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752A -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752A
KR20090062752A KR1020070130184A KR20070130184A KR20090062752A KR 20090062752 A KR20090062752 A KR 20090062752A KR 1020070130184 A KR1020070130184 A KR 1020070130184A KR 20070130184 A KR20070130184 A KR 20070130184A KR 20090062752 A KR20090062752 A KR 20090062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flow path
refrigerant
oil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337B1 (ko
Inventor
임권수
김민규
이정재
윤덕빈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3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63Actuating-element bearing means or driving-axis bea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의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보어(134) 내에서 피스톤(150)을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해 사판(144)이 결합된 회전축(140)을 사용한다. 상기 회전축(140)의 내부에는 유로(14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40)의 일단에는 개구되게 개구부(141c)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40)의 개구부(141c)에는 캡(143)이 설치되어, 상기 유로(141)의 일단부를 차폐한다. 상기 캡(143)에는 상기 유로(141) 내부의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공(14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캡(143)이 상기 유로(141)의 개구부(141c)를 차폐하여, 상기 개구부(141c)를 통해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3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의 실린더보어(134) 각각에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균일하게 되므로, 사판식 압축기의 맥동 및 소음을 줄이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판식 압축기, 회전축, 유로, 오일유로, 캡, 오일공

Description

사판식 압축기{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실로 전달된 냉매가 회전축에 설치된 사판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는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된 냉매를 흡입하여 액화하기 쉬운 고온과 고압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실제로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축을 사용하여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다.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회전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사판식 압축기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사판식 압축기(1)의 골격과 외관 을 전후방하우징(10,20)과 전후방실린더블록(30,30')이 형성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30,30')이 서로 결합되고 그 양단에 상기 전후방하우징(10,20)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전후방하우징(10,20)에서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30,30')과 접촉하는 면에는 토출실(12,22)이 각각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2,22)은 상기 전후방하우징(10,20)의 내면을 둘러 형성되어,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30,30')에 구비된 실린더보어(34)와 후술할 밸브유니트(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30,30')에서 서로 결합되는 면에는 요입된 부분이 형성되어 사판실(31)을 형성한다. 상기 사판실(31)에는 후술할 회전축(40)이 관통하고 회전축(40)에 결합된 사판(42)이 위치한다.
상기 후방실린더블록(30')에는 보조냉매유로(30")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냉매유로(30")는 상기 사판실(31)로 유입된 냉매의 일부를 후술할 회전축(40)의 유로(40')로 유입시키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30,30')의 중앙에는 축지지공(32)이 구비된다. 상기 축지지공(32)은 후술할 회전축(4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축지지공(32)의 내경은 회전축(40)의 외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30,30')에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34)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34)에는 후술할 피스톤(50)이 안착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며 냉매를 압축시킨다.
상기 축지지공(32) 및 상기 전방하우징(10)을 관통해서는 외부 구동원에 의 해 회전되는 회전축(4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4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40)은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후술할 사판(42)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4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40')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40')는 상기 회전축(40)의 내부에 회전축(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참고로, 도 1에서 상기 유로(40') 내부의 화살표는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다.
상기 회전축(40)의 일단에는 개구되게 개구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0")는 드릴링 가공에 의해 상기 유로(40')를 가공할 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40")를 통해 상기 보조냉매유로(30")로 유입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유로(40')로 유입된다.
상기 회전축(40)에는 상기 유로(40')로 냉매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입구(40a)와 출구(40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입구(40a)는 상기 사판실(31)과 연통되고, 상기 출구(40b)는 상기 실린더보어(34)와 각각 연통된다.
상기 회전축(40)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사판(42)이 회전축(40)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사판(42)의 중앙에는 허브(44)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중앙을 관통하여 축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44')에 상기 회전축(40)이 압입되어 상기 사판(42)이 상기 회전축(40)에 설치된다.
상기 허브(44)에는 연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44")은 상기 허브(44)의 외주면에 상기 축공(44')과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44")은 상기 회전축(40)의 유로(40')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역할을 한 다.
상기 허브(44)의 양측면에는 베어링(45)이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45)은 상기 회전축(40)이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럭(30,3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판(4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슈(46)가 설치된다. 상기 슈(46)는 상기 사판(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34)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피스톤(50)이 직선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50)은 상기 슈(4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사판(42)과 연결되어 상기 사판(42)이 회전함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전방하우징(10)과 전방실린더블록(30) 사이와 상기 후방하우징(20)과 후방실린더블록(30') 사이에는 밸브유니트(6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밸브유니트(60)는 상기 실린더보어(34)와 상기 토출실(12,22)을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압축된 냉매의 토출을 제어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30,30')에는 상기 토출실(12,22)과 연통되게 머플러(61)가 형성된다. 상기 머플러(61)는 냉매의 맥동과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보조냉매유로(30") 또는 압축기(1) 내부의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회전축(40)의 개구부(40")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상기 회전축(40)의 유로(40')에서의 냉매 흐름 상 상기 후방실린더블록(30')의 실린더보어(34)로만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되면, 상기 전방실린더블록(30)의 실린더보어(34)와 상기 후방실린더블록(30')의 실린더보어(34)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달라지게 되어, 냉매의 압축시 상기 사판(42)에 걸어지는 부하가 균일하지 못하여, 상기 압축기(1)의 맥동 및 소음이 증가하고,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의 유로를 통해 압축기 각각의 실린더보어로 균일하게 냉매가 유입되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의 적어도 양단 외관을 형성하는 전후방하우징; 상기 전후방하우징의 사이에 위치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축지지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실린더보어 및 사판실을 구비하는 전후방실린더블록;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냉매를 상기 실린더보어로 전달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일측에 개구되게 개구부가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사판실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사판; 그리고, 상기 사판과 연결되고, 사판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보어 내를 직선왕복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후방실린더블록에 위치하는 일단에는 상기 유로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캡이 결합된다.
상기 후방실린더블록에는 상기 사판실과 연통되는 오일유로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에는 오일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일공을 통해 배출된 오일이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상기 사판실로 유입된다.
상기 캡에는 상기 유로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기 오일공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의 유로의 개구부에는 캡이 설치되어, 개구부가 차폐되므로, 개구부를 통해 압축기 내부의 냉매가 후방실린더블록의 실린더보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회전축의 유로로 유입된 냉매만이 실린더보어로 유입되므로 각각의 실린더보어에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냉매의 압축시 사판에 걸어지는 부하가 균일하게 되어, 사판식 압축기의 맥동 및 소음이 줄어들고, 더 나아가 제품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축 및 캡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사판식 압축기(100)의 외관 및 골격은 전후방하우징(110,120)과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하우징(110,120)은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이 결합된 후 그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후방하우징(110,120)은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과 함께 고정볼트(S)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S)는 상기 전후방하우 징(110,120)과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을 모두 관통한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전후방하우징(110,120)의 내부에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하우징(110)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스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보스부(112)의 중앙에 후술할 회전축(140)이 관통하는 축통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하우징(110)에서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30)과 마주보는 면에는 토출실(114)이 대략 링형상의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14)은 상기 전방실린더블록(130)에 구비된 실린더보어(134)와 후술할 밸브유니트(1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후방하우징(120)은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30')의 일면에 장착된다. 상기 후방하우징(120)에서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30')과 마주보는 면에는 토출실(124)이 대략 링형상의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24)은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30')에 구비된 실린더보어(134)와 후술할 밸브유니트(1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후방하우징(120)의 중앙에는 오일저장부(125)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일저장부(125)는 후술할 회전축(140)의 개구부(141c)를 통해 배출된 오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의 서로 결합되는 면에는 요입된 부분이 형성되어 사판실(131)이 형성된다. 상기 사판실(131)에는 후술할 회전축(140)에 설치된 사판(144)이 위치하여 회전한다.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30')에는 오일유로(130")가 회전축(14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일유로(130")는 상기 사판실(131)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하우징(120)의 오일저장부(125)와 연통된다. 상기 오일유로(130")는 후술할 회전축(140)의 유로(141)로 유입된 오일의 일부가 회전축(140)에 설치된 캡(143)의 오일공(143')을 통해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20)의 오일저장부(125)로 배출된 후 상기 오일저장부(125)에서 상기 사판실(131)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의 중앙에는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을 함께 관통하여 축지지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공(132)에는 후술할 회전축(140)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축지지공(132)의 내경은 회전축(140)의 외면이 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에는 상기 축지지공(132)을 중심으로 원통형상의 실린더보어(134)가 상기 축지지공(13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34)는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34)와 상기 축지지공(132)은 흡입통로(136)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상기 흡입통로(136)는 후술할 회전축(140)의 유로(141)로 전달된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34)로 각각 전달되게 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에는 상기 토출실(114,124)과 연통되게 토출통로(138)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통로(138)는 상기 실린더보어(134)의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40은 회전축이다.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축통공(112')과 상기 축지지공(132)을 함께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40)은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축(140)의 내부에는 유로(141)가 상기 회전축(1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로(141)는 냉매가 유동되는 통로이다.
상기 회전축(140)에는 상기 유로(141)와 연통되는 입구(141a)와 출구(141b)가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입구(141a)와 출구(141b)를 통해 상기 유로(141)로 냉매가 유입되고 배출된다.
상기 회전축(140)의 일단에는 개구부(141c)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41c)는 상기 회전축(140)에 드릴링가공을 통해 상기 유로(141)를 가공할 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41c)에는 캡(143)이 설치된다. 상기 캡(143)은 상기 개구부(141c)를 막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사판실(131)과 상기 회전축(140)의 유로(141)는 상기 후방하우징(130')의 오일유로(130")에 의해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사판실(131) 내에 위치한 냉매가 상기 오일유로(130")를 통해 상기 회전축(140)의 유로(14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오일유로(130")를 통해 냉매가 상기 회전축(140)의 유로(141)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캡(143)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개구부(141c)로 냉매가 유입되지 않아, 상기 회전축(140)의 각각의 입구(141a)에서 각각의 출구(140b)까지의 거리가 동일하여 상기 각각의 실린더보어(134)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균일하게 된다.
만일 상기 회전축(140)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개구부(141c)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상기 캡(143)은 필요없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140)의 내부에 상기 유로(141) 모양의 중자를 두어 제작한 후, 상기 중자를 녹여 상기 회전축(140)에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회전축(140)을 생상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중자를 두어 상기 회전축(140)을 생산하는 경우, 제품의 생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은 있다.
상기 캡(143)에서 상기 회전축(140)에 접하는 면에는 삽입부(14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43')는 상기 회전축(140)의 유로(141)로 삽입되어 상기 캡(143)을 상기 회전축(1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부(143')는 상기 회전축(140)의 유로(141)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삽입부(143')와 상기 유로(141)의 사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을 통해 상기 캡(143)이 상기 회전축(1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캡(143)에는 오일공(143")이 상기 삽입부(14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오일공(143")은 상기 유로(141)의 내부에 위치한 오일이 상기 오일유로(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축(140)의 유로(141)에는 냉매와 오일이 섞인 상태로 유입된다. 하지만, 상기 회전축(14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냉매와 오일은 분리되고, 냉매보다 비중이 큰 오일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40)의 유로(141)의 내벽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오일은 상기 유로(141)의 내벽을 따라 흐르다가 그 일부는 상기 캡(143)의 오일공(143")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오일유로(130")를 따라 상기 사판실(131)로 다시 유입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4의 점선으로 된 화살표는 오일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오일은 상기 유로(141)의 내벽을 따라 흐르므로, 오일이 상기 오일공(143")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오일공(143")은 상기 삽입부(143')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구(141a)는 후술할 허브(146)의 연통공(146b)과 연통되고, 상기 출구(141b)는 상기 실린더보어(134)와 연통된다. 상기 출구(141b)의 위치는 각각의 실린더보어(134)에서 진행되는 냉매의 압축과정에 알맞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축(140)에서 상기 사판실(131)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사판(144)이 결합된다. 상기 사판(144)은 상기 회전축(14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회전축(140)에 결합된다. 상기 사판(144)은 상기 회전축(140)과 함께 회전하여 후술할 피스톤(150)을 상기 실린더보어(134)에서 직선왕복운동시킨다. 상기 사판(144)의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허브(146)가 구비된다. 상기 허브(146)의 중앙에는 축공(146a)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146a)으로 상기 회전축(140)이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허브(146)에는 연통공(146b)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146b)은 상기 축공(146a)과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146b)은 상기 허브(146)에서 상기 회전축(140)의 입구(141a)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사판(144)의 가장자리 양면에는 슈(14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슈(147)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판(144)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 여 상기 사판(144)과 후술할 피스톤(150)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준다.
상기 허브(146)의 양측면에는 베어링(148)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148)은 상기 사판(144)이 결합된 상기 회전축(140)이 상기 사판실(131)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보어(134)의 내부에는 피스톤(150)이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150)은 상기 실린더보어(134)의 내부와 대응되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보어(134)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시킨다. 참고로, 하나의 피스톤(150)의 일단이 위치되는 실린더보어(134)에서 압축이 일어나면 타단이 위치되는 실린더보어(134)에서는 흡입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피스톤(150)은 그 중앙이 상기 사판(144)과 상기 슈(147)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있어, 상기 사판(1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보어(134)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전방하우징(110)과 전방실린더블록(130) 사이와 상기 후방하우징(120)과 후방실린더블록(130') 사이에는 각각 밸브유니트(160)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유니트(160)는 상기 실린더보어(134)로 유입된 냉매가 실린더보어(134)의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에는 머플러(162)가 형성된다. 상기 머플러(162)는 냉매의 맥동과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머플러(162)에는 냉매를 상기 사판식 압축기(100)와 연결된 응축기(도시되지 않음)로 토출하는 토출포트(162')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동작과정 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40)이 회전하면, 상기 사판(144)이 상기 회전축(14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사판(144)이 회전하면서 상기 피스톤(150)이 상기 실린더보어(134)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회전축(140)이 회전하면서 상기 사판실(131)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연통공(146b)을 통해 상기 유로(141)로 유입된다. 상기 회전축(140)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140)의 출구(141b)와 상기 실린더보어(134)의 흡입통로(136)가 연통되게되면 상기 유로(141)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34)의 내부로 유입된다. 참고로 상기 실린더보어(134)로 냉매가 흡입되는 것은 상기 피스톤(150)이 해당되는 실린더보어(134)에서 하사점에 위치할 때이다.
상기 실린더보어(134)에 냉매가 전달되고, 해당되는 실린더보어(134)의 상기 피스톤(150)이 상기 밸브유니트(16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냉매가 압축된다. 상기 냉매가 압축되면서 상기 실린더보어(134)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상기 밸브유니트(160)가 개방된다.
상기 밸브유니트(160)가 개방되면 압축된 냉매는 상기 토출실(114,124)로 전달되고, 상기 토출실(114,124)로 전달된 냉매는 토출통로(138)를 거쳐 상기 머플러(162)로 전달되어 상기 머플러(162)의 토출포트(162')를 통해 응축기쪽으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140)의 개구부(141c)를 상기 캡(143)이 차폐하므로, 상기 개구부(141c)를 통해 상기 회전축(140)의 유로(141)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 각각의 실린더보어(134)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균일하게 유지된다.
상기 유로(141)의 내부에 위치한 오일은 상기 회전축(140)의 회전력에 의해 냉매와 분리되고, 그 일부가 상기 캡(143)의 오일공(143")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오일유로(130")를 따라 다시 사판실(131)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회전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축 및 캡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판식 압축기 110 : 전방하우징
112 : 보스부 112': 축통공
114 : 토출실 120 : 후방하우징
124 : 토출실 125 : 오일저장부
130 : 전방실린더블록 130': 후방실린더블록
130": 오일유로 131 : 사판실
132 : 축지지공 134 : 실린더보어
136 : 흡입통로 138 : 토출통로
140 : 회전축 141 : 유로
141a: 입구 141b: 출구
141c: 개구부 143 : 캡
143': 삽입부 143": 오일공
144 : 사판 146 : 허브
146a: 축공 146b: 연통공
147 : 슈 148 : 베어링
150 : 피스톤 160 : 밸브유니트
162 : 머플러 162': 토출포트
S : 고정볼트

Claims (3)

  1. 사판식 압축기(100)의 적어도 양단 외관을 형성하는 전후방하우징(110,120);
    상기 전후방하우징(110,120)의 사이에 위치되고 중앙을 관통하여 축지지공(132)이 형성되며, 내부에 실린더보어(134) 및 사판실(131)을 구비하는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
    상기 전후방실린더블록(130,13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냉매를 상기 실린더보어(134)로 전달하는 유로(14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41)의 일측에 개구되게 개구부(141c)가 형성되는 회전축(140);
    상기 회전축(140)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사판실(131)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140)과 함께 회전하는 사판(144); 그리고,
    상기 사판(144)과 연결되고, 사판(144)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보어(134) 내를 직선왕복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140)에서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30')에 위치하는 일단에는 상기 유로(141)의 개구부(141c)를 차폐하는 캡(143)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30')에는 상기 사판실(131)과 연통되는 오일유로(130")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143)에는 오일공(143")이 관통 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일공(143")을 통해 배출된 오일이 상기 오일유로(130")를 통해 상기 사판실(131)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143)에는 상기 유로(141)의 개구부(141c)에 삽입되는 삽입부(14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43')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기 오일공(143')이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KR1020070130184A 2007-12-13 2007-12-13 사판식 압축기 KR101107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184A KR101107337B1 (ko) 2007-12-13 2007-12-13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184A KR101107337B1 (ko) 2007-12-13 2007-12-13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52A true KR20090062752A (ko) 2009-06-17
KR101107337B1 KR101107337B1 (ko) 2012-01-19

Family

ID=4099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184A KR101107337B1 (ko) 2007-12-13 2007-12-13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290A (ko) * 2009-09-28 2011-04-05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5940B2 (ja) * 2003-02-04 2006-12-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JP2004278361A (ja) * 2003-03-13 2004-10-07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6291750A (ja) * 2005-04-06 2006-10-26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KR101031812B1 (ko) * 2005-12-26 2011-04-2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290A (ko) * 2009-09-28 2011-04-05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337B1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4232B2 (ja) 圧縮機
KR101031812B1 (ko) 압축기
KR101037177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46095B1 (ko) 압축기
KR101107337B1 (ko) 사판식 압축기
KR20090038145A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90559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58652B1 (ko) 압축기
KR101085618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59063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KR101184577B1 (ko) 압축기
KR101047693B1 (ko) 압축기
KR101515643B1 (ko) 압축기
KR101032196B1 (ko) 압축기
KR20100063426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085738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94625B1 (ko) 압축기
KR20100031409A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65978B1 (ko) 압축기
KR20110003883A (ko) 압축기
KR20120062371A (ko) 사판식 압축기
KR20120027793A (ko) 압축기
KR20100091506A (ko) 사판식 압축기
KR20110035598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10012930A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