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501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501A
KR20090064501A KR1020070131858A KR20070131858A KR20090064501A KR 20090064501 A KR20090064501 A KR 20090064501A KR 1020070131858 A KR1020070131858 A KR 1020070131858A KR 20070131858 A KR20070131858 A KR 20070131858A KR 20090064501 A KR20090064501 A KR 2009006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avity
cooking
hea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4501A/ko
Publication of KR2009006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연결되는 봉지부; 및 상기 캐비티의 외측을 둘러싸는 인슐레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봉지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리기기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가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조리기기의 종류의 하나로 캐비넷에 설치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가 있다.
상기 빌트 인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상기 조리실을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이 포함된다.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는 상기 가열원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인슐레이터가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캐비티를 감싼다.
그리고, 상기 가열원으로는 주로 히터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봉지부가 결합된다.
실시예는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히터에 결합되는 봉지부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형성되는 봉지부; 및 상기 캐비티의 외측을 둘러싸는 인슐레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봉지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캐비티의 외측을 감싸는 인슐레이터에 냉각홀이 형성됨에 따라 흡입 유로를 지나는 공기에 의해서 히터의 봉지부가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에 조리실의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배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리실의 내부의 공기가 관통홀을 통하여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조리기기의 일 례로 빌트 인 조리기기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주방에 설치된 캐비넷(5)에 수용된다. 상기 캐비넷(5)은 전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조리기기(1)가 상기 캐비넷(5) 내부에 인입된다.
상기 조리기기(1)에는, 외부 케이스(60)와, 상기 외부 케이스(60) 내부에 제공되며, 조리실(11)을 형성하는 캐비티(10)와, 상기 조리실(11)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과, 상기 조리실(11)을 개폐시키는 도어(16)와, 상기 캐비티(10)의 외측을 둘러싸는 인슐레이터(40)와, 상기 캐비티(10)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조리기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외부 케이스(60)의 저벽은 상기 캐비넷(5)의 저면에 안착된다. 물론, 상기 외부 케이스(60)의 저벽이 상기 캐비넷(5)의 저면에 설치된 브라켓에 의해서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10)는 전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열원에는 상기 캐비티(10)의 상방에 구비되는 상부 히터(21)와, 상기 캐비티(10)의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 히터(22)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히터(21) 및 하부 히터(22)는 상기 조리실(11)에 수용된 조리물을 복사 가열시킴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상부 히터(21)로는 일 례로 탄소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히터(21)의 열이 상기 조리실(11)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홀(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 히터(21)에서 발생된 열 및/또는 빛이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 판(23)이 제공된다. 상기 반사판(23)은 상기 상부 히터(2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히터(21)를 감싼다.
또한, 상기 캐비티(10)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 필터(7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의 상면에는 상기 배기 필터(70)가 안착되기 위한 필터 안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안착부(14)는 상기 캐비티(10)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 후벽의 외측에는 가열 공기를 대류시킴으로써, 상기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벡션 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컨벡션 장치(30)에는, 컨벡션 히터(34)와, 컨벡션 팬(32) 및 컨벡션 모터(31)가 포함된다. 상기 컨벡션 장치의 구조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16)에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6)의 후면에는 상기 냉각 유로(17) 상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18)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16)의 배출홀(18)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외부 케이스(60)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인슐 레이터(40)는 상기 캐비티(1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인슐 레이터(40)는 상기 캐비티(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캐비티(10)를 감싼다.
그리고, 상기 인슐 레이터(40)에는 상기 반사판(23)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42)는 상기 인슐 레이터(40)의 하면이 상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슐 레이터(40)에는 상기 배기 필터(70)를 통과한 공기가 관통 되는 관통홀(4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6)은 상기 배기 필터(7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 레이터(40)와 상기 캐비티(10) 사이에는 상기 배기 필터(7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관통홀(46)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유동 가이드(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슐 레이터(40)와 상기 외부 케이스(60)는 일정 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인슐레이터(40)와 상기 외부 케이스(60) 사이에는 공간부(87)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87)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6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 덕트(84)와 송풍팬(83)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 덕트(84)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6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유로(8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덕트(84)와 상기 인슐레이터(40) 사이에는 흡입 유로(8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유로(82)로는 상기 도어(16)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슐레이터(40)에 형성된 관통홀(46)은 상기 흡입 유로(82)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 필터(7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관통홀(46)을 통하여 상기 흡입 유로(82)로 배출된다.
상기 관통홀(46)과 상기 흡입 유로(82)와 연통되는 경우 상기 송풍팬(83)이 동작되면, 상기 흡입 유로(82) 상의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서 상기 흡입 유로(82) 의 압력이 상기 유로 가이드(72) 내부의 압력 보다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조리실(11)의 오염 공기가 상기 관통홀(46)을 통하여 상기 흡입 유로(82)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캐비티(10) 내부를 청소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10)의 내부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에 고온 공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캐비티에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히터(21)는 상기 반사판(23)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21)의 양단은 상기 반사판(23)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3)을 관통한 상기 상부 히터(21)의 양단에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봉지부(2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히터(21)가 상기 반사판(23)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와 달리 상기 상부 히터(21)가 설치되는 히터 베이스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반사판(23)은 상기 상부 히터(21)와 이격된 상측에서 상기 상부 히터(21)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경우에도 상기 봉지부(22)는 상기 반사판(23)의 외측에 제공될 것이다.
상기 인슐레이터(40)에는 한 쌍의 봉지부(22)를 냉각시키기 위한 한 쌍의 냉각홀(43, 44)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홀(43, 44)은 상기 봉지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냉각홀(43, 44)은 상기 봉지부(22)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홀(43, 44)은 상기 흡입 유로(82)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유로(82)를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봉지부(22)가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봉지부(22)의 열이 상기 냉각홀(43, 44)을 통하여 상기 흡입 유 로(82)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기기의 전원이 온되고 시작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조리기기(1)가 작동된다. 상기 조리기기가 작동되면, 적어도 상부 히터(21)와 상기 송풍팬(83)이 동작된다.
상기 송풍팬(83)이 동작되면, 실내 공기가 상기 도어(16)의 냉각 유로(17)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16)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각 유로(17) 상의 공기는 상기 배출홀(18)을 통하여 상기 도어(16)에서 배출된다. 상기 도어(16)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 유로(8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유로(8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봉지부(22)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배기 필터(7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유로 가이드(72)를 따라 유동하게 되고, 상기 관통홀(46)을 통하여 상기 흡입 유로(8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46)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 유로(82) 상의 공기와 합쳐진다. 그리고, 합쳐진 공기는 상기 송풍팬(83)을 통과한다. 상기 송풍팬(83)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배출 유로(85)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조리기기(1)에서 배출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캐비티에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4)

  1.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히터에 형성되는 봉지부; 및
    상기 캐비티의 외측을 둘러싸는 인슐레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봉지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 유로가 더 포함되며,
    상기 흡입 유로와 상기 냉각홀은 연통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배기 필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배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흡입 유로로 이동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캐비티 사이에는 상기 배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관통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 가이드가 제공되는 조리기기.
KR1020070131858A 2007-12-16 2007-12-16 조리기기 KR20090064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858A KR20090064501A (ko) 2007-12-16 2007-12-16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858A KR20090064501A (ko) 2007-12-16 2007-12-16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501A true KR20090064501A (ko) 2009-06-19

Family

ID=4099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858A KR20090064501A (ko) 2007-12-16 2007-12-1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4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9778A3 (en) * 2013-04-30 2016-01-0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9778A3 (en) * 2013-04-30 2016-01-0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33B1 (ko) 오븐
KR101207301B1 (ko) 오븐
CN102188169B (zh) 烤箱
KR101692735B1 (ko) 조리기기
US20130019854A1 (en) Oven door
KR20060070910A (ko) 전기오븐
KR102210370B1 (ko) 오븐
KR100786087B1 (ko) 조리기기
KR101047692B1 (ko) 오븐
KR100743713B1 (ko) 조리기기
KR20090064501A (ko) 조리기기
KR20080021937A (ko) 조리기기
KR20070059394A (ko) 전기 오븐
JP2020125867A (ja) 加熱調理器
KR1009382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70017698A (ko) 전기 오븐의 도어 냉각 구조
KR101702667B1 (ko) 조리기기
KR20060125295A (ko) 오븐
KR100697009B1 (ko) 조리기구의 냉각구조
KR2009006342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40061116A (ko) 전기 오븐 레인지의 도어
KR20110085009A (ko) 조리기기
KR100678666B1 (ko) 오븐렌지의 도어 냉각장치
KR100678665B1 (ko) 오븐
KR20090064498A (ko) 전자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