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251A -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품질 보장을 위한 코덱비트율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품질 보장을 위한 코덱비트율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251A
KR20090065251A KR1020070132730A KR20070132730A KR20090065251A KR 20090065251 A KR20090065251 A KR 20090065251A KR 1020070132730 A KR1020070132730 A KR 1020070132730A KR 20070132730 A KR20070132730 A KR 20070132730A KR 20090065251 A KR20090065251 A KR 2009006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rate
terminals
channel
codec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840B1 (ko
Inventor
구기종
김도영
이병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840B1/ko
Priority to PCT/KR2008/004021 priority patent/WO2009078524A1/en
Priority to CN2008801269499A priority patent/CN101946421A/zh
Priority to EP08778682.8A priority patent/EP2225836A4/en
Priority to JP2010539275A priority patent/JP5123397B2/ja
Priority to US12/808,525 priority patent/US20110122786A1/en
Publication of KR2009006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sourc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랜 환경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의 채널 점유 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채널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파악한, 채널 총 용량에 대한 단말들의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한 후, 그 조정값을 각 단말들에게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코덱 비트율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품질 보장을 위한 코덱 비트율 제어 방법{An audio codec bit-rate control method to assure the QoS of the voice in WLAN}
본 발명은 무선랜 환경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코덱의 비트율을 제어함으로써 음성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외에 음성 및 영상 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실시간 품질 보장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데이터 및 영상에 비해 지연(delay) 및 지터(jitter)에 대한 민감도가 커서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품질 보장이 더욱 필요한 응용이다.
한편, 설치의 편리성과 이동성을 장점으로 하는 무선랜은 1990년 중반부터 널리 보급되었고, 최근에서 유선랜 100Mbps급과 유사한 전송속도를 제공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랜과 VoIP의 접목으로 인해 이동성과 이용료 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
그러나, 2.4GHz ISM(Industrial, Scientists and Medical)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은 무선 채널의 특성상 이동 환경, 페이딩(fading), 다중신호(multi-path signal), 동일 대역의 다른 응용에 의한 신호 간섭과 같은 신호 감쇄 요인이 존재하므로, 채널 품질에 따라 무선 단말의 전송속도는 유동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다.
무선랜의 채널 점유율은 단말의 전송속도 및 데이터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전송속도가 느릴수록 채널 점유율은 증가한다. 따라서 외부 요인으로 인해 무선랜 채널 품질이 저하되어 단말이 전송속도를 낮추면 결과적으로 전송 데이터량에 변화가 없더라도 채널 점유율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음성 서비스의 경우 G.711 코덱을 이용하고 단말의 무선랜 전송속도가 54Mbps로 설정되어 초기에 음성서비스를 제공한다. 채널 품질 저하로 인해 단말이 무선랜 전송속도를 54Mbps 이하(예를 들어, 18Mbps)로 낮추면, G.711 음성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는 데는 변함이 없지만, 무선랜 채널의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이 채널 품질이 저하되는 상황이, 하나의 AP(Access Point)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무선랜 단말에서 발생하면, 다수의 무선랜 단말에 의한 무선 채널 점유율이 증가한다. 이는 서비스 시작점에서 단말에 의해 예상되는 무선 채널 점유율 임계치(Threshold vlaue)를 넘어 무선랜 채널의 열화(deterioration)를 발생할 수 있고, 곧 BSS(Basic Service Set) 내 모든 단말이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한다.
2006년 5월에 ITU-T는 가변비트율을 지원하는 광대역 음성 코덱 G.729.1을 표준화했다. G.729.1은 G.729-Annex A,B와 호환 가능하므로 협대역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음성 대역폭에 50~300Hz 및 3,400~7,000Hz 대역을 추가하여 사람의 음성을 더욱 자연음에 가깝게 재생한다. 또한, G.729.1은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음성 데이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14~32kbps 범위 내에서 2kbps 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비트율 특성을 갖는다. 또한, G.729.1은 별도의 코덱 비트율 협상을 위한 시그널링 프로토콜 없이 통화 중에도 코덱간 음성 데이터 전송 비트율을 조정할 수 있는 임베디드 시그널링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무선랜 채널 열화가 발생하거나 에상되는 상황에 대비하여 G.729.1의 비트율을 조정하여 채널 열화를 방지하고 적절한 음성 품질을 보장을 위한 코덱 비트율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는,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의 채널 점유 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채널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된, 채널 총 용량에 대한 상기 단말들의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상기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코덱 비트율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VoIP 시스템의 음성 품질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는,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의 채널 점유 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채널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채널상태 수집부; 상기 채널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된, 채널 총 용량에 대한 상기 단말들의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상기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비트율 계산부; 및 상기 조정된 코덱 비트율을 전송하는 비트율 전송부;를 포함한다.
G.729.1의 특성과 무선랜의 채널 특수성을 고려할 때,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대부분의 VoIP 시스템이 G.711 또는 G.729 코덱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G.729.1을 무선랜을 이용한 VoIP 시스템에 적용하면, 기존 G.729 시스템과 호환성을 가지면서 무선랜의 채널 열화 상황에서 G.729.1의 가변 비트율 특성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음성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품질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품질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VoIP 망의 개락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망은 G.729.1 코덱을 탑재한 유무선 단말들(무선단말1~8, 유선단말1~3), 액세스 포인트들(112,122), QoS 매니저(100) 등으로 구성된다. 망은 액세스 포인트 및 그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여러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이하 BSS)(110,120)으로 구성되는 액세스 망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BSS(110)는 G.729.1 코덱 및 무선랜 기능을 탑재한 단말(무선단말1~4)과 제1 액세스 포인트(112)를 포함한다. 제1 BSS의 액세스 망은 제1 라우터(140)를 통해 인터넷(150)에 연결된다. 유선단말1~3은 이더넷 허브(130) 및 제2 라우터(142)를 통해 인터넷(150)에 연결된다.
제1 BSS(110)에 속한 단말과 통신하는 상대 단말은 제1 BSS(110) 또는 다른 BSS(120) 내에 위치하거나 이더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유선단말1~3)일 수 있다. 이 때 상대 단말들 또한 G.729.1 코덱을 탑재하거나, 최소 G.729 코덱을 탑재하고 있어야 한다. QoS 매니저(100)는 액세스 포인트들(112,122)을 통해 품질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고, 품질 제어를 위한 명령을 각 단말에 송신하는 등, 품질 제어기능을 총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품질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210)는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들(200,202)의 프레임 전송 정보를 측정한다(S230). 여기서, 프레임 전송 정보는 각 무선단말(200,202)의 채널 점유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정보로서, 무선단말과 액세스 포인트가 주고 받는 프레임 수, 바이트 수, 전송 속도 등을 포함하고, 단말 구분을 위한 정보로서 각 단말의 MAC 주소, IP 주소 등을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측정한 프레임 전송 정보를 채널 용량 계산을 위해 QoS 매니저(220)로 전달한다(S235). 액세스 포인트(210)의 프레임 전송 정보의 전달 주기는 QoS 메니저(220)에 의해 설정 가능하고, 전달 주기는 채널 용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 단말에 대한 프레임 전송 정보를 수신한 QoS 메니저(220)는 시간 단위(예를 들어, 1초 단위)로 무선 채널 총 용량을 설정한 후, 액세스 포인트와 각 단말에 의해 점유되는 무선 채널 점유율을 계산하고 비교하여 단말에 의해 점유되는 채널 용량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S240). 조정이 필요치 않으면 현 상태를 유지하지만, 만일 단말의 채널 용량 조정이 필요하면 QoS 메니 저(220)는 각 단말들(200,202)의 G.729.1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한다(S245).
QoS 메니저(220)가 액세스 포인트(210)로 전송하는 비트율 조정 메시지는 액세스 포인트(210)를 목적지로 하는 이더넷 프레임이지만, 실질적으로 비트율 조정 메시지의 수신 대상은 액세스 포인트(210)의 BSS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들(220,202)이므로, 액세스 포인트(210)는 G.729.1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BSS 내의 모든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S250). 만약 BSS의 특정 단말에 한해서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QoS 메니저(220)는 특정 수신 단말만 지정하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삽입한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210)에 전송하고, 그 액세스 포인트(210)는 해당 그룹 주소를 이용하여 BSS 내에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멀티캐스팅한다(S250). 이때, 브로트캐스팅/멀티캐스팅은 데이터 프레임의 형식으로 수행되며, 수신 단말의 MAC 상위 계층으로 프레임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세스 포인트(210)로부터 G.729.1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200,202)은 그 메시지에 포함된 QoS 메니저(220)의 명령에 따라 G.729.1의 비트율을 조정한다(S255,S260). 이때, 비트율 조정에 의해 제어 가능한 음성 데이터는 양 방향 데이터, 즉 단말의 송신 음성 데이터 및 수신 음성 데이터이며, 이는 G.729.1의 MBS(Maximum Bit-rate Supported)와 FT(Frame Type) 필드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즉, QoS 메니저(220)는 비트율 조정 메시지에 MBS와 FT 필드의 값을 새로 설정함으로써 각 단말의 채널 점유율을 조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QoS 메니저(220)는 무선랜 채널 상태에 따라, G.729.1을 탑재한 단말의 비트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음성 서비스의 실시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품질 제어가 적용되는 무선랜 VoIP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랜 VoIP 시스템은 BSS1(300) 및 BSS2(320)를 포함하고, 각 BSS는 액세스 포인트(310,330) 및 무선단말들(302 내지 306, 322 내지 328)로 구성된다. 각 BSS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310,330)는 스위치(340,342)와 라우터(350,352)를 거쳐 인터넷에 연결된다. 인터넷에는 액세스 포인트와 각 무선랜 단말을 제어하는 QoS 메니저(360)가 위치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BSS1(300)의 대부분의 무선단말(302,304,306)은 BSS2(320)에 존재하는 무선단말(322,324,326)과 통화 중이고, BSS1(300)과 BSS2(320)에는 아직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말(308,328)이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모든 단말은 G.729.1 광대역 음성 코덱을 탑재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제1 BSS(300)의 액세스 포인트(310)는 QoS 메니저(360)에게 주기적으로 무선랜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고한다(S400). 보고 주기는 QoS 메니저(36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무선랜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310)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단말들(302,304,306)과 액세스 포인트(310)가 주고 받는 데이터 프레임 수, 바이트 수, 전송 속도 등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무선단말 구분을 위한 각 단말의 MAC 주소 및 IP 주소를 포함한다.
아직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제1 신규단말(308)은 음성 통화 세션 수락 요청메시지를 QoS 메니저(360)에게 전달한다(S405). 세션 요청의 일 예로 SIP(Session Intitiation Protocol)의 INVIT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세션 수락 요청 메시지는 미디어 타입 등록을 위해 제1 신규단말(308)에 탑재된 G.729.1 전송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션 수락 요청 메시지는 해당 세션에서 코덱에 지원되는 최대 전송 속도(maxbitrate), 세션의 상대 단말의 인코더의 최대 전송 속도(mbs), 한 패킷 안에 있는 미디어에 의해 표현되는 시간 길이(ptim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QoS 메니저(360)는 제1 신규단말(308)에 의해 세션 요청이 발생할 때, 채널 용량을 계산한다(S410). QoS 메니저(360)는 기존에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무선단말들(302,304,306)에 의해 점유되고 있는 채널 용량은 액세스 포인트(310)로부터 보고받은 채널상태 정보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또한, 제1 신규단말(308)에 의해 점유되는 채널 용량은 세션 요청시 미디어 타입 등록을 위해 제공되는 세션 수락 요청 메시지의 G.729,1의 미디어 정보 및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위한 단말의 무선랜 전송속도 정보에 따른다.
QoS 메니저(360)는 채널 용량 계산 결과에 따라 제1 신규단말(308)의 세션 요청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S415). 구체적으로, QoS 메니저(360)는 제1 BSS(300)에 할당된 총 채널 용량 중에서 채널 품질의 갑작스런 변화에 대비한 채널 여유분을 고려하여 임계 채널 용량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총 채널 용량을 1초로 정했을 때, 채널 여유를 10%로 고려한다면, 임계 채널 용량은 0.9초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임계 채널 용량과 이전에 계산된 채널 용량을 비교하여, QoS 메니저(360)는 세션을 요청한 제1 신규단말(308)을 고려한 채널 점유율이 임계 채널 용량 미만이면 세션 요청을 허락하고, 임계 채널 용량 이상이면 G.729.1 비트율 조정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G.729.1 비트율 조정은 제1 BSS(300) 내의 단말들(302,304,306)과 액세스 포인트(310)에 의해 점유되는 총 채널 점유율이 임계 채널 용량보다 작게 될 때까지 수행된다. 만약 G.729.1의 최소 비트율까지 조정했는데도 불구하고, 임계 채널 용량마다 총 채널 점유율이 크면 세션 요청은 거절된다.
QoS 메니저(360)는 세션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에 세션 수락을 요청한 제1 신규단말(308)의 상대 단말, 즉 BSS2(320)의 제2 신규단말(328)에게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425), 동시에 BSS1(300)의 무선단말들(302,304,306)에게 G.729.1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420).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들(302,304,306)은 자신의 코덱(G.729.1)의 비트율을 조정한다(S430). 즉, 각 무선단말들(302,304,306)은 비트율 조정 메시지에 따라 코덱의 MBS 또는 FT 필드를 조정한다. MBS 필드를 조정하는 경우, BSS2(320)에 존재하는 상대 무선단말들(322,324,326)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페이로드 양이 조정되고, FT 필드를 조정하는 경우 BSS2(320)의 상대 무선단말들(322,324,326)로 송신되는 음성 페이로드 양이 조정된다. 따라서, MBS와 FT 필드 를 이용하여 양방향의 음성 데이터 양의 조정이 가능하다.
BSS1(300)의 무선단말들(302,304,306)로부터 조정된 MBS를 수신한 BSS2(320)의 무선단말들(322,324,326)은 수신한 MBS 값에 따라 코덱의 인코더 설정을 수정하고, BSS1(300)의 무선단말들(302,304,306)에게 전송하는 음성 페이로드의 양을 조정한다(S435,S440).
다음으로, 신규단말들(308,328)과 QoS 메니저(360)간에 호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S445). 호 설정 시그널링에 의해 호가 수립되는 과정을 SIP를 고려하여 살펴보면, SIP:100 Trying, SIP:180 Ringing, SIP:200 OK, SIP:ACK 메시지들이 신규 단말들과 QoS 메니저 사이에 교환된다.
호 설정 시그널링에 의해 호가 수락되면 미디어 세션이 개통되고(S450), 신규 단말간 음성 데이터 교환은 RTP(Real Time Protocol) 패킷을 이용한다.
신규단말들(308,328) 사이의 호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BSS1(300)의 제1 신규단말(308)은 QoS 메니저(360)에게 호 종료를 요청한다(S455). 호 종료 요청 메시지의 일 예로, SIP:BYE 메시지가 있다.
QoS 메니저(360)는 신규 단말의 호 종료에 따른 채널 용량 변화를 계산한다(S460). QoS 메니저(360)는 BSS1(300)의 무선단말들(302,304,306) 및 액세스 포인트(310)에 의해 점유되는 채널 용량이 채널 용량 임계치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계속 통화중인 무선단말들(302,304,306)의 MBS/FT 필드값을 최대로 조정한다(S465).
신규단말들(308,328)은 QoS 메니저(360)와 호 종료를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 한다(S470). SIP 호 종료 시그널링을 예로 들면, SIP:BYE, SIP 200 OK 메시지가 신규 단말과 QoS 메니저 사이에 교환된다. 호 종료에 따라 신규 단말들(308,328) 사이에 더 이상의 음성 데이터 교환은 없다.
QoS 메니저(360)는 신규 단말들 사이의 호 종료에 따라 각 단말들의 비트율을 조정하기 위한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각 단말들에게 전송한다(S475).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들(302,304,306)은 자신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한다(S480). 즉, 각 단말들(302,304,306)은 비트율 조정 메시지에 따라 자신이 송신하는 음성 페이로드의 양을 조정하는 FT 필드를 새롭게 설정하거나, 상대 단말들(322,324,326)이 전송하는 음성 페이로드의 양을 조정하는 MBS 필드를 새롭게 설정하고, 그 설정된 값을 상대단말들(322,324,326)에게 알려준다(S485).
BSS2(320)의 무선단말들(322,324,326)은 BSS1(300)의 무선단말들(302,304,306)로부터 조정된 MBS 값을 수신하고(S485), 수신한 MBS 값에 따라 코덱의 인코더 설정을 수정한 후, 수정된 MBS 필드의 값에 따라 BSS1(300)의 단말로 전송하는 음성 페이로드의 양을 조정한다(S49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성 품질 제어 장치는 채널 상태 수집부, 비트율 계산부, 비트율 전송부 및 호 제어부로 구성된다.
채널상태 수집부(500)는 각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의 채널 점유 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채널상태 정보를 각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집한다. 채 널 점유 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채널 상태 정보로는, 액세스 포인트가 자신이 속한 BSS 내의 무선단말들의 각각과 주고받는 프레임 수, 바이트 수 및 전송속도를 포함하고, 또한 무선단말들을 구분하기 위한 각 단말의 MAC 주소, IP 주소 등을 포함한다. 채널상태 수집부는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채널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트율 계산부(510)는 수집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각 단말들 및 액세스 포인트가 점유한 채널 용량을 계산하고, 액세스 포인트가 속한 BSS에 할당된 총 채널 용량에 대한 단말들 및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점유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비트율 계산부(510)는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각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비트율 계산부(510)는 채널 총 용량 중에서 일정 채널 여유분을 고려하여 임계 채널 용량을 설정하고, 단말들의 채널 점유율이 임계 채널 용량을 초과하면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한다.
호 제어부(530)는 단말의 호 설정 및 호 해제를 담당한다. 호 설정 및 호 해제시 채널이 새롭게 할당되거나 해제되어야 하므로 BSS 내의 전체 채널 점유량이 변화한다. 따라서, 비트율 계산부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집한 채널 상태 정보와 함께 호 설정 및 호 해제시에 발생하는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전체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재조정한다.
비트율 전송부(520)는 조정된 코덱 비트율을 각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비트율 전송부(520)는 MBS 필드 및/또는 FT 필드의 값을 새롭게 설정한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각 단말들에게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한다. 단말들은 비트율 조정 메시지에 포함된 MBS 필드 및/또는 FT 필드의 값에 따라 각자의 G.729.1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에 의한 표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품질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VoIP 망의 개락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품질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품질 제어가 적용되는 무선랜 VoIP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3)

  1.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의 채널 점유 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채널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된, 채널 총 용량에 대한 상기 단말들의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상기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코덱 비트율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단말들의 각각과 주고받는 프레임 수, 바이트 수 및 전송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채널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비트율 조정 단계는,
    시간 단위로 상기 채널 총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비트율 조정 단계는,
    상기 채널 총 용량 중에서 일정 채널 여유분을 고려하여 임계 채널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점유율이 상기 임계 채널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비트율 조정 단계는,
    단말의 호 설정 요청 또는 호 설정 해제에 따라 변경되는 채널 용량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변경되는 채널 용량을 반영하여 파악한, 상기 채널 총 용량에 대한 상기 단말들의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상기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비트율 조정 단계는,
    상기 단말들이 전송하는 음성 페이로드의 크기 또는 상기 단말들과 통화가 설정된 상대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페이로드의 크기를 결정하는 비트율을 조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비트율 조정 단계는,
    G.729.1 코덱의 비트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코덱 비트율이 조정되는 단말들만을 지정하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포함하는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된 코덱 비트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모든 단말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11.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의 채널 점유 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채널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채널상태 수집부;
    상기 채널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된, 채널 총 용량에 대한 상기 단말들의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상기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비트율 계산부; 및
    상기 조정된 코덱 비트율을 전송하는 비트율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수집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단말들의 각각과 주고받는 프레임 수, 바이트 수 및 전송속도를 포함하는 상기 채널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수집부는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채널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율 계산부는 시간 단위로 상기 채널 총 용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율 계산부는 상기 채널 총 용량 중에서 일정 채널 여유분을 고려하여 임계 채널 용량을 설정하고, 상기 채널 점유율이 상기 임계 채널 용량을 초과하 면 상기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단말의 호 설정 요청 및 호 설정 해제에 따라 상기 단말의 호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트율 계산부는 단말의 호 설정 요청 또는 호 설정 해제에 따라 변경되는 채널 용량을 파악하고, 상기 변경되는 채널 용량을 반영하여 파악한 상기 채널 총 용량에 대한 상기 단말들의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상기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율 계산부는 상기 단말들이 전송하는 음성 페이로드의 크기 또는 상기 단말들과 통화가 설정된 상대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페이로드의 크기를 결정하는 비트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율 계산부는 G.729.1 코덱의 비트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율 전송부는 상기 코덱 비트율이 조정되는 단말들만을 지정하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포함하는 비트율 조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음성 품질 제어 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율 전송부는 상기 조정된 코덱 비트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모든 단말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장치.
  21. 신규 단말로부터 호 설정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규 단말과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기존 단말들에 대한 채널 총 용량에 대한 채널 점유율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신규 단말이 점유할 채널 용량을 반영하여 파악된, 상기 채널 총 용량에 대한 상기 신규 단말과 상기 기존 단말들의 총 채널 점유율을 기초로, 상기 기존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코덱 비트율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단말이 점유할 채널 용량은 상기 신규 단말이 사용하는 코덱의 미디어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단말들의 코덱 비트율을 최소로 한 경우의 총 채널 점유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호 설정 요구를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시스템에서의 음성 품질 제어 방법.
KR1020070132730A 2007-12-17 2007-12-17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품질 보장을 위한 코덱비트율 제어 방법 KR10094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30A KR100948840B1 (ko) 2007-12-17 2007-12-17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품질 보장을 위한 코덱비트율 제어 방법
PCT/KR2008/004021 WO2009078524A1 (en) 2007-12-17 2008-07-09 Audio codec bit-rate control method for assuring qos of voice in wlan
CN2008801269499A CN101946421A (zh) 2007-12-17 2008-07-09 用于确保无线局域网中语音的服务质量的音频编解码器比特率控制方法
EP08778682.8A EP2225836A4 (en) 2007-12-17 2008-07-09 AUDIO CODEC BITRATE CONTROL METHOD FOR SECURING QOS FROM LANGUAGE IN A WLAN
JP2010539275A JP5123397B2 (ja) 2007-12-17 2008-07-09 ワイヤレスLANVoIPシステムでの音声品質保証のためのコーデックビット率の制御方法
US12/808,525 US20110122786A1 (en) 2007-12-17 2008-07-09 AUDIO CODEC BIT-RATE CONTROL METHOD FOR ASSURING QoS OF VOICE IN WL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30A KR100948840B1 (ko) 2007-12-17 2007-12-17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품질 보장을 위한 코덱비트율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251A true KR20090065251A (ko) 2009-06-22
KR100948840B1 KR100948840B1 (ko) 2010-03-22

Family

ID=4079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730A KR100948840B1 (ko) 2007-12-17 2007-12-17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품질 보장을 위한 코덱비트율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22786A1 (ko)
EP (1) EP2225836A4 (ko)
JP (1) JP5123397B2 (ko)
KR (1) KR100948840B1 (ko)
CN (1) CN101946421A (ko)
WO (1) WO20090785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33A (ko)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의 동작 모드 변경을 이용한 고품질 통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868A1 (en) * 2009-03-10 2010-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ffic control by ip multimedia subsystem
US8520728B2 (en) 2010-09-23 2013-08-27 Intel Corporation Adaptive data transmission rate control for a wireless display device
CN102685340A (zh) * 2011-03-11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语音信号封包时间设定系统及设定方法
US9208798B2 (en) 2012-04-09 2015-12-0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ynamic control of voice codec data rate
US9088972B1 (en) 2012-12-21 2015-07-21 Sprint Spectrum L.P. Selection of wireless coverage areas and media codecs
US8929342B1 (en) 2012-12-21 2015-01-06 Sprint Spectrum L.P. Selection of wireless coverage areas and operating points of media codecs
US8942129B1 (en) * 2013-01-30 2015-01-27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inter-frequency handoff in wireless coverage areas
FR3007919A1 (fr) * 2013-06-28 2015-01-02 France Telecom Procede d'adaptation de lien pour selectionner un mode de transmission de trames et point d'acces wifi correspondant
US9253238B2 (en) 2013-09-30 2016-02-02 Apple Inc. Device-initiated codec rate change during a voice call
US9432338B2 (en) * 2013-10-23 2016-08-30 Google Inc. Secure communications using adaptive data compression
US9894614B2 (en) 2015-03-31 2018-02-13 Apple Inc. Frame transmission scheme modification
SG11201806457UA (en) * 2016-03-14 2018-08-30 Bosch Gmbh Robert Digital wireless intercom with user-selectable audio codecs
US11082455B2 (en) * 2017-05-03 2021-08-03 T-Mobile Usa, Inc. Network gateway transcoder-utilization-aware session control
US11228958B2 (en) * 2020-04-15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ssion of recommended bit rate queri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46674B (en) * 1993-09-08 1995-05-02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data rate in a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
US6298071B1 (en) * 1998-09-03 2001-10-02 Diva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ariable bit rate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6400730B1 (en) * 1999-03-10 2002-06-04 Nisha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IP network devices and SCSI and fibre channel devices over an IP network
US7072336B2 (en) * 2000-05-26 2006-07-04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ons using adaptive multi-rate codecs
US7002993B1 (en) * 2000-08-18 2006-02-21 Juniper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media aggregation in a packet-switched network
US7002992B1 (en) * 2001-03-07 2006-02-21 Cisco Technology, Inc. Codec selection to improve media communication
WO2003021905A1 (en) * 2001-08-31 2003-03-13 Fujitsu Limited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26109A (ko) * 2001-09-24 2003-03-31 엠큐브웍스(주) 채널 적응적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JP3761486B2 (ja) * 2002-03-29 2006-03-2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主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029670B2 (ja) * 2002-06-11 2008-01-0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における輻輳制御方法並びにシステム
KR100516897B1 (ko) * 2002-12-24 2005-09-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US7590099B2 (en) * 2003-09-25 2009-09-15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traffic i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dissimilar CDMA channels
JP4304305B2 (ja) * 2004-01-20 2009-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無線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輻輳制御方法
EP1617606A1 (en) * 2004-07-16 2006-0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heduling mode switching for uplink transmissions
US7174180B2 (en) * 2004-07-21 2007-02-0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scheduling in wireless networks
US7898980B2 (en) * 2004-09-30 2011-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through radio channe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GB0426277D0 (en) * 2004-11-30 2004-12-29 U4Ea Technologies Ltd Priority service protection
JP3819019B1 (ja) * 2005-06-08 2006-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800794B1 (ko) * 2005-07-01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660099B2 (en) * 2005-09-30 2014-02-25 Aruba Networks, Inc. Call admission control within a wireless network
KR100744542B1 (ko) * 2005-12-08 2007-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대역 멀티코덱 QoS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33A (ko)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의 동작 모드 변경을 이용한 고품질 통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5836A4 (en) 2013-10-30
JP2011509007A (ja) 2011-03-17
CN101946421A (zh) 2011-01-12
JP5123397B2 (ja) 2013-01-23
KR100948840B1 (ko) 2010-03-22
WO2009078524A1 (en) 2009-06-25
US20110122786A1 (en) 2011-05-26
EP2225836A1 (en)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840B1 (ko) 무선랜 VoIP 시스템에서 음성 품질 보장을 위한 코덱비트율 제어 방법
JP4927333B2 (ja) 帯域幅適応
EP1166501B1 (en) Base station sub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n increase in traffic volume that overloads a terrestrial link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EP1552655B1 (en) Bandwidth adaptation
CN100382647C (zh) 一种码分多址系统中公共信道向专用信道的类型转换方法
EP194260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RU2350046C2 (ru) Способ, схема сети связи, сервер сети связи, терминал и программ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выбора и изменения режимов работы для голос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US7453805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signaling information for optimizing rate control schemes in wireless networks
US83692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between control messages and speech payload
US7548529B2 (en) Multiple-access scheme for packet voice that uses voice activity detection
Anedda et al. Adaptive real-time multi-user access network selection algorithm for load-balancing ov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KR101109507B1 (ko) 1x 에볼루션 데이터 전용(1XEV-DO) 통신 네트워크에서 QUICKCONFIG 메시지 구성 방법 및 추가 호 셋업 레이턴스의 유발없이 1XEV-DO 네트워크에서 호 및 핸드오프 실패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JP2003525553A (ja) 通信システム内でリモート・ユニットにチャネルを割当て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50074012A1 (en) Adaptive call admission control for calls handled over a compressed clear channel
JP2003525552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内の送信
US200802982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coder Rate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90255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to voice-over-IP traffic on a wireless radio access network
US8340697B1 (e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ynamically adjusting a multimedia data resolution in a wireless environment
KR10041407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관리 방법
Ergen et al. Throughput performance of a wireless VoIP model with packet aggregation in IEEE 802.11
KR20110114160A (ko) 802.11 무선랜 매체제어계층 및 다중 전송률 물리계층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일러블 동영상 방송
JP2008072599A (ja) 無線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帯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