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875A -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875A
KR20090070875A KR1020070139027A KR20070139027A KR20090070875A KR 20090070875 A KR20090070875 A KR 20090070875A KR 1020070139027 A KR1020070139027 A KR 1020070139027A KR 20070139027 A KR20070139027 A KR 20070139027A KR 20090070875 A KR20090070875 A KR 2009007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base plate
jig frame
drop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725B1 (ko
Inventor
이동수
하근동
황현민
문찬경
이현희
임정준
권오준
강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725B1/ko
Priority to US12/289,977 priority patent/US7966861B2/en
Priority to CN2008101795585A priority patent/CN101470046B/zh
Priority to JP2008328542A priority patent/JP4959672B2/ja
Publication of KR2009007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와 변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은 평판 표시장치를 수납하는 홈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평판 표시장치 및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평판 표시장치를 고정시키는 커버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추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70139027
낙하테스트, 지그프레임, 평판표시장치, 베이스플레이트, 커버플레이트, 추

Description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JIG FRAME FOR DROP TEST OF F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와 변형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평판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전자 기기와 유사한 조건을 가지는 지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음극선관의 단점을 극복하여 두께가 작고 무게를 낮춘 평판 표시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액정 표시장치가 있으며, 휴대폰 및 피엠피(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와 같은 모바일 전자 기기의 표시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용도에 맞는 적당한 내구성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평판 표시장치를 제조한 다음 여러 가지 물리적 외압에 대한 내구성을 검사하는 테스트를 실시하는데, 이 중 하나로 평판 표시장치를 지그 프레임에 설치하고 지그 프레임을 낙하시켜 평판 표시장치의 내구성을 검사하는 낙하 테스트가 있다.
특히 평판 표시장치가 모바일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자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평판 표시장치는 낙하 충격에 대항하는 일정한 기구적 강도를 구비해야 한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종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110)은 평판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수납하는 내부 케이스(11)와, 내부 케이스(11)를 덮는 외부 케이스(13)로 이루어지며, 내부 케이스(11)와 외부 케이스(13) 사이에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5)가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15)는 복수의 볼트 체결을 통해 내부 케이스(11)에 고정되고, 내부 케이스(11)와 외부 케이스(13) 또한 복수의 볼트 체결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볼트 체결로 결합된 지그 프레임(110)은 설정된 높이에서 떨어져 낙하 테스트에 사용되며, 낙하 테스트 후에는 볼트 분해로 내부 케이스(11)와 외부 케이스(13)를 해체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평판 표시장치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지그 프레임은 한가지 기종으로서 무게와 변형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지그 프레임은 평판 표시장치가 실제 설치되는 전자 기기의 다양한 환경에 대응할 수 없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그 프레임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지그 프레임은 내구성이 약해 볼트 결합부가 쉽게 파손될 수 있고, 매회 낙하 테스트마다 십수개의 볼트를 체결 후 분해해야 하므로 낙하 테스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지그 프레임 전체가 불투명한 재질이므로 지그 프레임을 분해한 다음에야 작업자가 평판 표시장치의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 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무게와 변형되는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평판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전자 기기의 다양한 환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은 평판 표시장치를 수납하는 홈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평판 표시장치 및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평판 표시장치를 고정시키는 커버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추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는 평판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개방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코너부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코너부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결합구를 형성하고, 추가 복수의 결합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구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추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여 결합구에 체결될 수 있다.
추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코너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제공되는 추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제공되는 추는 같은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 프레임은 추의 무게와 무게를 조절하여 지그 프레임 자체의 무게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형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지그 프레임은 평판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다양한 조건의 전자 기기와 유사한 조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그 프레임은 강한 내구성을 가지며, 지그 프레임을 분해하지 않고도 평판 표시장치의 파손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지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100)은 평판 표시장치(12)를 수납하는 홈(14)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6)와, 평판 표 시장치(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6)와 중첩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와 결합되어 평판 표시장치(12)를 고정시키는 커버 플레이트(18)와, 베이스 플레이트(16)의 가장자리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추(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6)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보다 변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6)는 낙하 테스트 과정에서 변형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비교적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평판 표시장치(12)의 두께가 2mm 이하일 때 베이스 플레이트(16)는 대략 4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평판 표시장치(12)를 수납하는 홈(14)은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정 중앙에 위치한다. 평판 표시장치(12)가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때, 평판 표시장치(12)는 자신의 장변이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장변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홈에 수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8)는 평판 표시장치(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6)와 중첩되며, 적어도 4개의 나사(22)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6)에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18)는 베이스 플레이트(16)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고, 투명 소재, 일례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로 제작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평판 표시장치(12) 전체를 관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8)는 평판 표시장치(12)의 표시 영역(A10)과 같은 크기의 개구부(181)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181)가 없는 경우에는 커버 플레이트(18)의 외광 반사로 인해 표시 영역(A10)의 미세 크랙까지 정밀하게 확인하는 작 업이 어려울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플레이트(18)의 개구부(181)를 통해 표시 영역(A10)의 미세 크랙까지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6개의 나사(22)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6)와 커버 플레이트(18)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나사(22)의 개수와 위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사(22) 이외의 다른 결합 수단도 적용 가능하다.
베이스 플레이트(16)와 평판 표시장치(12)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24)가 위치하여 평판 표시장치(12)를 베이스 플레이트(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8)와 평판 표시장치(12) 사이에는 완충 테이프(26)가 위치하여 커버 플레이트(18)와의 접촉에 의한 평판 표시장치(12)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추(20)는 베이스 플레이트(16)의 네 코너부에 위치하며, 같은 무게를 가지는 한 쌍의 추(20)가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총 8개의 추(20)가 베이스 플레이트(16)에 고정될 수 있다. 추(20)는 소정의 직경과 두께를 가지는 금속 재질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되어 위치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6)와 커버 플레이트(18) 만으로 이루어진 지그 프레임을 가정하면, 지그 프레임이 낙하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16)에서 변형이 일어나기 힘들어진다. 이는 평판 표시장치(12)가 장착되는 전자 기기와 상이한 낙하 특성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지그 프레임(100)은 추(20)의 무게와 돌출 높이로 인해 지그 프레임(100)이 낙하할 때 평판 표시장치(12)가 실제 장착되는 전자 기기와 유사한 거동을 보이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6)의 변형을 크게 유발할 수 있다.
추(20)는 베이스 플레이트(16)에 형성된 결합구(161)에 체결되어 베이스 플 레이트(16)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6)는 네 코너부마다 베이스 플레이트(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결합구(161)를 형성하여 추(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코너부마다 일례로 4개의 결합구(161)가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6)의 결합구(161)는 나사홈을 형성하고, 추(20)는 베이스 플레이트(16)와 마주하는 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추(20)는 결합구(161)와 체결부(28)의 나사 결합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6)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6)와 추(20)의 결합 구조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지그 프레임(100)은 평판 표시장치(12)가 설치되는 전자 기기의 무게에 따라 다양한 무게, 일례로 100g, 130g 및 150g의 추(20)를 구비하여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지그 프레임(100)은 추(20)의 무게 조절로 자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추(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지그 프레임(100)에서 발생하는 중심부에서의 변형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지그 프레임(100)을 낙하시키면 평판 표시장치(12)가 설치된 지그 프레임(100)의 중심부에서 변형이 발생하는데, 추(20)의 위치를 베이스 플레이트(16)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변형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그 프레임(100)은 추(20)의 무게와 위치를 조절하 여 지그 프레임(100)의 무게와 베이스 플레이트(16)가 변형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평판 표시장치(12)가 설치되는 다양한 조건의 전자 기기와 유사한 조건을 갖출 수 있다.
전술한 지그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평판 표시장치(12)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일 수 있다. 도 5에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121)는, 제1 기판(30)과 제2 기판(32)이 실런트에 의해 결합되며 표시 영역(A10) 내부에 유기발광 소자들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34)와, 패널 어셈블리(34)의 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34)와 결합되는 베젤(36)을 포함한다.
제1 기판(30)의 표시 영역(A10)에는 부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제1 기판(30)의 패드 영역(A20)에는 부화소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패드 전극들이 위치한다. 도 5에서 인용부호 38은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패드 영역(A20)에 부착되는 집적회로 칩을 나타낸다.
베젤(36)은 패널 어셈블리(34)가 올려지는 바닥부(40)와, 바닥부(40)의 가장자리로부터 패널 어셈블리(34)를 향해 연장되어 패널 어셈블리(34)의 측면과 접촉하는 측벽(42)을 포함한다. 베젤(36)은 패널 어셈블리(34)와 고정되어 패널 어셈블리(34)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지그 프레임의 낙하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술한 구조의 지그 프레임(100)은 설정된 높이에서 상하, 좌우 및 전후의 6개 방향(제1 방향 내지 제6 방향)으로 낙하되어 평판 표시장 치(12)의 파손 여부를 테스트하는데 사용된다.
낙하 테스트에서 평판 표시장치(12)의 파괴 현상은 충격 에너지에 의한 파괴와 평판 표시장치(12)의 과도한 변형에 의한 파괴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실제 평판 표시장치(12)가 설치되는 전자 기기에서는 이 두가지 파괴 양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다.
본 실시예의 지그 프레임(100)은 충격 에너지를 평판 표시장치(12)로 전달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6)의 변형에 의해 평판 표시장치(12)의 변형을 유발함으로써 실제 전자 기기에서와 유사하게 평판 표시장치(12)에 충격 에너지와 변형 에너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그 프레임(100)은 강한 내구성을 가지며, 투명한 커버 플레이트(18) 및 커버 플레이트(18)에 구비된 개구부(181)를 통해 지그 프레임(100)을 분해하지 않고도 낙하 테스트 후 평판 표시장치(12)의 파손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의 지그 프레임을 사용하여 실시된 낙하 테스트에서 평판 표시장치의 파괴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세로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평판 표시장치(122, 123, 124)의 경우 평판 표시장치(122, 123, 124)의 폭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축 방향으로 크랙이 발생하면서 파손되는 결과를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평판 표시장치(122, 123, 124)가 설치된 전자 기기를 대상으로 실시된 낙하 테스트와 유사한 결과로서, 본 실시예의 지그 프레임(100)을 이용한 낙하 테스트가 유용 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지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지그 프레임의 낙하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프레임을 사용하여 실시된 낙하 테스트에서 평판 표시장치의 파괴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9)

  1. 평판 표시장치를 수납하는 홈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평판 표시장치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평판 표시장치를 고정시키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추
    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평판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개방시키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추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네 코너부에 위치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코너부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추가 상기 복수의 결합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추가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구에 체결되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코너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공되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제공되는 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제공되는 추가 같은 무게를 가지는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KR1020070139027A 2007-12-27 2007-12-27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KR100908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027A KR100908725B1 (ko) 2007-12-27 2007-12-27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US12/289,977 US7966861B2 (en) 2007-12-27 2008-11-07 Jig frame for drop test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CN2008101795585A CN101470046B (zh) 2007-12-27 2008-12-04 用于平板显示器的跌落测试的夹具框
JP2008328542A JP4959672B2 (ja) 2007-12-27 2008-12-24 平板表示装置の落下テスト用ジグフレー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027A KR100908725B1 (ko) 2007-12-27 2007-12-27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875A true KR20090070875A (ko) 2009-07-01
KR100908725B1 KR100908725B1 (ko) 2009-07-22

Family

ID=4082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027A KR100908725B1 (ko) 2007-12-27 2007-12-27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8725B1 (ko)
CN (1) CN1014700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017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패널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구성 테스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3014A (zh) * 2010-11-26 2011-04-27 天津市中环高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检测多种尺寸手机玻璃强度的万能夹具
CN102680333B (zh) * 2011-03-07 2014-11-2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灯具测试装置、测试框架及测试方法
CN102909667A (zh) * 2012-10-08 2013-02-06 华东光电集成器件研究所 一种集成电路机械冲击试验夹具
CN103245478B (zh) * 2013-04-09 2016-06-2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用于覆盖碰撞地坑表面的盖板
TWI573995B (zh) * 2015-11-27 2017-03-11 環維電子(上海)有限公司 衝擊試驗模組及其測試板
CN107356390A (zh) * 2017-08-15 2017-11-17 大连理工大学 一种薄板振动实验夹具
KR200489397Y1 (ko) * 2017-12-29 2019-06-13 장미희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KR102582395B1 (ko) 2018-11-12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72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용 지그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진동 및 충격테스트방법
JP4455982B2 (ja) * 2004-12-13 2010-04-21 富士通株式会社 落下試験用治具
KR101146525B1 (ko) * 2005-06-30 2012-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고정 지그 및 그 제조방법
KR100686100B1 (ko) * 2005-07-20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용 액정표시장치의 충격 테스트용 지그
KR100960465B1 (ko) * 2005-12-29 2010-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017A (ko) * 2010-02-08 201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패널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구성 테스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725B1 (ko) 2009-07-22
CN101470046B (zh) 2012-09-05
CN101470046A (zh)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725B1 (ko)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JP4959672B2 (ja) 平板表示装置の落下テスト用ジグフレーム
US9258912B2 (en) Display device
EP203731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igid chassis
US8430381B2 (en) Apparatus with protection mechanism
US7267472B2 (en) Light source protective structure of a backlight module
KR1025451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691756B (zh) 背蓋及包含其之顯示器
US2009019597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897835B2 (en) Display apparatus
US7097342B2 (en) Housing for a backlight modul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20140117999A (ko) 평판 표시 장치
JP5811814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US20150369992A1 (en) Light source cover including groove an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light source cover
KR10115735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6954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57074B1 (ko) 표시 장치
KR100913182B1 (ko)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KR102234181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9180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231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3307B1 (ko) 표시장치
KR1026110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90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46976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