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316A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316A
KR20090071316A KR1020080043386A KR20080043386A KR20090071316A KR 20090071316 A KR20090071316 A KR 20090071316A KR 1020080043386 A KR1020080043386 A KR 1020080043386A KR 20080043386 A KR20080043386 A KR 20080043386A KR 20090071316 A KR20090071316 A KR 20090071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onductor
patch
patch antenna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729B1 (ko
Inventor
미노루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7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01Q21/205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cover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하고, 균등한 수평면내 전방향 패턴을 얻을 수 있는 수평면내 전방향성(Omni-Directional) 어레이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안테나 장치(100)는, 원통형의 도체(20)와, 도체(20)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패치 안테나(10a~10d)를 가지는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1)와, 도체(20)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패치 안테나(10e∼10h)를 가지고, 도체(20)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1)로부터 회전 이동시킨 위치에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1)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2)를 구비한다. 제 1단 및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1) 및 (12)를 구성하는 각 패치 안테나(10a∼10h)는, 각각 동일한 급전 회로에 의해 급전되는 2개의 급전 포트를 가지고, 각 급전 포트는 위상차 급전된다.
패치 안테나, 전방향성, 복수편파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등에 사용되는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의 기지국 안테나에 있어서, 복수의 패치 안테나를 어레이 형상으로 배치하여 수평면 내에서 전방향성 패턴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의 예로서,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안테나 장치를 참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안테나 장치는, 다각형통이나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기판의 외주 표면 상에 복수의 패치 안테나를 이용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수평면내 전방향성 패턴 방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1] 미국특허 공개 제2004/0174303 A1호 명세서
[특허문헌2] 미국특허 제 6,791,507 B2호 명세서
[특허문헌3] 국제공개 제 92/17915호 팸플릿
그러나, 이와 같이 통형상의 표면 상에 복수의 패치 안테나를 어레이 형상으 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에서는, 통상, 수평면 내의 전방향성 패턴이 2∼3dB정도의 변동을 가지고 있으며, 균일한 전방향성 방사 패턴을 실현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종래 이러한 안테나 장치는, 단일한 편파 밖에는 대응하고 있지 않고, 더 좋은 통신 품질 향상을 위하여 편파 다이버시티의 적용을 고려해 본다면,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비한 수평 편파 전방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 장치는, 대체로,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나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 등의 대표적인 수직 편파 전방향성 안테나 장치와 비교해서 구조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제조 오차가 안테나의 모든 특성에 끼치는 영향을 적게 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패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안테나 장치가 대형화되지 않도록 배치를 연구하는 것도 요망된다.
이들의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안테나 장치는, 원통형의 도체와, 도체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를 가지는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도체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를 가지고, 도체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제 1단 패치 안테나로부터 회전 이동시킨 위치에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비한다. 제 1단 및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패치 안테나는, 각각 동일한 급전 회로에 의해 급전되는 2개의 급전 포트를 가지고, 각 급전 포트는 위상차 급전된다.
또한, 본 발명이 더 제공하는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안테나 장치는, 원통형의 도체와, 도체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를 가지는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도체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를 가지고, 도체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제 1단 패치 안테나를 회전 이동시킨 위치에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비하고,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1세트로서 복수의 세트가 도체의 외주를 따라 평형하게 배치되고, 제 1단 및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패치 안테나는, 각각 동일한 급전 회로에 의해 급전되는 2개의 급전 포트를 가지고, 각 급전 포트는 위상차 급전된다.
이들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는, 도체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일측이 타측으로부터 45° 회전 이동시킨 위치에 배치되고, 각 패치 안테나의 각 급전 포트는 +45° 위상차 또는 -45° 위상차로 급전되며, +45° 편파 또는 -45° 편파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는, 이들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각 패치 안테나의 각 급전 포트는, 동상 급전(in-phase feed), 역상 급전(opposite-phase feed), +90° 위상차 급전(phase difference feed) 또는 -90° 위상차 급전되며, 수직 편파(vertically polarized wave), 수평 편파(horizontally polarized wave), 우선원(右旋圓) 편파(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wave) 또는 좌선원(左旋圓) 편파(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wave)의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각 패치 안테나는, 원형 또는 패치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축, 수직축, 혹은 45° 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4×n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가, 도체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일측이 타측으로부터 회전 이동시킨 위치에 배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안테나 장치보다도 수평면 내의 전방향성을 개선할 수 있고, 균등한 수평면 내의 전방향 패턴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 편파에 대한 급전 회로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급전 포트 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높게 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급전 포트의 반사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패치 안테나는, 서로 번갈아서 배치하기 때문에, 안테나 장치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이면서 가는 직경으로 2개의 급전 포트 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양호하며, 또한, 각각의 급전 포트의 반사 특성이 양호한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안테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급전 회로의 구성에 의해 수직 편파, 수평 편파, 우선/좌선원 편파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면내 전방향성 안테나 장치이다. 안테나 장치(100)는, 원통형의 도체(20)와, 도체(20)의 외주에 배치된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1) 및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a) 및 (b)는,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1) 및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2)의 각 패치 안테나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1)는, 원통형의 도체(20)의 외주에 90°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10a, 10b, 10c, 10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2)는, 원통축을 중심으로 패치 안테나(10a, 10b, 10c, 10d)를 45° 회전시킨 위치에, 90°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10e, 10f, 10g, 10h)로 구성되어 있다.
각 패치 안테나(10)는,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20)의 외주를 피복하는 유전체(31)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혹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지주(32)를 이용하여 도체(20) 상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때, 패치 안테나(10)와 도체(20)와의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면, 원하지 않는 편파가 방사되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너무 가까우면 안테나가 협대역이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패치 안테나(10)는, 이들의 문제를 고려하여, 필요한 대역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한다.
도 4는, 안테나 장치(100)의 구성을 평면 상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 패치 안테나(10a∼10h)는, 각각 2개의 급전 포트(1,1′, 2,2′···)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급전 포트(1,1′, 2,2′···)는, 각각 동일한 급전 회로에 의해 +45° 위상차 또는 -45° 위상차로 급전된다. 급전은, 도체(20)의 내부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핀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이러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1단 만으로 구성한 안테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것은, 원통형의 도체(20)와, 도체(20)의 외주에 배치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13)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장치(110)이다. 상기 안테나 장치(110)에 있어서, 패치 안테나 어레이(13)는, 도체(20)의 외주에 90°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10i, 10j, 10k, 10l)로 구성된다.
도 7은, 안테나 장치(110)의 구성을 평면 상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 패치 안테나(10i∼10l)는, 각각 급전 포트(1, 2, 3, 4)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급전 포트(1∼4)는, 패치 안테나(10i∼10l)의 배치의 각도에 대응하는 위상차, 즉 90°의 위상차로 급전된다. 이 때, 예를 들면, 도체(20)의 외주를 3λ, 패치 안테나 엘리먼트의 크기 및 형상을 한 변이 λ/2의 정사각형으로 한다면, 각 패치 안테나(10i∼10l)는, 상호 λ/4정도 이격하여 배치된다. 각 패치 안테나(10i∼10l)로의 급전 위상을 고려한 경우, 예를 들면, 위상차는, 도 7의 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종류를 생각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안테나 장치(110)의 수평면 방사 패턴 변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10)의 수평면 방사 패턴은, 방위각 AZ 0°∼360°로 4Hz의 변동을 가진다. 즉, 패치 안테나 어레이가 1단 뿐이면, 수평면의 방사 패턴에 흔들림이 나타나고, 균일한 전방향성을 실현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이런 흔들림을 없애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 나 장치(100)에서는,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조합하여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단 안테나 어레이(11)와 제 2단 안테나 어레이(12)는, 도체(20)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45° 비껴서 배치된다. 따라서, 도체(20) 상의 각 패치 안테나(10a∼10d)와 각 패치 안테나(10e∼10h)와는 번갈아서 45° 간격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각 패치 안테나(10a∼10h)의 급전 포트(1∼8)에서는, 배치의 각도에 대응하는 +45° 위상차로 급전이 이루어진다.
도 5는, 이러한 안테나 장치(100)의 수평면에서의 패턴 변동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수평면의 방사 패턴이 방위각 AZ 0°∼360°의 모든 방향에 대해서 거의 균일해진다. 즉, 안테나 어레이를 1단 밖에 가지지 않은 안테나 장치(110)에 비하여, 수평면 내의 전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2단 안테나 어레이(11, 12)를 구비함으로써,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양호한 수평면내 전방향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어레이를 복수 구비한 다단 구성으로 함으로써 게인 업(gain up)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제 1단 안테나 어레이(11)와 제 2단 안테나 어레이(12)를 1세트로 하고, 이를 원통형의 도체(20)의 외주에 복수 세트(11a, 12a, 11b, 12b ···)로 적층되어 있는 안테나 장치(120)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도 1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단 또는 1단 안테나 어레이를 구비한 구성의 안테나 장치(100) 및 (110)에서는, 실제로는, 상술한 위상 급전보다 도 동상 급전을 행한 쪽이 방사 패턴의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위상 급전을 행하기로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안테나 장치(100) 및 (110)에 있어서, 각 패치 안테나(10)는, 원통형의 도체(20)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있으며, 각각의 반사 특성 및 직교 포트 간(예를 들면, 포트 1과 포트 1′와의 사이)의 통과 특성은 동일하다. 여기에서, 도 10에 도시하는 것은, 급전 회로의 일예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 1단 안테나 어레이(11)를 구성하는 패치 안테나(10a∼10d)의 급전 회로를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 각 패치 안테나(10a∼10d)의 반사파는, 90° 하이브리드 회로(40a∼40d)의 아이솔레이션 포트에는 나타나지만, 180° 하이브리드 회로(501) 및 (502)에 연결되는 포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각 패치 안테나(10a∼10d)의 통과파도, 90° 하이브리드 회로(40a∼40d)의 아이솔레이션 포트에만 나타나고, 180° 하이브리드 회로(501) 및 (502)에 연결되는 포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조 오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 특성, 아이솔레이션 특성, 전방향성 등의 특성 불량의 대부분을 90° 하이브리드 회로의 아이솔레이션 포트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제품 불량율의 개선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동상 급전을 행하였을 경우, 각 패치 안테나(10a~10d)의 반사 특성, 직교 포트 간의 통과 특성은 그대로 ±45° 편파 포트에 나타난다. 즉, 위상차 급전의 경우와는 달리, 제조 오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 특성, 아이솔레이션 특성, 전방향성 등의 특성 불량은, 그대로 ±45° 편파 포트에 나타나게 된다. 또한, ±45° 편파 포트가 완전히 정합하지 않으면, 급전 회로 내의 다중 반사가 발생되고, 전방향성이나 편파 분리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도 있다. 그 때문에, 위상차 급전을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급전 회로에는, 180° 하이브리드 회로(501) 및 (502)의 ±45° 편파 포트에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90° 하이브리드 회로나,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180° 하이브리드 회로를 더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우선/좌선원 편파, 수직/수평 편파의 2편파용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패치 안테나의 안테나 엘리먼트 형상은 정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직교 2편파가 방사할 수 있는 형상, 즉, 패치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축, 수직축, 45° 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이면 어떤 형태라도 좋다. 따라서,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해도 되며, 혹은, 도 12의 (b)∼(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4×n 다각형으로 할 수 있다. 어떤 형상이든, 정사각형의 경우와 동일한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패치 안테나의 배치나 급전 방법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그 이외에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패치 안테나의 급전 포트로 동상 급전, 역상 급전, +90° 위상차 급전 또는 -90° 위상차 급전을 행하고, 수직 편파, 수평 편파, 우선원 편파 또는 좌선원 편파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서의 패치 안테나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서의 패치 안테나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수평면내 방사 패턴 변동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과의 비교용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비교용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비교용 안테나 장치의 수평면내 방사 패턴 변동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급전 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급전 회로에 추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 이용하는 패치 안테나 형상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110, 120 : 안테나 장치
10, 10a∼10l : 패치 안테나
11, 11a∼11e :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
12, 12a∼12e :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
13 : 패치 안테나 어레이 20 : 도체
31, 32 : 유전체 40a∼40d : 90° 하이브리드 회로
501, 502 : 180° 하이브리드 회로

Claims (5)

  1. 원통형의 도체와,
    상기 도체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를 가지는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상기 도체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도체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단 패치 안테나로부터 회전 이동시킨 위치에 상기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단 및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각 패치 안테나는, 각각 동일한 급전 회로에 의해 급전되는 2개의 급전 포트를 가지고,
    상기 각 급전 포트는 위상차 급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어레이 안테나 장치.
  2. 원통형의 도체와,
    상기 도체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를 가지는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상기 도체의 원주 주위에 외주 표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상호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패치 안테나를 가지고, 상기 도체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단 패치 안테나를 회전 이동시킨 위치에 상기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평행하게 배 치된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상기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한 세트로서 복수의 상기 세트가 상기 도체의 외주를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단 및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각 패치 안테나는, 각각 동일한 급전 회로에 의해 급전되는 2개의 급전 포트를 가지고,
    상기 각 급전 포트는 위상차 급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어레이 안테나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안테나 장치에서, 상기 제 1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와 상기 제 2단 패치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도체의 원통축을 중심으로 일측이 타측으로부터 45° 회전 이동시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 패치 안테나의 상기 각 급전 포트는, +45° 위상차 또는 -45° 위상차로 급전되고, +45° 편파 또는 -45° 편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어레이 안테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안테나 장치에서 상기 각 패치 안테나의 상기 각 급전 포트는, 또한, 동상 급전(in-phase feed), 역상 급전(opposite-phase feed), +90° 위상차 급전(phase difference feed) 또는 -90° 위상차 급전되고, 수직 편파(vertically polarized wave), 수평 편파(horizontally polarized wave), 우선원 편파(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wave) 또는 좌선원 편파(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wave)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어레이 안테나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테나 장치에서 상기 각 패치 안테나는, 원형 또는 패치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축, 수직축, 또는 45° 축에 대하여 대칭적인 4×n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편파에 대응 가능한 수평면내 전방향성 안테나 장치.
KR1020080043386A 2007-12-26 2008-05-09 안테나 장치 KR100965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4115A JP2009159225A (ja) 2007-12-26 2007-12-26 アンテナ装置
JPJP-P-2007-00334115 200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16A true KR20090071316A (ko) 2009-07-01
KR100965729B1 KR100965729B1 (ko) 2010-06-24

Family

ID=4096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386A KR100965729B1 (ko) 2007-12-26 2008-05-09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159225A (ko)
KR (1) KR100965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7997A1 (ko) * 2014-08-22 2016-02-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KR20200125545A (ko) * 2014-08-22 2020-11-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9813A (ja) * 2009-12-01 2011-06-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2859789B (zh) 2012-05-30 2016-04-13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阵列、天线装置和基站
EP2959540A1 (en) * 2013-02-20 2015-12-30 ZhongXing Corporation SLU Compact micro bas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102598060B1 (ko) 2019-02-15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편파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2835A (ja) * 1996-02-23 1997-09-05 Hitachi Ltd アンテナ
US6864853B2 (en) 1999-10-15 2005-03-08 Andrew Corporation Combination directional/omnidirectional antenna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7997A1 (ko) * 2014-08-22 2016-02-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KR20160023302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CN106688141A (zh) * 2014-08-22 2017-05-17 株式会社Kmw 移动通信服务用全向天线
US10355342B2 (en) 2014-08-22 2019-07-16 Kmw Inc.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20190296423A1 (en) * 2014-08-22 2019-09-26 Kmw Inc.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KR20200125545A (ko) * 2014-08-22 2020-11-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US10910700B2 (en) 2014-08-22 2021-02-02 Kmw Inc.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729B1 (ko) 2010-06-24
JP2009159225A (ja)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110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10505609B2 (en) Small cell beam-forming antennas
EP3100518B1 (en) Antenna system with beamwidth control
JP6981475B2 (ja) アンテナ、アンテナの構成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US8742990B2 (en)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CA2702671C (en) Dual polarized multifilar antenna
US8669913B2 (en) MIMO antenna system
US9847571B2 (en) Compact, multi-port, MIMO antenna with high port isolation and low pattern correla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6556118B2 (ja) アンテナ構成
JP5956582B2 (ja) アンテナ
KR100965729B1 (ko) 안테나 장치
US10693242B2 (en) Miniaturization of quad port helical antenna
CN103403898A (zh) 宽带双极化天线
US9912080B2 (en) Multi-sector directive antenna
US20180145400A1 (en) Antenna
GB2583567A (en) Dual polarised planar antenna, base st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8047234A1 (ja) アンテナ装置、mimo通信システム
JP2006229646A (ja) 水平偏波用アンテナ装置
CN105990660B (zh) 天线、天线系统和通信设备
JPH03204204A (ja) アレイアンテナ
CN115917879A (zh) 具有改进辐射方向性的天线设备
WO2016119730A1 (zh) 天线、天线系统和通信设备
WO2016119728A1 (zh) 天线、天线系统和通信设备
JP2012039305A (ja) アンテナ装置
JP2014003399A (ja) 送受共用円偏波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