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699Y1 -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699Y1
KR200299699Y1 KR20-2002-0028395U KR20020028395U KR200299699Y1 KR 200299699 Y1 KR200299699 Y1 KR 200299699Y1 KR 20020028395 U KR20020028395 U KR 20020028395U KR 200299699 Y1 KR200299699 Y1 KR 200299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bar
reinforced plastic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필
이차돈
정상모
황윤국
박찬기
Original Assignee
동원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8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철근을 대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 가능한 고연성(high ductility)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바에 관한 것으로서, 강화재로 기능하는 섬유들 및 이 섬유들을 내부에 포함하는 막대 형상의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은 변형률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섬유군이 수지층의 방사 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되어 섬유군들 중에서 낮은 변형률의 섬유군이 파괴된 후 높은 변형률의 섬유군이 파괴될 때까지 소성 변형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를 제공한다. 이러한 소성 변형 구간에 의해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는 높은 연성을 구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FIBER REINFORCED PLASTIC BAR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본 고안은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을 대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 가능한 고연성(high ductility)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나 인장에는 약한 특성이 있어 대부분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보강 철근을 사용하여 인장 하중에 대한 보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보강 철근은 부식이 일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특히 해양 구조물과 교량 구조물 등의 사회 간접시설에서 보강 철근의 부식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 성능과 내구 성능 저하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철근을 대체할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서 강도가 우수하고, 부식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강도/중량비가 커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는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음에 설명하는 구조 및 재료적 특성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7과 도 8은 각각 종래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를 대표하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바(이하, 편의상 'CFRP 바'라 한다)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바(이하, 편의상 'GFRP 바'라 한다)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CFRP 바(1)는 복수의 탄소섬유들(3)이 결합재인 수지층(5)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로 이루어지고, GFRP 바(7)는 복수의 유리섬유들(9)이 결합재인 수지층(11)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CFRP 바(1)와 GFRP 바(7) 모두에서 탄소섬유(3)와 유리섬유(9)는 수지층(5, 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다.
이와 같이 탄소섬유(3)와 유리섬유(9)가 수지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배열하므로, 이들 바에 인장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CFRP 바(1)와 GFRP 바(7)는 탄소섬유(3) 또는 유리섬유(9)의 극한 변형률에 도달할 때 파괴되며, 더욱이 이들 바는 한가지 섬유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취성적 파괴가 일어난다. 또한 상기 CFRP 바(1)와 GFRP 바(7)는 전단 하중이 작용할 때, 섬유와 섬유를 연결하는 수지층(5, 11)이 쉽게 파단되어 매우 약한 전단 특성을 나타낸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CFRP 바와 GFRP 바의 인장 실험 결과를 나타낸 응력-변형률 선도로서, 인장 실험은 ACI(미국 콘크리트 학회) 440K 위원회에서 제시한 실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CFRP 바와 GFRP 바는 파괴되기 전까지 선 탄성적인 거동을 나타내며, 최고 인장 강도에서 급격한 취성 파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상기 CFRP 바와 GFRP 바의 인장 특성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종류 항목 항복응력(kgf/mm2) 극한응력(kgf/mm2) 항복변형(%) 극한변형(%) 탄성계수(kgf/mm2)
CFRP 바 1 - 202.6 - 1.95 103.897
2 - 208.2 - 1.82 114.395
3 - 191.0 - 1.67 105.525
평균 - 200.6 - 1.81 110.829
GFRP 바 1 - 88.8 - 2.41 36.846
2 - 85.7 - 2.29 37.424
3 - 84.9 - 2.07 41.014
평균 - 86.5 - 2.26 38.274
그리고 도 10은 종래 기술에 의한 CFRP 바와 GFRP 바의 전단 실험 결과를 나타낸 응력-변형률 선도로서, 전단 실험은 ASTM D 4475(Standard Test Method for Apparent Horizontal Shear Strength of Pultruded Reinforced Plastic Rods by in Short-Beam Method)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CFRP 바와 GFRP 바는 전단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바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섬유와 섬유를 연결하는 수지층이 초기 파괴(그래프에서 A, B 지점으로 표시)된 다음, 섬유가 파괴되면서 최종 파괴가 이루어진다. 상기 CFRP 바와 GFRP 바의 전단 특성을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종류 전단강도 (kgf/mm2) 공시체 길이(mm) 길이/직경 파괴형태
초기항복 극한파괴
CFRP 바 - 3.438407 30 3 수직/수평균열
GFRP 바 - 3.888487 30 3 수직/수평균열
이와 같이 종래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는 인장 하중이 작용할 때, 소성 변형 구간 없이 취성적 파괴가 일어나고, 전단 강도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종래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는 안전성이 요구되는 구조물, 특히 내진 설계가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장 하중이 작용할 때, 소성 변형 구간을 지나 파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래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와 비교하여 높은 연성을 지니며, 전단 강도를 강화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 2섬유의 조직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2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의 인장 실험 결과를 나타낸 응력-변형률 선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의 전단 실험 결과를 나타낸 응력-변형률 선도.
도 7과 도 8은 각각 종래 기술에 의한 CFRP 바와 GFRP 바의 개략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CFRP 바와 GFRP 바의 인장 실험 결과를 나타낸 응력-변형률 선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의한 CFRP 바와 GFRP 바의 전단 실험 결과를 나타낸 응력-변형률 선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화재로 기능하는 섬유들 및 이 섬유들을 내부에 포함하는 막대 형상의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은 변형률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섬유군이 혼합 배치되어 섬유군들 중에서 낮은 변형률의 섬유군이 파괴된 후 높은 변형률의 섬유군이 파괴될 때까지 소성 변형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변형률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섬유군은 수지층의 방사 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섬유들은 수지층의 방사 방향을 따라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이 중심에 위치하고, 변형률이 높은 섬유군이 외곽에 위치하여 변형률이 높은 섬유군이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을 둘러싸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섬유군들 중에서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을 구성하는 섬유들은 수지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섬유 자체의 극한 변형률에서 해당 섬유군이 파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섬유군들 중에서 변형률이 높은 섬유군을 구성하는 섬유들은 위사와 경사가 꼬이며 직교하는 격자 형상으로 조직되어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을 격자 조직으로 둘러싸며, 바람직하게 이 섬유들은 수지층의 방사 방향을 따라 적층된 여러겹의 격자 형상으로 조직되어 해당 섬유의 변형률을 최대한으로 증가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이하, 편의상'FRP 바'라고 한다)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 2섬유의 조직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FRP 바(2)는 변형률이 작은 복수의 제 1섬유들(4)이 제 1수지층(6) 내부에서 제 1수지층(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배열된 제 1모체(8)와, 제 1모체(8)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 2수지층(10) 내부에서 제 1섬유(4)보다 변형률이 큰 복수의 제 2섬유들(12)이 제 1모체(8)를 둘러싸는 격자 형상으로 조직된 제 2모체(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섬유(12)는 제 1섬유(4)보다 변형률이 큰 재료이면 그 사용이 무방하며, 일례로 제 1섬유(4)가 탄소섬유이면, 제 2섬유(12)는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고, 제 1섬유(4)가 유리섬유이면, 제 2섬유(12)로는 아라미드 섬유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재인 제 1, 2수지층(6, 10)은 통상의 에폭시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의한 FRP 바(2)는 재료적인 측면에서 볼 때, 변형률이 작은 제 1섬유(4)와 변형률이 큰 제 2섬유(12)를 결합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는 FRP 바(2)에 인장 하중과 전단 하중이 작용하면, 변형률이 작은 제 1섬유(4)가 먼저 파괴되고, 변형률이 큰 제 2섬유(12)가 일정 기간 하중을 지지한 다음 최종 파괴되어, 제 1섬유(4)가 파괴된 이후 제 2섬유(12)가 파괴되기 전까지의 구간을 소성 변형 구간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FRP 바(2)는 소성 변형 구간에 의해 취성적인 파괴가 억제되며, 기존의 FRP 바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연성을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우수한 적용 능력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FRP 바(2)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탄성 계수를 증가시키며, 소성 변형 구간을 확대시킨다.
먼저, FRP 바(2)에서 제 1섬유(4)는 어떠한 구겨짐이나 처짐 및 비틀림 등의 변형 없이 제 1수지층(6) 내부에서 제 1모체(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다. 이로서 FRP 바(2)에 인장 하중이 작용할 때, 제 1모체(8)가 제 1섬유(4) 자체의 극한 변형률에서 파괴되어 FRP 바(2)의 탄성 계수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FRP 바(2)는 변형률이 작은 제 1섬유(4)를 FRP 바(2)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변형률이 큰 제 2섬유(12)를 제 1모체(8)의 외주면에 배치하여 제 2섬유(12)가 제 1섬유(4)를 둘러싸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FRP 바(2)에 하중이 작용하여 제 1섬유(4)가 파괴되었을 때, 아직 파괴되지 않은 제 2섬유(12)가 제 1섬유(4)를 감싸 FRP 바(2)의 파괴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한다.
다시 말해, FRP 바(2)에 인장 하중이 작용하여 제 1섬유(4)가 파괴되면, FRP 바(2)의 강도가 감소하는데, 이 때 탄성률이 큰 제 2섬유(12)가 파괴된 제 1모체(8)를 감싸고 있으므로, 제 1모체(8)의 파괴로 인한 강도의 감소를 억제하여 FRP 바(2)의 강도 감소폭을 최소한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FRP 바(2)는 제 2섬유(12)를 격자 형상으로 조직하여 제 2섬유(12) 자체의 변형률을 최대한으로 증가시킨다. 상기 제 2섬유(12)는 일례로 제 1모체(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의 길이방향 섬유들(12a)과, 제 1모체(8)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의 원주방향 섬유들(12b)로 이루어지며,각자의 길이방향 섬유들(12a)과 원주방향 섬유들(12b)이 서로 교차 형성되어 격자 형상의 조직을 구성한다.
이 때, 격자 형상으로 조직된 제 2섬유들(12) 사이로 결합재인 제 2수지층(10)이 공극없이 치밀하게 충진되어 제 2모체(14)를 구성하며, 바람직하게 제 2섬유(12)는 제 1모체(8)를 여러겹으로 둘러싸는 다겹의 격자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 2섬유(12)가 격자 형상으로 조직됨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 섬유들(12a)과 원주방향 섬유들(12b)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섬유의 구부러짐과 꼬임 등의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FRP 바(2)에 인장 하중이 작용하여 제 1섬유(4)가 먼저 파괴되면, 인장 하중에 의해 길이방향 섬유들(12a)과 원주방향 섬유들(12b)의 교차 부분이 펴지면서 제 2섬유(12) 자체의 극한 변형률을 증가시키며, 그 결과 FRP 바(2)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2섬유(12)를 격자 형상으로 조직함에 따라, FRP 바(2)에 전단 하중이 작용할 때, 길이방향 섬유들(12a)과 원주방향 섬유들(12b)의 조직력에 의해 제 2섬유(12)를 둘러싸는 제 2수지층(10)이 쉽게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전단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FRP 바는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 변형률이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섬유들을 FRP 바의 방사 방향을 따라 적층 배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FRP 바는 소성 변형 구간이 더욱 확대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FRP 바의 개략도로서, FRP 바(20)는 변형률이 작은 복수의 제 1섬유들(22)이 제 1수지층(24) 내부에서 제 1수지층(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배열된 제 1모체(26)와, 제 1모체(26)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 2수지층(28) 내부에서 제 1섬유(22)보다 변형률이 큰 복수의 제 2섬유들(30)이 제 2수지층(2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배열된 제 2모체(32)와, 제 2모체(3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 3수지층(34) 내부에서 제 2섬유(30)보다 변형률이 큰 복수의 제 3섬유들(36)이 제 2모체(32)를 둘러싸는 격자 형상으로 조직된 제 3모체(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섬유(30)는 제 1섬유(22)보다 변형률이 크고, 제 3섬유(36)는 제 2섬유(30)보다 변형률이 큰 재료이면 그 사용이 무방하며, 일례로 제 1섬유(22)가 탄소섬유이면, 제 2섬유(30)와 제 3섬유(36)로는 각각 유리섬유와 아라미드 섬유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재인 제 1∼3수지층(24, 28, 34)은 통상의 에폭시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FRP 바(20)는 재료적인 측면에서 변형률이 서로 다른 3개의 섬유가 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로서 FRP 바(20)에 하중이 작용하면, 제 1섬유(22)가 초기 파괴된 후 제 2섬유(30)가 일정 기간 하중을 지지한 후 파괴되고, 제 3섬유(36)가 일정 기간 하중을 지지한 후 최종 파괴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FRP 바(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소성 변형 구간을 확대시키고, 보다 높은 연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FRP 바(20)에서, 제 1섬유(22)와 제 2섬유(30)의 길이 방향에 따른 배열과, 제 3섬유(36)의 격자 조직에 따른 구조상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FRP 바(FRP-1)와 제 2실시예에 의한 FRP 바(FRP-2)의 인장 실험 결과를 나타낸 응력-변형률 선도로서, 인장 실험은 도 9의 인장 실험 결과를 얻은 종래 CFRP 바와 GFRP 바 실험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2실시예에 의한 FRP 바(FRP-1, FRP-2)는 제 1섬유가 파괴되는 초기 파괴(도면에서 C, D 지점으로 표시) 이후 최종 파괴가 발생할 때까지 응력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변형률 3% 이상의 높은 소성 변형 구간을 나타낸다.
이러한 소성 변형 구간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보강재에 요구되는 변형률 3% 이상의 소성 변형 구간을 만족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1, 2실시예에 의한 FRP 바의 인장 특성을 다음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종류 항목 항복응력(kgf/mm2) 극한응력(kgf/mm2) 항복변형(%) 극한변형(%) 탄성계수(kgf/mm2)
FRP-1 1 53.87 92.74 1.34 3.51 39.455
2 52.44 81.72 1.14 4.01 46.000
3 54.98 81.01 1.33 3.91 41.338
평균 53.76 85.16 1.27 3.81 42.281
FRP-2 1 37.38 54.36 1.15 3.05 32.504
2 40.24 53.45 1.28 2.98 31.438
3 42.34 54.04 1.54 3.09 27.494
평균 39.99 53.95 1.32 3.04 30.295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FRP 바(FRP-1)의 전단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FRP 바(FRP-2)의 전단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전단 실험은 도 10의 전단 실험 결과를 얻은 종래 CFRP 바와 GFRP 바 실험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의한 FRP 바(FRP-1)는 제 1섬유를 연결하는 제 1수지층이 초기 파괴(그래프에서 E 지점으로 표시)된 후, 변형률이 큰 제 2섬유가 전단 하중을 지지하다가 제 2수지층의 파괴 없이 제 2모체의 지압적인 파괴에 의해 최종적으로 파괴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FRP 바(FRP-2)는 제 1섬유를 연결하는 제 1수지층이 초기 파괴(그래프에서 F 지점으로 표시)된 이후, 변형률이 큰 제 2섬유가 전단 하중을 지지하다가 제 2섬유를 연결하는 제 2수지층이 두번째 파괴(그래프에서 G 지점으로 표시)되며, 변형률이 가장 큰 제 3섬유가 지속적으로 전단 하중을 지지하다가 제 3수지층의 파괴 없이 제 3모체의 지압적인 파괴에 의해 최종적으로 파괴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FRP 바는 변형률이 큰 섬유가 변형률이 작은 섬유를 둘러싸고, 변형률이 큰 섬유가 격자 형상으로 조직됨으로써 종래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와 비교하여 전단 강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본 고안의 제 1, 2실시예에 의한 FRP 바(FRP-1, FRP-2)의 전단 특성을 다음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종류 전단강도 (kgf/mm2) 공시체 길이(mm) 길이/직경 파괴형태
초기항복 극한파괴
FRP-1 4.234019 11.967806 30 3 지압적 파괴
FRP-2 4.005096 5.682341 30 3 지압적 파괴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는 소성 변형 구간에 의해 높은 연성을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강도가 우수하고, 부식에 대한 우려가 없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자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강화재로 기능하는 섬유들 및 이 섬유들을 내부에 포함하는 막대 형상의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은 변형률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섬유군이 혼합 배치되어 섬유군들 중에서 낮은 변형률의 섬유군이 파괴된 후 높은 변형률의 섬유군이 파괴될 때까지 소성 변형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률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섬유군들이 수지층의 방사 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들은 수지층의 방사 방향을 따라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이 중심에 위치하고, 변형률이 높은 섬유군이 외곽에 위치하여 변형률이 높은 섬유군이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을 둘러싸도록 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을 구성하는 섬유들이 수지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섬유 자체의 극한 변형률에서 해당 섬유군이 파괴되도록 하는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률이 높은 섬유군을 구성하는 섬유들이 위사와 경사가 꼬이며 직교하는 격자 형상으로 조직되어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을 격자 조직으로 둘러싸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률이 높은 섬유군을 구성하는 섬유들이 수지층의 방사 방향을 따라 적층된 여러겹의 격자 형상으로 조직되어 변형률이 낮은 섬유군을 여러겹의 격자 조직으로 둘러싸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KR20-2002-0028395U 2002-09-19 2002-09-19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KR200299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95U KR200299699Y1 (ko) 2002-09-19 2002-09-19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95U KR200299699Y1 (ko) 2002-09-19 2002-09-19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257A Division KR100483914B1 (ko) 2002-09-19 2002-09-19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699Y1 true KR200299699Y1 (ko) 2003-01-06

Family

ID=4939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395U KR200299699Y1 (ko) 2002-09-19 2002-09-19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6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58B1 (ko) * 2007-12-28 2010-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KR101013098B1 (ko) * 2008-03-13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만들어진 콘크리트용 보강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58B1 (ko) * 2007-12-28 2010-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구조물용 이종재복합보강근
KR101013098B1 (ko) * 2008-03-13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만들어진 콘크리트용 보강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208B2 (en) Steel-fiber composite material concrete combined column, and post-earthquake repair method thereof
CA1278699C (en) Concrete reinforcing unit
US6060163A (en) Optimized geometries of fiber reinforcement of cement, ceramic and polymeric based composites
US6662506B2 (en) Collapse-resistant frame system for structures
CN102936941A (zh) 复合管混凝土组合结构
CA2915344C (en) Prestressed concrete roof for cylindrical tank
US6790518B2 (en) Ductile hybrid structural fabric
Sugano Seism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hich used ultra-high-strength concrete
Jaya et al. Strengthening of RC Column using GFRP and CFRP
KR200299699Y1 (ko)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KR100483914B1 (ko)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
KR101636831B1 (ko) 내충격 및 방폭 성능이 강화된 직조 섬유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복합 구조체
KR102138849B1 (ko) 구조물 내진보강용 섬유 직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 보강 방법
KR100473073B1 (ko) 부착 성능이 향상된 콘크리트 구조 보강용 섬유강화폴리머 바
Rousakis Confinement of concrete columns by fiber rope reinforcements
JPH0915161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方法
EP3807084B1 (de) 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torsionsmomenten, insbesondere als torsionsfeder oder antriebswelle, aus faserverbundwerkstoffen zur erzielung einer hohen spezifischen materialausnutzung
CN203905504U (zh) 复合线状体的末端固定结构
Asha et al. Seismic behaviour of exterior beam-column joints with square spiral confinement
KR200298950Y1 (ko) 보강재로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를 사용하는 콘크리트구조물
KR100483915B1 (ko) 보강재로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를 사용하는 콘크리트구조물
Krzywoń et al. Features of SRP tapes against CFRP composites used for strengthening of concrete structures
KR101505082B1 (ko) 탄소 섬유 보강 폴리머 스터럽
CN220814525U (zh) 超弹性sma绳网增强高延性ecc自修复抗拉板
JP2691236B2 (ja) コンクリート補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