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520A -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520A
KR20090069520A KR1020070137211A KR20070137211A KR20090069520A KR 20090069520 A KR20090069520 A KR 20090069520A KR 1020070137211 A KR1020070137211 A KR 1020070137211A KR 20070137211 A KR20070137211 A KR 20070137211A KR 20090069520 A KR20090069520 A KR 20090069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organic
heavy metal
combination
heavy me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489B1 (ko
Inventor
오성근
이용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48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기-무기 복합체는 분자 구조내 함유된 머캅토기(-SH)가 중금속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오·폐수, 토양 및 공기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중금속, 황, 제거, 유기-무기 복합체

Description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ORGANIC-INORGANIC COMPLEX FOR REMOVING HEAVY METAL,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분자 구조내 함유된 머캅토기(-SH)가 중금속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오·폐수, 토양 및 공기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구조의 변화와 인구도시 밀집화에 의한 산업폐수와 생활오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공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는 상당량의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고 이들 폐수는 지하수 또는 지표수로 유입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중금속에 의한 오염의 경우 미량이라도 체내에 축적되어 잘 배설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부작용을 나타내고, 환경에 배출된 중금속은 분해나 자정작용을 받지 않고 생물권을 순환하면서 먹이 연쇄를 따라서 사람에까지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오염된 수역이나 해역에서 어획하거나 양식한 수산물의 오염도 우려된다. 이러한 동식물체나 어패류를 통해 사람이 섭취하게 됨 으로써 인체 내에 정상적인 신진대사과정에 급성 또는 만성적 장애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30815호는 소듐 오르쏘포스페이트인 포스페이트 화합물 및 임의로는 담체, 특히 점토를 함유하는 중금속 제거제를 언급하고 있으며, 특히 양이온 형태의 중금속을 흡착하여 매질 내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함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8570호는 금속수소화물(metal hydride)을 형성시킬 수 있는 원소들을 재활용 및 포집 할 수 있는 흡착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수 중에 함유된 원소중 hydride를 형성시킬 수 있는 Hg, Se, As, Sb 원소를 활성탄과 황화물의 혼합물의 표면에 코팅시켜 환경유해 원소인 Be, Cd, Cr, Co, Pb, Ag, Ta, Zn인 중금속을 제거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30144호는 중금속에 친화력이 있는 기능성기인 카르복실(carboxyl)기, 아민(amine)기, 인산(phosphoryl)기, 잔테이트(xanthate)기 또는 황산(sulfonyl)기를 함유하는 고분자를 자성 물질과 결합시킨 중금속 제거용 기능성 고분자 자성체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담지 형태의 흡착체 외에 천연 물질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94573호는 게껍질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의 건조된 게껍질을 분쇄한 후 20∼40 메쉬의 체로 걸러서 수중의 중금속 흡착 능이 우수한 게껍질 생흡착제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게껍질에 함유된 키토산 성분의 경우 많은 수의 아민기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아민기는 중금속과 쉽게 반응하여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37371호는 불가사리 표면을 철로 코팅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14260호는 키토산/수산화아파타이트로 이루어진 천연물질 유래 중금속 흡착제를 제시하면서, 이러한 흡착제를 티백형태로 응용하여 청량음료, 녹즙, 음료수, 한약 등에 포함되어 있을지 모르는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한편, 중금속을 쉽게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킬레이트 형태의 흡착제 또한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22181호는 스티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단량체로 사용하고, 디비닐벤젠을 가교제로 사용하여 중합된 구상(球狀)의 공중합체를 기본골격 구조로 하고, 상기 스티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단위구조 각각에는 슬폰산기와 티올기의 킬레이트 관능기가 도입되어 있는 티올기 함유 슬폰산계 킬레이트 수지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국제공개 WO 2004/013219호는 최소 하나의 디티오-포르메이트(디티오카바메이트) CTS 유도체 1∼100 중량% 및 최소 하나의 디티오-포르메이트(디티오카바메이트) 폴리아민 유도체 0∼99 중량%를 함유하는 키토산(CTS) 유도체가 함유된 중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언급한 특허들의 경우 중금속의 제거가 흡착제와 중금속 원소간의 물리적 흡착에 의해 중금속의 제거가 이루어고 있는데, 이러한 물리적 흡착의 경우 황 제거율이 높지 않고 외부 영향에 의해 탈착될 우려가 있다.
중금속은 황이나 아민 계열 화합물에 대한 반응성이 커, 이러한 물질을 이용하여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제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Lingxia Zhang 등은 amine-grafted 메조기공을 가진 실리카(mesoporous silica)를 이용하여 Pb2+, Cu2+, Cd2+, Zn2+ 및 Hg2+와 같은 중금속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Preparation of multi-amine-grafted mesoporous silicas and their application to heavy metal ions adsorption,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Volume 353, Issues 44-46, 2007, Pages 4055-4061]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폐수, 토양 및 공기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실리카 분자구조 내 머캅토기(-SH)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복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복합체 내 머캅토기(-SH)가 중금속과 화학적 결합함으로써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기-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무기 복합체를 사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각종 필터, 코팅 조성물, 마스크 등에 적용하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를 제공한다:
[SiO2]-R-SH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C8의 알킬렌기, C3∼C12의 알케닐렌기, C3∼C12의 할로알케닐렌기, C3∼C8의 알키닐렌기, C3∼C10의 아릴렌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NR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R1은 H, C1∼C4의 알킬기, C3∼C1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용매에 하기 화학식 2의 실란 전구체를 첨가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염기성 촉매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얻어진 반응물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i(R')4-R-SH
(상기 화학식 2에서, R'는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 또는 미치환된 C1∼C6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R은 C1∼C8의 알킬렌기, C3∼C12의 알케닐렌기, C3∼C12의 할로알케닐렌기, C3∼C8의 알키닐렌기, C3∼C10의 아릴렌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NR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R1은 H, C1∼C4의 알킬기, C3∼C1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를 오·폐수 처리장에서의 중금속 제거제, 중금속 토양 오염 방지제, 중금속 흡입 방지용 마스크 등에 적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복합체는 분자 구조 내 중금속과 직접적으로 화학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머캅토기(-SH) 원소를 포함하고 있어, 오·폐수, 토양 및 공기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유기-무기 복합체는 화학적인 흡착을 통해 중금속을 흡착함으로써, 종래 물리적 흡착을 이용하였을 경우 중금속의 탈착이 다시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고상 및 액상으로 적용될 수 있어 다양한 제품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제시하는 중금속은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 중금속으로, Al, As, Be, Bi, Cd, Co, Cr, Cu, Fe, Hg, Mn, Ni, Se, Sr, Sn, Ti, Pb, Z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기로, 국내 환경규제 원소인 As, Cd, Cr, Cu, Hg, Pb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복합체는 중금속과 화학적인 결합을 통해 각종 오·폐수, 토양 및 공기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무기 복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SiO2-]-R-SH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C8의 알킬렌기, C3∼C12의 알케닐렌기, C3∼C12의 할로알케닐렌기, C3∼C8의 알키닐렌기, C3∼C10의 아릴렌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NR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R1은는 H, C1∼C4의 알킬기, C3∼C1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R은 C2∼C4의 알킬렌기, C3∼C6의 알케닐렌기, C3∼C6의 할로알케닐렌기, C3∼C6의 알키닐렌기, C5∼C6의 아릴렌기, C5∼C6의 사이클로알킬렌기, -NR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R2는 H, C1∼C4의 알킬기, C5∼C6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R은 -CH2CH2CH2-,
Figure 112007093073979-PAT00001
, -N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상기 유기-무기 복합체는 SiO2의 말단에 머캅토기(-SH)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머캅토기는 중금속과 강한 친화도를 가져 머캅토기와 중금속 간의 화학적 결합이 일어난다. 특히 중금속의 경우 양이온 상태로 존재하여, 머캅토기의 -SH의 수소와 치환되어 -SM (M=중금속)과 같은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일예로, 하기 반응식 1에 대표적인 중금속 중 하나인 크롬과의 반응을 나타 내었다.
2[SiO2-]-R-SH + Cr2+ → SiO2-R-S-Cr-S-R-SiO2
(상기 반응식 1에서, R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을 참조하면, 유기-무기 복합체의 머캅토기가 중금속 중 하나인 크롬 양이온과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복합체는 화학적인 흡착을 통해 중금속을 흡착함으로써, 종래 물리적 흡착을 이용하였을 경우 중금속의 탈착이 다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한다.
이러한 유기-무기 복합체는 하기의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먼저, a) 단계에서는 반응기에 용매와 화학식 2의 실란 전구체를 첨가하여 가수분해가 일어난다.
하기 화학식 2의 실란 전구체는 졸-겔 반응을 통한 축합반응을 통해 화학식 1의 복합체로 전환된다.
[화학식 2]
Si(R')4-R-SH
(상기 화학식 2에서,
R'는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 또는 미치환된 C1∼C6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R은 C1∼C8의 알킬렌기, C3∼C12의 알케닐렌기, C3∼C12의 할로알케닐렌기, C3∼C8의 알키닐렌기, C3∼C10의 아릴렌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NR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R1은 H, C1∼C4의 알킬기, C3∼C1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바람직하기로, R'는 Cl, F,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할로겐 원소, 또는 메톡시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알콕시기가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화학식 2의 실란 전구체는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MPTMS, 3-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 3-머캅토프로필 트리클로로실란(3-mercaptopropyl trichloroysila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화학식 2의 실란 전구체와 용매가 혼합되어, 상기 실란 전구체 내 R'기가 OH (실라놀)기로 전환되는 가수분해가 일어난다.
이때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을 포함하는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용매는 가수반응을 통해 실란 전구체로부터 생성되는 용매, 즉, R'OH와 동일하거나, 이와 상용성이 우수한 용매를 사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 물, 또는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가 사용된다.
본 단계는 5∼35 ℃에서 30분∼2시간 동안 수행하며, 이때 사용되는 실란 전 구체 및 물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교반 속도와 함께 조절한다.
일예로, 물에 100 g에 1g의 실란 전구체를 첨가하는 경우 1시간 동안, 10g의 실란 전구체를 첨가하는 경우 1시간 30분 동안, 20g의 실란 전구체를 첨가하는 경우 2시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이어서, b) 단계에서는 상기 화학식 2의 실란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염기성 촉매를 첨가하여 졸-겔 반응을 수행한다.
이때 가수분해된 실란 전구체 내 OH기 (실라놀)끼리 축합반응이 일어나 실리케이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이러한 반응은 염기성 촉매에 의해 그 반응이 더욱 촉진된다.
이러한 염기성 촉매는 암모니아, KOH, NaO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기로 암모니아를 사용한다.
상기 염기성 촉매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촉매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실란 전구체 1몰에 대하여 0.001∼0.1 몰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러한 반응은 5∼35 ℃에서 1∼10시간 동안 수행한다.
다음으로, c) 단계에서는 상기 졸-겔 반응에 의해 얻어진 반응물을 건조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무기 복합체를 제조한다.
이때 건조는 감압 하에 30∼80 ℃에서 30분∼2시간 동안 수행하며, 산화 분 위기 하에서 수행한다.
상기 건조 이전에 알코올로 세척공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유기-무기 복합체는 구형의 입자로 제조되며, 수내지 수십 마이크론의 입자크기를 가지며, 입자크기 분포가 매우 좁은 특징이 있다. 이때 입자크기는 제조방법의 조건을 변화시켜 조절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0.5∼100 ㎛, 더욱 바람직하기로 1∼50 ㎛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복합체는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Ag, Au, Pt, Fe, Co, Al, Ni, Ru, Rh, Ir 등의 금속을 담지시켜 사용하거나, 제올라이트, 활성탄, 티타니아,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흡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하여 중금속의 제거율을 더욱 높인다.
상기 유기-무기 복합체는 오폐수, 토양 및 공기 중에 함유된 중금속의 제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각종 수정화용 처리제, 공기 정화제, 탈취제 및 각종 촉매의 담지체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유기-무기 복합체는 분말 형태로 사용하거나, 이들이 성형된 성형품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물 등의 용매에 분산시켜 코팅 조성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도록 환경 분야, 대기가스 및 분리공정 분야 등의 각종 필터에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응용 분야는 매우 넓다할 수 있으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기-무기 복합체의 제조
250 ml 비이커에 물 100 g을 첨가하고, 여기에 실란 전구체로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3-mercaptopropyl trimethoxy silane, MPTMS, Si(OCH3)3-(CH2)3-SH) 1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기에 0.1 ml의 NH4OH를 천천히 첨가한 후, 동일 온도에서 5시간 교반을 수행하였다. 반응 완료 후 얻어진 반응물을 여과한 후, 에탄올(50 ml)로 3차례 세척한 다음, 감압 하에 40 ℃의 오븐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유기-무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입자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기-무기 복합체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기-무기 복합체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b)는 이의 확대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기-무기 복합체는 입자크기가 1.5 ㎛으로, 구형을 나타내었으며, 입자크기가 매우 균일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납(Pb) 제거능력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복합체의 유해 중금속 중 하나인 납의 제거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100g의 에탄올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체 1g을 분산시킨 후, 1 g의 납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이어 5분후 가라앉은 고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납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2는 시간에 따른 납의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시간이 지날수록 납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고, 2분후에는 모두 제거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크롬(Cr) 제거능력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복합체의 유해 중금속 중 하나인 크롬의 제거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100g의 에탄올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체 1g을 분산시킨 후, 1 g의 크롬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이어 5분후 가라앉은 고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크롬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3은 시간에 따른 크롬의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시간이 지날수록 크롬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고, 납 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2분후에는 모두 제거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복합체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필터, 코팅 조성물, 마스크 등에 적용하여 오폐수, 토양 및 공기 중에 함유된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도 1의 (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기-무기 복합체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b)는 이의 확대사진이다.
도 2는 시간에 따른 납의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시간에 따른 크롬의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
    [화학식 1]
    [SiO2-]-R-SH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C8의 알킬렌기, C3∼C12의 알케닐렌기, C3∼C12의 할로알케닐렌기, C3∼C8의 알키닐렌기, C3∼C10의 아릴렌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NR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R1은 H, C1∼C4의 알킬기, C3∼C1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은 Al, As, Be, Bi, Cd, Co, Cr, Cu, Fe, Hg, Mn, Ni, Se, Sr, Sn, Ti, Pb, Z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무기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C2∼C4의 알킬렌기, C3∼C6의 알케닐렌기, C3∼C6의 할로알케닐렌기, C3∼C6의 알키닐렌기, C5∼C6의 아릴렌기, C5∼C6의 사이클로알킬렌기, -NR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R1은 H, C1∼C4의 알킬기, C5∼C6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무기 복합체는 입자 크기가 0.5∼100 ㎛인 것인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무기 복합체는 Ag, Au, Pt, Fe, Co, Al, Ni, Ru, Rh, I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을 담지시켜 사용하거나, 제올라이트, 활성탄, 티타니아,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흡착제와 혼합 사용하는 것인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
  6. a) 용매에 하기 화학식 2의 실란 전구체를 첨가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염기성 촉매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얻어진 반응물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2]
    Si(R')4-R-SH
    (상기 화학식 2에서, R'는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 또는 미치환된 C1∼C6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R은 C1∼C8의 알킬렌기, C3∼C12의 알케닐렌기, C3∼C12의 할로알케닐렌기, C3∼C8의 알키닐렌기, C3∼C10의 아릴렌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NR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이때 R1은 H, C1∼C4의 알킬기, C3∼C1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을 포함하는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전구체는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MPTMS, 3-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 3-머캅토프로필 트리클로로실란(3-mercaptopropyl trichloroysila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촉매는 암모니아, KOH, NaO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것인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의 제조방법.
  10. 제1항의 중금속 제거용 유기-무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에서의 중금속 제거제, 중금속 토양 오염 방지제, 또는 중금속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20070137211A 2007-12-26 2007-12-26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KR10092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211A KR100925489B1 (ko) 2007-12-26 2007-12-26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211A KR100925489B1 (ko) 2007-12-26 2007-12-26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520A true KR20090069520A (ko) 2009-07-01
KR100925489B1 KR100925489B1 (ko) 2009-11-05

Family

ID=4132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211A KR100925489B1 (ko) 2007-12-26 2007-12-26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4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2950A (zh) * 2011-09-15 2013-03-27 上海安谱科学仪器有限公司 一种hplc级甲醇用于lc-ms的提纯方法
CN102993046A (zh) * 2011-09-15 2013-03-27 上海安谱科学仪器有限公司 一种hplc级乙腈用于lc-ms的提纯方法
KR101443718B1 (ko) * 2014-02-05 2014-09-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은 흡착용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중 수은 제거 방법
CN104437363A (zh) * 2014-11-04 2015-03-25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快速、高效、选择性吸附Pb(II)的氧化石墨烯/SBA-15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236933A (zh) * 2016-12-27 2018-07-03 北京林业大学 一种去除水中有机结合态重金属离子的吸附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856278A (zh) * 2018-08-15 2018-11-23 河南大学 一种含铁/锰纳米二氧化硅重金属钝化剂、其制备方法及应用
CN109663570A (zh) * 2018-11-12 2019-04-23 河南大学 巯基煤矸石的制备方法及其在土壤修复中的应用
WO2021221214A1 (ko) * 2020-04-27 2021-11-04 한국콜마주식회사 중금속 흡착 성능이 우수한 화장용 마스크팩 시트 및 전기방사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3952A (en) 1974-05-28 1980-05-20 The British Petroleum Company Limited Process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and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platinum from solution
US20020195396A1 (en) 1995-10-31 2002-12-26 Jean-Yves Chane-Ching Agent for removing heavy metals comprising a sulphur compound
KR100791138B1 (ko) * 2006-06-12 2008-01-02 이진일 중금속 흡착용 실리카 화합물 및 이의 합성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2950A (zh) * 2011-09-15 2013-03-27 上海安谱科学仪器有限公司 一种hplc级甲醇用于lc-ms的提纯方法
CN102993046A (zh) * 2011-09-15 2013-03-27 上海安谱科学仪器有限公司 一种hplc级乙腈用于lc-ms的提纯方法
KR101443718B1 (ko) * 2014-02-05 2014-09-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은 흡착용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중 수은 제거 방법
CN104437363A (zh) * 2014-11-04 2015-03-25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快速、高效、选择性吸附Pb(II)的氧化石墨烯/SBA-15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236933A (zh) * 2016-12-27 2018-07-03 北京林业大学 一种去除水中有机结合态重金属离子的吸附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856278A (zh) * 2018-08-15 2018-11-23 河南大学 一种含铁/锰纳米二氧化硅重金属钝化剂、其制备方法及应用
CN109663570A (zh) * 2018-11-12 2019-04-23 河南大学 巯基煤矸石的制备方法及其在土壤修复中的应用
WO2021221214A1 (ko) * 2020-04-27 2021-11-04 한국콜마주식회사 중금속 흡착 성능이 우수한 화장용 마스크팩 시트 및 전기방사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489B1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89B1 (ko) 중금속 제거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의 용도
Nejadshafiee et al. Adsorption capacity of heavy metal ions using sultone-modified magnetic activated carbon as a bio-adsorbent
Mahmoud et al. Nanocomposites of nanosilica-immobilized-nanopolyaniline and crosslinked nanopolyaniline for removal of heavy metals
Yen et al. Adsorption of precious metals in water by dendrimer modified magnetic nanoparticles
Badruddoza et al. Environmentally friendly β-cyclodextrin–ionic liquid polyurethane-modified magnetic sorbent for the removal of PFOA, PFOS, and Cr (VI) from water
US8932983B1 (en) Chitosan based adsorbent
Ali et al. Novel cross-linked polymers having pH-responsive amino acid residues for the removal of Cu2+ from aqueous solution at low concentrations
Wang et al. Novel amidinothiourea-modified chitosan microparticles for selective removal of Hg (II) in solution
Javadian et al. Application of functionalized nano HMS type mesoporous silica with N-(2-aminoethyl)-3-aminopropyl methyldimethoxysilane as a suitable adsorbent for removal of Pb (II) from aqueous media and industrial wastewater
AU692266B2 (en) Immobilised branched polyalkyleneimines
CN106076279A (zh) 一种重金属离子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hahbazi et al.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effects in simultaneous adsorption of Pb (II) and Cd (II) from aqueous solutions onto chitosan functionalized EDTA-silane/mGO
CN106540662A (zh) 一种氨基功能化疏水性沸石及其制备方法和应用
Feng et al. Post-functionalized metal− organic framework for effective and selective removal of Hg (II) in aqueous media
Imamoglu et al. Bifunctional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s with sulfide bridges as effective sorbents for Hg (II) extraction from environmental and drinking waters
CN109046293A (zh) 一种三价铬离子吸附剂的制备方法
Shahabi Nejad et al. Fabrication of poly (β-Cyclodextrin-Epichlorohydrin-Thiourea) to efficient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wastewater
Elbadawy et al. The impact of an Amberlite XAD-16-based chelating resin for the removal of aqueous Cd (II) and Pb (II) ions
Rajalakshmi et al. Fabrication of thiophene decorated side chain entanglement free COFs for highly regenerable mercury extraction
Sun et al. A novel modified carboxymethyl cellulose hydrogel adsorbent for efficient removal of poisonous metals from wastewater: Performance and mechanism
WO2016028434A1 (en) Porous organic polymers for binding heavy metals
Mostafa et al. Adsorption and interaction studies of methylene blue dye onto agar-carboxymethylcellulose-silver nanocomposite in aqueous media
Thirupathi et al. Selective removal of copper (II) ions from aqueous solution using pyridyl-bridged mesoporous organosilica hybrid adsorbent
CN113750972A (zh) 铬离子吸附剂及其制备方法
US9480979B1 (en) Cross-linked copolymers and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