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491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491A
KR20090061491A KR1020070128517A KR20070128517A KR20090061491A KR 20090061491 A KR20090061491 A KR 20090061491A KR 1020070128517 A KR1020070128517 A KR 1020070128517A KR 20070128517 A KR20070128517 A KR 20070128517A KR 20090061491 A KR20090061491 A KR 2009006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guide
coupling portion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542B1 (ko
Inventor
하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2 커넥터들과 각각 결합하는 제 1,2 결합부들을 포함한다. 제 1 커넥터는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제 2 커넥터는 제 2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1 커넥터를 제 2 결합부와 삽입하거나 제 2 커넥터를 제 1 결합부와 삽임 함으로써 발생하는 커넥터들의 손상이나 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들이 결합부들에 오삽입이 방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여러 가지 전자부품들을 연결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작업자가 상기 전자부품들과 회로기판을 연결 시, 커넥터들과 결합부들을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들은 형상이 모두 동일하고 상기 결합부들도 형상이 모두 동일하여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들을 상기 결합부에 오삽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 오삽입으로 인하여 세탁물 처리기기가 오작동하고 사용자는 수리를 위하여 많은 시간은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커넥터들이 결합부에에 오삽입을 방지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의 동일면에 배치되며, 제 1,2 커넥터들과 각각 결합되는 제 1,2 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서로 상이하거나,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회로기판의 동일면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커넥터들과 각각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들이 상기 결합부들에 오삽입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넥터들이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결합부들이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들의 형상 또는 색이 상이하거나, 결합부들의 형상 또는 색이 상이하다. 따라서 커넥터들은 결합부들과 각각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세탁물 처리기기의 조립 시, 커넥터를 결합부로 오삽입하여 발생하는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장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기판(184)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커넥터(160)와 제 1 결합부(163)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2 커넥터(165)와 제 2 결합부(168)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터브(미도시)를 지지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터브(미도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드럼(122)과, 드럼(122)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캐비닛(110)내에 배치되는 회로조립체(18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 전면에 배치되는 캐비닛 커버(112)와, 캐비닛 커버(112) 상면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115)과, 컨트롤패널(115) 상면에 배치되고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탑 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2)는, 포가 출입하는 포 출입홀(114)과, 캐비닛 커버(112)에 배치되며 포 출입홀(114)을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하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회로조립체(18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내부의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결합부들(187,188)을 포함하는 회로기판(185)과, 회로기판(185)을 보호하는 외장케이스(181)를 포함한다. 외장케이스(181)는, 외장케이스(181) 외측에 형성되며 회로기판(185)을 고정하는 체결돌기들(184)과, 외장케이스(181)의 바디부(182)를 포함한다. 회로기판(185)은, 회로기판(185)에 형성되며 외장케이 스(181)와 체결되는 결합돌기들(186)과, 회로기판(185)의 동일면에 배치되며 커넥터들(187,188)과 각각 결합하는 결합부들(미도시)과, 회로기판(185)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장케이스(181)를 고정하는 체결돌기들(184)을 포함한다. 따라서 결합돌기들(186)은 상기 결합홈들(183)에 삽입되고, 체결돌기들(184)은 외장케이스(181)의 체결돌기들(184)과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외장케이스(181)와 회로기판(185)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커넥터(160)와 제 2 커넥터(165)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제 1 커넥터(160)의 바디부는 사각형 모양의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한다. 반면, 제 2 커넥터(165)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커넥터(160)와 결합하는 제 1 결합부(163)도 제 1 커넥터(160)와 결합하도록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 2 결합부(168)도 제 2 커넥터(160)와 결합하도록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 1 커넥터(160)와 제 2 커넥터(165)는 서로 형상이 상이하도록 형성되거나 제 1 결합부(163)와 제 2 결합부(168)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제 1 커넥터(160)와 제 2 커넥터(165)의 형상은 상기의 형상도 포함하고, 제 1 커넥터(160)와 제 2 커넥터(165)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163)와 상기 제 2 결합부(168)도 상기의 형상도 포함하고, 제 1 결합부(163)와 상기 제 2 결합부(168)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60)와 제 2 결합부(168)는 결합하지 못하고, 제 2 커넥터(165)와 제 1 결합부(163)는 결합하지 못한다. 작업자가 회로기판(186)의 체결작 업 시, 혼동하여 제 1 커넥터(160)를 제 2 결합부(168)와 체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혼동으로 인하여 제 1 커넥터(160)가 제 2 결합부(168)에, 제 2 커넥터(163)가 제 1 결합부(163)에 결합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작업 시, 식별 가능하므로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므로 작업효율이 상승한다.
제 1 커넥터(160)와 제 2 커넥터(165)는 서로 상이한 형상뿐만 아니라, 서로 상이한 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은 제 1 커넥터(160)와 제 1 결합부(164)가 대응되고, 제 2 커넥터(165)와 제 2 결합부(168)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색은 제 1 커넥터(160)와 제 2 커넥터(165)가 서로 상이하여 작업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커넥터(160)와 제 1 결합부(163)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커넥터(165)와 제 2 결합부(168)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260)는 제 1 체결부(261)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263)는 제 1 체결부(261)와 체결되어, 제 1 커넥터(260)를 고정하는 제 1 수용부(264)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커넥터(265)는 제 2 체결부(267)를 포함한다. 제 2 결합부(268)는 제 2 체결부(267)와 체결되어, 제 2 커넥터(265)를 고정하는 제 2 수용부(269)를 포함한다. 제 1 체결부(261)는 제 2 체결부(267)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제 1 수용부(264)와 제 2 수용부(269)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체결부(261)와 제 2 체결부(267)의 형상이 상이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 1 커넥터(260)와 제 2 커넥터(265)를 식별할 수 있다.
제 1 수용부(264)와 제 2 수용부(269)의 모양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제 1 수용부(264)는 제 1 결합부(263)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 1 결합부(263)를 제 2 수용부(269)에 결합 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체결되지 못한다. 제 1 합부(263)와 제 2 수용부(269) 또는 제 2 결합부(268)와 제 1 수용부(264)는 결합이 불가능하므로 조립자가 혼동으로 인한 체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체결부(261)는, 제 1 커넥터(260)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 바디부(261a)와, 제 1 체결부 바디부(261a)에 형성되며 제 1 수용부(264)와 체결되는 제 1 결합돌기(261b)를 포함한다. 제 1 수용부(264)는, 제 1 결합부(263)로부터 연장되어 제 1 커넥터(260)와 결합력을 유지하는 제 1 수용부 바디부(264a)와, 제 1 수용부 바디부(264a)에 형성되고 제 1 결합돌기(261b)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제 2 결합돌기(264b)를 포함한다. 조립자가 상측방향에서 하측으로 제 1 커넥터(260)를 제 1 결합부(263)에 삽입하면, 제 1 결합돌기(261b)가 제 2 결합돌기(264b)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반면, 도 8을 참조하면, 제 2 커넥터(265)는, 제 2 커넥터(265)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바디부(267a)와, 제 2 수용부(269)와 결합하는 결합부재(267b)를 포함한다. 결합부재(267b)는 여러 가지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268)는 제 2 체결부(267)와 체결되어 제 2 커넥터(265)를 고정하는 제 2 수용부(269)를 포함한다. 제 2 수용부(269)는 결합부재(267b)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체결부(261)는 제 2 체결부(267)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수용부(264)와 제 2 수용부(268)도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체결부(261)는 제 2 수용부(268)와 체결되지 않고, 제 2 체결부(267)는 제 1 수용부(264)와 체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립자가 오삽입하더라도 제 1,2 커넥터(260,265)가 제 1,2 결합부(263,268)에 각각 고정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인지하여 올바른 결합을 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261)와 제 1 수용부(264) 또는 제 2 체결부(267)와 제 2 수용부(269)는 각각 체결되도록 여러 가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261)와 제 2 체결부(267)는 형성되는 위치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제 1 수용부(264)와 제 2 수용부(269)의 위치도 제 1 체결부(261)와 제 2 체결부(267)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자는 용이하게 제 1 커넥터(260)와 제 2 커넥터(265)의 구별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커넥터(160)와 제 1 결합부(16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커넥터(165)와 제 2 결합부(16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360)는, 제 1 가이드(361)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363)는 제 1 가이드(36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결합부(364)를 포함한다. 제 2 커넥터(365)는 제 2 가이드(367)를 포함하고, 제 2 결합부(368)는 제 2 가이드(367)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결합부(369)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361)는 제 2 가이드(367)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제 1 가이드결합부(364)는 제 1 가이드(361)와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가이드결합부(369)는 제 2 가이드(367)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가이드결합부(364)와 제 2 가이드결합부(369)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조립자가 제 1 커넥터(360)를 제 2 결합부(368)에 체결하거나 제 2 커넥터(365)를 제 1 결합부(363)에 체결하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체결되지 못한다. 또한, 제 1 가이드(361)와 제 2 가이드(367)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결합부(364)와 제 2 가이드결합부(369)도 제 1 가이드(361)와 제 2 가이드(367)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을 따라 취한 제 1 가이드(361)와 제 1 가이드결합부(364)가 결합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ⅩⅡ-ⅩⅡ을 따라 취한 제 2 가이드(367)와 제 2 가이드결합부(369)가 결합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가이드(361)는 제 1 가이드결합부(364)와 체결된다. 제 1 가이드(361)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361)는 요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결합부(364)는 상기 요철 형상에 대응 되어 제 1 가이드(361)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조립자가 제 1 가이드(361)를 제 1 가이드결합부(364)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결합력을 제공하면, 제 1 커넥터(360)는 제 1 체결부(365)와 체결된다.
반면,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가이드(367)는 돌기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가이드결합부(369)는 상기 돌기 형상이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가이드(367)를 제 2 가이드결합부(369)의 결합홈에 체결된다. 조립자는 제 2 가이드(367)를 제 2 가이드결합부(269)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결합력을 가하면, 제 2 가이드결합부(369)의 결합홈에 안내되어 체결된다.
한편, 제 1 가이드(361)와 제 2 가이드(367)는 여러 가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결합부(364)와 제 2 가이드결합부(369)도 여러 가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결합부(364)는 제 1 가이드(36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 2 가이드결합부(369)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므로 제 2 가이드(367)와 결합할 수 없다. 제 2 가이드결합부(369)는 제 2 가이드(367)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 1 가이드결합부(364)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므로 제 1 가이드(361)와 결합할 수 없다. 또한, 제 1 가이드(361)와 제 2 가이드(367)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제 1 커넥터의 하측방향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커넥터의 하측방향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커넥터(360)의 내부와 제 2 커넥터(365)의 내부가 서로 구별되도록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커넥터(360)는 제 1 결 합부(363)에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커넥터(365)는 제 2 결합부(368)에 결합하도록, 제 1 커넥터(360)의 내부와 제 2 커넥터(365)의 내부가 서로 상이하거나, 제 1 결합부(363)의 내부와 제 2 결합부(368)의 내부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넥터(360)의 내부 형상과 제 1 결합부(363)의 내부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 1 커넥터(360)는 제 2 결합부(368)와 결합할 수 없다.
제 2 커넥터(265)의 내부 형상과 제 2 결합부(368)의 내부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 2 커넥터(365)는 제 1 결합부(363)와 결합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가 혼동하여 제 1 커넥터(360)를 제 2 결합부(368)에 체결하거나 제 2 커넥터(365)를 제 1 결합부(368)에 체결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 1 커넥터(360)를 제 2 결합부(369)에 삽입하거나 제 2 커넥터(365)를 제 1 결합부(363)에 삽입으로 인한 회로기판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2 커넥터(360,365) 및 제 1,2 결합부(363,368)의 형상은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360)는 제 1 결합부(363)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커넥터(365)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커넥터(365)도 제 2 결합부(368)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 1 커넥터(360)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380)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300)는, 회로기판(380)의 동일면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커넥터들(미도시)과 각각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들과 상기 결합부들이 복수개인 경우에도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들이 각각 상이한 형상을 가지 므로 각각 대응되어 결합하는 상기 결합부들에 오삽입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각각의 커넥터들과 각각의 결합부들의 형상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오삽입을 방지하여 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기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커넥터와 제 1 결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2 커넥터와 제 2 결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커넥터와 제 1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커넥터와 제 2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커넥터와 제 1 결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커넥터와 제 2 결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을 따라 취한 제 1 가이드와 제 1 가이드결합부가 결합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ⅩⅡ-ⅩⅡ을 따라 취한 제 2 가이드와 제 2 가이드결합부가 결합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제 1 커넥터의 하측방향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커넥터의 하측방향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0 : 세탁물 처리기기 180 : 회로조립체
110 : 캐비닛 160 : 제 1 커넥터
111 : 캐비닛 본체 163 : 제 1 결합부
112 : 캐비닛 커버 165 : 제 2 커넥터
113 : 도어 168 : 제 2 결합부
115 : 컨트롤패널 181 : 외장케이스
116 : 탑 플레이트 184 : 회로기판

Claims (8)

  1. 회로기판의 동일면에 배치되며, 제 1,2 커넥터들과 각각 결합되는 제 1,2 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가 서로 상이하거나,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색과 상기 제 1 결합부의 색이 대응되고,
    상기 제 2 커넥터의 색과 상기 제 2 결합부의 색이 대응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제 1 커넥터를 고정하는 제 1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2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제 2 커넥터를 고정 하는 제 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2 체결부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1 수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2 수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제 1 체결부의 배치 위치가, 상기 제 2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제 2 체결부의 배치위치와 서로 상이한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가이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2 가이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는 상기 제 2 가이드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와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 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는,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제 1 가이드의 배치 위치가, 상기 제 2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제 2 가이드의 배치위치가 서로 상이한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내부와 상기 제 2 커넥터 내부가 서로 구별되도록 상이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내부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내부가 서로 상이하거나, 상기 제 1 결합부의 내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내부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8. 회로기판의 동일면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커넥터들과 각각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들이 상기 결합부들에 오삽입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넥 터들이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결합부들이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70128517A 2007-12-11 2007-12-11 세탁물 처리기기 KR101450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517A KR101450542B1 (ko) 2007-12-11 2007-12-11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517A KR101450542B1 (ko) 2007-12-11 2007-12-11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491A true KR20090061491A (ko) 2009-06-16
KR101450542B1 KR101450542B1 (ko) 2014-10-15

Family

ID=4099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517A KR101450542B1 (ko) 2007-12-11 2007-12-11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5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3091A (ja) * 2001-09-28 2003-04-08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070062282A (ko) * 2005-12-12 200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Pcb기판에 결합되는 전원단 커넥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542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55853A (zh) 衣物处理装置
KR102537237B1 (ko) 세탁기
KR101880083B1 (ko) 세탁기
US20080196751A1 (en) Dishwasher with accessible control unit, and associated method
US20070209403A1 (en) Washing machine
CN117005164A (zh) 衣物处理装置
KR20100083508A (ko)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US7752871B2 (en) Laundry machine
KR20090061491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05519711A (ja) 洗濯機
KR20060085804A (ko) 세탁기의 커넥터 어셈블리
US10681809B2 (en) Composite printed circuit board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59424A (ko)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CN216962389U (zh) 一种控制面板的安装结构及洗碗机
US20040154347A1 (en) Washing machine
CN216962388U (zh) 一种控制面板的安装结构及洗碗机
CN110952287B (zh) 壁挂式衣物处理设备
KR20140120784A (ko)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629009B1 (ko) 세탁기
CN118056043A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001234A (ko) 의류처리장치
CN117881832A (zh) 衣物处理装置
CN117897528A (zh) 衣物处理装置
CN117881831A (zh) 衣物处理装置
EP3775350A1 (en) A household appliance with enhanced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