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129A -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129A
KR20090065129A KR1020070132581A KR20070132581A KR20090065129A KR 20090065129 A KR20090065129 A KR 20090065129A KR 1020070132581 A KR1020070132581 A KR 1020070132581A KR 20070132581 A KR20070132581 A KR 20070132581A KR 20090065129 A KR20090065129 A KR 2009006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ac
video mac
frame
data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125B1 (ko
Inventor
김유진
정영식
허재두
최낙중
이충호
박소영
권태경
최양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1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a) 수신한 비컨 프레임을 해석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결과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요청을 수락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로 전환하고,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을 전송하여 이를 통지하는 단계; (d)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헤더에 에러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판단결과 상기 헤더에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바디의 에러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수신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표준 MA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에러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는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수신자 측에서 일부 에러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 이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일부 에러가 존재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재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AC, 데이터 전송오류, 액세스 포인트, 비디오 MAC 데이터, 비컨 프레임

Description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Method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Frame of Supporting Video MAC Protocol and System}
본 발명은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준 MA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에러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는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수신자 측에서 일부 에러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 이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일부 에러가 존재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재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7-S-047-01, 과제명:무선홈네트워크 기반 HD급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발].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채널에 접속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물리계층(Physical Layer)과 무선 매체를 제어하기 위한 매체접근제어계층(Media Access Control: 이하 MAC 계층이라 칭함)의 두 계층에 걸친 기능 을 수행한다.
무선 환경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무선 채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전송된 정보들 간에 충돌이 발생하여 데이터 유실 또는 성능저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전송 매체에 대한 사용권한 제어기법을 매체접근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기법이라 한다. IEEE 802.11 위원회가 결정한 표준 규격에 의해 상기 기법의 MAC 계층의 역할이 규정되고 있는데, 즉 MAC 계층은 공유채널로 데이터를 송출할 때 단말 간의 경쟁을 제어하여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고, 간섭을 최소화한다.
802.11 규격에 의거한 MAC의 기본적인 액세스 방법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방식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인데, 이는 전송 대기 중인 단말들의 경쟁 방식으로 미디어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다른 단말이 공유 채널을 사용 중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에 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무선랜에서 MAC 계층의 전송 방식은 유니캐스트(Unicast)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및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이 있으며, MAC 계층에서 데이터 전송은 프레임(Frame) 단위로 진행된다.
MAC 계층의 프레임은 컨트롤 프레임(Control Frame),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 관리프레임(Management Frame)으로 나누어지며, 관리 프레임은 확장을 위하여 서브 타입의 프레임으로 액션 프레임(Action Frame)을 정의하고 있다. 액션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의 일종으로 MAC 헤더와 FCS 필드는 동일하며, 바디(Body) 부 분에 관리를 위한 추가적인 요소들이 들어가는 형태로 구성된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가 하나의 수신자와 통신하는 방식으로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MAC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면 수신자가 프레임을 받아 에러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송신자에게 ACK 프레임을 전송하여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것을 알리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프레임을 폐기한다. 송신자는 소정시간 이내에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수신자가 MAC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였음을 인지하고 해당 MAC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즉, 유니캐스트 방식은 에러발생 MAC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송으로 단말에 대한 데이터 프레임 전송 신뢰성을 보장한다.
브로드캐스트 방식 및 멀티캐스트 방식은 하나 이상의 송신자와 다수의 특정 수신자들 사이의 일대다 혹은 다대다 통신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 번의 데이터 전송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MAC 계층의 ACK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수신자는 받은 프레임에 에러가 있으면 프레임을 폐기할 뿐, 이를 다시 수신할 수는 없어 데이터 프레임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전송방식은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데이터 프레임의 종단에는 에러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FCS등의 에러확인 코드를 추가하여 바디 데이터의 에러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수신자는 에러확인 코드를 사용하여 에러발생을 확인하고 에러발생이 확인된 데이터 프레임을 폐기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무선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방식은 에러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발생시엔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할 뿐 에러발생 프레임을 폐기하여 사용하지 않으므로, 적정 수준 이하의 에러가 존재하는 프레임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현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데 불구하고 이를 전혀 사용할 수 없어 네트워크 이용 효율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표준 MA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에러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는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수신자 측에서 일부 에러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 이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일부 에러가 존재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재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은, 비디오 MAC 지원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콘텐츠 제공시 소정수준 이하의 에러가 존재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수준 이하의 에러발생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는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 이용을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수신한 비컨 프레임을 해석하고,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결과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요청을 수락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로 전환하고,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을 전송하여 이를 통지하는 단계; (d)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헤더에 에러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판단결과 상기 헤더 에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바디의 에러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수신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b)단계 이전에는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며, 상기 (e)단계에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헤더에 에러가 존재하면, 상기 수신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폐기한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확인 필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단계 이후에 (f)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중지를 요청하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요청이 수락되어 헤더 및 바디의 에러를 체크하여 MAC 데이터 프레임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로 전환하고,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을 송신하여 이를 통지하는 단계; (h) 상기 모드에서 상기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단계; (i) 상기 MAC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헤더 및 바디의 에러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 상기 MAC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또는 바디에 에러가 존재하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은 MAC 헤더 및 비디오 MAC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비컨 프레임은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을 통지하고, 상기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는 상기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임을 나타내는 요소 ID, 상기 비컨 프레임 인포메이션 요소의 길이 정보; 및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비디오 MAC 가능 필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및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는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을 표시하는 카테고리;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임을 표시하는 액션 값; 개별 요청 액션 프레임에 대한 고유한 ID인 거래 ID 및 요청에 대한 추가 정보인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 또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및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는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을 표시하는 카테고리;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임을 표시하는 액션 값; 개별 응답 액션 프레임에 대한 고유한 거래 ID 및 응답에 대한 추가 정보인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 또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는,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임을 표시하는 요소 ID;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의 길이 정보; 개별 비디오 트래픽을 구분하는 고유번호인 비디오 ID; 요청할 비디오 트래픽 정보인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 블 응답 요소는,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임을 표시하는 요소 ID;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의 길이 정보; 개별 비디오 트래픽을 구분하는 고유번호인 비디오 ID; 요청한 비디오 트래픽 정보인 추가 정보; 및 상기 요청 액션 프레임에 대한 결과 값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 및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무선 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 상기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비컨 프레임을 해석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요청 발생시 상기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의 허가를 받아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비디오 MAC 지원 단말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는 상기 비디오 MAC 지원 단말이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 및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모드이며, 상기 비컨 프레임은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통지와 관련한 프레임이며, 상기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은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인에이블 요청 및 응답,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디스에이블 요청 및 응답과 관련한 프레임이다.
한편, 상기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는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컨 프레임 및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모드이며, 상기 비디오 MAC 지원 단말은 MAC 계층에서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 헤더의 에러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프레임 끝에 존재하는 에러 확인 필드인 FCS를 제거하고, 상위계층으로 상기 FCS가 제거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은 표준 MA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에러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는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수신자 측에서 일부 에러가 있는 데이터 프레임 이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일부 에러가 존재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재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은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 및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를 지원하는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 상기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가 전송하는 비컨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요청 발생시 상기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 인트(200)에 이를 허가받아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 및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MAC 지원 단말(50)을 포함한다.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 및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 및 종래의 MAC 지원 단말(5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무선 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허브이다.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개별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 및 개별 MAC 지원 단말(50)과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은 비디오 MAC 프로토콜 또는 MAC 프로토콜의 두 가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는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컨 프레임을 통해서 자신이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함을 알리고,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은 비컨 프레임을 해석하여 해당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가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지원함을 판단한다.
MAC 지원 단말(50)은 종래기술에 따른 802.11e 표준에 따른 MAC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과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송수신 프레임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Video MAC Support Access Point)(200)는 주기적으로 비컨 프레임(Beacon Frame)을 방송하고,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은 비컨 프레임을 해석하여 이를 방송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지원함을 파악한다(S210).
일부 에러가 존재하는 MAC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를 사용하고자 하면,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은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에게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Video MAC Enable Request Action Frame)을 송신한다(S220).
그러면,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가 비디오 인에이블 요청 관리 프레임을 수신하여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로 전환하고,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Video MAC Enable Reply Action Frame)을 송신하여 자신의 모드 전환을 통지한다(S230).
이때,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는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는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는 헤더 부분의 에러발생 여부만을 체크하여 헤더 부분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바디 부분의 에러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Video MAC Data Frame)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240).
이때, MAC 계층은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의 끝에 존재하는 에러확인필드인 FCS(323)를 제거한 다음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한편, 헤더에 에러가 존재하는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은 폐기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중 종래기술에 따른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면,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은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에게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Video MAC Disable Request Action Frame)을 송신한다(S250).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여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를 종료하고,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Video MAC Disable Reply Action Frame)을 송신하여 자신의 모드 전환을 통지한다(S260).
이후,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는 종래의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한편,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은 종래의 MAC 프로토콜을 이용한 MAC 데이터 프레임 수신시에는 헤더 및 바디의 에러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발생하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폐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AC 데이터 프레임(310), 비디오 MAC 데 이터 프레임(320) 및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330)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MAC 데이터 프레임(310)은 프레임 컨트롤(Frame Control), 듀레이션/ID(Duration/ID), 어드레스(Address 1 내지 Address 4), 시퀀스 컨트롤(Sequence Control) 및 QoS 컨트롤(QoS Control) 필드로 구성된 MAC 헤더와 바디(Body) 및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320)은 MAC 데이터 프레임(310)과 거의 동일하나, MAC 헤더 부분의 프레임 컨트롤 필드(340)에 타입(Type)(341) 및 부타입(Subtype)(342) 필드의 세팅 값이 다르다는 점과 바디(322)에 비디오 MAC 헤더(324)가 더 포함되는 점이 다르다.
여기서, 바디(322)는 실제적인 콘텐츠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분이며, 비디오 MAC 헤더(324)는 비디오 ID와 비디오 MAC 헤더 FCS(325) 필드로 구성되고, 비디오 MAC 헤더 FCS(325) 필드는 MAC 헤더(331)와 비디오 MAC 헤더(324)의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필드이며, FCS(323)는 MAC 프레임 전체의 에러발생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필드이다.
프레임 컨트롤(340)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로토콜 버전을 표시하는 프로토콜 버전(Protocol Version), MAC 데이터 프레임(310) 또는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320)을 소정 값으로 구분하는 타입(Type)(341) 및 부타입(Subtype)(342) 등의 필드로 구성된 16비트 필드이다.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330)의 바디에 들어가는 정보는 주기적으로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의 방송 정보를 전달하는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510),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사용한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을 시작 또는 중지를 요청하는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520),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530),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540) 또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550)가 있으며, 이 후 도 5와 함께 해당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330)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MAC 지원 단말(100)의 물리 계층(420) 내지 사용자 응용 계층(460)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비디오 MAC 데이터/관리 프레임은 무선 랜 인터페이스(Wireless LAN Interface)(410)를 통해 수신된 다음, 물리 계층(Wireless Physical Layer)(420)을 거쳐 MAC 계층(Wireless MAC Layer)(430)에 전달되어 MAC 헤더(321) 및 비디오 MAC 헤더(324)에 에러가 존재하는지가 검사된 다음, 상기 헤더들에 에러가 없으면 바디(322)의 에러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440) 및 전송 계층(Transport Layer)(450)을 거쳐 사용자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460)으로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320)의 헤더의 에러발생 여부만 체크하여 헤더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바디의 에러에 상관없이 해당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320)을 상위계층으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위계층은 소정의 데이터 복구절차를 수행하여 바디에 발생한 에러를 복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을 도시한 구조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330)은 주기적으로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200)의 방송 정보를 전달하는 비컨 프레임,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사용한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을 시작 또는 중지를 요청하는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또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그리고 비디오 MAC 프로토콜이 시작 또는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또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들의 바디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510)는 주기적인 비디오 MAC 지원 여부를 표시하는 방송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비컨 프레임의 바디이며,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510)임을 나타내는 1 바이트(Byte, Octet) 요소 ID(Element ID)(511),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510)의 1 바이트 길이 정보(Length)(512) 및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N 바이트 비디오 MAC 가능 필드(Video MAC Capabilities)(513)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520)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이용을 요구하기 위한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이며,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카테고리(514)와 인에이블 요청임을 나타내는 액션값(515), 개별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520)에 대한 1 바이트 고유한 ID인 거래 ID(Transaction ID)(516) 및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560)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560)는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임을 표시하는 1 바이트 요소 ID(511),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의 1 바이트 길이 정보(512), 개별 비디오 트래픽을 구분하는 고유번호인 1 바이트 비디오 ID(Video ID)(517) 및 요청할 비디오 트래픽 정보인 가변(Variable) 바이트 추가 정보(518)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530)는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여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통지하기 위한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이며,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카테고리(514)와 인에이블 응답임을 나타내는 액션값(515), 개별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530)에 대한 1 바이트 고유한 ID인 거래 ID(516) 및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570)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570)는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임을 표시하는 1 바이트 요소 ID(511),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의 1 바이트 길이 정보(512), 개별 비디오 트래픽을 구분하는 고유번호인 1 바이트 비디오 ID(517), 요청한 비디오 트래픽 정보인 가변 바이트 추가 정보(518) 및 요청에 대한 1바이트 결과 값(Result)(519)으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540)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종료를 요청하기 위한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이며,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카테고리(514)와 디스에이블 요청임을 나타내는 액션값(515), 개별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540)에 대한 1 바이트 고유한 ID인 거래 ID(516) 및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 소(580)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580)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임을 표시하는 1 바이트 요소 ID(511),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의 1 바이트 길이 정보(512), 개별 비디오 트래픽을 구분하는 고유번호인 1 바이트 비디오 ID(517) 및 요청할 비디오 트래픽 정보인 가변 바이트 추가 정보(518)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550)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일반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 전환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한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이며,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카테고리(514)와 디스에이블 응답임을 나타내는 액션값(515), 개별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550)에 대한 1 바이트 고유한 ID인 거래 ID(516) 및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590)로 구성된다.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590)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임을 표시하는 1 바이트 요소 ID(511),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의 1 바이트 길이 정보(512), 개별 비디오 트래픽을 구분하는 고유번호인 1 바이트 비디오 ID(517), 요청한 비디오 트래픽 정보인 가변 바이트 추가 정보(518) 및 요청에 대한 1바이트 결과 값(519)으로 구성된다.
이때, 거래 ID(516)는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및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과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및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이 쌍을 이룰 수 있도록 같은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MAC 지원 단말과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 간의 송수신 프레임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AC 데이터 프레임,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 및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을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MAC 지원 단말의 물리 계층 내지 사용자 응용 계층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을 도시한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비디오 MAC 지원 단말 200: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

Claims (17)

  1. 비디오 MAC 지원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콘텐츠 제공시 소정수준 이하의 에러가 존재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수준 이하의 에러발생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는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 이용을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수신한 비컨 프레임을 해석하고,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결과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요청을 수락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로 전환하고,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을 전송하여 이를 통지하는 단계;
    (d)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헤더에 에러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판단결과 상기 헤더에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바디의 에러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수신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전에,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헤더에 에러가 존재하면, 상기 수신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확인 필드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 이후에,
    (f)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중지를 요청하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요청이 수락되어 헤더 및 바디의 에러를 체크하여 MAC 데이터 프레임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로 전환하고, 비디오 MAC 디스에 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을 송신하여 이를 통지하는 단계;
    (h) 상기 모드에서 상기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단계;
    (i) 상기 MAC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헤더 및 바디의 에러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 상기 MAC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또는 바디에 에러가 존재하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폐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은,
    MAC 헤더 및 비디오 MAC 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는,
    상기 비컨 프레임의 인포메이션 요소임을 나타내는 요소 ID, 상기 비컨 프레임 인포메이션 요소의 길이 정보; 및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비디오 MAC 가능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및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바디는,
    상기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임을 표시하는 카테고리;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액션 프레임임을 표시하는 액션 값;
    개별 요청 액션 프레임에 대한 고유한 ID인 거래 ID;
    상기 요청에 대한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 또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및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바디는,
    상기 비디오 MAC 액션 프레임임을 표시하는 카테고리;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액션 프레임임을 표시하는 액션 값;
    개별 요청 액션 프레임에 대한 고유한 ID인 거래 ID;
    상기 요청에 대한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 또는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프레임은,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는,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임을 표시하는 요소 ID;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요청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요청 요소의 길이 정보;
    개별 비디오 트래픽을 구분하는 고유번호인 비디오 ID;
    요청할 비디오 트래픽 정보인 추가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는,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임을 표시하는 요소 ID;
    상기 비디오 MAC 인에이블 응답 요소 또는 상기 비디오 MAC 디스에이블 응답 요소의 길이 정보;
    개별 비디오 트래픽을 구분하는 고유번호인 비디오 ID;
    요청한 비디오 트래픽 정보인 추가 정보; 및
    상기 요청 액션 프레임에 대한 결과 값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13.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 및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무선 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
    상기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비컨 프레임을 해석하여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요청 발생시 상기 비디오 MAC 지원 액세스 포인트의 허가를 받아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에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비디오 MAC 지원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는,
    상기 비디오 MAC 지원 단말이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 및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MAC 관리 프레임은,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통지,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인에이블 요청 및 응답, 상기 비디오 MAC 프로토콜 디스에이블 요청 및 응답과 관련한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로토콜 사용 모드는,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컨 프레임 및 MAC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MAC 지원 단말은,
    MAC 계층에서 상기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 헤더의 에러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프레임의 끝에 존재하는 에러 확인 필드인 FCS를 제거하고, 상위계층으로 상기 FCS가 제거된 비디오 MAC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시스템.
KR1020070132581A 2007-12-17 2007-12-17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KR10093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581A KR100932125B1 (ko) 2007-12-17 2007-12-17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581A KR100932125B1 (ko) 2007-12-17 2007-12-17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129A true KR20090065129A (ko) 2009-06-22
KR100932125B1 KR100932125B1 (ko) 2009-12-16

Family

ID=4099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581A KR100932125B1 (ko) 2007-12-17 2007-12-17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1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0388C (zh) * 1997-12-01 2005-09-21 三星电子株式会社 运动向量预测方法
KR100887858B1 (ko) * 2002-06-20 2009-03-09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의 rcma프로토콜 제어 방법
KR100739168B1 (ko) * 2004-10-08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엘엘시 패킷 데이터 수신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125B1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882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性能改善のための基地局支援
US7483412B2 (en) Range extension between two wireless devices
KR101451247B1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 확인 및 재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65055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JP7174058B2 (ja) 伝送モードを判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記憶媒体、ならびに電子デバイス
US79458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re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200600480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lock ACK frame
TW201032519A (en) A method of data rate adaptation for multicast communication
JP200510222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レート・フォールバック方法および装置
US20130163576A1 (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Sending a Message
US20130235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1243501B1 (ko) 무선랜 메쉬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2139165B1 (en) Access point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 to communication media
WO2018082554A1 (zh) 动态harq-ack反馈方法及装置
JPH10210530A (ja) 無線パケットアクセス方法
KR100932125B1 (ko) 비디오 mac 프로토콜 지원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KR20110070208A (ko) 유무선 브릿지에서의 멀티캐스트 프레임 포워딩 방법
CN107786310B (zh) 一种数据包传输方法和节点
EP3298840B1 (en) Supporting packet query-response transactions at lower layer
EP28207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EP42054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w latency traffic in next generation wlan networks
CN117579998A (zh) 控制组播报文传输方式的方法及装置
KR20050000940A (ko) 포인트 조정 함수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데이터 전송 방법
JP2006086604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