하여 제각각의 강성을 갖는 이종의 재료를 영구적으로 접합시켜서 단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이종재의 강성이 보합됨에 따라 자체강성을 강력하게 보강할 수 있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인공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근에 있어서,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체강성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하는 코어부재 및; 상기 코어부재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재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체로 결합되어 코어부재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어부재와 단일체를 이루면서 코어부재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켜서 코어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 및 코어부재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보강중합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은, 보강부재가 코어부재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되면서 단일체를 이루므로 코어부재의 단면 적이 보강부재에 의해 확장되면서 강성이 강력하게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마련되는 코어부재(C) 및, 이 코어부재(C)의 외측에 마련되는 보강부재(R)로 구성된다.
코어부재(C)는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R)의 내부에 수직으로 내설되며,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막대형태로 이룬다. 이러한 코어부재(C)는 자체강성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한다.
보강부재(R)는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체로 결합되어 코어부재(C)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형성한다. 보강부재(R)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재(C)와 단일체를 이루면서 코어부재(C)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킨다. 따라서, 코어부재(C)는 보강부재(R)에 의해 강성이 보강된다. 이러한 보강부재(R)는 코어부재(C)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술한 코어부재(C) 및 보강부재(R)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보강중합체로 형성된다. 즉, 코어부재(C) 및 보강부재(R)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가 함유된 FRP로 이루어진다.
한편, 확대도 "A"는 코어부재(C)를 탄소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고가의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로 구성하고, 보강부재(R)를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저가의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코어부재(C)는 고가의 탄소섬유 FRP로 구성하고, 보강부재(R)는 저가의 유리섬유 FRP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확대도 "B"는 코어부재(C)를 강철을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압축력 및 인장력을 갖는 저가의 철근(14)으로 구성하고, 보강부재(R)를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인 유리섬유 FRP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코어부재(C)는 저가의 철근(14)으로 구성하고, 보강부재(R)는 철근(14) 보다 고가인 유리섬유 FRP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코어부재(C) 및 보강부재(R)를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가 및 저가로 구성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나 철근(14)으로 이루어진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는, 미도시된 금형에 의해 코어부재(C)에 단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는 액상으로 금형에 투입된 후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서 경화되면서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동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는 코어부재(C)와 함께 단일체를 형성한다. 즉,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코어부재(C)와 단일체를 이룬다.
코어부재(C)는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외주면에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가 결합됨에 따라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단면적이 확장된다. 따라서, 코어부재(C)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가 동일체를 이루면서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강성이 강화된다. 물론, 코어부재(C)가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에 의해 강성이 강화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의 전체적인 강성은 강화된다.
한편, 전술한 확대도 "A"에 도시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전술한 바와 달리 코어부재(C)를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로 구성하고, 보강부재(R)를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확대도 "B"에 도시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철근(14)으로 구성된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보강부재(R)를 전술한 바와 달리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한편, 확대도 "A" 및 "B"에 도시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나 철근(14)이 중앙에 내장되고, 외측에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가 결합되므로 탄성계수가 대폭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인공구조물에 사용될 경우 보다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는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나 철근(14)에 의해 탄성계수가 보강되면서 강성이 강화되는 동시에, 강성강화로 인하여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열의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확대도 "B"에 도시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중앙에 철근(14)이 배근되므로 철근(14)의 특성으로 인하여 압축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 한, 철근(14)이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에 의해 감싸지므로 철근(14)의 내부식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보강부재(R)의 외측에 결합되어 보강부재(R)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강성강화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보강부재(R)의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는 외측에 강성강화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는 강성강화부재에 의해 강성이 강화된다.
여기서, 전술한 강성강화부재는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R)의 외측에 끼워진상태로 보강부재(R)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끼움관(2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끼움관(26)은 플라스틱재 피복이나 강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강부재(R)는 끼움관(24)이 외주면을 지지함에 따라 강성이 강화된다
이와 달리, 강성강화부재는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R)의 외측에 부착되는 테이프형태의 섬유보강중합체시트(26)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섬유보강중합체시트(26)는 접착제에 의해 보강부재(R)의 외측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보강부재(R)는 섬유보강중합체시트(26)가 외주면을 지지함에 따라 강성이 강화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이종재로 이루어진 코어부재(C) 및 보강부재(R)가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서로의 단점(예: 탄성계수나 압축력 또는 인장력, 제조단가 등)을 보완하므로, 서로의 강성이 배가되 면서 대폭적으로 강성이 강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보가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은 복수개의 섬유보강중합체(14, 16)들로 구성된다. 즉, 다른 실싱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섬유보강중합체(14, 16)의 다발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도면상의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로 이루어진 코어부재(C)가 배치되고, 이 코어부재(C)의 외주면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탄소 및 유리섬유보강중합체(12, 16)로 이루어진 보강부재(R)가 배치된다. 이때, 보강부재(R)의 탄소 및 유리섬유보강중합체(12, 16)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섬유보강중합체(12)로 이루어진 코어부재(C)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교차상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보강부재(R)는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22)에 의해 동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인더(22)는 미도시된 금형에 의해 액상에서 고상으로 경화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보강부재(R)는 강성이 강화되도록 외주면에 강성강화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강성강화부재는 예컨대,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22)의 외주면에 플라스틱재 피복이나 강관과 같은 끼움관(2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강성강화부재는 예컨대, 확대도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 재(R)의 외주면에 테이핑되는 섬유보강중합체시트(26)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인더(22)는 강성강화부재가 상술한 바와 같은 강관으로 구성될 경우 생략이 가능하다. 즉, 바인더(22)는 보강부재(R)의 외주면이 강관에 의해 감싸질 경우 생략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강관이 재질특성에 의해 보강부재(R)를 매우 견고하게 지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인더(22)는 보강부재(R)의 강성이 배가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과 함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바인더(22) 및 강관이 함께 마련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인장 및 압축강도가 대폭향상된다.
한편, 전술한 코어부재(C) 및 보강부재(R)의 유리 및 탄소섬유보강중합체(16, 12)는 서로간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꼬아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코어부재(C) 및 보강부재(R)는 트위스트 형태로 꼬아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꼬아서 형성할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부재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인장강도가 보다 강력하게 강화된다.
또 한편, 전술한 코어부재(C)는 전술한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 대신 앞서 설명된 철근(14)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중앙에 철근(14)이 배치되고, 철근(14)의 주위로 탄소 및 유리섬유보강중합체(12, 16)가 교차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압축강도가 대폭적으로 강화된다. 물론, 철근(14)은 탄소 및 유리섬유보강중합체(12, 16)로 인하여 인장강도가 강화된다. 따라서, 이렇게 구 성되는 이종재복합보강근은 압축이나 인장 모두에 사용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탄소 및 유리섬유보강중합체(12, 16)의 혼합비율, 즉 수량이나 굵기는 설정된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즉, 탄성계수를 상향조절할 경우 탄소나 유리섬유보강중합체(12, 16)의 굵기나 수량을 증가시키면 된다. 예를 들면, 탄성계수를 향상시키고자할 경우 코어부재(C)로 이용되는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나 철근(14)을 아주 굵게 형성하거나 여러개의 다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코어부재(C) 및 보강부재(R)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강도를 갖는 미도시된 아라미드 섬유보강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라미드 섬유보강중합체는 고강도를 가지므로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의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라미드 섬유보강중합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전술한 보강부재(R)는 외주면의 표면에 리브나 돌기 또는 모래부착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보강부재(R)의 외주면을 구성할 경우 콘크리트에 대한 보강부재(R)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의 사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12 : 탄소섬유보강중합체
14 : 철근
16 : 유리섬유보강중합체
22 : 바인더
24 : 끼움관
26 : 섬유보강중합체시트
C : 코어부재
R : 보강부재

Claims (18)

  1. 인공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근에 있어서,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체강성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하는 코어부재(C); 및
    상기 코어부재(C)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체로 결합되어 코어부재(C)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어부재(C)와 단일체를 이루면서 코어부재(C)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켜서 코어부재(C)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R);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R) 및 코어부재(C)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보강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C)는 탄소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C)는 강철을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압축력 및 인장력을 갖는 철근(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C)는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C)는 아라미드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고강도의 특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보강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R)는 탄소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R)는 강철을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압축력 및 인장력을 갖는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R)는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R)는 아라미드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고강도의 특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보강중합체(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R)는,
    상기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배열되고, 탄소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
    상기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와 함께 상기 코어부재(C)를 중심으로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배열되고,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 및
    상기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 및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를 단일체로 결속시키는 바인더(22);를 더 포함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1. 인공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근에 있어서,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체강성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하는 코어부재(C); 및
    상기 코어부재(C)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체로 결합되어 코어부재(C)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어부재(C)와 단일체를 이루면서 코어부재(C)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켜서 코어부재(C)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R);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R) 및 코어부재(C)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보강중합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어부재(C)는 탄소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R)는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2. 인공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근에 있어서,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체강성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하는 코어부재(C); 및
    상기 코어부재(C)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체로 결합되어 코어부재(C)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어부재(C)와 단일체를 이루면서 코어부재(C)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켜서 코어부재(C)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R);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R) 및 코어부재(C)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보강중합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어부재(C)는 강철을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압축력 및 인장력을 갖는 철근(14)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R)는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3. 인공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근에 있어서,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체강성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하는 코어부재(C); 및
    상기 코어부재(C)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체로 결합되어 코어부재(C)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어부재(C)와 단일체를 이루면서 코어부재(C)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켜서 코어부재(C)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R);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R) 및 코어부재(C)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보강중합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어부재(C)는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로 구성하고, 상기 보강부재(R)는 탄소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와, 이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와 교차상태로 배열을 이루면서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 및, 이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 및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를 단일체로 결속시키는 바인더(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4.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R)의 외측에 결합되어 보강부재(R)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강성강화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강화부재는,
    상기 보강부재(R)의 외측에 끼워진상태로 보강부재(R)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끼움관(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강화부재는,
    상기 보강부재(R)의 외측에 부착되는 테이프형태의 섬유보강중합체시트(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7. 인공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근에 있어서,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체강성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하는 코어부재(C); 및
    상기 코어부재(C)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체로 결합되어 코어부재(C)와 함께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어부재(C)와 단일체를 이루면서 코어부재(C)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켜서 코어부재(C)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R);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R) 및 코어부재(C)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섬유보강중합체를 갖는 상기 코어부재(C)는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 리섬유보강중합체(16)로 구성하고, 상기 보강부재(R)는 탄소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 및, 유리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탄성계수를 갖는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를 교차상태로 코어부재(C)의 외주면에 배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보강부재(R)의 외측에 결합되어 보강부재(R)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강성강화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강성강화부재는,
    상기 보강부재(R)의 외측에 끼워진상태로 보강부재(R)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끼움관(24) 및, 이 끼움관(24)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테이프형태의 섬유보강중합체시트(2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R)를 구성하는 상기 탄소섬유보강중합체(12) 및 유리섬유보강중합체(16)를 단일체로 결속시키는 바인더(22);를 더 포함하는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KR1020070140665A 2007-12-28 2007-12-28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KR10098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665A KR100980658B1 (ko) 2007-12-28 2007-12-28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665A KR100980658B1 (ko) 2007-12-28 2007-12-28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528A true KR20090072528A (ko) 2009-07-02
KR100980658B1 KR100980658B1 (ko) 2010-09-07

Family

ID=4132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665A KR100980658B1 (ko) 2007-12-28 2007-12-28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6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2621A (zh) * 2013-08-23 2013-12-04 昆山升东物资有限公司 一种内部为蜂窝形状的钢筋
CN103866907A (zh) * 2014-03-04 2014-06-18 昆山盛夏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碳纤维螺纹筋
KR101541060B1 (ko) * 2014-09-19 2015-07-31 휘수건설(주) 하이브리드 섬유보강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매립식 보강공법
US20210058022A1 (en) * 2019-08-22 2021-02-25 Flotaics, LLC. Floating Sola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699Y1 (ko) * 2002-09-19 2003-01-06 동원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KR20050029730A (ko) * 2003-09-22 2005-03-28 (주)엠프로 콘크리트 보강용 섬유 강재 복합 로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05127B1 (ko) * 2006-03-21 2006-07-31 신승수 콘크리트 보강용 에프알피봉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2621A (zh) * 2013-08-23 2013-12-04 昆山升东物资有限公司 一种内部为蜂窝形状的钢筋
CN103866907A (zh) * 2014-03-04 2014-06-18 昆山盛夏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碳纤维螺纹筋
CN103866907B (zh) * 2014-03-04 2016-06-29 昆山盛夏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碳纤维螺纹筋
KR101541060B1 (ko) * 2014-09-19 2015-07-31 휘수건설(주) 하이브리드 섬유보강바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매립식 보강공법
US20210058022A1 (en) * 2019-08-22 2021-02-25 Flotaics, LLC. Floating Solar System
US11799413B2 (en) * 2019-08-22 2023-10-24 Flotaics, Llc Floating sola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658B1 (ko) 201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1164B (zh) Frp-混凝土-钢双壁组合管梁及采用该梁的梁板式组合结构
CN101263270B (zh) 纤维增强塑料制成的增强体
KR101936499B1 (ko) 나선형 리브를 가진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KR100878180B1 (ko) 콘크리트 충전 섬유강화플라스틱 합성기둥
KR100980658B1 (ko)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KR101104613B1 (ko) 콘크리트 보강용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2112960B1 (ko) 콘크리트 보강용 frp메쉬
KR101428510B1 (ko) 고강도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아치형 교량 구조물
CN102116058A (zh) 一种剪力墙结构叠合外墙l型连接节点
JP3350447B2 (ja) 補強・補修用繊維シート
JP2000054561A (ja) 強化繊維シートによ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2002115403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構造
RU82464U1 (ru) Арматура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1189024B1 (ko) 보강부가 구비된 코어 및 이 코어를 이용한 섬유보강플라스틱재로 된 상판모듈
CN108824702B (zh) 一种大直径frp筋材端部连接结构和连接方法及其应用
JP2007113346A (ja) 組紐状炭素繊維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剪断補強方法
KR101118305B1 (ko) 강합성 교량 및 이를 가설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주탑
KR20120040529A (ko) Frp 바와 철근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
JPS60119848A (ja) 繊維補強コンクリ−ト並びにその施工法
CN101215820A (zh) 装配结构的抗拉抗压构件及其制作方法
KR102317155B1 (ko) 단면효율이 우수한 강관 거더
KR20220046829A (ko) 농업용 frp 파이프
KR20140052221A (ko) 기둥 보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3334596A (zh) 一种体外预应力外加钢罩加固混凝土墩柱的方法
JPS60102457A (ja) 支持構造体に対する荷重支持マントル表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