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033A -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033A
KR20090063033A KR1020070134122A KR20070134122A KR20090063033A KR 20090063033 A KR20090063033 A KR 20090063033A KR 1020070134122 A KR1020070134122 A KR 1020070134122A KR 20070134122 A KR20070134122 A KR 20070134122A KR 20090063033 A KR20090063033 A KR 20090063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erminal
card
fram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필
Original Assignee
김용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필 filed Critical 김용필
Publication of KR2009006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와 메모리카드와 같은 각종 카드 2개를 상하 적층하여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는 듀얼카드소켓에 적용되는 소켓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단자(1)는, 금속판(2)을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카드소켓(3)의 소켓프레임(4)에 장착되고, 삽입되는 카드(5)의 카드단자(5a)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단자(10)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단자(10)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카드단자(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로서, 각각의 상기 단자(10)는, 상기 카드단자(5a)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소켓프레임(4)에 형성된 관통구(4a) 중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구(4a)에 배치되어 대응하는 상기 카드단자(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20), 상기 접점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켓프레임(4) 속에 인서트 되는 지지부(30), 및 상기 지지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켓프레임(4)으로부터 노출되어 외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연결부(4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자(10)의 상기 지지부(30a)는, 인접한 다른 상기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쇼트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금속판(2)의 가능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확장판(31)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프레임(4) 속에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인서트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Socket Terminal of Dual Card Socket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카드와 메모리카드와 같은 각종 카드 2개를 상하 적층하여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는 듀얼카드소켓에 적용되는 소켓단자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이동통신단말기들은 그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확대되어짐에 따라 요구되는 저장용량이 점점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화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나 MP3 기능이 탑재된 휴대전화기의 경우, 휴대전화기가 가지는 고유의 저장용량에 더하여 사진 데이터나 MP3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추가의 메모리카드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부가적 기능에 소요되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내에 대용량의 메모리를 직접 내장하는 것은, 단말기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대용량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낭비요소가 된다.
이런 이유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용량 메모리를 직접 내장하지 아니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 메모리카드용 소켓을 구비시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용 양태에 따라 취향에 맞게 별도의 확장 메모리카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모델이 널리 출시되고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저장기능, 연산기능 및 보안기능을 가지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운영체계, 보안모듈, 메모리 등을 구비한 IC칩(스마트칩)이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는, 금융, 통신, 교육, 행정, 교통 등 정보통신사회의 거의 전체 분야에서 정보의 기록이나 신원확인, 전자화폐, 신용카드 또는 전자통장 등의 결제수단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런 스마트카드는 일반적으로 스마트칩의 데이터가 읽히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카드, 비접촉식카드 및 접촉/비접촉 겸용카드(예, 콤비카드)로 구분되기도 한다.
휴대전화기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들의 활용분야가 더욱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카드를 전통적인 플라스틱카드 형태가 아닌 이동통신단말기(예, 휴대전화기)에 내장 또는 착탈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스마트카드와 이동통신단말기가 기능적으로 통합되는 추세에 있다.
이런 스마트카드 장착 휴대전화기는, 내장되는 스마트카드에 각종 인증에 관한 정보, 결제를 위한 신용카드에 관한 정보, 통장정보 등을 탑재하여, 식별모듈,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의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고, 계좌조회, 이체, 출금, 수표조회와 같은 전자통장의 용도로 사용된다.
휴대전화기에의 스마트카드 적용은, 유럽 GSM 휴대전화기에서의 로밍 서비스 를 위한 사용자 식별모듈로 사용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식별모듈로서의 스마트카드로는, SIM 카드 이외에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이 있다. 이들 식별모듈들은 비접촉 기능이 없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의 일종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들 스마트카드는 6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런 카드가 사용되는 카드소켓에도 이에 대응하여 6개의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식 기능뿐만 아니라 비접촉식 기능도 함께 가지는 콤비카드는 RF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2개의 안테나 연결단자가 추가로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8개의 단자를 구비하며, 이에 대응하는 카드소켓에도 8개의 단자가 마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더욱 확대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각종 메모리카드의 탈착을 위한 메모리카드용 소켓과 스마트카드의 탈착을 위한 스마트카드용 소켓이 필요하게 되었고, 사용자는 본인이 요구하는 기능에 맞는 카드를 해당 카드소켓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도7은 종래의 듀얼카드소켓이 적용된 일반적인 휴대전화기의 개략도, 도8은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종래 듀얼카드소켓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9와 도10은 일반적 종래 듀얼카드소켓에 적용된 스마트카드용 소켓단자와 메모리카드용 소켓단자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200)의 후면 기판(201) 쪽에 장착되는 듀얼카드소켓(100)에는 스마트카드(101)와 메모리카드(102)가 상하로 층을 이루도 록 중첩 장착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카드소켓(100)은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소켓프레임(110), 소켓프레임(110)의 일측면(도면에서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스마트카드(101)의 단자(101a)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스마트카드용 소켓단자(121)들이 형성된 스마트카드용 소켓(120), 소켓프레임(110)의 타측면(도면에서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메모리카드(102)의 단자(102a)들과 접속되는 메모리카드용 소켓단자(131)들이 형성된 메모리카드용 소켓(130), 소켓프레임(110)의 일측면(도면에서 상측면) 쪽에서 조립되어 소켓프레임(110)과 함께 스마트카드용 소켓(120)을 형성하는 스마트카드소켓용 상부커버(140), 및 소켓프레임(110)의 타측면(도면에서 하측면) 쪽에서 조립되어 소켓프레임(110)과 함께 메모리카드용 소켓(120)을 형성하는 메모리카드소켓용 하부커버(150)를 포함하며, 각각의 소켓(120, 130)에는 스마트카드(101)와 메모리카드(102)가 삽입 장착된다.
종래의 듀얼카드소켓(100)에 있어서, 상기 소켓단자(121, 131)는 동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하며, 소켓단자(121, 131)들을 플라스틱 합성수지의 소켓프레임(110)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소켓프레임(11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소켓단자(121, 131)들을 인서트(매립)로 플라스틱 합성수지 속에 매립하는 방식이나, 스마트카드용 소켓단자(121)들은 소켓프레임(110)의 사출시 인서트(매립) 하지만 메모리카드용 소켓단자(131)들은 소켓프레임(110)에 미리 대응하는 홈들(보이지 않음)을 형성한 다음에 상기 홈들에 소켓단자들을 끼워 넣는 방식 등이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10-0683835호의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카드소켓' 참조: 2007. 02. 16. 등록공고).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듀얼카드소켓(100)에 있어서의 소켓단자(121, 131)들의 각 단자는, 그 일단의 접점부(122, 132)가 소켓프레임(110)에 관통 형성된 관통부(111, 112)에 탄성을 받도록 위치하고, 중간의 지지부(123, 133)의 적어도 일부는 소켓프레임(110)의 플라스틱 속에 매립(위치)되며, 휴대전화기의 회로에 연결되는 회로연결부(124, 134)는 소켓프레임(110)으로부터 약간 노출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듀얼카드소켓(100)은 스마트카드(101)와 메모리카드(102)를 상하 적층 방식으로 장착하는 듀얼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휴대전화기에서 듀얼카드소켓(100)이 점유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휴대전화기의 사이즈증가와 제조원가상승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듀얼카드소켓(100)은 그 구조적 특성상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 문제점의 하나는, 소켓단자(121, 131)의 접점부(122, 132)의 지지가 취약하여 반복적으로 카드를 장착 및 분리하게 되면 카드에 의해 접점부(122, 132)가 탄성을 잃고 눌린 후에 원위치로 복귀되지 아니하여 접속불량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이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단자(121, 131)들은 그 지지부(도9와 도10의 123, 133: 도8에서는 소켓프레임에 매립되어 보이지 않음)만이 플라스틱 합성수지의 소켓프레임(110) 속에 매립(위치)되어 있을 뿐, 접점부(122, 132)는 관통부(111, 112)에서 허공에 떠 있기 때문에 삽입된 카드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압될 경우 동판의 피로에 의해 탄성을 잃게 되어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고, 심지어는 절단될 수도 있게 되므로, 카드와의 접속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다른 문제점은,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22, 132)가 카드 쪽으로 향하게 하고 카드 쪽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소켓단자(121, 131)들을 을(乙)자 모양으로 프레스 공정에서 굴곡함에 있어서, 모든 소켓단자의 굴곡각도를 일치시키기 쉽지 않아서 접점부(122, 132)의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접속불량과 함께 소켓단자의 부러짐 현상이 발생하고, 이런 접속불량과 부러짐은 반복적인 카드의 장착과 분리에 의해 더욱 심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예를 들어 스마트카드(101)를 삽입하면, 스마트카드(101)의 압력에 의해 그 아래에 있는 소켓프레임(110)의 플라스틱 부분이 아래로 내려 앉아 메모리카드용 소켓(130)의 공간을 좁게 만들기 때문에, 메모리카드의 삽입 또는 발취(일반적으로 메모리카드의 장착에는 슬라이더-캠이 사용됨)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이런 문제는 카드 장착 횟수가 거듭될수록 심해지게 된다는 것이다.
도9와 도10에서 도면부호 125와 135는 프레스 공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테두리로서 최종 듀얼카드소켓(100)에서는 제거되는 부분이고, 도9의 도면부호 126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소켓단자(121)를 제조할 때 절단되어 폐기되는 금속스크랩이며, 도8과 도10에서 도면부호 136은 메모리카드의 삽입여부를 검출하는 메모리카드 인식단자이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 이동통신단말기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1221호(2007. 07. 09. 출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를 제안한바 있으며, 본 제안은, 소켓단자의 접점부에 넓게 확장된 확장매립편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매립편을 그 주변의 소켓프레임에 매립함으로써, 소켓단자의 접점부의 위치가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되게 하고 카드의 장착과 분리가 반복적으로 실행되어도 접점부의 위치가 이탈될 염려가 없게 하여 소켓단자의 위치변경이나 피로에 따른 탄성손실 또는 절단 등으로 인한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주변 전체의 소켓프레임이 협력적으로 전체 소켓단자들의 전체 지지부들과 접점부들을 견고하게 지탱하여 스마트카드와 메모리카드가 동시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소켓프레임이 변형되어 카드를 압박하는 것에 따른 카드의 삽입 또는 발취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1221호의 제안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카드(101)를 삽입한 후 메모리카드(102)를 삽입할 때, 스마트카드와 메모리카드의 중간에 위치하는 소켓프레임(110)의 플라스틱 부분의 일부가 스마트카드(101)의 압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 앉아 메모리카드용 소켓(130)의 공간을 침범함으로 인하여, 메모리카드(102)의 삽입 또는 발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는 충분히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마트카드(101)가 삽입되면 소켓프레임(110)에 매립된 스마트카드용 소켓단자(121: 일반적으로 6개 또는 8개)는 스마트카드(101)에 의해 지속적인 접촉 압력을 받게 되는 바(예를 들어 각각의 단자에 100g 정도의 하중이 가해길 경우 총 6개의 단자에 대해 600g의 하중이 가해짐), 이로써 삽입된 스마트카드(101)가 스마트카드용 소켓단자(121)가 매립된 부분의 스마트카드용 소켓(120)과 메모리카드용 소켓(130)의 중간 경계를 이루고 있는 소켓프레임(110)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때문에 소켓프레임(110)이 아래로 처지는 쪽으로의 변형(메모리카드용 소켓의 카드삽입공간이 좁아지는 쪽으로의 변형)이 점차로 진행되며, 결국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메모리카드의 삽입 및 발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분의 소켓프레임(110)의 플라스틱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카드의 압력에 보다 잘 견디도록 할 수 있지만, 이런 두께의 보강은 듀얼카드소켓의 두께 사이즈 증가를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휴대전화기의 두께 증가를 유발하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소켓이 상하 적층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카드소켓에 관련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드를 삽입할 때 양 소켓 사이의 소켓프레임이 삽입된 일측 카드(예, 스마트카드)의 압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다른 카드(예, 메모리카드)의 삽입 및 발취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아울러 양 소켓 사이의 소켓프레임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듀얼카드소켓 자체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듀얼카드소켓이 장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대 시킨,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카드소켓의 소켓프레임에 장착되고, 삽입되는 카드의 카드단자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단자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카드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단자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는, 상기 카드단자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소켓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구 중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구에 배치되어 대응하는 상기 카드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 상기 접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켓프레임 속에 인서트 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켓프레임으로부터 노출되어 외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자의 상기 지지부는, 인접한 다른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쇼트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금속판의 가능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확장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프레임 속에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인서트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는 상기 듀얼카드소켓에 삽입되는 스마트카드의 2열 배치된 상기 카드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이고, 상기 확장판은 상기 단자 중에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단자의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장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판의 상하에 사출되는 상기 소켓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에서 상하 관통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의 상기 확장판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에 의하면, 상기 소켓단자를 구성하는 상기 단자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소켓프레임 내에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인서트 되어 있고, 넓은 면적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소켓프레임 내에서 보강 작용을 하고 가해지는 카드의 압력을 적절히 분산시키게 되므로, 2개의 소켓이 상하 적층구조로 되어 있는 각각의 소켓에 카드를 삽입할 때, 양 소켓 사이의 상기 소켓프레임이 변형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소켓프레임의 변형으로 인하여 카드의 삽입 및 발취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에 의하면, 상기 단자의 상기 지지부의 보강 작용과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분산작용에 의해, 상기 소켓프레임의 변형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양 소켓 사이의 상기 소켓프레임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는 여력을 가지게 되므로, 듀얼카드소켓은 물론 듀얼카드소켓이 장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 용 소켓단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의 사시도,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소켓단자들의 장-단자와 단-단자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소켓단자가 적용된 예시적인 듀얼카드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1)는, 종래의 일반적인 듀얼카드소켓의 소켓단자와 마찬가지로, 듀얼카드소켓(3)의 소켓프레임(4)을 사출 성형할 때 인서트 되며(도5 참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판과 같이 전기전도율이 양호한 넓은 금속판(2)을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소켓단자(1)는 2개의 카드(5, 6)의 삽입으로 인하여 소켓프레임(4)의 변형이 유발될 수 있는 듀얼카드소켓(3)의 소켓단자로 사용되기 적합하며,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구체예는, 2개의 카드(5)로서 스마트카드(5)와 메모리카드(6)가 상하 적층 장착되는 듀얼카드소켓(3)에 있어서, 스마트카드(5)가 장착되는 스마트카드용 카드소켓(3a)에 적용하지 적합한 소켓단자에 본 발명의 소켓단자(1)를 적용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소켓단자(1)가 스마트카드용 소켓단자이고, 적용되는 카드가 스마트카드(5)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켓단자(1)는 다수의 단자(10)를 구비하는 바,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듀얼카드소켓(3)의 스마트카드용 카드소켓(3a)에 삽입되는 스마트카드(5)의 2열 배치의 카드단자(5a)의 개수(예, 6개 또는 8개 등)에 대응하는 개수(예, 6개 또는 8개 등)의 2열 배치의 단자(10)를 구비하고, 듀얼카드소켓(3)의 스마트카드용 카드소켓(3a)에 스마트카드(5)를 삽입하면 각각의 단자(10)는 스마트카드(5)의 대응하는 카드단자(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5에서 메모리카드(6)가 삽입되는 메모리카드용 카드소켓(3b)에 설치되는 소켓단자(7)는, 삽입된 메모리카드(6)의 카드단자(6a)에 의해 소켓단자(7)가 가압되어도 소켓프레임(4)의 변형이 유발될 염려가 거의 없으므로, 발명의 소켓단자(1)를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의 소켓단자(1)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자(10)는, 종래의 일반적인 소켓단자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기능적으로 접점부(20), 지지부(30) 및 회로연결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점부(20)는, 카드단자(5a)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소켓프레임(4)에 형성된 관통구(4a) 중에 대응하는 관통구(4a)에 각각 배치되어 삽입된 스마트카드카드(5)의 대응하는 카드단자(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카드단자(5a)와의 탄성적 접속을 위해 접점부(20)는 그 단부가 삽입되는 스마트카드(5) 쪽으로 향하여 탄성 절곡되어 있다.
지지부(30)는 접점부(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소켓프레임(4) 속에 인서트 된다.
회로연결부(40)는 지지부(3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소켓프레임(4)으로부 터 노출되어 외부의 회로(예, 휴대전화기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단자(10)들 중에 적어도 일부 단자(10)의 지지부(30a)는, 인접한 다른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쇼트되지 않는 범위에서 금속판(2)의 가능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확장판(31)으로 형성되어 소켓프레임(4) 속에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인서트 되어 있다.
도1에 예시된 구체예에서, 6개의 단자(10)들 중에 지지부(30a)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단자(10a: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그 길이가 긴 3개 단자)들의 지지부(30a)는, 인접한 다른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쇼트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넓은 면적의 금속판(2)을 확보하여 확장판(3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확장판(31)은 소켓프레임(4) 속에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인서트 되어 있게 된다.
즉, 예시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소켓단자(1)를 구성하는 6개의 단자(10)는 그 접점부(20a)가 회로연결부(40)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지지부(30a)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3개의 장-단자(10a)와, 회로연결부(40)로부터 접점부(20a)가 가까이 위치하여 지지부(30b)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3개의 단-단자(10b)로 구성된다.
6개의 단자(10) 중에 3개의 단-단자(10b)는 그 지지부(30b)의 길이가 짧고 지지부(30b)의 인서트 위치가 소켓프레임(4)의 테두리 중에 바닥에 닿아 있는 테두리(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쪽의 테두리)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구조적인 강도가 강하므로, 스마트카드용 카드소켓(3a)에 스마트카드(5)가 삽입되어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주변의 소켓프레임(4)이 아래로 처지는 변형이 일어날 염려가 실질적으로 적으며, 따라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이 실질적으로 필요하지 않 다.
그러나 6개의 단자(10) 중에 3개의 장-단자(10a)는 그 지지부(30a)의 길이가 길고 소켓프레임(4)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인서트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므로, 스마트카드용 카드소켓(3a)에 스마트카드(5)가 삽입되어 압력이 가해질 때, 장-단자(10a)와 함께 소켓프레임(4)의 특히 중심 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소켓단자(1)는 전체의 단자(10) 중에 적어도 장-단자(10a)의 지지부(30a)를 넓은 확장판(31)으로 형성함으로써 소켓프레임(4) 속에 인서트 된 지지부(30a)가 소켓프레임(4) 속에서 보강 구조물로서의 역할을 하고 삽입된 카드(5)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히 분산시키도록 한 것이다. 물론 단자(10)의 배치를 달리 할 경우, 단-단자(10b)의 지지부(30b)도 확장판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1과 내지 도4에 도시된 확장판(31)의 형상은 단지 하나의 예시들로서, 인접한 다른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쇼트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확장판(31)을 소켓프레임(4) 속에서 보강 구조물로서의 역할을 하고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은 당연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소켓단자(1)나 종래의 소켓단자(121)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하는 바, 이때 소켓단자(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프레싱 가공시 금속스크랩(2a, 도8의 126)으로 폐기되는 부분(물론 이들 금속스크랩은 녹여서 다시 재활용 되지만)이므로, 지지부(30a)를 넓은 확장 판(31)으로 형성한다고 하여도 금속판(2)의 사용량이 늘어나지는 아니한다.
도시된 구체예와 같이, 장-단자(10a)의 접점부(20a)는, 삽입된 스마트카드(5)의 카드단자(5a)에 대응하는 위치의 지지부(30a)의 확장판(31)을, 접점부(20a)의 형상(대략 ㄷ자 형상)으로 커팅 하되, 접점부(20a)의 상하 탄성적 이동이 원활하도록 접점부(20a)의 3면의 둘레에 절취부(21)를 구비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켓단자(1)의 단자(1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소켓프레임(4)을 사출 성형할 때 플라스틱 합성수지 내에 인서트 되는 바, 소켓프레임(4)의 소재는 적어도 지지부(30a)의 확장판(31)의 상하를 피복하여 적층된다.
이와 같이 소켓프레임(4)이 넓은 면적의 확장판(31)을 피복할 때, 지지부(30a)를 구성하는 금속판과 소켓프레임(4)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사이의 접합력이 약할 경우, 지지부(30a)와 소켓프레임(4)이 양호한 접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층이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층-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30a)를 구성하는 확장판(31)에는 적절한 크기와 개수의 관통홀(32)을 형성할 수 있으며, 관통홀(32)을 형성함에 따라 그 확장판(31)의 상하에 소켓프레임(4)이 사출될 때, 소켓프레임(4)의 소재(예,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관통홀(32)에서 만나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층간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좌측의 확장판(31)에는 큰 관통홀(32) 6개와 작은 관통홀 1개, 중앙의 확장판(31)에는 작은 관통홀(32) 1개, 우측의 확장 판(31)에는 큰 관통홀 3개와 작은 관통홀 1개를 각각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관통홀(32)의 형상과 배치는 단지 하나의 예시로서, 정사각형, 직사각형, 빗살무늬형 등 소켓프레임(4)의 소재의 층간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과 배치로 할 수 있다.
도3과 도4에 예시된 지지부(30a)의 확장판(31)은, 그 상하에 피복되는 소켓프레임(4)과의 접합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하고, 확장판(31)의 강도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 절곡부(33)를 형성한 예로서, 도3은 확장판(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절곡부(33)를 평행하게 다수 형성한 예이고, 도4는 확장판(31)의 양단에 절곡부(33)를 형성한 예이다.
이와 같이 확장판(31)에 절곡부(33)를 형성함에 따라, 피복되는 소켓프레임(4)과의 접합상태가 더욱 양호해지고, 확장판(31)의 구조적인 강도가 더욱 강해지므로, 소켓프레임(4)의 변형을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절곡부(33)를 형성할 경우 지지부(30a)의 상하의 높이가 절곡부(33)의 높이만큼 높아져서 결과적으로 소켓프레임(4)의 상하 두께가 다소 증가할 수 있는 바, 따라서 절곡부(33)는 듀얼카드소켓(3)의 사이즈가 다소 커져도 관계가 없는 경우에 적용하기 바람직하다.
도3과 도4는 확장판(31)에 적용할 수 있는 절곡부(33)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그 배치, 크기 및 개수 등을 달리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켓단자(1)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소 켓단자(1)의 다양한 변형 중에 또 다른 하나를 예시한 것으로서, 관통홀(32)과 절곡부(33)가 형성된 예인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켓단자(1)는 확장판(31), 관통홀(32) 및 절곡부(33)의 형상, 개수 및 그 배치 등을 매우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도1과 도6에 도시된 구체예에는 1개 단위의 금속판(2)에 스마트카드용 소켓(3a)에 적용하기 적합한 본 발명의 소켓단자(1)와 메모리카드 인식단자(8)를 함께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것인 바, 스마트카드용 소켓(3a)과 함께 듀얼카드소켓(3)에 널리 적용되는 메모리카드용 소켓(3b)에 적용되는 메모리카드용 소켓단자(7)는, 예를 들어 별도의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도1의 금속판(2) 중에 빈 공간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소켓단자(1)와 함께 형성할 수 있고, 이렇게 제작된 메모리카드용 소켓단자(7)는 소켓프레임(4)에 미리 형성해둔 홈(보이지 않음)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전체의 듀얼카드소켓(3)을 완성할 수 있다.
도1과 도6에서 본 발명의 소켓단자(1)를 감싸고 있는 테두리(2b)는, 본 발명의 소켓단자(1)를 제작하는 프레싱 과정에서는 금속스크랩으로 제거되지 않고 유지된 후에, 본 발명의 소켓단자(1)를 소켓프레임(4)에 인서트 한 후에 제거되는 부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프레임(4)의 상하에는 소켓프레임(4)과 협력하여 스마트카드용 소켓(3a)과 메모리카드용 소켓(3b)을 각각 형성하는 스마트카드용 상부 및 하부 커버(9)가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소켓단자(1)에 의하면, 지지부(30a)의 확장 판(31)의 보강 작용과 가해지는 압력의 분산 작용을 통해, 지지부(30a)가 인서트 된 소켓프레임(4)이 같은 두께라면 그 변형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같은 강도의 소켓프레임(4)을 제공하고자 할 때, 종래에 비해 변형의 가능성이 낮아진 만큼 소켓프레임(4)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듀얼카드소켓(3)의 두께와 듀얼카드소켓(3)이 장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소켓단자의 장-단자와 단-단자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소켓단자의 장-단자와 단-단자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소켓단자의 장-단자와 단-단자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소켓단자가 적용된 예시적인 듀얼카드소켓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의 사시도,
도7은 종래의 듀얼카드소켓이 적용된 일반적인 휴대전화기의 개략도,
도8은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종래 듀얼카드소켓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9와 도10은 일반적 종래 듀얼카드소켓에 적용된 스마트카드용 소켓단자와 메모리카드용 소켓단자의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소켓단자 2: 금속판
2a: 금속스크랩 2b: 테두리
3: 듀얼카드소켓 3a: 스마트카드용 소켓
3b: 메모리카드용 소켓 4: 소켓프레임
4a: 관통구 5: 카드(스마트카드)
5a: 카드단자 6: 메모리카드
7: 메모리카드용 소켓단자 8: 메모리카드 인식단자
9: 커버 10: 단자
10a: 장-단자 10b: 단-단자
20, 20a: 접점부 21: 절취부
30, 30a, 30b: 지지부 31: 확장판
32: 관통홀 33: 절곡부
40: 회로연결부

Claims (4)

  1. 금속판(2)을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카드소켓(3)의 소켓프레임(4)에 장착되고, 삽입되는 카드(5)의 카드단자(5a)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단자(10)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단자(10)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카드단자(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10)는, 상기 카드단자(5a)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소켓프레임(4)에 형성된 관통구(4a) 중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구(4a)에 배치되어 대응하는 상기 카드단자(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20), 상기 접점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켓프레임(4) 속에 인서트 되는 지지부(30), 및 상기 지지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켓프레임(4)으로부터 노출되어 외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연결부(4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자(10)의 상기 지지부(30a)는, 인접한 다른 상기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쇼트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금속판(2)의 가능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확장판(31)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프레임(4) 속에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인서트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0)는 상기 듀얼카드소켓(3)에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5)의 2열 배치된 상기 카드단자(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10)이고, 상기 확장판(31)은 상기 단자(10) 중에 적어도 상기 지지부(30a)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단자(10a)의 상기 지지부(30a)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31)에는 관통홀(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판(31)의 상하에 사출되는 상기 소켓프레임(4)은 상기 관통홀(32)에서 상하 관통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a)의 상기 확장판(31)에는 절곡부(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KR1020070134122A 2007-12-13 2007-12-20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KR200900630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9723 2007-12-13
KR1020070129723 2007-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033A true KR20090063033A (ko) 2009-06-17

Family

ID=4099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122A KR20090063033A (ko) 2007-12-13 2007-12-20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30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3886B2 (en) 2009-10-15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68927Y1 (ko) * 2012-05-07 2013-09-09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나노심 소켓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3886B2 (en) 2009-10-15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68927Y1 (ko) * 2012-05-07 2013-09-09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나노심 소켓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0788B2 (en) Dual memory card socket
CN1628320B (zh) 具有向后兼容的缩小尺寸的芯片卡及其适配器
US8827158B2 (en) Multi-chip card
KR100875952B1 (ko) 전자카드 및 그 제조방법
US7409225B2 (en) Dual connection device for memory medium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the same
JP2757309B2 (ja) Icカードの構造
US6151511A (en) Adapter for integrated circuit cards for cellular telephones
CN1720767B (zh) 微型集成电路卡在存储卡连接器中的电连接适配器
US20090230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actless smartcard incorporating a mechanical switch
CN105512715B (zh) 芯片卡模块装置、芯片卡装置和用于制造芯片卡装置的方法
US20090200381A1 (en) Chip card for insertion into a holder
CN101019133A (zh) 存储卡连接器
CN102609753B (zh) 识别身份的证件用的应答器嵌件和用于制造应答器嵌件的方法
US20090111522A1 (en) Smart C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ard
CN114764606A (zh) 用于直接连接或电感耦合技术的卡嵌体
KR2009006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CN1333368C (zh) 电子数据存储介质
KR20090012629U (ko) 이동통신단말기 듀얼카드소켓용 소켓단자
KR100683835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
KR20090012142U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카드소켓
KR20090006154U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카드소켓
WO2004023386A1 (en) Combination-type ic c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mbination-type ic card
US1150112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etal radio-frequency chip card with improved electromagnetic permittivity
US20230136355A1 (en) A pre-package for a smartcard, a smartcard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0413779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