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921A -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921A
KR20090071921A KR1020070139860A KR20070139860A KR20090071921A KR 20090071921 A KR20090071921 A KR 20090071921A KR 1020070139860 A KR1020070139860 A KR 1020070139860A KR 20070139860 A KR20070139860 A KR 20070139860A KR 20090071921 A KR20090071921 A KR 2009007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id
meter
electricity meter
electricity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868B1 (ko
Inventor
최지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8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불형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요금제의 입력 및 선택이 가능함과 아울러 고객이 직접 전력량계에 선불금액이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입력하면, 주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요금제에 따라 사용한 전기요금을 자동으로 차감하는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70139860
전력량계, 선불식, 요금제, 근거리무선통신, 휴대단말기

Description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PREPAYMENT ELECTRICITY ME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사용에 따라 사용한 전기요금을 미리 지불한 금액에서 자동 차감하는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회사가 소비자에게 전기를 먼저 공급하고, 일정한 주기로 사용량을 검침하여 사용요금을 정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상기 전력 검침은 원격검침을 수반하여 수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현장 검침이다. 그 결과 전력공급회사 입장에서 보면, 임시 수용가나 불량 거래자의 경우에 사용요금 징수가 용이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용요금 납부 지연이나 기피로 인해 사용료가 미납되거나 정산되기 힘든 경우도 발생하며, 그리고 고지서 발부에 따른 소비자 수취불명 등의 문제로 적시에 사용요금이 정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전력 사용 요금을 사용자가 미리 선불 결제하고 선지불된 금액만큼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전력 사용 요금의 미수(未收)를 방지하여 전력공급회사의 원활한 경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선불형 전력량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선불형 전력량계는 월세형 주택이나 이사가 잦은 주택에 설치하면 유용하다.
이와 같은 선불형 전력량계는 고객이 전기를 구매하고자 할 때, 구매 시스템을 통해 사용할 전기요금을 미리 결제한 후 전력공급회사 측으로부터 고객이 설치한 한 개의 전력량계에 대해서만 유효한 암호화 코드를 발급함으로써, 선불된 요금만큼의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도 1은 종래의 선불형 전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 선불판매서버(10) 및 전력량계(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불판매서버(10)는 전기를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입력받아 고객 인증 과정을 거친 후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암호화 코드와 해당 계기번호를 발행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고객의 전력량계(5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력량계(50)는 선불판매서버(10)로부터 계기번호와 암호화 코드를 통신수단(52)을 통해 수신받아 미리 저장된 계기번호와 상호 비교하여 인증한 후 수신된 암호화 코드를 추출하여 메모리(51)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선불판매서버(50)는 고객이 휴대폰이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ARS 서버(11)에 접속되면 소정의 입력 및 결제 절차에 따라 고객 정보를 입력받고 전기 요금을 선불 처리한다. 이때 고객 데이터베이스(12)와 금융결제장치(13)를 통해 고객 인증과 선불 요금을 결제한다.
이어, 선불판매서버(10)의 프로세서(16)는 계기번호암호화장치(14)와 암호발급장치(15)를 통해 고객이 입력한 전력량계(50)의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에 대한 정보를 발급하고, 발급된 정보를 통신수단(17)으로 전달한다. 상기 통신수단(17)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전력량계(50)에 접속하여 계기번호를 확인한 뒤 해당 고객의 계기일 경우에는 암호화된 코드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력량계(50)의 전력량계측제어부(54)는 선불판매서버(10)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코드를 메모리(51)에 저장하게 되고, 메모리(51)에 저장된 선불요금만큼 전기를 사용하도록 차단기(56)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전력량계의 전력량계측제어부(54)는 전력센서(55)를 통해 검출된 사용전력을 계산한 후 일정 사용 전력량마다 선불금액을 차감하게 되며, 선불금액이 더 이상 없을 경우 차단기(56)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전력량계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선불판매서버로부터 암호화 코드를 수신받음에 따라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웠고, 또한 전력량계의 통신수단의 고장이나 이동통신망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선불된 요금 차감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전력량계가 단일 요금제로 세팅되어 있어 요금제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았고, 요금제를 최신 추세(누진제 등)에 맞게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력량계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량계에 다양한 요금제의 입력 및 선택이 가능함과 아울러 고객이 직접 전력량계에 선불금액이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입력하면, 주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요금제에 따라 사용한 전기요금을 자동으로 차감하는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통해 암호화 코드를 전력량계에 입력 가능함과 아울러 휴대단말기에 사용 전력량 및 잔여금액 정보를 표시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는, 고객의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선불금액이 포함된 코드를 수신받는 통신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입력된 코드에 포함된 선불금액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기 사용에 따라 미리 설정된 누진 요금제를 기준으로 사용요금을 계산한 후 선불금액에서 차감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량계는, 검침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검침단말기로부터 특정 누진 요금제를 선택 및 수신받거나 누진 요금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2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신수단과 제2 통신수단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드는 전력량계의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산제어부는 코드에 포함된 계기번호와 미리 저장된 계기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불일치할 경우에는 근거리무선통신수단을 통해 휴대단말기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방법은, 전력량계가 입력수단을 통해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이 포함된 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코드에 포함된 계기번호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계기번호를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기번호가 상호 일치할 경우 선불금액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전력 사용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누진 요금제를 기준으로 사용 전기요금을 계산한 후 계산된 사용요금을 선불금액에서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금액의 잔여금액이 사용 전기요금으로 부족할 경우 부하로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량계는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이 포함된 코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력량계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로 사용전력량과 잔여금액 및 사용가능일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는 검침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누진 요금제의 변경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직접 전력량계에 선불금액이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입력함에 따라 전력량계는 별도의 통신장치나 기타 장치가 없이 그 자체만으로 전력공급회사의 누진 요금제를 구현하여 실시간으로 고객의 사용량을 계산하여 비용을 차감함으로써, 부가적인 검침이나 수납에 따른 행정이 필요없고, 전력량계와 요금계산 및 차감을 위한 통신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부가적인 통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전기를 사용하는 수요자 측면에서는 누진제로 인해 갑작스러운 전기요금이 납부가 되지 않도록 전기요금의 관리가 가능하며, 금액 충전을 위한 암호화 코드만 판매업체에서 발급받고 암호화 코드만 전력량계에 입력하면 되므로 전기의 구매도 간편하다.
또한, 통신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고객이 직접 전력량계에 선불금액을 입력함으로써, 통신서버의 이상으로 인해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고, 요금 징수 방식이 다소 변경되거나 다른 요금제를 적용해야 할 경우에도 광통신수단을 통해서 간단히 변경할 수 있으므로 대응이 빠르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불형 전력량계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로서, 전력량계(100)는 메모리(110), 광통신수단(120), 근거리무선통신수단(130), 표시수단(140), 키입력수단(150), 전력센서(160), 차단기(170), 및 연산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모리(110)는 계기번호와 선불금액, 잔여금액, 사용전력량, 다양한 요금제에 대한 요금계산 프로그램 및 각종 UI관련 안내 메시지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계기번호와 요금계산 프로그램 및 각종 UI관련 안내 메시지는 초기에 미리 설정된 것이지만, 잔여금액 및 사용전력량은 전력 사용에 따라 갱신 저장된다.
광통신수단(120)은 검침원의 검침단말기(미 도시)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검침단말기로부터 특정 누진 요금제를 선택 및 수신받거나 누진 요금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적외선통신(IrDA)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물론, 종래와 같이 광통신수단(120)을 통해 전력량계(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검침단말기로 전송하여 검침원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전력량계는 광통신수단(120)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검침원의 검침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근거리무선통신수단(130)은 고객의 휴대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암호화 코드를 수신받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수단(130)은 ZigBee, UWB(Ultra Wide Band), Bluetooth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수단(130)은 전력량계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함에 따라 고객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침원의 검침단말기(미 도시)와 통신하는 광통신수단(120)과, 고객의 휴대단말기(200)와 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수단(130)을 업무 영역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위하여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구현하였지만,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추가할 경우 검침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200)와 통신하는 방식을 동일한 통신방식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표시수단(140)은 사용 전력량과 잔여 요금 및 각종 안내 메시지 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와 같은 표시창이다.
키입력수단(150)은 키매트릭스로 이루어져 검침원이나 고객으로부터 요금제나 암호화 코드 또는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이다.
전력센서(160)는 전기선로의 전압과 전류를 각각 검출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센서, 전압센서 및 AD 컨버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차단기(170)는 연산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부하로 인가되는 전기를 차단(Off) 또는 공급(On)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산제어부(180)는 전력량계측부(181) 및 누진요금계산부(18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전력량계측부(181)는 전력센서(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전력을 계측하여 사용전력량을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누진요금계산부(185)는 메모리(110)에 설정된 누진 요금제를 기준으로 사용전력량에 따라 선불된 금액을 차감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산제어부(180)는 광통신수단(120)을 통해 입력된 누진 요금제를 메모리(110)에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연산제어부(180)는 근거리무선통신수단(130)을 통해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에 대한 암호화 코드가 입력되면 이를 복호화하여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을 각각 추출한 후 추출된 계기번호와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된 계기번호를 상호 비교하게 되고, 상기 계기번호가 상호 일치할 경우 선불금액을 메모리(110)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누진 요금제와 선불금액이 메모리(110)에 저장된 상태에서, 연산제어부(180)는 계산된 사용전력을 미리 설정된 누진 요금제를 기준으로 사용요금을 계산한 후 선불금액에서 차감하고, 잔여금액이 부족할 경우 차단기(170)를 오프시켜 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력량계(100)는 잔여금액이 설정된 잔액 이하일 경우에는 연산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표시 또는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력량계(100)의 경우 고객이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고 입력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고객이 휴대단말기(200)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전력량계(100)에 저장된 데이터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200)는 메모리(210)와 입력부(220), 표시부(230), 근거리무선통신수단(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모리(210)는 전력량계의 계기번호와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된 선불금액, 잔여금액, 사용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계기번호는 초기에 미리 설정된 것이지만, 잔여금액 및 사용전력량은 전력량계(100)와의 통신에 따라 갱신 저장된다.
근거리무선통신수단(240)은 전력량계(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전력량계로 암호화 코드를 전송하는 ZigBee, UWB(Ultra Wide Band) 및 Bluetooth를 포함하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무선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수단(240)은 전력량계(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선불금액과 잔여금액 및 사용전력량 등과 같은 고객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230)는 사용 전력량과 잔여 요금 및 각종 안내 메시지 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와 같은 표시창이다.
입력부(220)는 키패드로 이루어져 고객으로부터 암호화 코드와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이다.
상기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선불금액을 포함한 암호화 코드 또는 각종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근거리무선통신수단(240)을 통해 전력량계(100)로 전송하고, 전력량계(100)에 미리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210)에 저장함과 아울러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기(200)는 전용 리모콘(Remote Controller)일 수도 있지만, 근거리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된 휴대폰과 PDA 등과 같은 모바일단말기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전기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유무선 인터넷과 통신망을 통해 도 1과 같은 선불판매서버(10)에 접속한 후 고객 인증 과정을 거쳐 일정 전기요금을 선불하고, 요금 선불에 따라 선불금액과 고객의 계기번호를 포함하는 암호화 코드를 발급받는다.
이에 따라 고객은 발급받은 암호화 코드를 키입력수단(150)이나 휴대단말기(200)를 통해 전력량계(100)에 입력하면, 전력량계(100)는 암호화 코드로부터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을 추출한 후 추출된 선불금액을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고객이 사용한 전기요금을 선불금액에서 차감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 2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고객은 유무선 인터넷과 통신망을 통해 도 1과 같은 선불판매서버(10)에 온라인으로 접속한 후 고객 인증과 계기번호 인증 과정을 거쳐 일정 전기요금을 선불한다. 이에 따라 선불판매서버는 선불금액과 고객의 계기번호를 포함하는 암호화 코드를 해당 고객에게 ARS나 SMS(문자메시지) 또는 웹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발급한다(S1).
이후, 고객은 선불판매서버로부터 발급받은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을 포함한 암호화 코드를 휴대단말기(200)에 입력하면, 휴대단말기(200)는 WPAN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수단(240)을 통해 전력량계(100)로 전송하게 된다. 물론, 고객은 암호화 코드를 전력량계(100)의 키입력수단(150)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S2).
이에 따라, 전력량계(100)의 연산제어부(180)는 입력된 암호화 코드를 복호화하여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을 각각 추출한 후 추출된 계기번호와 메모리(110)에 설정된 계기번호를 상호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 S4).
상기에서 계기번호가 상호 일치할 경우 연산제어부(180)는 추출된 선불금액을 메모리(110)에 저장하게 된다(S6). 여기에서 계기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연산제어부(180)는 근거리무선통신수단(130)을 통해 휴대단말기(200)로 계기번호 오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고객에게 알린다(S5).
이와 같이 선불금액이 메모리(110)에 저장되면, 연산제어부(180)는 차단기(170)가 온되도록 제어하여 부하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전력량계(100)에는 전력공급회사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누진 요금제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 예컨대 누진 전기세와 같은 요금제의 경우 고객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공급회사에서 선택할 사항이므로 검침원이 검침단말기를 통해 요금제를 선택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력량계(100)는 검침원이 선택한 요금제가 메모리(110)에 설정되고 해당 요금제에 따라 전기요금이 계산된다. 물론, 요금 징수 방식인 요금제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요금제를 다시 선택하거나 또는 변경된 요금계산 프로그램이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전력량계(100)에 업데이트하여 설치한 후 요금제를 선택하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력량계(100)와 소정의 검침단말기는 광통신수단(120)을 통해 통신한다.
이어, 전력량계(100)의 전력센서(160)는 전기선로를 통해 사용전력을 검출하여 연산제어부(180)로 출력하고, 연산제어부(180)의 전력량계측부(181)는 사용전력 을 계산하여 누적하게 된다(S7).
상기 누적된 사용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이 될 경우에는, 연산제어부(180)의 누진요금계산부(185)는 미리 설정된 누진 요금제를 기준으로 사용전력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계산하게 된다(S8). 상기 연산제어부(180)는 계산된 사용 전기요금을 선불금액에서 차감함과 아울러 표시수단(140)에 사용전력량과 함께 잔여금액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9).
예컨대, 현재 가정용 누진제의 경우 0㎾h부터 500㎾h까지 100㎾h마다 다른 요금을 적용하는 6단계 차등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사용전력량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전기요금을 계산하게 된다. 즉, 처음 전력사용량이 100㎾h 이하일 경우에는 100㎾h 이하의 기본요금과 1㎾h당 100㎾h 이하의 에너지 요금을 합산하며, 여기에 부가적인 세금과 기반 기금까지 자동으로 계산되어 차감된다. 이후 사용량이 101㎾h를 넘을 경우 200㎾h 이하의 기본요금과 1㎾h당 200㎾h 이하의 에너지 요금을 합산하며, 여기에 부가적인 세금과 기반 기금까지 자동으로 계산되어 차감된다. 500kWh 이하까지 100kWh 단위로 누진요금이 적용되며, 고객의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된다. 고객은 전력량계(100)의 표시수단(140)을 통해 사용전력량, 잔여금액 및 사용가능일수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에서 전력 사용에 따라 잔여금액이 부족할 경우(S10), 연산제어부(180)는 차단기(170)가 오프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경보신호를 표시 또는 발생하여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11). 물론, 전력량계는 잔여금액이 일정금액 이하이거나 또는 잔여금액에 따른 사용가능 일수가 일정기준일 이하일 경우에 미리 경보신호를 표시 또는 발생하여 고객이 선불금액을 미리 충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고객은 휴대단말기(200)를 통해서도 전력량계(100)에 저장된 사용전력량, 잔여금액 및 사용가능일수와 같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200)는 입력부(220)로부터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근거리무선통신수단(240)을 통해 전력량계(100)에 요청하고(S12), 전력량계(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사용전력량과 잔여금액 및 사용가능일수와 같은 데이터를 독출하여 근거리무선통신수단(130)을 통해 휴대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3).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200)는 전력량계(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고객이 필요한 데이터를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직접 전력량계에 선불금액이 포함된 암호화 코드를 입력함에 따라 전력량계는 별도의 통신장치나 기타 장치가 없이 그 자체만으로 한전의 누진요금제를 구현하여 실시간으로 고객의 사용량을 계산하여 비용을 차감함으로써, 부가적인 검침이나 수납에 따른 행정이 필요없고, 전력량계와 요금계산 및 차감을 위한 통신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부가적인 통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다.
상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불형 전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불형 전력량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불형 전력량계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력량계 110: 메모리
120: 광통신수단 130: 근거리무선통신수단
140: 표시수단 150: 키입력수단
160: 전력센서 170: 차단기
180: 연산제어부 200: 휴대단말기
210: 메모리 220: 입력부
230: 표시부 240: 근거리무선통신수단
250: 제어부

Claims (11)

  1. 고객의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선불금액이 포함된 코드를 수신받는 통신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입력된 코드에 포함된 선불금액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기 사용에 따라 누진 요금제를 기준으로 사용요금을 계산한 후 선불금액에서 차감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는, 검침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여 검침단말기로부터 특정 누진 요금제를 선택 및 수신받거나 누진 요금제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2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과 제2 통신수단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전력량계의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을 포함된 암호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는 코드에 포함된 계기번호와 미리 저장된 계기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불일치할 경우에는 근거리무선통신수단을 통해 휴대단말기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6. 전력량계가 입력수단을 통해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이 포함된 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코드에 포함된 계기번호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계기번호를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기번호가 상호 일치할 경우 선불금액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전력 사용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누진 요금제를 기준으로 사용 전기요금을 계산한 후 계산된 사용요금을 선불금액에서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금액의 잔여금액이 사용 전기요금으로 부족할 경우 부하로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불형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는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이 포함된 코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로 사용전력량과 잔여금액 및 사용가능일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는 계기번호가 상호 불일치할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로 계기번호 불일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계기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 입력된 코드를 복호화하여 계기번호와 선불금액을 각각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는 검침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누진 요금제의 변경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형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KR1020070139860A 2007-12-28 2007-12-28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KR10093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860A KR100934868B1 (ko) 2007-12-28 2007-12-28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860A KR100934868B1 (ko) 2007-12-28 2007-12-28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921A true KR20090071921A (ko) 2009-07-02
KR100934868B1 KR100934868B1 (ko) 2009-12-31

Family

ID=4132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860A KR100934868B1 (ko) 2007-12-28 2007-12-28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748A (ko) * 2012-07-13 2014-01-23 한국전력공사 선불계량시스템 암호화 토큰 통신 분석 장치
KR101356682B1 (ko) * 2012-08-13 2014-02-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선지급형 전자식 전력량계, 선지급형 전자식 전력량계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23964B1 (ko) * 2019-12-31 2020-06-17 주식회사 주빅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선불식 계량기 자동충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27A (ko) 2018-04-18 2019-10-28 정유철 선불형 전력 공급 시스템
KR20200114695A (ko) 2019-03-29 2020-10-07 이엔티코리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용 선불형 전력 공급 시스템
KR102346485B1 (ko) 2021-06-21 2022-01-03 주식회사 인코어드피앤피 부하량 예측 기반의 선불형 전력량 계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63B1 (ko) * 2003-03-20 2005-07-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량 정보 시스템의 요금 징수 방법
KR20050121826A (ko) * 2004-06-23 2005-12-28 (주)지오텍 선불식 디지탈 계량기
KR20060019289A (ko) * 2004-08-27 2006-03-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암호화 코드 무선 모뎀 입력 방식의 선납식 전자식전력량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748A (ko) * 2012-07-13 2014-01-23 한국전력공사 선불계량시스템 암호화 토큰 통신 분석 장치
KR101356682B1 (ko) * 2012-08-13 2014-02-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선지급형 전자식 전력량계, 선지급형 전자식 전력량계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23964B1 (ko) * 2019-12-31 2020-06-17 주식회사 주빅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선불식 계량기 자동충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868B1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5646B (zh) 综合计量系统以及与综合计量系统相互作用的信息及控制装置
KR970004264B1 (ko) 선지불, 미터링 및 회계 시스템과 그 방법
JP5258494B2 (ja) 電気料金精算システム及び電気料金精算アダプタ
US6553353B1 (en) Advanced metering system enabling regulation and billing of utilities by third party interagent
JP4325111B2 (ja) エネルギ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れ用の中継制御端末器
US20070083479A1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a prepaid metering system
KR100934868B1 (ko)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JPH0117113B2 (ko)
GB2438888A (en) Purchasing credit for a prepay utility meter through a transaction unit
JP7232694B2 (ja) プリペイド管理装置およびガス管理システム
KR20170021470A (ko) 전자식 전력량계를 이용한 선불형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626B1 (ko) 선불식 전기요금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JP2001356025A (ja) プリペイド方式の検針メータ、プリペイド検針システム及びプリペイド検針方法
JP2019028705A (ja) プリペイド用ガスメータ通信装置およびプリペイド機能を備えたガス使用システム
JP4799224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支払システム及びプリペイドカード支払方法
KR101065595B1 (ko) 전자 인증 카드에 기반하여 과금하는 전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3945179B2 (ja) エネルギ販売方法及びエネルギの販売方法を制御する処理装置
KR20160033089A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572860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JP2004062805A (ja) 電力メータリ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並びにメータリングサービスセンタ及びメータリング方法
WO2003046787A1 (fr) Systeme de gestion de machine de location et machine de location
KR20090057221A (ko) 유틸리티 판매 시스템 및 방법
WO2004049585A1 (en) Radio controlled power line carrier system
JP2003132475A (ja) 自動検針システム、端局、および自動検針方法
WO2003027928A1 (en) Self-settlement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