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629A -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 Google Patents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629A
KR20090068629A KR1020070136322A KR20070136322A KR20090068629A KR 20090068629 A KR20090068629 A KR 20090068629A KR 1020070136322 A KR1020070136322 A KR 1020070136322A KR 20070136322 A KR20070136322 A KR 20070136322A KR 20090068629 A KR20090068629 A KR 20090068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output shaft
power shaft
p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249B1 (ko
Inventor
송지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2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2003/15586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tools in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2Tool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를 개시한다. 베벨기어 지지체는 스플라인이 내경부에 형성된 동력축 베벨기어(118), 동력축 베벨기어(118)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 베벨기어(109), 출력축 베벨기어(109)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공구(101,10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11), 동력축 베벨기어(118) 및 출력축 베벨기어(109)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위치조정링(114), 동력축 베벨기어(118)와 출력축 베벨기어(109)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된 베벨기어 하우징(107), 베벨기어 하우징(107)과 동력축 베벨기어(118)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축 베벨기어(118)를 회전 지지하는 제1 베어링(115) 및 베벨기어 하우징(107)과 출력축 베벨기어(109)사이에 설치되어 출력축 베벨기어(109)를 회전 지지하는 제2 베어링(108)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된 조립체(300)를 구비한다.
선반, 공구대, 베벨 기어, 구동축, 조립체

Description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TOOLPOST BEVEL GEAR SUPPORTING APPARATUS FOR LATHE}
본 발명은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를 지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력축 베벨기어 및 출력축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선반용 공구대의 각종 부품들을 하나의 조립체로 설계하여, 기어의 상태를 확인시 공구대 헤드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베벨기어 관련 부위 문제 발생시 점검 또는 수리 및 부품 교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에서 회전 공구를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공구대의 경우 그 공구대에 다수 개의 툴홀더가 장착되고, 회전 공구 구동축이 다수 개의 툴홀더 중에 어느 한 툴홀더와 체결되어 피가공물을 가공한다.
공구대에 툴홀더들이 방사형으로 장착되는 경우, 공구대의 공구 교환을 위한 회전축 중심부에 배치된 회전 공구 구동용 동력축으로부터 이와 직각 방향으로 공구대에 장착된 툴홀더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베벨기어가 사용되며, 이에 따라 베벨기어를 지지해 주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회전 공구(1,2)를 사용 가능한 선반용 공구대(3)에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베벨기어 지지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회전 공구 구동축(9), 출력축 베벨기어(10), 출력축 베벨기어 지지용 베어링(11) 및 베벨기어 하우징(8)이 하나의 조립체(20)로 구성된 상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벨기어(10,14), 베어링(7,11,13), 회전 공구 구동축(9)의 상태 점검 또는 수리를 위하여 상기 조립체(20)를 포함한 분해 가능한 부품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인이 내경부에 가공된 동력축 베벨기어(14), 동력축 베벨기어(14)를 지지하는 베어링(13), 동력축 베벨기어(14)에 의하여 동력축(1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 베벨기어(10), 출력축 베벨기어(10)를 지지하는 베어링(11), 출력축 베벨기어(10)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 공구(1,2)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 공구 구동축(9), 동력축 베벨기어(14) 및 출력축 베벨기어(10) 간의 적절한 백래쉬량 확보를 위하여 설치되는 하나의 동력축 베벨기어 위치 조정용 링(12)이 있다.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4)와 출력축 베벨기어(10)의 완벽한 결합을 위해서는 두 가지 베벨기어(10,14) 모두 각각의 축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해야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반용 공구대 베벨기어 지지체에서는 동력축 베벨기어(14)의 축방향 위치 조정을 통한 백래쉬량 설정은 가능한 반면, 출력축 베벨기어(10)의 축방향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여 두 가지 베벨기어(10,14)의 완벽한 결합을 보증하지 못하므로 소음 및 발열이 증가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반용 공구대 베벨기어 지지체에서, 베벨기어(10,14), 베어링(7,11,13), 회전 공구 구동축(9)의 상태 점검 또는 수리를 위하여 분해 작업을 할 경우 회전 공구 구동축(9), 출력축 베벨기어(10), 출력축 베벨기어 지지용 베어링(11) 및 베벨기어 하우징(8)은 하나의 조립체(20)로서 공구대덮개(4)를 분리한 후 로크너트(6)로부터 볼트(5)를 이탈시켜 분리 가능하지만, 동력축 베벨기어(14), 동력축 베벨기어 지지용 베어링(13)은 상기 출력축 관련 부품들과 함께 분리되지 않고 공구대(3)의 내부를 완전히 분해해야만 분리 추출이 가능하므로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된다.
또한, 베벨기어(10,14) 또는 베어링(7,11,13) 또는 회전 공구 구동축(9)에 파손 또는 이상이 발생하여 새 부품으로 교환할 경우 해당 부품에 대한 교환 작업 후 동력축 베벨기어(14)는 공구대(3)의 내부에 먼저 조립되고, 그 다음 동력축 베벨기어 위치 조정용 링(12)이 조립되며 그 다음 하나의 조립체(20)로 이루어진 출력축 관련 부품들이 조립된다.
새 부품으로 조립된 이후 동력축 베벨기어(14)와 출력축 베벨기어(10)의 결합 상태는 그 이전과는 달라지므로 완벽한 결합을 위하여 적절한 백래쉬를 확보해주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동력축 베벨기어 위치 조정용 링(12)의 두께를 조정해야 한다.
또한, 상기 모든 부품들을 공구대 몸체에 조립한 상태에서 베벨기어(10,14) 간의 결합 상태를 확인하고 결합 상태에 대하여 추가적인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력축 베벨기어 위치 조정용 링(12)의 두께 조정 작업을 위하여 동력축 베벨기어 위치 조정용 링(12)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조립체(20)로 이루어진 출력축 관련 부품들을 공구대(3)에서부터 다시 분리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 위치 조정용 링(12)에 대한 평면 연삭 작업을 실시하여 동력축 베벨기어 위치 조정용 링(12)의 두께를 미세한 양으로 변경하여, 상기 모든 부품들을 공구대(3)의 몸체에 다시 재조립하고, 베벨기어(10,14) 간의 결합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때 결합 상태에 대한 추가적인 조정이 다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일련의 분해, 연삭 작업, 재조립, 결합 상태 확인 등의 작업을 베벨기어(10,14) 간의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 계속 반복해야 하므로 종래의 선반용 공구대 베벨기어 지지체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수반된다.
이러한 일련의 반복적인 작업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10, 14) 또는 베어링(7,11,13) 또는 회전 공구 구동축(9)에 파손 또는 이상이 발생하여 새 부품으로 교환할 경우 이외에 공구대 제조 과정에서도 해당 베벨기어 관련 부위 조립시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동력축과 출력축 베벨기어 사이의 치차 결합이 완벽하게 구현됨은 물론 백래쉬량이 확보되도록 동력축과 출력축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선반용 공구대의 각종 부품들을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함으로써, 백래쉬로 인하여 소음과 베벨기어의 치차가 마모되는 현상은 물론, 치치의 마모로 인한 구동력 저하를 방지하면서 정상적인 범위를 넘어서는 소음 및 발열을 예방하고, 공구대 제작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기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공구대 헤드를 분해하지 않고 베벨기어 관련 부위 문제 발생시 점검 또는 수리 및 부품 교체가 하나의 조립체를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는 스플라인이 내경부에 형성된 동력축 베벨기어; 상기 동력축 베벨 기어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 베벨기어; 상기 출력축 베벨기어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 및 출력축 베벨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위치조정링;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와 출력축 베벨기어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된 베벨기어 하우징;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과 동력축 베벨기어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축 베벨기어를 회전 지지하는 제1 베어링; 및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과 출력축 베벨기어사이에 설치되어 출력축 베벨기어를 회전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된 조립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베벨기어 지지체는, 일측 외경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동력축 베벨기어의 내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된 동력축; 상기 동력축의 타측 외경부에 삽입 조립된 하우징지지대; 상기 하우징지지대와 상기 조립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분해할 때 상기 조립체로부터 하우징지지대와 동력축이 분해되어 탈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을 덮는 하우징 덮개;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과 제2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플랜지;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위치조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동력축 베벨기어 및 출력축 베벨기어가 포함된 하나의 조립체가 공구대 몸체부와 별개로 제작된 후 공구대 몸체부에 간단한 구조로 부착 및 연결시킨 것으로, 이를 통해 공구대 제작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베벨기어 관련 부위 문제 발생시 점검 또는 수리 및 부품 교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용 공구대의 각종 부품들을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시, 동력축 베벨기어 및 출력축 베벨기어 모두 각각의 축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두 가지 베벨기어 사이의 완벽한 결합 및 백래쉬량 확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범위를 넘어서는 소음 및 발열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를 구성함에 있어, 동력축 베벨기어(118)는 제 1 위치조정링(114)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위치가 조정되고, 출력축 베벨기어(109)는 제 2 위치조정링(106)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즉,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와 출력축 베벨기어(109) 모두 각각의 축방향으로 독립적인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와 출력축 베벨기어(109)는 그 결합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더불어 상기 제 1 위 치조정링(114)과 제 2 위치조정링(106)을 통해 백래쉬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와 출력축 베벨기어(109)는 베벨기어 하우징의 조립체(3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체(300)는 상기 동력축 및 출력축의 베벨기어(118)(109)와 동력축 및 출력축 베벨기어의 제 1,2 위치조정링(114)(106)을 포함함은 물론,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를 지지하는 제 1 베어링(115),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 베벨기어(109), 상기 출력축 베벨기어(109)를 지지하는 제 2 베어링(108), 상기 출력축 베벨기어(109)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공구(101,102)에 동력축(119)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11),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를 지지하는 제 1 베어링(115)의 내경과 외경을 고정시키는 베어링 내,외경 고정용의 제 1,2 로크너트(116)(117), 그리고 베어링 플랜지(105)와 베벨기어의 하우징 덮개(110)가 포함되어 조립되고, 상기 조립체(300)를 이루는 출력축 방향의 외곽부위에는 베벨기어 하우징(107)이 결합되며,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107)에는 베벨기어의 하우징 덮개(11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에서, 베벨기어(109,118), 출력축/동력축 베벨기어 지지용의 제 2,1 베어링(108,115), 구동축(111)의 상태 점검이나 수리를 위하여 분해 작업을 할 경우, 상기의 부품(109,118,108,115, 111)들은 베벨기어 하우징의 조립체(300)에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볼트(120)를 이탈시키면서 상기 조립체(300)를 베벨기어 하우징의 지지대(121)에서 분리시킨다.
즉,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조립체(300)의 분리 작업은, 우선 상기 조립체(300)에서 하우징 덮개(110)를 분리한 상태에서 볼트(120)을 풀어줌으로써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리 또는 베벨기어 지지체에 포함된 부품 교체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조립체(800)를 이루는 세부 부품들을 일일이 분해하여 작업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조립체(800) 자체를 교환함으로써 신속한 수리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리 또는 베벨기어 지지체에 포함된 부품들에 대한 수리 또는 새 부품으로 교환하는 작업 이외에 공구대(103)와 공구대 덮개(104)에 대한 제조 과정에서도 공구대(103)와 공구대 덮개(104)의 조립 공정과는 별개로 베벨기어 하우징의 조립체(800)에 대한 제작 공정을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구대(103)의 제작 공정 효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반용 공구대 베벨 기어 지지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반용 공구대 베벨 기어 지지체에서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는 부품들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반용 공구대 베벨 기어 지지체에서 상기 조립체를 포함한 분해 가능한 부품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대 베벨 기어 지지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반용 공구대 베벨 기어 지지체에서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는 부품들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선반용 공구대 베벨 기어 지지체에서 상기 조립체를 포함한 분해 가능한 부품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 회전 공구 103: 공구대
104: 공구대 덮개 105: 베어링 플랜지
106: 제 2 위치조정링 107: 베벨기어 하우징
108: 제 2 베어링 109: 출력축 베벨기어
110: 하우징 덮개 111: 구동축
114: 제 1 위치조정링 115: 제 1 베어링
116: 제 1 로크 너트 117: 제 2 로크 너트
118: 동력축 베벨 기어 119: 동력축
120: 볼트 121: 하우징 지지대
300: 조립체

Claims (3)

  1. 스플라인이 내경부에 형성된 동력축 베벨기어(118);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 베벨기어(109);
    상기 출력축 베벨기어(109)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공구(101,10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11);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 및 출력축 베벨기어(109)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위치조정링(114);
    상기 동력축 베벨기어(118)와 출력축 베벨기어(109)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된 베벨기어 하우징(107);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107)과 동력축 베벨기어(118)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축 베벨기어(118)를 회전 지지하는 제1 베어링(115); 및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107)과 출력축 베벨기어(109)사이에 설치되어 출력축 베벨기어(109)를 회전 지지하는 제2 베어링(108);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된 조립체(30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 지지체는,
    일측 외경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동력축 베벨기어(118)의 내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된 동력축(119);
    상기 동력축(119)의 타측 외경부에 삽입 조립된 하우징지지대(121);
    상기 하우징지지대(121)와 상기 조립체(30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분해할 때 상기 조립체(300)로부터 하우징지지대(121)와 동력축(119)이 분해되어 탈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00)는,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107)의 일측 외부면을 덮는 하우징 덮개(110);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107)과 제2 베어링(108)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플랜지(105);
    상기 베벨기어 하우징(107)과 상기 베어링 플랜지(105)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위치조정링(106);을 더 포함하는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KR1020070136322A 2007-12-24 2007-12-24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KR10140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322A KR101401249B1 (ko) 2007-12-24 2007-12-24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322A KR101401249B1 (ko) 2007-12-24 2007-12-24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629A true KR20090068629A (ko) 2009-06-29
KR101401249B1 KR101401249B1 (ko) 2014-05-30

Family

ID=4099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322A KR101401249B1 (ko) 2007-12-24 2007-12-24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2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87B1 (ko) * 2014-04-02 2014-11-13 안병도 3방향 역회전 기어박스
CN104325170A (zh) * 2014-10-30 2015-02-04 太仓市锦立得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齿轮出力轴端面钻孔装置
CN107363600A (zh) * 2017-08-28 2017-11-21 江苏飞船股份有限公司 锥齿轮外圆精车夹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5003A1 (de) * 1991-07-27 1993-01-28 Index Werke Kg Hahn & Tessky Werkzeugrevolver, insbesondere drehmaschinen
JP2003251505A (ja) * 2002-02-27 2003-09-09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旋盤の回転工具タレット
KR100655923B1 (ko) * 2006-01-17 2006-12-11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기어박스가 형성된 터렛공구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87B1 (ko) * 2014-04-02 2014-11-13 안병도 3방향 역회전 기어박스
CN104325170A (zh) * 2014-10-30 2015-02-04 太仓市锦立得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齿轮出力轴端面钻孔装置
CN107363600A (zh) * 2017-08-28 2017-11-21 江苏飞船股份有限公司 锥齿轮外圆精车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249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278B2 (ja) 油圧着脱式カップリング
US7326010B2 (en) Motor spindle
KR101005186B1 (ko) 자력으로 추진하는 도로밀링기계
US10864585B2 (en) Machining system for turbomachine dovetail
EP3639969B1 (en) Method and tool for reconditioning a damaged thread
JP6134952B1 (ja) 巻上機
US11905925B2 (en) Flange arrangement, flanged hub, stop member, gear unit, electric motor, wind turbine and industrial application
US466916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d mounting a split spur gear with external teeth
KR20090068629A (ko) 선반용 공구대의 베벨기어 지지체
WO2020156094A1 (zh) 一种空心轴电机
JPH02241906A (ja) 回転機械および外部ケーシング内に内部ケーシングを回転可能に支持する方法
EP1648643B1 (en) Fixture and locator device for supporting a rotatable member
US20120103133A1 (en) Method for modifying a transfer case for a plurality of outputs
JP2012067703A (ja) 溶接ビード切削装置および蒸気タービンのラジアルピン抜取方法
KR102222775B1 (ko) 터렛 장치용 인덱싱 클램프 모듈
KR101275818B1 (ko) 경량화 풀리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경량화 풀리
JP2011130657A (ja) 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
JP2006192550A (ja) 刃物台
CN109132389A (zh) 螺杆输送机构
US2417409A (en) Gear chuck
US10850954B2 (en) Hoisting machin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gear thereof
JP2020104204A (ja) ギヤ機構、ギヤ調整方法およびロボット
JPH03142142A (ja) 工作機械の主軸構造
CN112658351B (zh) 一种环形活塞杆零件外圆面打磨装置
JP2007276087A (ja) 主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