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992A -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992A
KR20090071992A KR1020070139951A KR20070139951A KR20090071992A KR 20090071992 A KR20090071992 A KR 20090071992A KR 1020070139951 A KR1020070139951 A KR 1020070139951A KR 20070139951 A KR20070139951 A KR 20070139951A KR 20090071992 A KR20090071992 A KR 2009007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ylinder
cylinder
friction
boom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홍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1992A/ko
Publication of KR2009007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55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output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차체 또는 붐 브래킷(12)의 적어도 한 개소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지지부(11a)를 포함하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바(13)를 축핀(6b)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브래킷(11); 이 브래킷의 두 지지부(11a)에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를 가동시키는 압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바(13)에 마찰력을 가하거나 마찰력을 해제 가능하게 하는 마찰수단(15); 상기 붐 실린더(6)가 최저 스윙각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가 최저 하강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에서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25); 이 센서부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상기 마찰수단(15)과 상기 연결바(13) 간의 분리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25)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찰수단(15)과 상기 연결바(13) 간의 마찰이 발생되게 하는 유로개폐 스위치(35);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실린더(16)의 실린더바디(16b)와 상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하측부는 각각 유압라인(40)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는 바이패스 유압라인(40a)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각 유압라인(40)과 탱크(14)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PTION DEVICE OF BOOM CYLINDER FOR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물을 실은 작업기가 하강(Boom down)될 때 작업기로부터 차체 또는 붐 브래킷으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게 하는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에는 굴삭기, 휠로더, 크레인 등이 있으며, 이들 차량은 상부 선회체의 전측부에 작업기를 구비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의 작업기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 확대도이다.
굴삭기의 작업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2), 아암(3) 및 버킷(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붐(2)은 하단부가 상부 선회체(5)에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고 양측의 두 붐 실린더(6)에 의해 가동된다. 상기 아암(3)은 후단부가 상기 붐(2)의 선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고 아암 실린더(7)에 의해 가동된다. 상기 버킷(4)은 후단부가 상기 아암(3)의 선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고 버킷 실린더(8)에 의해 가동된다.
한편, 상기 각 붐 실린더(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바디(6a)의 하단부가 차체(9)(또는 그 차체에 구비된 붐 브래킷)에 축핀(6b)을 매개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바디(6a) 내의 피스톤(6c)과 연결된 가동로드(6d)의 상단부가 또한 축핀(6e)을 매개로 하여 붐(2)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붐 실린더(6)는 피스톤(6c)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실린더바디(6a)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오일포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로드(6d)는 해당 오일포트로부터 실린더바디(6a) 내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압류에 의해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상하이동되는 피스톤(6c)에 의해 이동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작업기(1)는 버킷(4) 안에 중량물을 실은 상태에서 하강될 때 중량물의 하중과 작업기(1)의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작업기(1)가 급속한 하강력을 받아 상기 붐 실린더(6)를 통해 상부 선회체(5)에 물리적 충격이 크게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버킷 등과 같은 프론트 어태치먼트에 중량물을 실은 상태에서 작업기의 프론트 어태치먼트를 하강시킬 시 작업기가 급격히 하강되는 것을 막아, 궁극적으로 작업기의 붐 실린더를 통해 상부 선회체에 물리적 충격이 크게 가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 또는 붐 브래킷의 적어도 한 개소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지지부를 포함하며, 붐 실린더의 실린더바디의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바를 축핀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브래킷; 이 브래킷의 두 지지부에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붐 실린더의 가동로드를 가동시키는 압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바에 마찰력을 가하거나 마찰력을 해제 가능하게 하는 마찰수단; 상기 붐 실린더가 최저 스윙각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붐 실린더의 가동로드가 최저 하강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에서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 이 센서부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상기 마찰수단과 상기 연결바 간의 분리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찰수단과 상기 연결바 간의 마찰이 발생되게 하는 유로개폐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실린더의 실린더바디와 상기 붐 실린더의 실린더바디의 하측부는 각각 유압라인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는 바이패스 유압라인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각 유압라인과 탱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마찰수단은 가동로드가 상기 브래킷의 해당 지지부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마찰 실린더와, 이 마찰 실린더의 가동로드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에 밀착되거나 그로부터 분 리 가능한 마찰패드를 갖는 마찰판과, 이 마찰판과 상기 브래킷의 해당 지지부 사이의 해당 가동로드의 일부분에 끼워진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붐 실린더가 최저 스윙각도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과 대응하는 차체 또는 붐 브래킷의 내측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일단부가 상기 붐 실린더의 가동로드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그 붐 실린더의 실린더바디의 하측부로 뻗으며, 상기 실린더바디와의 간섭없이 상기 가동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도그바(Dog bar)와, 상기 붐 실린더의 가동로드의 도그바가 최저 하강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과 대응하는 상기 붐 실린더의 실린더바디의 외측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버킷 등과 같은 프론트 어태치먼트에 중량물을 실은 상태에서 작업기를 하강시킬 시 작업기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기의 붐 실린더를 통해 상부 선회체에 물리적 충격이 크게 가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브래킷(11), 마찰수단(15), 센서부(25) 및 유로개폐 스위치(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11)은 차체(12)의 적어도 한 개소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지지부(11a)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11)은 또한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바(13)를 축핀(6b)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 내의 피스톤(6c)은 그 실린더바디(6a) 내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 걸림턱(6aa)에 의해 정해지는 일정 스트로크 내에서 가동된다. 상기 실린더바디(6a)의 상측부(또는 가동로드측 부분)와 하측부(또는 가동로드의 반대측 부분)에는 각각 압류를 공급 또는 배출 가능하게 하는 압류포트(6f)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찰수단(15)은 상기 브래킷(11)의 두 지지부(11a)에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각각 구비된다. 상기 마찰수단(15)은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를 가동시키는 압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바(13)에 마찰력을 가하거나 마찰력을 해제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각 마찰수단(15)은 가동로드(6d)가 상기 브래킷(11)의 해당 지지부(11a)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마찰 실린더(16)와, 이 마찰 실린더의 가동로드(16a)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13)에 밀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 가능한 마찰패드(17a)를 갖는 마찰판(17)과, 이 마찰판과 상기 브래킷(11)의 해당 지지부(11a) 사이의 해당 가동로드(16a)의 일부분에 끼워진 스프링부재(1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찰판(17)과 해당 가동로드(16a)의 선단부는 나사선체결 또는 나사 등과 같은 패스너(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25)는 상기 붐 실린더(6)가 최저 스윙각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가 최저 하강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에서 동작신호를 발생시킨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센서부(25)는 상기 붐 실린더(6)가 최저 스윙각도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과 대응하는 차체 또는 붐 브래킷(12)의 내측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센서부(25)는 일단부가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그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하측부로 뻗으며, 상기 실린더바디(6a)와의 간섭없이 상기 가동로드(6d)와 함께 이동하는 도그바(Dog bar)(27)와,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의 도그바(27)가 최저 하강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과 대응하는 상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외측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26a)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26)는 붐 실린더 스윙각 감지센서이고, 상기 센서(26a)는 붐 실린더 변위 감지센서로서 이들 자체는 통상의 감지수단으로 산업계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 두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각 센서(26,26a)는 상기 붐 실린더(6)의 하강시 특정구간에서 상기 붐 실린더(6)가 최저 스윙각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가 최저 하강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 센서(26,26a)는 상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 또는 도그바(27)와의 접촉에 의한 간섭을 검출하는 접촉센서 또는 비접촉식 간섭을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는 통상의 전동볼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는 상기 센서부(25)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상기 마찰수단(15)과 상기 연결바(13) 간의 분리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25)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찰수단(15)과 상기 연결바(13) 간의 마찰이 발생되게 한다.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는 상기 센서부(25)의 해당 센서(26 또는 26a)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각 마찰수단(15)의 마찰 실린더(16)로부터 탱크(14)로 이어진 유압라인(40,40a)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한편, 상기 마찰 실린더(16)의 실린더바디(16b)와 상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하측부는 각각 유압라인(40)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는 바이패스 유압라인(40a)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각 유압라인(40)과 탱크(14)를 연결한다.
다른 한편, 상기 각 마찰수단(15)의 마찰패드(17a)와 상기 붐 실린더(6)의 연결바(13) 간의 접촉부는 선접촉 대 면접촉이 아닌 면접촉 대 면접촉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마찰패드(17a)와 상기 연결바(13)의 접 촉부는 평면형태 또는 곡면형태로 이루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두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기(1)의 붐 실린더(6)가 차체 또는 붐 브래킷(12)의 축핀(6b)을 중심으로 상승 선회된 상태의 경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 내에 제공되는 압류가 유압라인(40)을 통해 각 마찰수단(15)의 마찰 실린더(16) 내로 유입되면 그 각 마찰 실린더(16)의 피스톤(16c)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브래킷(11)의 지지부(11a)와 마찰판(17) 사이의 스프링부재(18)가 압축된다. 그러면, 상기 각 마찰 실린더(16)의 가동로드(16a)의 마찰판(17)이 후방으로 밀려 그 마찰판이 상기 붐 실린더(6)의 연결바(13)로부터 분리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또는 작업자)가 버킷 등과 같은 프론트 어태치먼트에 중량물을 실은 상태에서 해당 차량의 적재칸 또는 일정장소에 부리기 위해 작업기(1)를 하강시키면, 작업기의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가 브래킷(11)의 축핀(6b)을 중심으로 하강선회하고 가동로드(6d)가 실린더바디(6a) 내로 수축(또는 복귀)된다(도 2와 도 3 참조).
그러면, 센서부(25)의 센서(26)가 차체 또는 붐 브래킷(12)의 내측 일부분에 구비된 실시예(도 2 참조)의 경우 상기 센서(26)는 상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스윙하강을 감지하고, 센서부(25)의 센서(26a)가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외측 일부분에 구비된 실시예(도 3 참조)의 경우 상기 센서(26a)는 도그바(27)를 통해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의 수축을 감지한다.
그러면, 유로개폐 스위치(35)는 해당 센서(26 또는 26a)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 마찰 실린더(16)와 연결된 유압라인(40)과 연통되는 바이패스 라인(40a)과 탱크(14)와 연통되는 바이패스 유압라인(40a)을 개방시켜 상기 각 마찰 실린더(16) 내의 압류를 상기 탱크(14)로 신속히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각 마찰수단(15)의 마찰판(17)의 마찰패드(17a)가 해당 스프링부재(18)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상기 붐 실린더(6)의 연결바(13)에 강력하게 밀착되게 된다. 그에 따라, 작업기(1)의 붐 실린더(6)는 상기 마찰판(17)의 마찰패드(17a)와 상기 연결바(13) 간의 마찰력에 의해 급속한 하강이 저지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그 결과, 산업차량의 상부 선회체(5)는 작업기(1)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받지않게 됨은 물론, 그러한 물리적 충격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센서부(25)와 유로개폐 스위치(35)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센서부(25)와 유로개폐 스위치(35) 및 바이패스 유압라인(40a)들이 더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비의 구조가 복잡해 질 수 있다. 아울러, 마찰수단(15)에 의한 마찰은 실질적으로 붐 실린더(6)가 최저 스윙각도에 다다르기 전에 짧은 시간만 이루어지면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부가 장치들을 설치할 경우 정확한 붐 실린더(6)의 제동을 제공할 수 있지만 장비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킴으로써 저가형 장비에는 그 채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마찰수단(15)과, 마찰수단(15)을 붐 실린더(6)에 연결하는 유압라인(40)만을 구비하는 충격흡수장치를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수단(15) 및 유압라인(40)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다만, 유압라인(40)에 바이패스 유압라인(40a)이 연결되지 않은 점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즉, 유압라인(40)은 오직 붐 실린더(6)의 헤드측과 마찰 실린더(16)의 피스톤(16c)만 연결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별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라인(40)의 붐 실린더(6)측 입구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피스톤(6c)이 최대로 수축되기 이전에 피스톤(6c)에 의해 폐쇄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아울러, 스프링은 유압라인(40)의 유압이 미세하게 변동되더라도(즉, 최대 압력이 아닌 경우) 마찰판(17)을 연결바(13)에 밀착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18)가 사용된다. 이러한 탄성력은 붐 실린더(6)의 수축시 드레인되는 배출유의 최대 압력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붐 실린더(6)가 수축되는 경우 마찰판(17)은 마찰 실린더(16)로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연결바(13)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붐 실린더(6)가 계속해서 수축되어 피스톤(6c)이 유압라인(40)의 입구를 막는 순간 유압라인(40) 내부에는 압력의 미세변동이 순간적으로 발생된다. 이론적으로는 피스톤(6c)에 의해 유압라인(40)이 폐쇄되는 경우 압력이 유지되어야 하나 실질적으로는 붐 실린더(6)의 이동 및 실링효율 등에 의해 미세한 압력저하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마찰판(17)은 스프링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바(13)에 밀착되게 되어 붐 실린더(6)가 최대로 수축되기 전인 적절한 시기에 요구되는 제동력 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라인(40)의 압력에 민감하게 마찰판(17)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연결바(13)가 하강 회동할 때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된 유압라인(40)의 압력저하가 발생될 경우, 마찰판(17)이 미리 인출되어 연결바(13)의 회동이 방해될 수도 있다. 이를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판(17)은 최대 인출시 연결바(13)와 접촉만 될 수 있는 위치까지만 인출이 제한되도록 마찰 실린더(16)의 피스톤(16c)과 실린더바디(16b)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의 작업기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두 실시예에 따른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에서 마찰수단의 마찰판이 붐 실린더의 연결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두 실시예에 따른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에서 마찰수단의 마찰판이 붐 실린더의 연결바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에서 마찰수단의 마찰판이 붐 실린더의 연결바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붐 6: 붐 실린더
6a: 실린더바디 6b: 축핀
6d: 가동로드 10: 충격흡수장치
11: 브래킷 11a: 지지부
12: 차체 또는 붐 브래킷 13: 연결바
15: 마찰수단 16: 마찰 실린더
16a: 가동로드 16b: 실린더바디
17a: 마찰패드 17: 마찰판
18: 스프링부재 25: 센서부
26,26a: 센서 27: 도그바
35: 유로개폐 스위치 40: 유압라인
40a: 바이패스 유압라인

Claims (4)

  1. 차체 또는 붐 브래킷(12)의 적어도 한 개소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지지부(11a)를 포함하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바(13)를 축핀(6b)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브래킷(11);
    이 브래킷의 두 지지부(11a)에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를 가동시키는 압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바(13)에 마찰력을 가하거나 마찰력을 해제 가능하게 하는 마찰수단(15);
    상기 붐 실린더(6)가 최저 스윙각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가 최저 하강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에서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25);
    이 센서부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상기 마찰수단(15)과 상기 연결바(13) 간의 분리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25)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찰수단(15)과 상기 연결바(13) 간의 마찰이 발생되게 하는 유로개폐 스위치(35);
    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실린더(16)의 실린더바디(16b)와 상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하측부는 각각 유압라인(40)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는 바이패스 유압라인(40a)을 매개로 하여 상기 각 유압라인(40)과 탱크(14)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찰수단(15)은 가동로드(16a)가 상기 브래킷(11)의 해당 지지부(11a)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마찰 실린더(16)와, 이 마찰 실린더의 가동로드(16a)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13)에 밀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 가능한 마찰패드(17a)를 갖는 마찰판(17)과, 이 마찰판과 상기 브래킷(11)의 해당 지지부(11a) 사이의 해당 가동로드(16a)의 일부분에 끼워진 스프링부재(18)로 이루어진 것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5)는 상기 붐 실린더(6)가 최저 스윙각도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과 대응하는 차체 또는 붐 브래킷(12)의 내측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26)로 이루어진 것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5)는 일단부가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그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하측부로 뻗으며, 상기 실린더바디(6a)와의 간섭없이 상기 가동로드(6d)와 함께 이동하는 도그바(Dog bar)(27)와, 상기 붐 실린더(6)의 가동로드(6d)의 도그바(27)가 최저 하강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근접지점과 대응하는 상기 붐 실린더(6)의 실린더바디(6a)의 외측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개폐 스위치(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26a)로 이루어진 것인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KR1020070139951A 2007-12-28 2007-12-28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KR20090071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51A KR20090071992A (ko) 2007-12-28 2007-12-28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51A KR20090071992A (ko) 2007-12-28 2007-12-28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992A true KR20090071992A (ko) 2009-07-02

Family

ID=4132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951A KR20090071992A (ko) 2007-12-28 2007-12-28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19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1969A (zh) * 2011-04-29 2014-05-07 哈尼施费格尔技术公司 控制工业机械的挖掘操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1969A (zh) * 2011-04-29 2014-05-07 哈尼施费格尔技术公司 控制工业机械的挖掘操作
US9074354B2 (en) 2011-04-29 2015-07-07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a digging operation of an industrial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7610B2 (en) Hydraulic arrangement
US9574962B2 (en) Hydraulic attachment
JP4038106B2 (ja) 非常時にブームを下降させるための電子制御型流体圧システム
ES2389136T3 (es) Máquina cargadora
US20130330161A1 (en) Locking mechanism for lift arm assembly
US20070012038A1 (en) Hydraulic arrangement
EP1844990B1 (en) Crush protect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s
KR20060120584A (ko) 건설기계의 제어회로
RU2008129646A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CN107667053B (zh) 履带张紧装置
US8061764B2 (en) Working machine and emergency lowering system
JP4031906B2 (ja) ロード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20090071992A (ko) 산업차량을 위한 붐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US20080245067A1 (en) Hydropneumatic pressure transmission device
KR970064722A (ko) 조오 크러셔
CA2631107C (en) Safety device for hydraulic hitch assembly
CN103154383A (zh) 联接配置
JP2008121404A (ja) 作業機械
KR20150041936A (ko) 최대 적재하중 제어장치를 갖춘 휠 로더
EP1655417B1 (en) Braking device for the articulations of the supporting boom parts of an earthmoving machine
KR20090069659A (ko) 건설기계의 버켓 충격완화장치
JP4391396B2 (ja) スライドフレームの安全装置
JPH083797Y2 (ja) ソレノイドバルブの作動不良検出装置
JP4044426B2 (ja) 多段伸縮式アーム作業機
KR20110053547A (ko) 휠로더 조향각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