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810A - 흡입 송풍기 - Google Patents

흡입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810A
KR20090066810A KR1020070134514A KR20070134514A KR20090066810A KR 20090066810 A KR20090066810 A KR 20090066810A KR 1020070134514 A KR1020070134514 A KR 1020070134514A KR 20070134514 A KR20070134514 A KR 20070134514A KR 20090066810 A KR20090066810 A KR 20090066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suction
main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용
김형기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성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성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810A/ko
Publication of KR2009006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04D29/36Blade mounting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주 송풍기가 설치된 송풍기 몸체 케이스의 둘레에 설치되어 몸체 케이스의 주변 바깥에 공기 소통로를 형성시키는 보조케이스, 상기 보조케이스와 몸체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기 소통로와 연통 되어 송풍기의 배풍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송풍하는 보조 송풍기, 상기 보조 송풍기와 몸체 케이스의 바깥에 형성된 공기 소통로를 연결하는 연통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송풍기에서 송풍 되는 바람이 주 송풍기 주변의 공기소통로를 통하여 주 송풍기의 앞쪽으로 배풍되게 함으로써, 주 송풍기의 흡입구 앞쪽에 공기 커튼이 형성되어 주 송풍기가 원거리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소통로의 중간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와류 블레이드가 설치하여 보조 송풍기에서 주 송풍기의 앞쪽으로 배출되는 바람의 와류상태를 조절해 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송풍기는 보조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주 송풍기의 입구 주변에 에어 커튼을 형성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주 송풍기의 입구 주변에 있는 공기만이 흡입되지 않고 원거리에 있는 공기도 흡입되게 하여 공기의 순환을 도울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송풍기, 흡입 송풍기, 보조 송풍기, 에어 커튼, 와류장치

Description

흡입 송풍기{An air blower for suction}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거리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흡입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구동모터에 의해 송풍팬이 회전하면서 송풍기의 앞쪽에 위치한 공기를 흡입하여 뒤쪽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데, 이러한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01)의 앞 부분에 전동기(102)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익(103)이 배치되고, 상기 가동익(103)의 뒤쪽에 고정익(10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익(104)은 전동기(102)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역할과 공기의 유동 방향을 송풍구(105)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겸한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102)는 몸체(106)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기(102)의 회전축이 가동익(103)을 장착하고 있는 허브(107)와 연결되어 가동익(103)을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도면 1을 반경의 바깥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상기 가동익(103)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가동익(103)의 형상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이를 다시 몸체(106)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수정하기 위해 가동익(103)의 뒤쪽에 고정익(104)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익(103)은 회전축(108)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지는데, 상기 허브(107)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축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몸체(106)에 가까운 팁 부분에서는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3차원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송풍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데 사용되는데, 종래의 통상적인 송풍기는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구(101)의 주변에 있는 공기만 흡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101)의 주변 공기만 흡입하게 되는 까닭은 송풍기의 흡입구(101)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컨대 용접을 하는 경우 등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기타 다른 장치 등에 의해 발생하는 매연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송풍기를 유해가스 발생원(109) 또는 매연 발생원에 근접하여 설치하여야지, 송풍기를 유해가스 발생원에 가까이 설치하지 않으면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101)의 주변에 있는 공기만 흡입하고 실제 유해가스는 일부분 또는 거의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장 가까이에 설치해야 하는 송풍기로 인하여 작업이 방해를 받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구(101)의 선단에 벨 모양의 공기 유도구(110)를 설치하여 사용하지 방안이 있는데, 이와 같이 흡입구(101)의 선단에 공기 유도구(110)를 설치하면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유해가스 발생원(109)과 거리가 멀면 제대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송풍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원거리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송풍할 수 있게 한 흡입 송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입 송풍기는, 주 송풍기가 설치된 송풍기 몸체 케이스의 둘레에 설치되어 몸체 케이스의 주변 바깥에 공기 소통로를 형성시키는 보조케이스, 상기 보조케이스와 몸체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기 소통로와 연통 되어 송풍기의 배풍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송풍하는 보조 송풍기, 상기 보조 송풍기와 몸체 케이스의 바깥에 형성된 공기 소통로를 연결하는 연통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흡입 송풍기는 상기 보조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주 송풍기 주변의 공기소통로를 통하여 주 송풍기의 앞쪽으로 배풍 되게 함으로써, 주 송풍기의 흡입구 앞쪽에 공기 커튼이 형성되어 주 송풍기가 원거리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소통로의 중간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와류 블레이드가 설치하여 보조 송풍기에서 주 송풍기의 앞쪽으로 배출되는 바람의 와류상태를 조절해 줄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흡입 송풍기는 보조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주 송풍기의 입구 주변에 에어 커튼을 형성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주 송풍기의 입구 주변에 있는 공기만이 흡입되지 않고 원거리에 있는 공기도 흡입되게 하여 공기의 순환을 도울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의 공기 소통로에 설치된 와류 블레이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의 공기 소통로와 와류 블레이드의 배추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 9는 본 발명에 따를 흡입 송풍기의 와류 블레이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는 주 송풍기(1) 가 설치된 송풍기 몸체 케이스(2)의 바깥쪽 둘레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조 케이스(3)가 설치되어, 상기 몸체 케이스(2)와 보조 케이스(3) 사이에 공기 소통로(4)를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보조 케이스(3)의 형상은 몸체 케이스(2)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으며, 몸체 케이스(2)와 보조 케이스(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구(5)가 몸체 케이스(2)의 주변을 따라 배치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케이스(3)와 몸체 케이스(2) 사이에 형성된 공기 소통로(4)에 상기 주 송풍기(1)의 송풍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송풍하는 보조 송풍기(6)가 연통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 송풍기(6)는 주 송풍기(1)의 배출구(7) 쪽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하나의 보조 송풍기(6)가 연통로(8)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는 상기 주 송풍기(1)가 흡입구(9)를 통하여 흡입한 공기를 배출구(7) 쪽으로 송풍하는 한편, 상기 주 송풍기(1)의 배출구(7) 쪽에 설치된 보조 송풍기(6)에서 발생한 바람은 연통로(8)와 공기 소통로(4)를 통하여 주 송풍기(1)의 흡입구(9) 쪽으로 송풍 된다.
상기 공기 소통로(4)를 통하여 배출되는 보조 송풍기(6)의 바람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9)의 주변에 에어 커튼(1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는 주 송풍기(1)에 부가하여 보조 송풍기(6)를 설치하여 주 송풍기(1)와는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에어 커 튼(10)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에어 커튼(10)에 의해 유해가스 발생원(11)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넓게 확산하여 퍼지지 않게 할 수가 있고, 또 주 송풍기(1)가 상기 에어 커튼(10)에 의해 차단된 내부의 영역에 있는 공기만을 흡입하여 송풍하게 되므로, 흡입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흡입구(9)에서 멀리 떨어진 곳의 유해가스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주 송풍기(1)에 부가하여 주 송풍기(1)와 반대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에어 커튼(10)을 형성시키는 보조 송풍기(6)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흡입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 커튼(10)에 의해 차단된 특정한 곳의 공기만을 집중적으로 흡입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흡입력이 높아져 기존의 일반적인 송풍기보다는 그 적은 용량의 송풍기를 사용하여도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는 상기 보조 송풍기(6)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 커튼(10)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공기 소통로(4)의 선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와류 블레이드(12)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와류 블레이드(12)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보조 송풍기(6)에서 공기 소통로(4) 속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와류화되어 공기의 흐름에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송풍기(6)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와류 블레이드(12)를 거치면서 모멘텀이 가해져 직선적으로 나아가게 되므로 주 흡입구(9)에서 더욱 멀리 떨어진 곳까지 에어 커튼(10)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에어 커튼(10)에 의해 유해 공기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주 송풍기(1)의 흡 입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 블레이드(12)는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에 설치된 조절볼트(13)를 사용하여 와류 블레이드(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조 송풍기(6)에서 송풍 된 공기가 뻗어나가는 거리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절볼트(13)의 조절 작업은 주 송풍기(1)가 설치되는 몸체 케이스(2)의 내면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조절볼트(13)의 머리가 몸체 케이스(2)의 흡입구(9) 쪽으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흡입구(9)를 통하여 조절 볼트(12)의 조절하여 와류 블레이드(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송풍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송풍기의 고정익과 가동익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송풍기에서 가동익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송풍기 흡입구에서 공기가 주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송풍기 구조를 개량하여 흡입구의 선단에 공기 유도판을 설치한 개량 송풍기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의 공기 소통로에 설치된 와류 블레이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송풍기의 공기 소통로와 와류 블레이드의 배추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를 흡입 송풍기의 와류 블레이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 주 송풍기 2 - 몸체 케이스
3 - 보조 케이스 4 - 공기 소통로
5 - 지지구 6 - 보조 송풍기
7 - 배출구 8 - 연통로
9 - 흡입구 10 - 에어 커튼
11 - 와류 블레이드 12 - 조절 볼트

Claims (3)

  1. 주 송풍기가 설치된 송풍기 몸체 케이스의 둘레에 설치되어 몸체 케이스의 주변 바깥에 공기 소통로를 형성시키는 보조케이스, 상기 보조케이스와 몸체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기 소통로와 연통 되어 송풍기의 배풍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송풍하는 보조 송풍기, 상기 보조 송풍기와 몸체 케이스의 바깥에 형성된 공기 소통로를 연결하는 연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주 송풍기 주변의 공기 소통로를 통하여 주 송풍기의 앞쪽으로 배풍되게 함으로써, 주 송풍기의 흡입구 앞쪽에 공기 커튼이 형성되어 주 송풍기가 원거리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 흡입 송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소통로의 중간에 와류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 송풍기에서 주 송풍기의 앞쪽으로 배출되는 바람을 와류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송풍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블레이드가 조절 볼트에 의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송풍기
KR1020070134514A 2007-12-20 2007-12-20 흡입 송풍기 KR20090066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514A KR20090066810A (ko) 2007-12-20 2007-12-20 흡입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514A KR20090066810A (ko) 2007-12-20 2007-12-20 흡입 송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810A true KR20090066810A (ko) 2009-06-24

Family

ID=4099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514A KR20090066810A (ko) 2007-12-20 2007-12-20 흡입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8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014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씨지엔텍 에어 스크린이 구비된 조리장치
KR20210117443A (ko) * 2020-03-19 2021-09-29 최성훈 착탈식 에어 스크린 생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014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씨지엔텍 에어 스크린이 구비된 조리장치
KR20210117443A (ko) * 2020-03-19 2021-09-29 최성훈 착탈식 에어 스크린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6721B1 (en) A fan assembly
WO2016068280A1 (ja)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KR20040104772A (ko) 터보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US20190389345A1 (en) Cooling fan and seat cooling device comprising same
KR20030018405A (ko) 팬하우징
ES2927704T3 (es) Dispositivo de extracción de humos con ventilador diagonal
KR100428689B1 (ko) 사류식 에어제트 송풍기
KR20150056465A (ko) 원심식 팬
KR20090066810A (ko) 흡입 송풍기
CN105107299A (zh) 一种壁挂式空气净化器
JP2012021431A (ja) スクロール付遠心送風機
KR101667407B1 (ko) 선풍기
KR20120104784A (ko) 노즐관을 구비한 안전 선풍기
CN202851455U (zh) 立柱式多功能电风扇
KR101034976B1 (ko) 에어커텐을 이용한 환기장치
KR100808205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 어셈블리
KR20110026064A (ko) 차량 공조기용 블로워
CN110754962A (zh) 一种用于烤箱的导风罩
KR100437017B1 (ko) 원심 송풍기
TW201732155A (zh) 電動送風機及電動吸塵器
KR102453861B1 (ko) 흡입력이 강화된 이중팬
KR102642459B1 (ko) 고효율 원심형 송풍기
KR100416779B1 (ko) 터보 팬
KR20160084361A (ko) 선풍기
CN208474195U (zh) 一种抽风机风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05

Effective date: 201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