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97Y1 -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97Y1
KR200489397Y1 KR2020170006828U KR20170006828U KR200489397Y1 KR 200489397 Y1 KR200489397 Y1 KR 200489397Y1 KR 2020170006828 U KR2020170006828 U KR 2020170006828U KR 20170006828 U KR20170006828 U KR 20170006828U KR 200489397 Y1 KR200489397 Y1 KR 200489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rack
fastening member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희
Original Assignee
장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미희 filed Critical 장미희
Priority to KR2020170006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각종 건축 구조물에 발생한 크랙(균열)의 너비, 크랙에 의하여 틀어지는 각도의 변화 등 크랙의 진행 상태를 측정하여 그에 맞는 구조물의 보수 작업 실시 또는 구조물의 붕괴 시점 등을 예측할 수 있는 크랙 측정 장치 있어서, 부착패널들을 최초 부착 위치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크랙의 측정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부착패널들이 벽면에 완전하게 부착될 때까지 플레이트들의 중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으로써 각 플레이트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공들과 상기 끼움공들에 끼워져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크랙 측정 장치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CRACK MEASURING APPARATUS}
본 고안은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각종 건축 구조물에 발생한 크랙(균열)의 너비, 크랙에 의하여 틀어지는 각도의 변화 등 크랙의 진행 상태를 측정하여 그에 맞는 구조물의 보수 작업 실시 또는 구조물의 붕괴 시점 등을 예측할 수 있는 크랙 측정 장치에 있어서, 부착패널들을 최초 부착 위치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크랙의 측정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부착패널들이 벽면에 완전하게 부착될 때까지 플레이트들의 중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으로써 각 플레이트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공들과 상기 끼움공들에 끼워져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크랙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 등의 각종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 크랙(균열)은 구조물 벽면이 갈라져 발생하는 틈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크랙이 발생할 경우, 시간의 지남에 따라 틈이 더 벌이지면서 각도가 벽면의 각도가 변위되거나, 크랙의 크기가 커지면서 종국에는 구조물의 붕괴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
그리고 구조물의 축조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크랙에 의한 붕괴 위험성 때문에 구조물을 파괴하는 것보다는 붕괴 위험을 없애는 정도에서 크랙 부분을 보수하여 구조물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경우 크랙의 정도에 따라, 크랙으로 인한 붕괴나 사용자 상해에 지대한 우려가 있을 때, 해당 구조물의 파괴 또는 해체가 필요한 반면에, 소정의 보수만으로도 충분히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구조물을 보수한 후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조물의 보수가 필요할 경우 구조물의 크랙의 진행 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고, 이후 크랙의 진행을 정확하게 예측해야만 그에 알맞은 보수를 시행할 수 있다.
즉, 크랙이란 지진 등의 특수한 경우와 같이 한 번에 급속하게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크랙이 최초 발생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크랙의 진행 상태 및 진행 예측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판별하기 어렵다.
이에 크랙의 진행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내지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공개특허 제10-2002-0026413호와 같이, 격자판과 십자눈금이 표기된 십자선판 등을 크랙의 양측면에 고정시킨 후 크랙의 너비나 벌어진 상태를 간이로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기술은 가로 세로 눈금이 표시된 제1 부착패널과, 기준점이 표시된 제2 부착패널로 이루어져, 부착패널들을 서로 중첩되도록 크랙이 발생한 벽면의 양측에 부착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눈금에 표시되는 기준점의 최초 좌표와 이동 좌표를 비교하여 크랙의 진행 상황을 측정 및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크랙 측정 장치는 설치가 용이한 장점 때문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벽면에 부착된다.
그런데 벽면의 습도, 벽면의 평탄도 불균형 등의 문제로 크랙 측정 장치가 완전하게 부착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크랙 측정 장치는 최초 부착된 위치를 기준으로 추후의 크랙 진행상황을 측정하는 것인데, 처음 크랙 측정 장치를 부착한 후 접착제 등이 완전하게 경화되기 전까지 많은 시간이 걸려 크랙 측정 장치가 완전하게 부착되어 고정되기 전까지 부착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크랙의 진행상황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선, 부착된 크랙 측정 장치를 처음 위치에 완전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크랙 측정 장치는 부착된 부착패널들을 따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실제 현장에서는 부착 패널들이 움직이지 않게 작업자가 오랜 시간동안 눌러주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불필요하게 노동력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직접 크랙 측정 장치를 장시간 고정할 필요 없이 처음 부착된 위치에서 제1, 제2 부착패널이 움직이지 않고 완전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각 플레이트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공들과, 상기 끼움공들에 끼워져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크랙 측정 장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체결부재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면서 체결부재의 탈부착이 쉽도록, 상기 끼움공들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단에서 삽입부보다 직경이 두껍게 형성된 파지부로 이루어진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크랙 측정 장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고정수단을 통한 부착패널들의 고정이 최초 부착된 위치에서 좌우 틀어짐 없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각 플레이트의 눈금 및 기준점의 양측에 상기 끼움공들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크랙 측정 장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부착패널의 취급 및 설치를 편리하게 하면서, 부착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각 부착패널의 플레이트 일측에 몸체부가 연결되어 있고, 각 몸체부에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공이 구비되어 있는 크랙 측정 장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 장치는,
크랙의 진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크랙이 발생한 벽면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제1 부착패널;
투명 재질로써, 크랙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벽면의 변위량을 상기 눈금에 표시하는 기준점이 표시된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하도록 크랙이 발생한 벽면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제2 부착패널; 및
상기 제1 부착패널과 상기 제2 부착패널이 벽면에 완전하게 부착될 때까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공들과, 상기 끼움공들에 끼워져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끼움공들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단에서 삽입부보다 직경이 두껍게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서,
상기 끼움공들은 각 플레이트의 눈금 및 기준점의 양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서,
각 부착패널은 플레이트 일측에 연결된 몸체부를 포함하고, 각 몸체부에는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 장치,
부착패널들이 벽면에 완전하게 부착되어 고정되기 전까지 고정수단을 통해 플레이트들이 중첩된 상태를 유지시켜 크랙의 진행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크랙 측정 장치 설치를 편리하게 하여 작업 시간을 줄이면서 불필요한 노동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체결부재의 탈부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들의 중첩 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체결부재로 중첩된 플레이트들을 보다 견고하게 잡아주어 부착패널이 최초 부착 위치에서 벗어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 장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 장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 장치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인 도 1, 본 고안의 정면도인 도 2, 본 고안의 체결부재(B)를 도시한 단면도들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랙 측정 장치, 크게 상호 중첩되어 크랙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플레이트(12)(22)를 구비한 제1 부착패널(10) 및 제2 부착패널(20),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2)(22)들의 중첩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T)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부착패널(10)(20)은 서로 대칭하는 모양으로써, 몸체부(11)(21)와 플레이트(12)(2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부착패널(10)은 크랙이 발생한 구조물의 벽면 일측에 부착되는 제1 몸체부(11)와, 상기 제1 몸체부(11)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제1 플레이트(1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2)에는 크랙의 진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3)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2 부착패널(20)은 크랙이 발생한 구조물의 벽면 타측에 부착되는 제2 몸체부(21)와, 상기 제2 몸체부(21)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제2 플레이트(22)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22)에는 크랙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벽면의 변위량을 상기 눈금(13)에 표시하는 기준점(23)이 표시된다.
이러한 제1, 제2 부착패널(10)(20)은 제1 부착패널(10)의 하면 및 제2 부착패널(20)의 상면이 서로 대칭하는 단턱 구조가 형성되도록, 제1 부착패널(10)의 제1 플레이트(12)가 제1 몸체부(11)의 타측면 하측에 연결되고, 제2 부착패널(20)의 제2 플레이트(22)가 제2 몸체부(21)의 일측면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22)가 상기 제1 플레이트(12)의 상면을 덮으면서 서로 중첩되는 형태로 벽면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2 부착패널(20)(보다 엄밀하게는 제2 플레이트(22))은 하측 제1 플레이트(12)의 눈금(13)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제1 부착패널(10)의 경우 재질의 색상이나 투명 여부에 제한이 없으나, 눈금(13)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유색의 불투명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크랙 측정 장치 구조물의 벽면이 크랙으로 갈라진 상태에서, 크랙을 중심으로 제1 몸체부(11)를 크랙의 일측면에 부착하고, 제2 몸체부(21)를 크랙의 타측면에 부착하여 설치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 크랙의 진행으로 인해 벽면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제1, 제2 부착패널(10)(20) 역시 부착된 벽면의 변위량과 동일하게 위치가 변경되고,
사용자는 최초 부착된 기준점(23)의 위치 좌표와, 크랙 진행 후 변화된 기준점(23)의 위치 좌표를 눈금(13)을 통해 비교하여, 크랙의 너비 변화 내지 각도 변화 등의 크랙 진행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여, 크랙의 진행 속도나 붕괴 위험성 내지 보수 가능 여부 등을 예상 및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부착패널(10)(20)은 하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또는 하면에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통해 벽면에 부착되는데, 이 경우 현장 여건에 따라 접착제의 경화시간이 다르게 되어, 부착패널이 완전하게 부착 및 고정되는데 일정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즉, 크랙 측정 장치 처음 부착하더라도, 접착제가 완전 경화되기 전까지는 부착패널 자체의 무게나 외부 요인에 의해 처음 부착된 위치나 방향이 틀어질 수 있어, 처음 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완전한 부착이 이루어져야 크랙의 진행상황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제1 부착패널(10)과 상기 제2 부착패널(20)이 벽면에 완전하게 부착될 때까지, 상기 제1 플레이트(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중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T)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T)은, 상기 제1 플레이트(12) 및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공(12a)(22a)들과,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져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공(12a)(22a)들은 각 플레이트(12)(22)의 눈금(13) 및 기준점(23)의 양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제1 플레이트(12)의 눈금(13) 및 제2 플레이트(22)의 기준점(23) 양측에 각각 1개의 제1 끼움공(12a)과 제2 끼움공(22a)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만약 끼움공(12a)(22a)들이 눈금(13) 및 기준점(23)의 일측에 1개만 구비될 경우, 체결부재(30)가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지더라도 체결부재(30)를 축으로 제1, 제2 부착패널(10)(20)의 방향이 틀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지는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31)의 외측단에서 삽입부(31)보다 직경이 두껍게 형성된 파지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31)는 끼움공(12a)(22a)들의 전체 깊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체결부재(30)는 볼트와 같은 모양을 갖게 되어, 삽입부(31)가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지면 파지부(32)가 제2 플레이트(22)의 상면에 걸리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체결부재(30)가 과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제가 경화되어 부착패널(10)(20)들이 완전하게 고정된 후에는 파지부(32)를 잡고 체결부재(30)의 분리를 쉽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크랙 측정 장치 크랙이 발생한 벽면에 부착한 후 부착패널(10)(20)들의 위치나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작업자가 크랙 측정 장치 직접 잡고 고정할 필요 없이, 상기 고정수단(T)을 통해 크랙 측정 장치 부착된 상태를 쉽게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부착패널(10)(20)들의 부착(고정)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다음, 작업자가 상기 체결부재(30)만을 분리하여 제거하면, 크랙의 진행으로 인한 양측 벽면의 변위량에 대응하여 각 부착패널(10)(20)이 함께 변위되면서 눈금(13)에 대한 기준점(23)의 위치가 달라져, 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크랙의 진행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 몸체부(11)(21)에는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공(11a)(21a)이 구비된다.
상기 장공(11a)(21a)은 플레이트의 길이방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벽면이 균일하지 않거나 접착제로 부착패널의 부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장공(11a)(21a)을 이용해 못이나 볼트로 각 몸체부(11)(21)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장공(11a)(21)을 이용해 못이나 볼트로 고정할 때, 각 부착패널(10)(20)을 따로 설치하면 기준점(23)의 위치가 눈금(13)의 원점에서 어긋날 수 있고, 플레이트(12)(22)들을 중첩한 후 부착패널(10)(20)들을 한 번에 설치하면 플레이트(12)(22)들의 중첩 상태가 틀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수단(T)으로 플레이트(12)(22)들을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못이나 볼트로 크랙 측정 장치 설치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한편 상기한 크랙 측정 장치 구조물의 내부보다 외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더 많은데,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30)가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단순 끼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진동 등의 외부 요인으로 체결부재(30)가 끼움공(12a)(22a)들에서 이탈하여 부착패널(10)(20)들이 완전하게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체결부재(30)의 삽입부(31)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끼움공(12a)(22a)들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면 체결부재(30)를 통한 부착패널(10)(20)들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체결부재(30)를 조이거나 풀 때 부착패널(10)(20)들이 틀어질 위험성이 크고, 체결부재(30)의 결합 및 분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변형 체결부재(B)를 도입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변형 체결부재(B)는, 너트와 유사한 기능의 고정부(B20)를 갖는 것으로,
먼저 상기 제1 끼움공(12a)은 하측단에 외측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걸림홈(12b)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원형의 관통홀(B12)과, 상기 관통홀(B12)의 일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오목 형성된 삼각형의 삽입홈(B13)을 구비한 몸통부(B10),
상기 몸통부(B10)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삼각형의 끼움홀(B22)을 구비하되, 상기 몸통부(B10)에 대하여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분절된 3개의 이동편(B23)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홀(B22)의 평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정지홈(B22a)이 오목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B20),
상기 관통홀(B12)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로드부(B31), 상기 로드부(B31)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연결된 삼각형의 돌출부(B32), 상기 로드부(B31)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된 헤드부(B33)로 이루어진 조임부(B30),
상기 몸통부(B10)의 타측 끝단부와 상기 헤드부(B3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B32)가 상기 삽입홈(B13)에 끼워지도록 조임부(B3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B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B20)와 몸통부(B10)를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끼운 후, 상기 헤드부(B33)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B3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홈(B13)에서 이탈한 돌출부(B32)가 상기 끼움홀(B22)에서 회전하면서 면접한 이동편(B23)들을 외측으로 벌리면서, 상기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각 이동편(B23)의 정지홈(B22a)에 끼워져, 너트 형태로 변환된 고정부(B20)가 상기 걸림홈(12b)에 걸림 결합되어, 체결부재(B)의 너트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몸통부(B10)는 원통형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홀(B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B12)의 일측 끝단부에 삽입홈(B13)이 형성되되, 관통홀(B12)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고, 삽입홈(B13)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B20)는, 상기 몸통부(B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3개의 이동편(B23)들로 이루어지며, 각 이동편(B23)들은 내측에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는 끼움홀(B22)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홀(B22)의 평면부 중간 부위에는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걸림 가능하게 각이 진 정지홈(B22a)이 오목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B23)은 일측 평면부가 정지홈(B22a)의 내측 끝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부(B22b)를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부(B20)는, 상기 몸통부(B10)와 이동편(B23)들이 서로 접하는 면에,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 이동돌기(B14) 및 이동홈(B23a)이 형성되어, 고정부(B20)가 몸통부(B10)에 연결되며, 이동편(B2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이 이루어질 경우 각 이동편(B23)들이 방사상으로 펴지면서 벌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홈(B23a)에는 상기 이동돌기(B14)를 외측 끝단부로 가압하는 탄성체(B23b)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임부(B30)는 상기 고정부(B2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로드부(B31)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삽입홈(B13) 및 끼움홀(B22)에 대응하는 삼각형의 돌출부(B32)가 구비되고, 로드부(B31)의 타측 끝단부에는 몸통부(B10)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B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B40)은,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헤드부(B33)가 상기 몸통부(B10)에서 멀어지도록, 즉 조임부(B30)가 몸통부(B1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인출되도록 가압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체결부재(B)는, 도 3의 [A]와 같이, 스프링(B40)에 의해 조임부(B30)가 몸통부(B10)의 타측으로 인출되도록 강제되어, 상기 돌출부(B32)가 삽입홈(B13)에 끼워져 있으므로, 헤드부(B33)를 잡고 고정부(B20)와 몸통부(B10)를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체결부재(B)의 1차 끼움 후, 헤드부(B33)를 눌러 돌출부(B32)를 삽입홈(B13)에서 이탈시키면, 돌출부(B32)가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홀(B22)로 인입되며, 이 상태에서 헤드부(B33)로 일측방향을 회전시키면, 몸통부(B10)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조임부(B30)만이 회전하여,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이동편(B23)들의 평면부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이동편(B23)들이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몸통부(B10)의 외경보다 크게 벌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부(B30)의 회전 시, 이동편(B23)들을 가압하는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회전 이동하면서, 이동편(B23)들의 정지홈(B22a)에 끼워져 회전이 정지되어, 이동편(B23)들의 벌림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조임부(B30)의 회전이 완료되면, 스프링(B40)에 의해 조임부(B30)가 몸통부(B10)에서 다시 인출되도록 강제되는데, 정지홈(B22a)에 끼워진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몸통부(B10)의 일측 단부에 걸리게 되어 조임부(B30)의 인출이 불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벌어진 이동편(B23)들이 걸림홈(12b)에 걸리면서, 고정부(B20)와 헤드부(B33) 사이에, 제1, 제2 플레이트(11)(22)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고정부(B20)가 너트와 같은 기능으로, 체결부재(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끼움공(12a)(22a)들에서 상기 체결부재(B)를 분리할 땐, 상기 조임부(B30)를 다시 누르면서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정지홈(B22a)에서 이탈하면서 이동편(B2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체(B23b)에 의해 이동돌기(B14)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벌어진 이동편(B23)들이 다시 오므려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B33)를 잡고 빼내어 체결부재(B)가 끼움공(12a)(22a)들에서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 부착패널 11, 21 : 몸체부
11a, 21a : 장공 12, 22 : 플레이트
12a, 22a : 끼움공 13 : 눈금
23 : 기준점
T : 고정수단 30, B : 체결부재
31 : 삽입부 32 : 파지부

Claims (4)

  1. 크랙의 진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3)이 표시된 제1 플레이트(12)를 구비하고, 크랙이 발생한 벽면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제1 부착패널(10);
    투명 재질로써, 크랙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벽면의 변위량을 상기 눈금(13)에 표시하는 기준점(23)이 표시된 제2 플레이트(22)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2)가 상기 제1 플레이트(12)에 중첩하도록 크랙이 발생한 벽면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제2 부착패널(20); 및
    상기 제1 부착패널(10)과 상기 제2 부착패널(20)이 벽면에 완전하게 부착될 때까지, 상기 제1 플레이트(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중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T);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T)은, 상기 제1 플레이트(12) 및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끼움공(12a)(22a)들과,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져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지는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31)의 외측단에서 삽입부(31)보다 직경이 두껍게 형성된 파지부(32)를 포함하되,

    제1 끼움공(12a)은 하측단에 외측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걸림홈(12b)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너트 기능의 고정부(B20)를 갖는 변형 체결부재(B)이며,
    상기 변형 체결부재(B)는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원형의 관통홀(B12)과, 상기 관통홀(B12)의 일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오목 형성된 삼각형의 삽입홈(B13)을 구비한 몸통부(B10),
    상기 몸통부(B10)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삼각형의 끼움홀(B22)을 구비하되, 상기 몸통부(B10)에 대하여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분절된 3개의 이동편(B23)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홀(B22)의 평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정지홈(B22a)이 오목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B20),
    상기 관통홀(B12)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로드부(B31), 상기 로드부(B31)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삽입홈(B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연결된 삼각형의 돌출부(B32), 상기 로드부(B31)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된 헤드부(B33)로 이루어진 조임부(B30),
    상기 몸통부(B10)의 타측 끝단부와 상기 헤드부(B3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B32)가 상기 삽입홈(B13)에 끼워지도록 조임부(B3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B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B20)와 몸통부(B10)를 상기 끼움공(12a)(22a)들에 끼운 후, 상기 헤드부(B33)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B3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홈(B13)에서 이탈한 돌출부(B32)가 상기 끼움홀(B22)에서 회전하면서 면접한 이동편(B23)들을 외측으로 벌리면서, 상기 돌출부(B32)의 모서리부(B32a)가 각 이동편(B23)의 정지홈(B22a)에 끼워져, 너트 형태로 변환된 고정부(B20)가 상기 걸림홈(12b)에 걸림 결합되어, 체결부재(B)의 너트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12a)(22a)들은 각 플레이트의 눈금(13) 및 기준점(23)의 양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 부착패널(10)(20)은 플레이트(12)(22) 일측에 연결된 몸체부(11)(21)를 포함하고, 각 몸체부(11)(21)에는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공(11a)(21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 장치.
KR2020170006828U 2017-12-29 2017-12-29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KR200489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28U KR200489397Y1 (ko) 2017-12-29 2017-12-29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28U KR200489397Y1 (ko) 2017-12-29 2017-12-29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97Y1 true KR200489397Y1 (ko) 2019-06-13

Family

ID=6681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828U KR200489397Y1 (ko) 2017-12-29 2017-12-29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9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255B1 (ko) * 2019-09-02 2020-03-02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균열 측정 게이지
KR20210059894A (ko) 2019-11-18 2021-05-26 (주)지비엔텍 회전방식의 측정물 안착모듈
KR102267076B1 (ko) * 2020-10-21 2021-06-17 김보현 다중 슬릿 표시형 균열 게이지
KR20220159574A (ko) 2021-05-26 2022-12-05 이태호 Rfid 기술이 적용된 크랙게이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25B1 (ko) * 2007-12-27 2009-07-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KR101464275B1 (ko) * 2013-07-18 2014-11-24 신영측기(주) 크랙 기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25B1 (ko) * 2007-12-27 2009-07-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낙하 테스트용 지그 프레임
KR101464275B1 (ko) * 2013-07-18 2014-11-24 신영측기(주) 크랙 기록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255B1 (ko) * 2019-09-02 2020-03-02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균열 측정 게이지
KR20210059894A (ko) 2019-11-18 2021-05-26 (주)지비엔텍 회전방식의 측정물 안착모듈
KR102267076B1 (ko) * 2020-10-21 2021-06-17 김보현 다중 슬릿 표시형 균열 게이지
KR20220159574A (ko) 2021-05-26 2022-12-05 이태호 Rfid 기술이 적용된 크랙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397Y1 (ko) 플레이트 고정수단을 구비한 크랙 측정 장치
US9702154B2 (en) Structural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curing scaffolding to a building wall
KR102576526B1 (ko) 리드-쓰루 시스템의 쐐기의 표시 수단
KR101505548B1 (ko) 락볼트 시공확인용 검측봉
DK2513388T3 (en) FIXTURE DEVICE AND CONCRETE FORMING SYSTEM WITH AT LEAST ONE FIXTURE DEVICE
GB2517479A (en) Safety Device
EP3820806A4 (en) CLAMP ATTACHMENT FOR A TELESCOPIC MANIPULATOR BOO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POSITIONING DECK MATERIAL ON A BUILDING USING THE CLAMP ATTACHMENT
JP4294707B2 (ja) 壁面の防水装置と止水部材と連結金具と防水工法
KR101921028B1 (ko) 거푸집구조체
KR101410013B1 (ko) 벤치마크 표시 툴
Bhatta et al. Seismic performance of ‘rocking’dual-slot track internal partition walls with concealed joints under lateral cyclic drift demands
JP5333189B2 (ja) 躯体製造方法および被防水躯体
CN206515144U (zh) 承载力检测装置
JP2015048671A (ja) 壁つなぎ用固定具
TWM587719U (zh) 預埋式試水測漏管塞頭
TWI717013B (zh) 預埋式試水測漏管塞頭
JP3117813U (ja) 床用スリーブ装置
CN104389269B (zh) 桥梁支座预留孔四孔定位装置及方法
JP6373628B2 (ja) 床タイルの施工方法
CN204126260U (zh) 砌体结构阳角部位连接柱支模工具
RU27901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прикрепления рамы
KR101543268B1 (ko) 외단열 시스템
AU2012270056A1 (en) Construction board installation
US20240003478A1 (en) Stud isolator with integrated nail protection
Delonca et al. A Clamped Be Window for the Dump of the HiRadMat Experiment at C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