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336A - Mold for manufacturing test piece multy-molding test,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nalyzing test piece - Google Patents

Mold for manufacturing test piece multy-molding test,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nalyzing test pie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336A
KR20090063336A KR1020070130641A KR20070130641A KR20090063336A KR 20090063336 A KR20090063336 A KR 20090063336A KR 1020070130641 A KR1020070130641 A KR 1020070130641A KR 20070130641 A KR20070130641 A KR 20070130641A KR 20090063336 A KR20090063336 A KR 20090063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specimen
mold
molding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31154B1 (en
Inventor
김동진
박성호
한경섭
오경석
오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3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154B1/en
Publication of KR2009006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3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2Deep-drawing with devices for holding the edge of th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5/00Working sheet metal of limited length by stretching, e.g. for straigh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Abstract

A mold for manufacturing a specimen, a molding method of the specimen using the same and an evaluation method of the specimen thereof are provided to obtain the data toward the anisotropy of the specimen based on the date for the evaluation of the forming limit consisting of a composite molding mode. A mold for manufacturing a specimen to evaluate complex formability comprises: a lower mold having two or more deformable units among a drawing deformed unit(310), a planar deformed unit(320) or a biaxial tension deformed unit(330); an upper mold(300) including two or more deformable units among the drawing deformed unit, the planar deformed unit or the biaxial tension deformed unit corresponding to the lower mold; and a pressure unit providing the pressure to mold two or more deformable units among the drawing deformed unit, the planar deformed unit or the biaxial tension deformed unit by pressing a molded member in which the upper mold is located on the lower mold.

Description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 이를 이용한 시편의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해 성형된 시편의 평가방법{MOLD FOR MANUFACTURING TEST PIECE MULTY-MOLDING TEST,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NALYZING TEST PIECE}MOLD FOR MANUFACTURING TEST PIECE MULTY-MOLDING TEST,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NALYZING TEST PIECE}

본 발명은 시편의 성형과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성형된 시편에 대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 이를 이용한 시편의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해 성형된 시편의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olding process of the specimen, the specimen for manufacturing the mold for the evaluation of the composite moldability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n the molded specimen, the molding method of the specimen using the same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molded specimen thereb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판재의 프레스 가공 중에 발생하는 성형모드는 드로잉(Drawing) 모드, 평면변형(Plain strain tension) 모드, 이축인장(Stretching) 모드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성형모드에 해당하는 종래의 성형성 평가방법은 일반적으로, 컵(cup) 시험법에 의한 한계 드로잉비(LDR)를 기초로 하는 드로잉 변형성의 평가와, 평면변형 장출 시험법에 의한 평면변형율(FLCo)을 기초로 하는 평면 변형성의 평가, 그리고, 한계돔(Limiting dome) 시험법에 의한 돔 높이(height)를 기초로하는 이축 인장변형성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general, the molding mode generated during the press working of the sheet material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rawing mode, plain strain tension mode, biaxial stretching mode. Conventional formability evaluation methods corresponding to each molding mode generally include evaluation of drawing deformation based on the limit drawing ratio (LDR) by the cup test method, and planar strain rate by the planar deformation elongation test method. Evaluation of planar deformation based on FLCo) and biaxial tensile deformation based on dome height by the limiting dome test method are made.

이들 각 성형모드에 의해 판재의 성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들 각각의 성형모드(성형방법)을 통해 각각의 판재를 독립적으로 성형하게 되고, 이와 같이 각각의 성형모드로 성형된 각 판재에 대한 성형상태의 평가를 시행한 후, 각 성형모드에 대한 평가를 종합하여 판재에 대한 성형한계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얻게 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formability of the sheet material by each of the molding modes, the respective sheet materials are formed independently through the respective molding modes (molding method), and thus the molding state for each sheet molded in the respective molding modes. After the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for each molding mode is integrated to obtain information (data) about the molding limit for the plate.

즉, 하나의 피성형 소재에 대한 성형한계에 관련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형모드에 대한 판재의 종합적인 성형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에 열거된 각각의 독립된 성형모드에 따른 성형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험법을 모두 시행하여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소재에 대한 각각의 시험법을 독립된 상태로 시행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시험방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시험을 위해서는 각각의 드로잉변형, 평면변형 및 이축인장변형 등과 같은 성형모드에 적합한 각각의 금형을 독립적으로 구비하여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That is, in order to obta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lding limit for one molded material, to determine the overall molding state of the plate for each molding mode, and to measure the molding state according to each of the independent molding modes listed above. Each test method must be performed.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st method is very cumbersome because each test method for a single material must be performed in an independent state. In addition, for these tes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ch mold suitable for a molding mode such as each drawing deformation, planar deformation, and biaxial tensile deformation must be independently provided.

더욱이, 실제의 성형공정에서 판재의 성형에 적용되는 변형은 독립되어 이루어지는 경우가 거의 없고,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각 성형모드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를 종합하여 판재에 대한 성형한계의 데이터를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판재의 가공을 위한 드로잉 가공시 발생하는 변수들을 다시 고려하여 공정을 설계하여야만 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독립된 성형모드에 대한 시험들은 각각의 성형모드에 의한 시험마다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오차들은 복합 변형모드의 성형을 위한 드로잉 가공시에는 정확한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도록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성형한계에 대한 더 높은 신뢰도를 갖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Moreover, since the deformation applied to the forming of the plate in the actual forming process is rarely made independently, and at least two or more deformations are made in combination, forming the plate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forming modes. Even if the limit data is prepared, the process must be designed by reconsidering the variables generated during the drawing process for the actual sheet material. In addition, since the tests for each independent molding mode have errors for each test by each molding mode, these errors are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to access accurate information during drawing processing for molding in the complex deformation mode. have. For this reason,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obtaining data having higher reliability of molding limits.

또한, 상기 시험법의 결과로써 얻어지는 한계 드로잉비(LDR)와 한계 돔 높이(height)는 현장의 프레스 공정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성형한계를 예측하기에는 제한점이 많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드로잉 가공을 위한 판재에 대한 성형한계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에 열거된 시험법 이외에도 별도의 단축인장시험법(uniaxial tension test)을 시행하여야만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limit drawing ratio LDR and the limit dome height obtained as a result of the above test method are known to have a lot of limitations in order to predict the actual molding limit occurring in the field pressing process.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the data of the molding limit for the sheet for drawing processing, in addition to the test methods listed above, a separate uniaxial tension test was required to perform a hassle.

한편, 돔장출 시험법은 성형한계도(Forming Limit Diagram, FLD)를 작성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종래의 평가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여러 성형모드에서의 성형한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하나의 성형한계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10여 개의 각기 폭이 다른 시험편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또한 비용과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시험법이다.On the other hand, the dome ejection test method is known as the most common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 that can form a Forming Limit Diagram (FLD). According to this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molding limits in various molding modes. However, in order to create one molding limit, it is necessary to have a large number of specimens of different widths. It is a test method.

발명은 판재의 성형성 시험 및 평가에 속하는 기술로써, 판재가 지니는 다양한 성형모드를 하나의 금형장치로 구현하여 성형성 평가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보다 실제적이고 종합적인 성형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 invention is a technology belonging to the test and evaluation of the formability of the plate material, by implementing a variety of molding modes of the plate in a single mold device not only reduces the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formability, but also a more practical and comprehensive formability evaluation Research is needed to make this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판재의 성형을 위한 성형성의 한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는 시험과정에서 발생하는 요구들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requirements or problems arising in the test proces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limit of formability for forming the conventional plat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이루어지는 드로잉 가공을 위한 더 높은 신뢰도를 갖는 판재의 성형한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obtain the forming limit data of the plate material having a higher reliability for the drawing processing consisting of a complex forming mod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복합적인 성형모드를 기초로 하는 성형한계의 측정을 위한 시편의 준비를 위한 드로잉 가공이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drawi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specimen for the measurement of the molding limit based on the complex molding mode is made through one mol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하나의 금형에서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성형모드의 성형이 독립된 성형모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molding of a complex molding mode made in one mold to be made as an independent molding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이루어지는 성형한계의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시편의 이방성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data on the anisotropy of the specimen based on the data for the evaluation of the molding limit consisting of a complex molding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이루어지는 성형한계의 평가를 위한 시편의 가공이 단일 규격의 시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processing of the specimen for the evaluation of the molding limit consisting of a complex molding mode to be made of a single standard specime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가공되는 판재에 대한 실질적인 성형한계의 데이터를 구축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에서 드로잉 가공에 구축 된 데이터의 적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build the data of the actual molding limit for the plate material processed in a complex molding mode,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the data constructed in the drawing processing in the fiel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가공되는 판재의 성형한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방식 및/또는 평가방식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test method and / or evaluation method for measuring the molding limit of the plate processed in the composite molding mode.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금형, 이를 이용한 시편의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해 성형된 시편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ld for the evaluation of the composite moldability, the method for forming a specimen us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molded specimen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복합적인 성형모드의 성형이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한계에 대한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being configur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n the molding limit by basically forming the complex molding mode through a single mold.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은 드로잉 변형부, 평면 변형부 및 이축인장 변형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부가 구비되는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에 상응하도록 드로잉 변형부, 평면 변형부 및 이축인장 변형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부가 구비되는 상부금형과; 상부금형이 하부 금형에 위치되는 피성형부재를 가압하여 드로잉 변형부, 평면 변형부 및 이축인장 변형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부가 성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ld for manufacturing a specimen for evaluating composite moldability includes a lower mold including at least two deformation parts of a drawing deformation part, a plane deformation part, and a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art; An upper mold provided with at least two deformation parts of a drawing deformation part, a plane deformation part, and a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mold; The upper mol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molded member positioned in the lower mold to provide a pressing force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deformation portions of the drawing deformation portion, the plane deformation portion, and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ortion are molded.

이 경우, 드로잉 변형부는 벽면부와 벽면의 양단부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코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드로잉 변형부는 원, 타원 및 직선의 일부 영역이 조합되어 벽면부와 벽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드로잉 변형부는 서로 다른 치수의 원, 타원 및 직선의 일부 영역이 조합되어 벽면부와 벽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코너부는 서로 비대칭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may include a wall part and a corner part formed a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wall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drawing deforma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form a corner portion formed by combining the partial region of the circle, ellipse and straight line on both ends of the wall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In addition,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may be configured to form corner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all surface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by combining some regions of circles, ellipses, and straight lines having different dimensions. In addition, the corner portions may be configured to be asymmetric with each other.

그리고, 평면 변형부는 평면 변형을 위한 이단으로 높이가 형성되도록 단턱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평면 변형부는 변면부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벽면부의 양단부에 코너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lanar deformat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so that the height is formed at the second stage for the plane de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flat deformation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on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corner portions may b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wall surface portion.

또한, 이축 인장부는 변형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한 다른 변형부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iaxial tens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another adjacent deformation portion to prevent interference of deformation.

그리고 또한, 각 변형부는 각 변형부들에 의해 피성형부재의 변형영역이 독립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간섭 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간섭 방지부는 드로잉 변형과 평면 변형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벽면 간섭 방지부와; 드로잉 변형부에 의한 변형과 이축 인장부의 변형 간의 간섭 또는 평면 변형부에 의한 변형과 이축 인장부의 변형 간의 간섭 또는 드로잉 변형부 및 평면 변형부에 의한 변형과 이축 인장부의 변형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바닥 간섭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each deforma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so that the deformation area of the molded member may be independently deformed by the deformation parts. In this cas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includes a wall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which prevents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ing deformation and the plane deformation; Bottom interferenc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deformation by the drawing deforma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biaxial tension or between deformation by the plane deforma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biaxial tension or between deformation by the drawing deformation and the plane deformation and deformation of the biaxial tens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even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성형방법은 복합 성형모드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금형을 이용한 시편의 성형방법으로,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물의 성형한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편에 도포되는 윤활제의 양을 달리하여 이축 인장변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와; 시편을 가압하는 상부금형의 가압력을 달리하여 드로잉 변 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와; 하부금형과 블랭크 홀더에 의해 형성되는 드로우 비드의 위치 및 수를 달리하여 평면변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l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olding a specimen using a mold in which a molding in a complex molding mode is performed, and the amount of lubricant applied to the specimen so as to adjust the molding limit of the molding to be formed into the specimen is different. Adjusting the amount of biaxial tensile strain; Adjust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drawing by vary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mold for pressing the specimen; At least two or more of adjusting the amount of plane deformation by varying the position and number of draw beads formed by the lower mold and the blank holder can be made.

이 경우,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물의 성형한계의 조절은 시편에 도포되는 윤활제 양의 조절과 시편을 가압하는 가압력의 조절 및 드로우 비드의 위치 및 수를 조절하는 순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물에 대한 성형한계의 조절은 드로잉 변형부를 원, 타원 및 직선의 일부 영역을 조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adjustment of the molding limit of the molding to be formed into the specimen may be made in the order of adjusting the amount of lubricant applied to the specimen,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specimen, and adjusting the position and number of draw beads. In addition, the adjustment of the molding limit for the molded object to be formed into the specimen may be made by combining a portion of the drawing deformation portion circle, ellipse and straight line.

그리고,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물에 대한 성형한계의 조절은 평면 변형부를 평면 변형을 위한 이단으로 높이가 형성되도록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of the molding limit for the molded object to be formed into a specimen may be made of a stepped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height is formed in two stages for the plane deformation of the plane deformation.

또한, 변형부 사이에는 간섭 방지영역이 구비되도록 하여 독립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 interference prevention area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eformation parts so that independent deformation may be mad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평가방법은 복합 성형모드의 성형이 이루어진 시편의 평가방법으로, 성형된 시편의 드로잉 변형, 평면 변형 및 이축 인장변형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복합된 변형 상태를 측정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A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valuation method of a specimen in which a composite molding mode is formed, and by measuring a complex deformation state of at least two or more of drawing deformation, planar deformation, and biaxial tensile deformation of a molded specimen. It may be done.

이 경우, 시편의 드로잉 성형의 상태에 대한 평가는 피성형물에 대한 블랭크 홀더와 하부금형의 고정력의 변화와 피성형물에 대한 상부금형의 스트로크의 변화에 의해 얻어지는 블랭크 홀더력과 펀치 스트로크의 선도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evaluation of the state of the drawing molding of the specimen is based on the blank holder force and the punch stroke diagram obtained by the change of the fixing force of the blank holder and the lower mold to the workpiece and the change of the stroke of the upper mold to the workpiece. It may be done.

한현, 시편에 대한 각 변형상태에 의해 얻어지는 변형률의 경로 기울기를 통해 피성형물의 이방성에 대한 평가가 더 이루어질 수도 있다. Han Hyun, the anisotropy of the workpiece may be further evaluated through the path slope of the strain obtained by each deformation state for the specime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이루어지는 드로잉 가공을 위한 더 높은 신뢰도를 갖는 판재의 성형한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molding limit data of the plate material having a higher reliability for the drawing processing consisting of a complex molding mo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적인 성형모드를 기초로 하는 성형한계의 측정을 위한 시편의 준비를 위한 드로잉 가공이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specimen for the measurement of the molding limit based on the complex molding mode can be made through one mol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금형에서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성형모드의 성형이 독립된 성형모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ing of the complex molding mode made in one mold can be made to be an independent molding mode.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이루어지는 성형한계의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시편의 이방성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data on the anisotropy of the specimen based on the data for the evaluation of the molding limit consisting of the complex molding mode.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이루어지는 성형한계의 평가를 위한 시편의 가공이 단일 규격의 시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of the specimen for the evaluation of the molding limit consisting of a complex molding mode may be made of a specimen of a single standar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가공되는 판재에 대한 실질적인 성형한계의 데이터를 구축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에서 드로잉 가공에 구축된 데이터의 적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uild the data of the substantial molding limit for the plate material processed in the composite molding mode, it is possible to easily apply the data constructed in the drawing processing in the fiel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적인 성형모드로 가공되는 판재의 성형한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방식 및/또는 평가방식을 간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test method and / or evaluation method for measuring the molding limit of the plate material processed in the composite molding mo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 이를 이용한 시편의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해 성형된 시편의 평가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old for preparing a specimen for the evaluation of the composite moldability, the method for forming a specimen using the same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pecimen formed by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explain in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th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at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reinafter,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복합적인 성형모드의 성형이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한계에 대한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being configur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n the molding limit by basically forming a complex molding mode through a single mo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1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 구조의 피성형재(500)가 드로잉 가공을 위해 놓여지는 하부 금형(100)과 상기 하부 금형(100)의 테두리에 위치되는 피성형 재(500)를 하부금형(100) 사이에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블랭크 홀더(200), 그리고, 상기 피성형재(500)를 가압하여 드로잉 성형을 하게 되는 펀치의 역할을 하는 상부금형(300)이 가압부(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old 10 for specimen fabrication for evaluating the composite mold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mold 100 in which a molded object 500 having a plate structure is placed for drawing processing. And a blank holder 200 which acts to press the mold member 500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lower mold 100 between the lower mold 100, and press-forms the mold member 500 to draw the molding. The upper mold 300 that serves as a punch to be made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ressing unit 400.

상기 금형(10)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모드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복합된 상태로 배치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금형에 의해 복합적인 변형모드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ld 10 may be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a variety of deformation modes are combined in at least two or more. That is, it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a complex deformation mode by one mold.

이러한 복합적인 변형모드의 성형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2a 및 도 2b에는 하부금형(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In order to enable the molding of such a complex deformation mode,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lower mold 100 is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상기 하부금형(100)은 피성형재(500)가 상부금형(300)에 의해 가압되어 복합적인 변형모드로 드로잉 가공이 수행될 수 있도록, 드로잉 변형부(110), 평면 변형부(120) 및 이축인장 변형부(13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mold 100 is a drawing deformation portion 110, the planar deformation portion 120 and the molding member 500 is pressed by the upper mold 300 so that the drawing processing can be performed in a complex deformation mode; At least two or more deformation parts of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art 130 may be provided.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는 피성형재(500)에 대한 드로잉 변형모드의 구현을 위한 영역으로,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는 하부금형(100)의 일 측에 위치되는 면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변면부(111)와 상기 벽면부(111)의 적어도 일 단부의 영역에 구비되는 코너부(112,113)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는 피성형물(500)에 대한 단순한 드로잉 성형성의 평가를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 금형의 성형영역의 높이 전체에 대하여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벽면부(111) 및 코너부(112,113)를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is an area for realizing a drawing deformation mode for the molded object 500, and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is an area of a surface located at one side of the lower mold 100. It may be made to include a corner portion (112, 113) provided in the area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11 and at least one end of the wall surface portion 111.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110 is configured to evaluate a simple drawing formability of the object to be formed 500, is formed to be formed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molding region of the lower mold, the wall surface 111 and the corner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forms of deformation can be made along the (112, 113).

예를 들어,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는 타원, 원, 그리고 직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는 타원, 원 그리고 직선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형태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는 타원, 원 그리고 직선의 형태가 함께 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구성되는 각 타원 및/또는 원의 규격은 동일한 규격(크기)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규격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ny one of an ellipse, a circle, and a straight line. On the other hand,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two or more forms of ellipses, circles and straight lines are combined. On the other hand,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ellipse, circle and straight line are combined together. In this case, the specifications of each of the ellipses and / or circles is configured in the same standard (size), or may be configured to be made of different standards.

이러한 구성의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면부(111)의 어느 일 단부영역에 위치되는 코너부(112)는 원(A)과 상기 원(A)의 양측 위치에 두 개의 타원(B,C)이 배치되어 상기 코너부(112)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타원(B,C)의 규격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규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벽면부(111)는 타원(C)과 상기 타원(C)의 양측 위치에 두 개의 원(A,D)이 배치되어 벽면부(111)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원(A,D)의 규격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규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벽면부(111)의 다른 일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코너부(113)는 하나의 원(D)과 상기 원(D)의 양측에 각각 타원(C) 및 직선(E)이 배치되어 상기 코너부(113)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the corner portion 112 located at one end region of the wall surface portion 111 has two ellipses at both sides of the circle A and the circle A. FIG. (B, C) may be arranged to form the corner portion 112. In this case, the specifications of the two ellipses (B, C)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wall surface 11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lipse C and two circles A and D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ellipse C to form the wall surface 111. In this case, the specifications of the two circles (A, 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corner portion 113 disposed in the region of the other end of the wall surface portion 111, an ellipse (C) and a straight line (E)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one circle (D) and the circle (D), respec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the corner portion 113.

한편, 상기 두 코너부(112,113)는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비대칭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wo corner parts 112 and 113 may be formed to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or to have an asymmetrical structure.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곡면 및/또는 직선 구간이 구비되도록 드로잉 변 형부(110)를 구성하여 성형되는 피성형물의 다양한 드로잉 변형을 통해 성형성의 평가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shapes of curved and / or straight sections so that the evaluation of formability may be variously made through various drawing deformations of the molded object to be molded.

상기 평면 변형부(120)는 피성형재(500)에 대한 평면 변형모드의 구현을 위한 영역으로, 상기 평면 변형부(120)는 하부금형(100)의 어느 일 측에 위치되는 면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벽면부(121)와 상기 벽면부(121)의 적어도 일 단부의 영역에 구비되는 코너부(122,123), 그리고 상기 벽면부(121)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단턱부(124)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단턱부(124)의 형상이 예를 들어 다각형의 형상 또는 반원 등과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각각의 평면 형태에 따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lanar deformation part 120 is an area for implementing a planar deformation mode for the molded object 500, and the planar deformation part 120 is an area of a surface located on any one side of the lower mold 100. It may be made to include a wall portion 121, a corner portion 122, 123 provided in an area of at least one end of the wall surface portion 121, and the stepped portion 124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all surface portion 121 have. The stepped portion 12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stepped portion 124 may be variously formed,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polygon or a semicircle, such that deformation in accordance with each planar shape is possible.

상기 평면 변형부(120)는 2단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단턱부(124)에 의해 평면 변형모드의 수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턱부(124)의 깊이는 이하 설명되는 상부금형(300)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턱부(124)의 깊이까지 상부금형(300)이 하강하기 전까지는 금형(10)과 피성형물(500)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금형(10)과 피성형재(500) 간의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어 부변형율(monor strain, e2)을 구속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각 코너부(122,123) 영역에서의 평면변형 모드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The planar deformation part 120 may enable the plane deformation mode to be performed by the stepped part 124 configured to have two heights. In this case, since the depth of the stepped portion 124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depth of the upper mold 300 described below, the mold 10 until the upper mold 300 descends to the depth of the stepped portion 124. ) And the molded object 500 do not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mold 10 and the molded object 500 can be reduced, thereby not restraining the negative strain (e 2 ), so that the planar deformation mode in the corner portions 122 and 123 is easy. Can be performed.

상기 이축인장 변형부(130)는 피성형재(500)에 대한 이축인장 변형모드의 구현을 위한 영역으로, 상기 이축인장 변형부(130)는 하부금형(100)의 바닥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축인장 변형부(130)는 서로 다른 축을 이루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unit 130 is an area for implementing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mode for the molded object 500, and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unit 130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mold 100. . Here,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unit 13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o that deformations forming different axes may occur.

한편, 상기 각 변형부(110,120,130)는 각각의 변형모드에 의해 이루어지는 변형시, 변형모드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들이 서로 변형되는 피성형재(500)의 각 영역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 방지부(141,142,151)가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deformation parts 110, 120, and 130 each have at least one interference so that deformations caused by the deformation modes do not affect each region of the molded material 500 that is deformed from each other. Prevention portions 141, 142, and 151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드로잉 변형부(110)와 평면 변형부(120)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와 평면 변형부(120)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변형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정한 변형율이 유지될 수 있도록 벽면 간섭 방지부(141,1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벽면 간섭 방지부(141,142)는 곡률이 무한대인 직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벽면 간섭 방지부(141,142)는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와 평면 변형부(120) 사이의 하부금형(100)의 어느 일 벽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and the plane deformation unit 1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and the plane deformation unit 120 with respect to each other are not affected. The wall interference prevention parts 141 and 142 may be provided to maintain a constant strain rate. In this case, the wall interference prevention parts 141 and 142 may be formed of a straight line having an infinite curvature, and the wall interference prevention parts 141 and 142 may have a lower mold (between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110 and the plane deformation part 120). 100) can be made of any one wall.

다른 일 예로, 드로잉 변형부(110)와 이축인장 변형부(130)와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와 이축인장 변형부(130)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변형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정한 변형율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바닥 간섭 방지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 간섭 방지부(151)는 드로잉 변형부(110)의 급격한 음(-)의 부변형율(monor strain, e2)과 이축인장 변형부(130)에서 발생하는 영(0)의 부변형율 사이에서 일정한 부변형율이 유지되도록 하여 드로잉 변형부(110)와 이축인장 변형부(13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and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unit 130,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and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unit 130 do not affect each other. The floor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151 may be provided to maintain a constant strain rate. That is, the bottom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151 may include a negative negative strain (e 2 ) of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110 and a negative value of zero generated in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art 130. By maintaining a constant substrain between strains,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and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unit 130 may be prevented.

또 다른 한편, 바닥 간섭 방지부(151)는 피성형재(500)와의 접촉에 따른 마찰을 증가시켜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드로잉 변형부(110) 및 평면 변형부(120)에서 발생하는 변형과 이축인장 변형부(130)에서 발생하는 변형간에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151 increases the friction caused by the contact with the molding material 500 to suppress deformation, thereby deforming and biaxially generated in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and the planar deformation unit 120. It may be configured to serv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deformations occurring in the tensile deformation portion 130.

한편, 상기 이축인장 변형부(130)는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 및/또는 평면 변형부(120)와 인접한 영역이 상기 드로잉 변형부(110) 및/또는 평면 변형부(120)의 인접한 영역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e meantime,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unit 130 is an area adjacent to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and / or the plane deformation unit 120 is adjacent to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and / or the plane deformation unit 120. It may be made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즉,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드로잉 변형부(110)의 벽면부(111)와 인접한 상기 이축이장 변형부(130)의 영역은 그 평면 구조가 드로잉 변형부(110)의 벽면부(111)와 인접한 영역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드로잉 변형부(110)의 코너부(112,113)와 인접한 영역은 그 평면 구조가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B, the area of the biaxially deformable portion 130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portion 111 of the drawing deformation portion 110 has a planar structure and the wall surface portion 111 of the drawing deformation portion 110. ) And a region adjacent to the corners 112 and 113 of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lanar structure is recessed.

이와 같이 이축인장 변형부(130)의 형상이 각 드로링 변형부(110) 및/또는 평면 변형부(120)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드로잉 변형부(110), 평면 변형부(120) 및 이축인장 변형부(13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충분한 간섭 영역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축인장 변형부(130)의 형상은 드로잉 변형부(110) 및/또는 평면 변형부(12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 As such, the shape of the biaxial tensile strain 1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each of the draw strain 110 and / or the plane strain 120, such as the drawing strain 110 and the plane strain 120. ) And biaxial tensile strain 130 to prevent interference. If a sufficient interference area is configured, the shape of the biaxial tensile strain 130 may not be limited by the shape of the drawing strain 110 and / or the planar strain 120.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금형(100)의 각 변형부(110,120,130)와 상응하도록 구성되어 하부금형(100)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 다. 따라서, 상기 상부금형(300)의 구성은 하부금형(100)의 구성과 방향이 대치되나, 모든 구성요소의 특징을 동일하다. 따라서 기본적인 구성과 상태에 대한 설명을 위주로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ure 3a and 3b, it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deformations (110, 120, 130) of the lower mold 100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mold (100).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mold 300 is the configuration and direction of the lower mold 100 is replaced, the characteristics of all the components are the same. Therefore, the general description of the basic configuration and state will be outlined.

상기 상부금형(300)은 피성형재(500)가 하부금형(100)에 대하여 가압하여 복합적인 변형모드로 드로잉 가공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부금형(100)에 상응하는 역상의 드로잉 변형부(310), 평면 변형부(320) 및 이축인장 변형부(33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pper mold 300 has a reversed drawing deforma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mold 100 so that the mold 500 may be pressed against the lower mold 100 so that the drawing processing may be performed in a complex deformation mode. At least two or more deformation parts of the 310, the planar deformation part 320, and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art 330 may be provided.

상기 드로잉 변형부(310)는 하부금형(100)의 드로잉 변형부(110)와 대응하여 피성형재(500)에 대한 드로잉 변형모드의 구현을 위한 영역이다. 상기 드로잉 변형부(310)는 하부금형(100)과 같이 변면부(111)와 상기 벽면부(111)의 적어도 일 단부의 영역에 구비되는 코너부(112,113)를 포함하여 하부금형(100)의 드로잉 변형부(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310 corresponds to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110 of the lower mold 100 and is an area for implementing the drawing deformation mode for the shaped material 500.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310 may include a corner part 112 and 113 provided in an area of 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wall surface part 111 and the wall surface part 111, like the lower mold 100 of the lower mold 100.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rawing deformation unit 110.

그리고, 상기 평면 변형부(320)는 피성형재(500)에 대한 평면 변형모드의 구현을 위한 영역으로, 상기 평면 변형부(320)는 하부금형(100)의 평면 변형부(120)와 대응하는 역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면 변형부(320)는 벽면부(321)와 상기 벽면부(321)의 적어도 일 단부의 영역에 구비되는 코너부(322,323), 그리고 상기 벽면부(321)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단턱부(324)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lanar deformation part 320 is an area for implementing a planar deformation mode for the molded object 500, and the planar deformation part 320 corresponds to the planar deformation part 120 of the lower mold 100. It can be made in the shape of a reversed phase. In this case, the planar deformation part 320 is located at the wall portion 321 and the corner portions 322 and 323 provided in the region of at least one end of the wall portion 321,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ll surface portion 321. It may be made to include the stepped portion 324.

또한, 상기 이축인장 변형부(330)는 피성형재(500)에 대한 이축인장 변형모드의 구현을 위한 영역으로, 상기 이축인장 변형부(330)는 하부금형(100)의 이축인 장 변형부(130)와 대응하는 역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axial tensile strain 330 is an area for implementing a biaxial tensile strain mode for the molding material 500, the biaxial tensile strain 330 is a biaxial tensile strain of the lower mold 100 It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shape corresponding to 130.

한편, 상기 각 변형부(310,320,330)는 각각의 변형모드에 의해 이루어지는 변형시, 변형모드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들이 서로 변형되는 피성형재(500)의 각 영역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 방지부(341,342,35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간섭 방지부(341,342,351)는 하부금형(100)의 간섭 방지부(141,142,151)와 대응하는 역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deformation parts 310, 320, and 330 may have at least one interference so that deformations generated by the deformation modes do not affect each region of the molded object 500 that is deformed from each other when deformation is performed by the deformation modes. Prevention parts 341, 342 and 351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s 341, 342 and 351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s 141, 142 and 151 of the lower mold 100.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랭크 홀더(200)는 피성형재(500)를 하부금형(100)에 대한 고정력(블랭크 홀더력)을 제공하고, 상부금형(300)이 상기 블랭크 홀더(200)의 구멍(220)을 통해 상기 피성형재(500)를 눌러 피성형재(500)가 하부금형(100)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되며, 상기 블랭크 홀더력에 의해 성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blank holder 200 provides the molding member 500 with a fixing force (blank holder force) with respect to the lower mold 100, and the upper mold 300 has the blank holder 200. Pressing the molded material 500 through the hole 220 of the molded material 500 is configured to be pushed into the lower mold 100, can be provided to adjust the moldability by the blank holder force. have.

이 경우, 상기 블랭크 홀더(200)와 하부금형(100)의 어느 일 벽변부(121)에는 드로우 비드가 구성되어 피성형재(500)에 대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로우 비드는 하부금형(100)에 구비되는 드로우 비드 홈(101)와 블랭크 홀더(200)에 구비되는 드로우 비드(21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드로부 비드에 의해 피성형재(500)가 상부금형(300)의 가압에 의해 하부금형(100)의 각 성형부가 형성된 위치로 밀려들어갈 때, 가압력에 의해 밀려들어가는 정도(즉, 스트로크의 양)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하부금형(100)과 블랭크 홀더(200)에 의해 블랭크 홀더력과 상부금형(300)의 가압력에 기인한 펀치 스트로크는 이하 설명되는 것과 같 이 피성형재(500)의 성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this case, a draw bead may be configured at any one wall edge portion 121 of the blank holder 200 and the lower mold 100 to provide a fixing force to the molded object 500. The draw beads may be composed of a draw bead groove 101 provided in the lower mold 100 and a draw bead 211 provided in the blank holder 200. When the molded material 500 is pushed by the draw bead to the position where each of the molding parts of the lower mold 100 is 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upper mold 300, the degree to be pushed by the pressing force (that is, the amount of stroke ) Can be adjusted. The punch stroke due to the blank holder force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mold 300 by the lower mold 100 and the blank holder 200 affects the formability of the mold 500 as described below. do.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을 이용한 시편의 성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thod of forming a specimen using a mold for preparing a specimen for composite moldability evalu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상기 피성형재(500)의 성형을 위한 성형성의 조절변수로, 윤활제의 양, 가압력의 세기, 그리고 블랭크 홀더력의 세기 및/또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재(500)에 도포되는 윤활제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이축 인장변형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금형(10)과 피성형재(500)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조절하여 이축인장 변형의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가압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은 상부금형(300)에 의해 피성형재(500)가 눌려지는 스트로크를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드로잉 변형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블랭크 홀더력을 조절하는 것은 드로우 비드의 위치와 형성되는 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부금형(300)에 의해 하부금형(100)으로 밀려 들어가는 피성형재(500)의 평면변형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As a controllability variable for forming the object 500, the amount of lubricant, the strength of the pressing force, and the strength and / or position of the blank holder force may be adjusted. Controlling the amount of lubricant applied to the molded object 500 to be formed into the specimen is to control the degree of biaxial tensile strain. That is, the state of the biaxial tensile strain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mold 10 and the molded object 500. On the other hand,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pressing force is to control the stroke to be pressed by the upper mold 300, the mold 500, to control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drawing. In addition, adjusting the blank holder force to adjust the degree of planar deformation of the molding member 500 pushed into the lower mold 100 by the upper mold 300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draw beads formed. will be.

이들 각 조절변수를 이용하여 적절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각 다른 재질의 피성형재(500)에 대한 각각의 성형 상태에 대한 적절한 성형한계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Appropriate adjustment can be made using each of these adjustment variables to obtain data of the appropriate molding limit for each molding state for the molding material 500 of different materials.

여기서, 각 조절변수을 기초로한 성형방법의 일 예로, 시편에 도포되는 윤활제의 양을 달리하여 이축 인장변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먼저 수행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시편을 가압하는 상부금형의 가압력을 달리하여 드로잉 변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통해 적절한 가압력, 즉 펀치 스트로크를 결정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두 조절변수에 의한 최적의 값을 기준으로, 하부금형과 블랭크 홀더에 의해 형성되는 드로우 비드의 위치 및 수를 달리하여 평면변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Here, as an example of the molding method based on each control variable, the step of adjusting the amount of biaxial tension deformation is first performed by varying the amount of lubricant applied to the specimen,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mold to press the specimen based on this By adjusting the drawing deformation amoun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pressing force, that is, the punch stroke. Thereafter, the step of adjusting the amount of planar de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varying the position and number of draw beads formed by the lower mold and the blank holder, based on the optimum values of the two adjustment variables.

구분division 블랭크 홀더력Blank Holder Force 마찰계수Coefficient of friction 드로우 비드Draw beads 드로잉 변형Drawing variants ΟΟ ΟΟ ΧΧ 평면 변형Plane deformation ΟΟ ΟΟ ΟΟ 이축인장 변형Biaxial tensile strain ΧΧ ΟΟ ΧΧ

상기 표 1은 윤활제, 블랭크 홀더력, 가변 드로우 비드에 의한 각 성형모드 간의 영향을 나타낸 표이다. 이 표에 근거하면, 마찰계수는 모든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인 성형한계 조절방법의 절차는 우선, 윤활제에 의한 이축인장 변형 조절하는 것이다. 그 다음 블랭크 홀더력은 이축인장 변형을 제외한 다른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윤활제의 양이 조절된 후에는 블랭크 홀더력이 조절되는 것이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로우 비드는 평면 변형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변 드로우 비드에 의한 평면변형 변형의 조절은 최종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effect between the molding mode by the lubricant, blank holder force, variable draw beads. Based on this table, it can be seen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acts as a variable affecting all deformations. Therefore, the procedure of the most efficient molding limit adjustment method is to first control the biaxial tensile strain by the lubricant. It can then be seen that the blank holder force is a control variable that affects other strains except biaxial tensile strain. Therefore, after the amount of lubricant is adjusted, it can be said that the blank holder force is adjust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raw bead only affects the plane deform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efficient to finally control the deformation of the planar deformation by the variable draw beads.

상기 금형과 금형을 이용한 방법에 의해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해 성형된 시편에 대한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가는 성형된 시편의 드로잉 변형, 평면 변형 및 이축 인장변형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복합된 변형 상태를 측정하여 시편을 평가할 수 있다. Evaluation method for the specimen molded for the composite moldability evaluation by the method using the mold and the mold can be made as follows. The evaluation may evaluate the specimen by measuring the combined deformation state of at least two or more of drawing deformation, planar deformation, and biaxial tensile deformation of the molded specimen.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랭크 홀더력-펀치행정거리 선도에 의해 판재의 성형성을 평가할 수도 있다. 도 6은 블랭크 홀더력-펀치행정거리 선도로, 각각의 성형모드에서 블랭크 홀더력에 따라 블랭크(Blank : 피성형재)가 파단 되는 펀치행정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 블랭크 홀더력은 힘(N)의 단위이고 펀치 스트로크(펀치 행정거리)는 길이(m)의 단위이므로, 스트로크 위치까지 펀치력을 기초로 하여 피성형재가 흡수한 에너지(일)을 구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formability of the plate may be evaluated by the blank holder force-punch stroke distance diagram. FIG. 6 is a blank holder force-punch stroke distance diagram, which is a graph showing a punch stroke distance in which a blank (molded material) breaks according to the blank holder force in each forming mode. In this graph, the blank holder force is in units of force (N) and the punch stroke (punch stroke distance) is in units of length (m). Therefore, the energy absorbed by the workpiece (work)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punch force up to the stroke position. Will be.

즉, 프레스 가공시 판재가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J)를 알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한계 드로잉비(LDR)나 이방성계수와 비교하여볼 때, 보다 실제적인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since it is possible to know the energy (J) that can be absorbed by the sheet during the press working, compared with the existing limit drawing ratio (LDR) or anisotropic coeffici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practical evaluation method.

[[ 시험예Test Example 1] One]

두께가 0.7mm이고 한 변의 길이가 500mm인 정사각형의 블랭크를 준비한 다음, 본 발명의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였다. 성형한계 조절은 상기 설명된 성형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윤활제의 양을 조절하여 이축인장 변형을 조절한 후, 블랭크 홀더력을 조절하여 의해 드로잉 변형을 조절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드로우 비드의 위치와 수를 조절하여 평면변형 변형 조절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A square blank having a thickness of 0.7 mm and a length of 500 mm on one side was prepared, and then press molding was performed using the mol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olding limit was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lubricant as in one embodiment of the molding method described above to adjust the biaxial tensile strain, and then by adjusting the blank holder force to adjust the drawing strain. And, finally,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draw bead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s to proceed the step of deformation deformation planar sequentially.

서로 다른 9종의 판재를 시험한 결과, 판재의 성형 한계도는 도 7a 내지 도 7i와 같이 나타났다. 거의 대부분의 소재에 대해서 각 성형모드가 모두 발생하였으며, 성형한계 역시 잘 조절되는 특징을 보였다. As a result of testing nine different plate materials, the forming limit diagrams of the plate materials were shown in FIGS. 7A to 7I. Each molding mode occurred for almost all materials, and the molding limits were well controlled.

상기 방법에 의해 프레스 가공을 한 후, 도 8의 정의에 따라, 이축인장 부의 한 지점에 대한 변형율 경로 기울기를 측정하여 이방성 계수와의 상관관계는 조사하였다. 상기 변형율 경로 기울기는 피성형재의 임의 부분에서 변형율을 나타낸 점을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로 얻을 수 있다. After press working by the above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Fig. 8, the strain path slope with respect to a point of the biaxial tensile part was measur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anisotropy coefficient was investigated. The strain path slope can be obtained by the slope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s showing the strain in any part of the molded object.

도 9는 도 7a 내지 도 7i의 소재 9종에 대한 변형율 경로 기울기와 이방성 계수의 관계를 나타나는 그래프로, 이들의 관계가 선형으로 명료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변형율 경로 기울기를 이용하여 피성형물의 이방성에 대한 평가가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울기를 이방성의 평가방법에 이용하는 것은 이방성이 높을수록 드로잉변형은 쉽게 이루어지지만, 이축인장 변형은 어렵기 때문이다.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in path slope 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for the nine materials of FIGS. 7A to 7I, and it can be seen that these relationships are clearly shown linearly.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of the anisotropy of the mold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strain path slope. The reason why the slope is used for the anisotropy evaluation method is that the higher the anisotropy, the more easily the deformation of the drawing is made, but the biaxial tensile deformation is difficult.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 이를 이용한 시편의 성형 방법 및 이에 의해 성형된 시편의 평가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방법으로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설명된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 specimen for the evaluation of the composite moldability described above, the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molded specimen formed thereby, All or part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constitute various modif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을 성형하기 위한 일 예식의 금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ld of an example for molding a specimen for evaluation of composite mold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하부금형의 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mold shown in FIG.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하부금형의 평면도이다. FIG. 2B is a plan view of the lower mold shown in FIG. 1.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금형의 사시도이다.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old shown in FIG.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금형의 저면도이다. 3b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mold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변형부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이 개념도이다. 4 is an exemplary conceptual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drawing deforma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 홀더와 하부금형에 의해 피성형재가 가압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FIG. 5 is an exemplary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inciple in which a mold member is pressed by the blank holder and the lower mold illustrated in FIG. 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험예에 따라 측정된 블랭크 홀더력과 펀치 스트로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nk holder force and the punch stroke measured according to one test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i는 서로 다른 9종의 피성형재에 대한 시험을 통해 얻은 성형 한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A to 7I are diagrams showing a molding limit diagram obtained through a test on nine different shaped material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시험예에 따라 측정된 피성형재의 이축인장 부의 한 지점에 대한 변형율 경로 기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8 is a graph showing a strain path slope with respect to a point of the biaxial tensile portion of a molded object measu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a 내지 도 7i에 도시된 각 피성형재에 대한 변형율 경로 기울기와 이방성 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9 is a graph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train path slope and an anisotropy coefficient for each of the shaped materials illustrated in FIGS. 7A to 7I.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금형 100 ... 하부금형10 ... mold 100 ... lower mold

110,310 ... 드로잉 변형부 120,320 ... 평면 변형부110,310 ... drawing deformation part 120,320 ... plane deformation part

130,330 ... 이축인장 변형부 200 ... 블랭크 홀더130,330 ... biaxial tensile strain 200 ... blank holder

300 ... 상부금형 400 ... 가압부300 ... upper mold 400 ... pressing part

Claims (17)

드로잉 변형부, 평면 변형부 및 이축인장 변형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부가 구비되는 하부 금형과; A lower mold including at least two deformation parts of a drawing deformation part, a plane deformation part, and a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art; 상기 하부 금형에 상응하도록 드로잉 변형부, 평면 변형부 및 이축인장 변형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부가 구비되는 상부금형과; An upper mold provided with at least two deformation parts of a drawing deformation part, a plane deformation part, and a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mold; 상기 상부금형이 하부 금형에 위치되는 피성형부재를 가압하여 드로잉 변형부, 평면 변형부 및 이축인장 변형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변형부가 성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The upper mold is a composite comprising a pressing portion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press the molded member positioned in the lower mold to form at least two or more deformation parts of the drawing deformation portion, planar deformation portion and biaxial tensile deformation portion Specimen manufacturing mold for evaluation of formab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변형부는 벽면부와 벽면의 양단부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코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The mol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comprises a wall part and a corner part formed a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wall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변형부는 원, 타원 및 직선의 일부 영역이 조합되어 벽면부와 상기 벽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The mol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wing deforma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form corner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all surface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by combining a partial area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straight li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변형부는 서로 다른 치수의 원, 타원 및 직 선의 일부 영역이 조합되어 벽면부와 상기 벽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코너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너부는 서로 비대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rawing deforma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form a corner portion formed in the wall surface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wall by combining a partial region of circles, ellipses and straight lines of different dimensions, the corner portion is asymmetric with each other Specimen manufacturing mold for composite moldability evalu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변형부는 평면 변형을 위한 이단으로 높이가 형성되도록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ar deformation part is a test piece manufacturing mold for composite mold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height is formed in two stages for the plane de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변형부는 변면부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벽면부의 양단부에 코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The mold for manufacturing a specimen for composite mold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lanar deform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at a side surface portion, and corner port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all surfac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인장부는 변형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한 다른 변형부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axial tension portion for forming a specimen for composite moldability evalu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ther adjacent deformable portion to prevent interference of de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변형부는 각 변형부들에 의해 피성형부재의 변형영역이 독립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간섭 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The mol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deformation part further includes an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to independently deform the deformation area of the member to be formed by the deformation part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방지부는 드로잉 변형과 평면 변형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벽면 간섭 방지부와;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comprises: a wall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that prevents interference between drawing deformation and plane deformation; 드로잉 변형부에 의한 변형과 이축 인장부의 변형 간의 간섭 또는 평면 변형부에 의한 변형과 이축 인장부의 변형 간의 간섭 또는 드로잉 변형부 및 평면 변형부에 의한 변형과 이축 인장부의 변형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바닥 간섭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성 평가를 위한 시편 제조용 금형.Bottom interferenc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deformation by the drawing deforma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biaxial tension or between deformation by the plane deforma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biaxial tension or between deformation by the drawing deformation and the plane deformation and deformation of the biaxial tension. Mold for specimen manufacture for the evaluation of complex form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vention unit.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 금형을 이용한 시편의 성형방법으로, The method of forming a specimen using a metal mol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시편에 도포되는 윤활제의 양을 달리하여 이축 인장변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와; Adjusting the amount of biaxial tensile strain by varying the amount of lubricant applied to the specimen; 상기 시편을 가압하는 상부금형의 가압력을 달리하여 드로잉 변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와; Adjust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drawing by vary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mold for pressing the specimen; 하부금형과 블랭크 홀더에 의해 형성되는 드로우 비드의 위치 및 수를 달리하여 평면변형 양을 조절하는 단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여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물의 성형한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의 성형방법.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control the molding limit of the molding to be formed into the specimen,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steps of adjusting the amount of planar deformation by varying the position and number of draw beads formed by the lower mold and the blank holder Forming method of the test pie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물의 성형한계의 조절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djustment of the molding limit of the molding to be formed into the specimen 시편에 도포되는 윤활제 양의 조절과 시편을 가압하는 가압력의 조절 및 드 로우 비드의 위치 및 수를 조절하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의 성형방법. A method of forming a test piece comprising the steps of adjusting the amount of lubricant applied to the test piece,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to pressurize the test piece, and adjusting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draw bead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물에 대한 성형한계의 조절은 드로잉 변형부를 원, 타원 및 직선의 일부 영역을 조합하여 구성한 것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의 성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adjustment of the molding limit for the molded object to be formed into the specimen is performed by combining a portion of the drawing deformation part with a circle, an ellipse, and a straight lin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으로 성형되는 피성형물에 대한 성형한계의 조절은 평면 변형부를 평면 변형을 위한 이단으로 높이가 형성되도록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의 성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adjustment of the molding limit for the molded object to be formed into the specimen is performed with the stepped portion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planar deformation portion is formed at two levels for the plane deform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변형부 사이에는 간섭 방지영역이 구비되도록 하여 독립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의 성형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n interference prevention area is provided between the deformation parts so that independent deformation occurs.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의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된 시편의 평가방법으로, An evaluation method of a specimen molded by any one of claims 10 to 14, 성형된 시편의 드로잉 변형, 평면 변형 및 이축 인장변형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복합된 변형 상태를 측정하여 시편의 평가방법. A method for evaluating a specimen by measuring a composite deformation state of at least two of drawing strain, planar strain, and biaxial tensile strain of the molded specime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의 드로잉 성형의 상태에 대한 평가는 피성형 물에 대한 블랭크 홀더와 하부금형의 고정력의 변화와 피성형물에 대한 상부금형의 스트로크의 변화에 의해 얻어지는 블랭크 홀더력과 펀치 스트로크의 선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의 평가방법. 16. The blank holder force and punch of claim 15 wherein the evaluation of the state of the drawing molding of the specimen is achieved by a change in the clamping force of the blank holder and the lower mold relative to the workpiece and a change in the stroke of the upper mold relative to the workpiece. A method for evaluating a specimen, characterized by the stroke of the strok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에 대한 각 변형상태에 의해 얻어지는 변형률의 경로 기울기를 통해 피성형물의 이방성에 대한 평가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의 평가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anisotropy of the shaped object is further evaluated through the path slope of the strain obtained by each deformation state of the specimen.
KR1020070130641A 2007-12-14 2007-12-14 Specimen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oldability, the method of forming a specimen using the same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pecimen formed by the same KR100931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41A KR100931154B1 (en) 2007-12-14 2007-12-14 Specimen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oldability, the method of forming a specimen using the same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pecimen form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41A KR100931154B1 (en) 2007-12-14 2007-12-14 Specimen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oldability, the method of forming a specimen using the same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pecimen formed by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36A true KR20090063336A (en) 2009-06-18
KR100931154B1 KR100931154B1 (en) 2009-12-10

Family

ID=4099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641A KR100931154B1 (en) 2007-12-14 2007-12-14 Specimen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oldability, the method of forming a specimen using the same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pecimen form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1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472B1 (en) * 2012-10-31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Flange forminh test mold and test method using the same
CN115157597A (en) * 2022-07-03 2022-10-11 深圳市常丰激光刀模有限公司 Take analysis function's mould processing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6028A (en) * 1985-12-27 1987-07-11 Nissan Motor Co Ltd Formability estimating method in press
JP4109495B2 (en) * 2001-05-16 2008-07-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terial data identification method, formability prediction evaluation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726088B1 (en) * 2005-12-29 2007-06-08 주식회사 포스코 Equi-biaxial stretching method for the formability evaluation of sheet material
KR100645877B1 (en) * 2005-12-29 2006-11-15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s forming product follows in its sha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472B1 (en) * 2012-10-31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Flange forminh test mold and test method using the same
CN115157597A (en) * 2022-07-03 2022-10-11 深圳市常丰激光刀模有限公司 Take analysis function's mould processingequipment
CN115157597B (en) * 2022-07-03 2023-05-05 深圳市常丰激光刀模有限公司 Mold processing device with analysis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154B1 (en)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496B2 (en) Device for press-forming a thin sheet and press-forming method
CN106216523B (en) A kind of stamping die and the method for strain forming capacity detection
JP4808679B2 (en) Thin plate press die apparatus and press molding method
JP6547920B2 (en) Evaluation method of deformation limit on sheared surface of metal plate, crack prediction method and press mold design method
CN101164715A (en) Unsymmetrical stretching forming mould capable of inducing plate material to rebound
KR100931154B1 (en) Specimen for manufacturing composite moldability, the method of forming a specimen using the same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pecimen formed by the same
JP6399269B1 (en) Hardness estimation method for cold-worked parts and hardness-equivalent plastic strain curve acquisition method for steel
CN111812023B (en) Sheet wrinkling performance test method based on unidirectional stretching of tape Kong Shiyang
JP2016215242A (en) Testing method and testing equipment for metal sheet molding limit
CN114713661B (en) Method for repairing stamping die by referring to workpiece rebound parameters
CN104525722B (en) A kind of measuring method in drawing die gap
KR20090070742A (en) Formabil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ofthere
CN113790977B (en) Method for measuring ultimate bending fracture strain of sheet metal
JP2016144825A (en) Secondary press workability evaluation method
KR100726088B1 (en) Equi-biaxial stretching method for the formability evaluation of sheet material
RU2344406C2 (en) Method of testing spring action and boundary parameters of sheet material during four angle bending with clamping of edges of specimen (versions)
KR100940685B1 (en) Method for Evaluating Friction Property of Steel Material Using Cup Drawing Experiment
KR19990051770A (en) Method for Measuring Plastic Anisotropy of Steel Plate by Punch Stretch
CN112345379A (en)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for bending resilience characteristic of plate
JP37490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elt elemen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8272781A (en) Press die device for sheet metal and press forming method
CN217738181U (en) A device for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test piece size detection
CN210400221U (en) Lane-changing auxiliary lamp checking fixture
KR102196081B1 (en) A method of evaluating biaxial-stretch formability of metallic sheets with a small-scale specimen
KR10217448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heering mold for hot stamping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