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559A -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559A
KR20090064559A KR1020097006772A KR20097006772A KR20090064559A KR 20090064559 A KR20090064559 A KR 20090064559A KR 1020097006772 A KR1020097006772 A KR 1020097006772A KR 20097006772 A KR20097006772 A KR 20097006772A KR 20090064559 A KR20090064559 A KR 2009006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dditional information
terminal
transmitting
content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일
김세준
Original Assignee
(주)제이슨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슨알앤디 filed Critical (주)제이슨알앤디
Publication of KR2009006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06Q50/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부가정보를 포함한 콘텐츠로부터 부가정보를 분리하고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부가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부가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상기 콘텐츠로부터 분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로부터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은 콘텐츠 부가정보를 포함한 콘텐츠를 획득하여 재생하는 재생부에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분리하고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이를 전송함으로써, 편리하게 콘텐츠의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텐츠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의 추가적인 정보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하고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ADDED TO CONT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부가정보를 포함한 콘텐츠로부터 부가정보를 분리하고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이를 전송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RFID 기술은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방식으로 RFID 태그(tag) 또는 트랜스폰더의 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태그에 RFID 리더기를 접촉시키지 않고 빠른 속도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RFID 기술을 이용하면, 제품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태그를 제품(또는 제품을 표시하는 종이나 mockup 등)에 부착하고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해당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태그에 저장된 제품에 관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RFID 기술의 응용범위는 물류, 상품구매, 각종 제품의 인증, 결제, 출입관리, 도서관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RFID 기술을 이용한 상품구매 시스템은 상품정보가 저장된 태그를 상품에 부착하고, 구매자 가 해당 상품을 소지하고 RFID 리더기가 설치된 출구를 통과하면 태그에 저장된 상품정보 및 상품코드를 인지하여 해당 상품을 결제하는 것으로써, 대형매장이나 쇼핑센터 등에서 실시되고 있다. 또한, 포스터나 쇼핑 카탈로그와 같은 광고 인쇄물에 상품고유정보를 갖는 태그를 부착하고, 이를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판독하게 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해당 상품의 구매를 바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 디지털 TV, 휴대폰 등을 통한 디지털 방송시에 각 방송사의 프로그램 편성을 시간대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EPG(Electronic Promgram Guide)가 제공되고 있다. EPG는 빈 주파수대나 여유 채널을 사용하는 데이터방송을 통해 디지털 TV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송프로그램 일정표로서, 시청자는 리모컨으로 이 EPG를 조작하여 당일은 물론 약 1주일 후에 어느 방송국에서 어떤 방송프로그램을 방영하는지 등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EPG를 제공하는 기술은 동시에 한명만 이용할 수 있고, TV 프로그램과 같은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나 추가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인터넷, 케이블, 공중파, 위성방송 등을 통해 동영상, 정지영상 및 오디오 신호 등과 같은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에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주변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장치를 내장하고, 상기 콘텐츠에 저장장치에 기록하고자 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함으로써, 재생부에 수신된 동영상, 정지영상 및 오디오 신호 등과 같은 콘텐츠의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생부의 저장장치에 기록된 콘텐츠 부가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부가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상기 콘텐츠로부터 분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로부터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텐츠 부가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에서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 제1단계;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부가정보를 분리하는 제2단계; 분리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상기 재생부에 포함된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3단계; 저장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효과
따라서, 본 발명의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은 콘텐츠 부가정보를 포함한 콘텐츠를 획득하여 재생하는 재생부에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분리하고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이를 전송함으로써, 편리하게 콘텐츠의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텐츠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의 추가적인 정보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하고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은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110) 및 재생부(110)로부터 콘텐츠의 부가정보(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 지역, 지리, 상품, 음악, 광고 등)를 전송받아 표시하기 위한 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은, 인터넷, 케이블, 공중파, 위성방송 등과 같은 전송수단(101)을 이용하여 방송국이나 웹서버 등과 같은 콘텐츠 제공부(100)로부터 동영상, 정지영상 및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거나 DVD, CD, 비디오테이프 등과 같은 콘텐츠 제공부(100)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는 저장장치(113)에 기록될 콘텐츠의 부가정보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저장장치(1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재생부(110)는 동영상, 정지영상 및 오디오 신호 등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무선 TV수신기, IPTV, 셋톱박스, PC, 라디오, 키오스크, 전광판 등과 같은 장치 중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부(110)는 재생부(110)에 수신된 콘텐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디코더(decoder, 111), 디코더(111)가 분리해낸 신호로부터 재생부(110) 내의 저장장치 (11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저장장치(113)에 기록할 정보를 분리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장치(113)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controller, 112), 콘텐츠로부터 분리된 콘텐츠 부가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13) 및 저장장치(113)에 저장된 콘텐츠의 부가정보를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20)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장치(114)를 포함한다.
상기 콘트롤러(112)는 디코더(111)에서 분리된 디지털 신호를 저장장치(11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저장장치(113)에 기록될 콘텐츠 부가정보로 분리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Write모드/Read모드/Standby모드의 3가지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저장장치(113)에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기록(Write)하고 이를 확인(Read)하며, 단말기(120)에 포함된 수신장치(121)가 저장장치(113)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판독할 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저장장치(113)의 기록/확인을 정지하고 대기(Standby)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는 상기 재생부(110)에 포함된 저장장치(113)에 저장된 콘텐츠의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송신장치(114)로부터 부가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장치(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통신 또는 인터넷 등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 및 기능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20)는 휴대폰, PDA, 노트북, 게임기, PMP, MP3 및 리모콘 등과 같은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말기(120)는 이용자로부터 미리 관심정보 목록을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장치(113)에 저장된 콘텐츠의 부가정보 중 상기 관심정보 목록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만 을 전송받도록 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한 부가정보의 송수신을 배제하고 신속하게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수신하여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RFID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콘텐츠 부가정보를 저장장치(113, 114, 예를 들어 RFID 태그)에 저장하고 단말기(120)에 포함된 RFID 리더기(121)에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RFID 기술에 한정되지 않고 하드디스크, RAM, FLASH 메모리 등과 같은 정보 저장매체나 BlueTooth, IrDA, ZigBee, UWB, UPAN 등과 같은 무선 전송 기술/수단을 이용하여 콘텐츠 부가정보를 저장하고 단말기(120)로 전송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동영상, 정지영상 및 오디오 신호와 같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에서 인터넷, 케이블, 공중파, 위성방송 등과 같은 전송수단을 이용하여 방송국이나 웹서버 등과 같은 콘텐츠 제공부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한다(S210). 본 발명의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재생부에서 획득하게 되는 상기 콘텐츠는,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정보(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 지역, 지리, 상품, 음악, 광고 등)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콘텐츠에 포함된 저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재생부는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텐츠를 획득한 후 상기 디코더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와 제어신호를 분리/추출한다(S220).
분리된 콘텐츠의 부가정보는 재생부에 포함된 저장장치에 기록되고(S230), 재생부의 송신장치로부터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포함된 수신장치로 전송된다(S240).
단말기로 전송된 콘텐츠 부가정보는 이용자에게 단말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안내할 수 있다(S250).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은, 이동통신이나 유무선 인터넷이 지원되는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나 웹사이트 정보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해당 콘텐츠의 추가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예로 TV 드라마인 콘텐츠를 TV 수신기인 재생부를 통해 획득하고, 콘텐츠에 포함된 드라마의 부가정보(등장인물, 소품, 상품, 음악 등)를 분리하여, 휴대폰인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부가정보를 안내하고, 상기 부가정보에 포함된 웹사이트 주소를 통해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드라마의 추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드라마에 나온 특정 상품을 구입하고 싶은 경우 해당 웹사이트에서 바로 해당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TV 홈쇼핑의 일실시예를 참고하면, 종래의 TV 홈쇼핑의 경우는 광고 중 화면 일부에 상품의 주문을 위한 콜센터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상품 구입의사가 있는 이용자는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상품 주문에 관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상품번호나 전화번호와 같은 상품에 관한 부가정보를 TV 영 상신호인 콘텐츠와 함께 송출하면, 상기 콘텐츠를 수신한 재생부(TV 수신장치 또는 셋탑박스)는 콘텐츠 부가정보와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재생부에 포함된 콘트롤러를 통해 내장된 저장장치에 콘텐츠 부가정보를 기록하고(Write모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가 정확히 기록되었는지 확인한 다음(Read모드), 동작 정지하고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에서 기록된 부가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한다(Standby모드). 따라서 광고가 계속되는 동안에 재생부에 내장된 저장장치에는 광고 중인 상품에 관련된 부가정보가 기록된 채로 유지되게 된다.
이때 이용자가 해당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거나 해당 상품을 구매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재생부에 포함된 송신장치에서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포함된 수신장치로 상기 부가정보를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수신된 부가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부가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부가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바로 상품 주문을 수행할 수 있고, 유무선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부가정보에 포함된 해당 상품 판매 웹사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상품 주문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단말기가 TV 리모콘인 경우에는 TV 수신장치의 구성 정보를 판독하여 이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참고하면, DVD, VCR 등의 재생부에서 VOD와 같은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콘텐츠(영화, 드라마 등)에 등장하는 인물, 줄거리, 소품 등과 같은 콘텐츠 부 가정보를 분리하여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해당 부가정보를 확인하고 바로 등장인물이 소지한 소품이나 상품을 구입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콘텐츠가 DVD인 경우 DVD 타이틀의 동영상과 동기된 부가정보가 DVD 타이틀에 포함되어 있으며, 재생부에서 DVD를 재생할시에 부가정보를 디코딩하여 재생부 내의 저장장치에 저장되고, 이를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수신장치에서 전송받아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참고하면, 영화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상영중인 영화의 장면과 동기시켜 영화의 등장인물이 착용한 의류, 악세사리나 음식물, 식당 등 영화상에 등장하는 부가정보를 영화관 곳곳에 위치한 정보 송출 장치(저장장치 및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정보 송출 장치 내의 저장장치에 기록하고, 수신장치를 포함한 단말기를 소지한 이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와 같은 영화의 부가정보들을 확인하고 필요시 바로 구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극장뿐만 아니라 스포츠 경기장, 증권사 매장, 주차장, 쇼핑센터, Entertainment Complax 등 대부분의 공공장소에 적용함으로서 유용한 정보 전달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실시예는 정보의 전송을 위해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재생부에 RFID 태그를 포함하여 콘텐츠로부터 분리된 콘텐츠 부가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단말기에 포함된 RFID 리더기로 전송하여 이용자에게 콘텐츠 부가정보를 안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Bluetooth, ZigBee, IrDA 등과 같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 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콘텐츠 부가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상기 콘텐츠로부터 분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로부터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단말기
    를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 및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콘텐츠 부가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장치
    를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저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유무선 TV수신기, IPTV, 셋톱박스, PC, 라디오, 키오스크, 전광판 중 어느 하나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PDA, 노트북, 게임기, PMP, MP3 및 리모콘 중 어느 하나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의 저장장치는 RFID 태그이고, 상기 단말기의 수신장치는 RFID 리더기인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9. 콘텐츠 부가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에서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 제1단계;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부가정보를 분리하는 제2단계;
    분리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상기 재생부에 포함된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3단계;
    저장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된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방송국 또는 웹서버 등과 같은 콘텐츠 제공부로부터 인터넷, 케이블, 공중파, 위성방송 또는 이동통신과 같은 전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RFID, BlueTooth, IrDA, ZigBee, UWB 및 UPA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이동통신 또는 인터넷에 연결하여 상기 콘텐츠의 추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상기 단말기는 이용자의 관심정보 목록을 기설정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부가정보 중 상기 관심정보 목록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만을 전송받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이용방법.
KR1020097006772A 2006-10-16 2007-09-27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KR20090064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175606P 2006-10-16 2006-10-16
US60/851,756 2006-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559A true KR20090064559A (ko) 2009-06-19

Family

ID=3931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772A KR20090064559A (ko) 2006-10-16 2007-09-27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64559A (ko)
WO (1) WO200804800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29B1 (ko) * 2010-10-13 2013-03-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78721B1 (ko) * 2010-01-08 2013-06-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KR101300248B1 (ko) * 2012-02-08 2013-08-26 양승무 프레임에 동기화된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KR20130126206A (ko) * 2012-05-11 201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23231B1 (ko) * 2011-10-25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관련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KR101497790B1 (ko) * 2013-01-25 2015-03-06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04890B1 (ko) * 2010-10-26 2015-03-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432B1 (ko) 2009-06-18 2009-11-25 주식회사 코리아리즘 멀티미디어 파일 분리 저장을 이용한 저장공간 및 사용자 정보 관리 장치와 방법
US8694686B2 (en) 2010-07-20 2014-04-08 Lg Electronics Inc. User profile based configuration of user experience environment
WO2012011630A1 (en) 2010-07-20 2012-01-26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etworked smart devices
WO2012011639A1 (en) 2010-07-20 2012-01-2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9247290B2 (en) * 2011-02-16 2016-01-26 Sony Corporation Seamless transition between display applications using direct device selection
AU2012249359A1 (en) 2011-04-29 2013-11-14 Janssen Biotech, Inc. IL4/IL13 binding repeat proteins and us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293B1 (ko) * 1993-09-21 2002-03-27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장치, 데이타 복호화 장치, 및데이타 기록 매체
KR970019114A (ko) * 1995-09-05 1997-04-30 구자홍 엠펙(mpeg) 오디오 데이타의 복호화장치
KR100246437B1 (ko) * 1997-12-27 2000-03-15 구자홍 디지털 수신기의 데이터 저장장치와 저장방법 및재생방법
KR100598299B1 (ko) * 2000-02-09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721B1 (ko) * 2010-01-08 2013-06-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US9924209B2 (en) 2010-01-08 2018-03-20 Sk Tech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using terminal
KR101246129B1 (ko) * 2010-10-13 2013-03-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04890B1 (ko) * 2010-10-26 2015-03-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423231B1 (ko) * 2011-10-25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관련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KR101300248B1 (ko) * 2012-02-08 2013-08-26 양승무 프레임에 동기화된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KR20130126206A (ko) * 2012-05-11 201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97790B1 (ko) * 2013-01-25 2015-03-06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48008A1 (en)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4559A (ko)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JP450120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リモコンのコマンダ
CN101352042B (zh) 用于媒体节目相关商品的系统和方法
CN100476796C (zh) 元数据链接广告的系统和方法
CA2821960C (en) Accessing content via a matrix code
US9596500B2 (en) Accessing content via a matrix code
KR100714098B1 (ko) 전자태그 방송 시스템 및 전자태그를 이용한 방송 방법
US201202317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purchase using information provided on a media playing device
JP4537290B2 (ja) 放送に同調した視聴者に報酬を利用可能にする技術
US20130105567A1 (en) Media apparatus, content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221705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158749B (zh) 一种管理广告播放的方法和用户设备
JP3707059B2 (ja) 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20030073330A (ko) 상품구매 및 영상 부가 정보시스템
CN101980530B (zh) 用于媒体节目相关商品的系统和方法
TW378315B (en) Extended play radio vision cassette recorder system &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03046983A (ja) 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290891A (ja) ディジタル放送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
KR101300248B1 (ko) 프레임에 동기화된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JP2002058009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4336653A (ja) 信号処理システムと受信装置と情報蓄積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2004032519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カード
JP2009260742A (ja) テレビ放送波送信側装置およびテレビ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