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192A -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192A
KR20090066192A KR1020080052229A KR20080052229A KR20090066192A KR 20090066192 A KR20090066192 A KR 20090066192A KR 1020080052229 A KR1020080052229 A KR 1020080052229A KR 20080052229 A KR20080052229 A KR 20080052229A KR 20090066192 A KR20090066192 A KR 20090066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ata
frame
units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네키 타오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6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 H04N19/63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characterised by filter definition or implementation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기록시의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 대응하여 보다 정밀한 손떨림 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하여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상 처리부;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부; 전자식 손떨림 보정부에서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할 때 사용한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취득하는 이동량 데이터 취득부; 및 프레임 단위의 원 화상 데이터와,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와, 프레임 단위의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매체 기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52229
캠코터, 카메라, 손떨림, 고정밀, 원 화상, 처리 완료 화상

Description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Apparatus for writing, method of writing, apparatus for playing, method of playing,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본 발명은 디지털 캠코더 및 카메라 등에서의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 기록시의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 대응하여 보다 정밀한 손떨림 보정 등을 할 수 있는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 캠코더 등의 촬상 장치는 일반적으로 CCD 등 촬상 소자의 각 화소에서 출력된 신호에 소정의 화상 처리(현상 처리)를 한 후, MPEG-2, Motion JPEG 등의 압축 처리를 하여 플래시 메모리나 HDD, DVD 등의 기록 매체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상 처리란, 예를 들면 화이트 밸런스 제어, 노출 제어 등이다. 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 통상 촬상 소자의 일부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반출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를 한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제2006-33291호에는 촬영시에 피사체를 추출함으로써 피사체를 중심으로 자동적으로 원(RAW) 화상 데이터를 트리밍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평 제2006-173854호에는 촬영시에 피사체를 중심으로 자동적으로 원 화상 데이터를 트리밍하고, 트리밍된 부분을 현상 처리하여 압축 처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화상 처리를 한 후, 압축 처리됨으로써 화상의 기록 재생 품질은, 압축 처리가 되기 전의 데이터에 비해 저하된다. 따라서 정지 영상을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는, 압축 처리를 하지 않고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원 데이터 형식으로서 직접 기록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동영상을 기록하는 캠코더 등의 촬상 장치에서는 원 데이터 형식으로서 기록할 때에 처리량이 커지기 때문에, 축소 화상을 저장하여 축소 화상을 현상 작업 등의 작업시나 촬상 장치에서의 재생시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의 일부 영역의 데이터만 추출하기 위한 반출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를 한다. 그러나, 이 결정 처리의 정밀도는 촬상 소자에 마련된 CPU 등의 한정된 연산 회로에 의하기 때문에 연산 능력이 반드시 높지는 않아 적절한 손떨림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동영상을 기록할 경우에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 필요한 정보는 시간 변화를 동반하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와 촬영 화상의 시간적인 관계를 완전히 일치시키는 것이 촬상 장치 내부의 연산 회로에서는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상 기록시의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 대응하여 보다 정밀한 손떨림 보정을 할 수 있도록 원 화상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수 있는 새롭고 개량된 기록 장치, 재생 장 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의하면, 촬상 소자에서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원(RAW)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하여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상 처리부;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부; 상기 전자식 손떨림 보정부에서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할 때에 사용한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취득하는 이동량 데이터 취득부;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원 화상 데이터, 프레임 단위의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매체 기록부;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프레임 단위의 원 화상 데이터,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한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사용한 프레임 단위의 이동량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각 상기 원 화상 데이터, 각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각 상기 이동량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읽어내는 데이터 독출부; 및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재생할 때, 상기 읽어낸 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하 는 상기 원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안의 일부 영역을 반출하는 화상 처리를 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하여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할 때에 사용한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취득하는 단계;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원 화상 데이터, 프레임 단위의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프레임 단위의 원 화상 데이터,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한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사용한 프레임 단위의 이동량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각 상기 원 화상 데이터, 각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각 상기 이동량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읽어내는 단계; 및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재생할 때, 상기 읽어낸 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원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안의 일부 영역을 반출하는 화상 처리를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하여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할 때에 사용한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취득하는 수단;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원 화상 데이터, 프레임 단위의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수단;으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프레임 단위의 원 화상 데이터,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한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사용한 프레임 단위의 이동량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각 상기 원 화상 데이터, 각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각 상기 이동량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읽어내는 수단;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재생할 때, 상기 읽어낸 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원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안의 일부 영역을 반출하는 수단;으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기록시의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 대응하여 보다 정밀한 손떨림 보정을 할 수 있도록 원 화상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기록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기록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동영상 기록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2),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 포맷 처리부(110), 현상 처리부(120), 사이즈 처리부(122), JPEG 인코더(124), 가속도 센서(130), 포맷 처리부(132), 파일화 처리부(140), 미디어 기록부(150)를 구비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에는, 카메라(102)의 촬상 소자(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센서)로부터 출력된 1프레임마다의 동영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104)에서 출력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포맷 처리부(110)와 현상 처리부(120) 양쪽에 보내진다.
포맷 처리부(110)에서는, 촬상 소자의 화소 배열(예를 들면 베이어 배열, 3 판 CCD 등)에 따라 디지털 변환된 R,G,B의 각 신호를 바꿔서 배열하는 처리를 한다. 또 포맷 처리부(110)에서는, 프레임 안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가역적으로 압축 처리한다. 가역적인 압축 방식에 의한 압축 처리에 의해 화질 등을 저하시키지 않고 화상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수 있다. 가역적인 압축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하프만 부호를 사용한 엔트로피 부호화 등이 있다. 더우기, 가역적인 압축 방식은 엄밀한 「가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포맷 처리부(110)에 의한 포맷 처리에서는, 원(RAW) 화상 데이터로서의 화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화질을 손상시키는 압축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원 화상 데이터는 매우 큰 파일 사이즈가 되기 때문에 여유도가 적은 데이터로 처리한다. 포맷 처리부(110)에서 포맷 처리된 동영상 데이터는 그대로 원 화상 데이터로서 파일화 처리부(140)에 입력된다.
현상 처리부(120)에서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화이트 밸런스 처리, 베이어 배열로부터의 보간 처리, 노이즈 제거, 휘도 및 색보정 등의 일련의 현상 처리가 이루어진다. 현상 처리부(120)에서 현상 처리된 데이터는 사이즈 처리부(122)에 보내진다.
사이즈 처리부(122)는,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하는 처리를 한다. 이 때, 사이즈 처리부(122)는 촬영시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포맷 처리부(132)에서 이동량 데이터를 받아 손떨림 보정 처리(데이터 영역 중 일부의 반출 처리)를 한다. 사이즈 처리부(122)에서 출력된 데이터는 JPEG 인코더(124)에 보내진다.
또한 사이즈 처리부(122)에서는, 필요에 따라 EVF(Electronic View Finder)(미도시), LCD(Liquid Crystal Display)(미도시) 등의 표시 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춰 동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하는 처리를 한다. 사이즈 처리부(122)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부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사이즈 처리부(122)는 가속도 센서(130)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영상 기록 장치(100)에 마련된 촬상 소자의 촬영시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량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안의 일부 영역의 반출 처리(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반출위치를 결정하는 처리)를 하고 반출한 영역의 이동 처리를 한다. 그 결과, 화상 데이터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 처리된 데이터가 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량의 산출에 대해서, 촬상 소자의 이동량을 산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렌즈의 이동량 등을 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이즈 처리부(122)에서 출력된 데이터는 EVF, LCD로 보내져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카메라(102)에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JPEG 인코더(124)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JPEG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하여 파일화 처리부(140)에 압축 화상 데이터(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보낸다.
가속도 센서(130)는 동영상 촬영시에 실행되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 필요한 가속도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130)는 가속도 데이터를 포맷 처리부(132)에 보낸다. 포맷 처리부(132)는 가속도 센서(130)의 출력값을 포맷 처리하여 데이터를 사이즈 처리부(122)와 파일화 처리부(140)에 보낸다.
파일화 처리부(140)는 포맷 처리부(110)로부터 보내진 원 화상 데이터나, JPEG 인코더(124)에 압축 처리된 압축 화상 데이터나, 포맷 처리부(132)에서 보내 진 이동량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파일화 처리부(140)는 이동량 데이터 취득부의 일례이다. 파일화 처리부(140)에 축적된 압축 화상 데이터, 원 화상 데이터 및 이동량 데이터는 미디어 기록부(150)에 보내지고, 기록 미디어의 기록 포맷에 따라 기록 미디어에 기록된다. 기록 미디어로서는, 예를 들면 광학식 기록 매체(CD, DVD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매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동영상 기록 장치(100)에는 호스트 CPU가 마련된다. 호스트 CPU는, 파일화 처리부(140)에서 미디어 기록부(150)에의 데이터 송신 및 미디어 기록부(150)에 의한 기록 미디어에의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한다. 호스트 CPU는 파일화 처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화상 데이터, 원 화상 데이터 및 이동량 데이터를 소정량마다(예를 들면, 1 프레임의 데이터량마다) 미디어 기록부(150)에 보내어 기록 미디어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도록 파일화 처리부(140) 및 미디어 기록부(150)를 제어한다. 호스트 CPU는 압축 화상 데이터, 원 화상 데이터 및 이동량 데이터를 소정 순서대로 기록 미디어에 기록한다.
또한 동영상 기록 장치(1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영상 기록 장치(100)에서는, 카메라(102)의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어 A/D 변환된 영상 디지털 데이터가 포맷 처리부(110)로 보내지고, 원 화상 데이터 그대로 기록 미디어에 기록된다. 따라서, 기록 미디어에는 고화질의 원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원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어 표시함으로써 압축된 영상 데이터에 비해 고화질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원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원 화상 데이터 그대로는 EVF, LCD에의 실시간 화면 표시를 할 수 없고, 또 JPEG 등의 압축 처리를 직접 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동영상 기록 장치(100)에서는, 원 화상 데이터의 기록과 함께 동영상 데이터의 현상 처리, 축소 처리, 압축 처리를 하기 때문에 촬영과 동시에 EVF, LCD에의 실시간 표시를 할 수 있고, 표시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촬영을 할 수 있다. 또 기록 미디어에는 원 화상 데이터와 함께 압축 처리된 압축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기 때문에, 재생시에는 압축 화상 데이터에 의해 영상의 검색, 섬네일 표시 등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영상 중의 중요한 부분에 관해서는 원 화상 데이터에 의한 고화질 재생이 가능해지고 영상 중에서 비교적 중요도가 낮은 부분에 관해서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읽어냄으로써 간이적인 재생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의 동영상 기록 장치(100)는, 원 화상 데이터는 그대로 저장하고,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 대응한 가속도 센서(130)의 출력값이나, 출력값에서 산출된 촬상 소자의 이동량 등의 이동량 데이터를 원 화상 데이터와 함께 파일화한다. 기록 미디어에는 원 화상 데이터와 함께 이동량 데이터가 기록되기 때문에 재생시에 원 화상 데이터를 현상 처리할 때, 이동량 데이터를 읽어내어 현상 처리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손떨림 보정을 할 수 있다. 또 참조 화상으로서의 압축 화상 데이터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 처리된 데이터이므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화상의 검색, 확인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록 미디어에서의 기록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동영상 기록 장치(100)에 의한, 기록 미디어에의 기록 포맷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촬상 소자가 예를 들면 베이어 배열의 단판인 경우에는, 출력되는 데이터는 R:G:B=1:2:1의 베이어 배열된 화소의 순서대로 출력된다. 동영상 기록 장치(100)는 이 베이어 배열 데이터에 대해서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기록하기 위해, 포맷 처리부(110)에 의해 RGB의 순서대로 바꾸어 배열하여 화질을 손상시키는 압축 처리를 하지 않고 기록한다.
도 2의 (A)부분은 영상의 기록 개시(녹화 개시)부터 기록 정지(녹화 정지)까지의 동안의 하나의 동영상 파일을 도시하고 있다. 또 도 2의 (B)부분은 도 2의 (A)부분의 기록 데이터 중 1 프레임분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베이어 배열 RGB 데이터는 포맷 처리부(110)에 의해 바꾸어 배열되어 기록 미디어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또 JPEG 인코더(124)에 의해 인코딩된 압축 화상 데이터 및 미도시된 포맷 처리부에서 포맷된 음성 데이터도 기록 미디어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도 2의 (A)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포맷의 선두에는 헤더(Header)가 기록된다. 헤더에는 촬영 일시, 카메라(102)의 촬상 소자 정보, 동영상 기록 장치(100)의 세팅 명칭, 오디오의 채널수, 비트수, 기록 미디어의 기록 포맷 정보, 카메라(102) 렌즈의 규격 데이터 등 전체적인 정보가 기록된다. 헤더에 이어 영상의 1 프레임마다 데이터가 기록된다.
1 프레임마다의 데이터는, 프레임 헤더(Frame Header 0,1,…, n)와 프레임마다의 데이터(F0,F1,…, Fn)로 구성된다. 도 2의 (B)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마다의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audio), 압축 화상 데이터(compressed image), 원 화상 데이터(G,B,R)의 순서대로 프레임 단위로 반복 기록된다. 그리고 최후의 프레 임(Fn)의 데이터에 이어 푸터(Footer)가 기록된다.
각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에는, 예를 들면 각 프레임의 음성 데이터, 압축 화상 데이터, 원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가 기록된다. 또 각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에는 프레임마다의 이동량 데이터가 기록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서의 데이터의 반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현상 처리부(120), 사이즈 처리부(122)를 통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Vx×Vy 범위의 데이터만 추출된다. 한편, 포맷 처리부(110)를 통해 생성된 원 화상 데이터는, 도 3에 도시한 촬상면 모든 영역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리고 이동량 데이터는, 가속도 센서(130)의 A/D 변환 후의 출력값으로 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시, 가속도 센서(130)의 출력값은 시간 방향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촬영 프레임 기간 내의 정보를 복수 점 기록한다. 또 압축 화상 데이터와 원 화상 데이터의 위상차, 즉 압축 화상 데이터 기록시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했을 때의 반출 위치를 기록해도 좋다. 반출 위치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MVx, MVy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원 화상 데이터를 현상 처리할 때의 참고 정보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도 1의 동영상 기록 장치(100)에 기록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재생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장치(200)는 호스트 CPU(202), 미디어 독출부(210), De-Multiplex(212), EIS 정보 추출부(220), 음성 신호 처리부(230), 오디오 출력부(232), JPEG 디코딩부(240), 영역 반출부(250), 현상 처리부(252), 사이즈 처리부(254), MUX(260), 비디오 출력부(262)로 구성되어 있다.
미디어 독출부(210)는 호스트 CPU(202)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기록 미디어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낸다.
De-Multiplex(212)는 미디어 독출부(210)에서 읽어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모아 음성 신호 처리부(230), JPEG 디코딩부(240), 영역 반출부(250) 각각에 보낸다.
EIS 정보 추출부(220)는 프레임 헤더에 기록된 이동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호스트 CPU(202)에 보낸다.
호스트 CPU(202)는 EIS 정보 추출부(220)에서 보내진 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상 처리부(252) 또는 사이즈 처리부(254)에서의 화상 처리를 제어한다. 이로써, 기록 미디어에서 이동량 데이터가 읽어들여진 경우, 그 데이터에 따라서 현상 처리 및 사이즈 처리되기 때문에 촬영시의 전자식 손떨림 보정에 대응한 고정밀도의 손떨림 보정 처리를 할 수 있다.
음성 신호 처리부(230)는 음성 데이터를 디포맷(de-format)하고 디포맷된 신호를 D/A 변환하여 오디오 출력부(232)에 보낸다. 오디오 출력부(232)는 아날로그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에 출력한다.
또한, JPEG 디코딩부(240)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MUX(260)에 보낸다.
또한, 영역 반출부(250)는 원 화상 데이터를 베이어 디포맷하고 베이어 배열로 바꾸어 배열하여 현상 처리부(252)에 보낸다. 영역 반출부(250)는 호스트 CPU(202)를 통해 EIS 정보 추출부(220)에서 보내진 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손떨림 보정 처리를 위한 반출량을 산출한다.
현상 처리부(252)는 디포맷된 원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이트 밸런스 처리, 베이어 배열로부터의 보간 처리, 노이즈 제거, 휘도 및 색보정 등 일련의 현상 처리를 한다. 사이즈 처리부(254)는 현상 처리된 원 화상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하는 처리를 하여 MUX(260)에 보낸다.
MUX(260)는 JPEG 디코딩부(240) 또는 사이즈 처리부(254)에서 보내진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부(262)에 보낸다. 비디오 출력부(262)에서는 보내진 데이터를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한다.
또한, 동영상 재생 장치(2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영상 재생 장치(200)에서는, 미디어 독출부(210)에서 독출한 파일 중 각 프레임 헤더에 기록된 이동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현상 처리, 사이즈 처리를 한다. 그리고 동영상 재생 장치(200)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등에 의한 원 화상 데이터의 현상 처리를 할 수 있어 고기능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성능의 움직임량 연산이나 화상 그 자체를 사용한 손떨림양의 연산도 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손떨림 보정 처리를 할 수 있다.
원 화상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기록 미디어에서 G,B,R의 각 원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그 데이터를 현상 처리함으로써 원 화상 데이터가 영상 신호화된다. 이 신호는 소정의 화상 크기로 축소 처리되어 비디오 출력부(262)에 비디오 출력된다. 이로써 동영상 재생 장치(200)에 의해 고화질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압축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에는 기록 미디어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냄으로써 압축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읽어들여진 데이터의 크기는 원 화상 데이터에 비해 매우 작다. JPEG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소정의 화상 크기로 축소 처리, 또는 확대 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원 화상 데이터의 재생에 비해 간단한 처리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 화상 데이터에 의한 간이 재생 모드를 활용함으로써 동영상 재생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대폭 축소시킴과 동시에 소비 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특수 재생 모드로서, 고속 재생 모드에 관해서도 JPEG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부하가 적은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재생 배속율에 맞춰 프레임 헤더만을 검색하면서 음성 데이터, 압축 화상 데이터, 원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정보로부터 필요한 프레임만을 건너뛰고 스캔하여 압축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JPEG 디코딩하여 읽어내면 된다. 역전 방향의 재생도 같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또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파일 중의 촬영 화상의 훑어보기를 섬네일(thumbnail)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여러 동영상 파일의 각각에 대해서 1 프레임의 화상을 섬네일 표시해도 좋고, 각 동영상 파일을 동영상 으로서 섬네일 표시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 화상 데이터와 압축 화상 데이터 양쪽을 관련시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고화질 재생을 할 경우에는 원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고, 실시간 표시, 화상 검색에서는 데이터량이 적은 압축 화상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고화질 및 조작성이 우수한 동영상 기록 장치(100) 및 동영상 재생 장치(2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형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것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캠코더나 카메라를 제조하여 이용하는 모든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동영상 기록 장치에 의한, 기록 미디어에의 기록 포맷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에 관한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동 실시예에 관한 동영상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한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동영상 기록 장치 102: 카메라
104: 카메라 신호 처리부 110, 132: 포맷 처리부
120: 현상 처리부 122: 사이즈 처리부
124: JPEG 인코더 130: 가속도 센서
132: 포맷 처리부 140: 파일화 처리부
150: 미디어 기록부 200: 동영상 재생 장치
202: 호스트 CPU 210: 미디어 독출부
212: De-Multiplex 220: EIS 정보 추출부
230: 음성 신호 처리부 232: 오디오 출력부
240: JPEG 디코딩부 250: 영역 반출부
252: 현상 처리부 254: 사이즈 처리부
260: MUX 262: 비디오 출력부

Claims (6)

  1. 촬상 소자에서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원(RAW)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하여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상 처리부;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식 손떨림 보정부;
    상기 전자식 손떨림 보정부에서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할 때에 사용한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취득하는 이동량 데이터 취득부;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원 화상 데이터, 프레임 단위의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매체 기록부;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
  2. 프레임 단위의 원 화상 데이터,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한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사용한 프레임 단위의 이동량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각 상기 원 화상 데이터, 각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각 상기 이동량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읽어내는 데이터 독출부; 및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재생할 때, 상기 읽어낸 이동 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원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안의 일부 영역을 반출하는 화상 처리를 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재생 장치.
  3.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하여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할 때에 사용한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취득하는 단계;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원 화상 데이터, 프레임 단위의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기록 방법.
  4. 프레임 단위의 원 화상 데이터,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한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사용한 프레임 단위의 이동량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각 상기 원 화상 데이터, 각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각 상기 이동량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읽어내는 단계; 및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재생할 때, 상기 읽어낸 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원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안의 일부 영역을 반출하는 화상 처리를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재생 방법.
  5. 촬상 소자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하여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할 때에 사용한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취득하는 수단;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원 화상 데이터, 프레임 단위의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프레임 단위의 상기 이동량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수단;으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6. 프레임 단위의 원 화상 데이터,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현상 처리한 프레임 단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에 전자식 손떨림 보정을 하여 전자식 손떨림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사용한 프레임 단위의 이동량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각 상기 원 화상 데이터, 각 상기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 및 각 상기 이동량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읽어내는 수단; 및
    상기 원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마다 순차적으로 재생할 때, 상기 읽어낸 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기 원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안의 일부 영역을 반출하는 수단;으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80052229A 2007-12-18 2008-06-03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20090066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6261A JP2009152672A (ja) 2007-12-18 2007-12-18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7-00326261 2007-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192A true KR20090066192A (ko) 2009-06-23

Family

ID=4075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229A KR20090066192A (ko) 2007-12-18 2008-06-03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79093B2 (ko)
JP (1) JP2009152672A (ko)
KR (1) KR200900661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1512A1 (en) * 2011-07-20 2013-01-24 Broadcom Corporation Framing of Images in an Image Capture Device
US8934028B2 (en) * 2011-12-15 2015-0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976315B2 (ja) * 2011-12-28 2016-08-23 株式会社ザクティ 撮像装置
JP2015119403A (ja) 2013-12-19 2015-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JP6880979B2 (ja) * 2016-11-30 2021-06-02 株式会社リコー 振動抑制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9831B2 (ja) * 2002-09-10 2008-11-12 三洋電機株式会社 動画像記録装置
JP4347724B2 (ja) * 2004-03-05 2009-10-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画像ファイル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6033291A (ja) 2004-07-14 2006-02-02 Canon Inc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処理プログラム
JP4429148B2 (ja) 2004-11-25 2010-03-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撮影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6173854A (ja) 2004-12-14 2006-06-2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JP4586534B2 (ja) * 2004-12-28 2010-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撮像装置、手ブレ補正装置、携帯電話機および手ブレ補正方法
JP4525459B2 (ja) * 2005-05-11 2010-08-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処理装置、動画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41814B2 (ja) * 2006-12-06 2009-03-18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及び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7982775B2 (en) * 2007-08-02 2011-07-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stabi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52672A (ja) 2009-07-09
US8379093B2 (en) 2013-02-19
US20090153677A1 (en)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9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data,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data,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1423919B1 (ko)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US20090154551A1 (e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oving pictur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90066192A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5156196B2 (ja) 撮像装置
US20090153704A1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and a storag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computer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s
JP457961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KR101480406B1 (ko)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기록 매체
JP2007067708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画像生成方法
JP2000023024A (ja) 画像入力装置
JP5290568B2 (ja) 動画像記録装置、動画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0138941A (ja) 符号化装置、カメラ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4075319B2 (ja) デジタルカメラ、動画再生方法及び動画記録方法
JP3645249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KR101480404B1 (ko)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JP2003018532A (ja) 撮像装置
US201001493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r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digital video images
JPH03272289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5276316A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
JP3645254B2 (ja) 画像データ記録システムおよび画像データ記録方法
JP2008092503A (ja) 撮像装置
JP2006311195A (ja)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H10276403A (ja) デジタル撮像装置
JP2000138940A (ja) 画像信号符号化装置、カメラ装置および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