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651A -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651A
KR20090059651A KR1020070126623A KR20070126623A KR20090059651A KR 20090059651 A KR20090059651 A KR 20090059651A KR 1020070126623 A KR1020070126623 A KR 1020070126623A KR 20070126623 A KR20070126623 A KR 20070126623A KR 20090059651 A KR20090059651 A KR 2009005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terminal
switching device
user in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513B1 (ko
Inventor
최성종
전인찬
김인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5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 컨텐츠, 컨텐츠 식별 정보, 방송 채널, POP(picture-out-of-picture)

Description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SWITCH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경우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형태에서 디지털 방송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 비해 용량을 4~8배로 늘릴 수 있으며, 자체 내장된 신호 처리 기능을 통하여 스포츠, 영화 등의 PPV(Pay-per-view) 서비스, 홈쇼핑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방송의 형태는 예컨대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과 같은 기존의 아날로 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 뿐만 아니라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위성 DMB와 같은 이동 상태에서의 방송 수신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로도 확산되고 있다. 또한 초고속 통신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인 IP-TV 서비스 역시 디지털 방송의 하나의 형태로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지상파 방송을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DMB 방송, IP-TV 등의 다양한 디지털 방송 형태가 제공됨에 따라 시청자의 방송 채널 선택 폭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또는 방송 서비스 수신 기능을 내장한 휴대용 기기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기기는 자체 내장된 동영상 코덱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MB 수신 기능이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는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방송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는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경우 방송 채널의 증가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기기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화면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1개뿐이다.
즉 예컨대 TV에서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하나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여 TV 화면에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DMB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는 동시에 하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PIP(Picture-in-Picture) 기능이 도입되었다.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PIP 기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1개의 주요(main) 화면(110)과 1개 또는 그 이상의 부(sub) 화면(120)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종래의 TV 서비스에 있어서, 주요 화면(110)은 예컨대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부화면(120)에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지는 않지만 어떠한 내용이 방송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의 방송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부화면(120)에는 TV에 연결되는 DVD 플레이어나 VTR 등에서 재생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PIP 기능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우선 디지털 방송에서 PI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튜너를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튜너의 사용은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
또한 PIP 기능을 이용하여 부화면(120)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주요 화면(110)의 일부 부분을 가리게 되므로 사용자의 TV 시청시 불편함을 가져온다.
한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환경의 다변화에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퇴근길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좀 더 큰 화면을 제공하는 TV를 통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A라는 DMB 채널에 대응되는 DMB 방송을 시청하던 경우라면,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의 전원을 켠 후, A라는 DMB 채널에 대응하는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의 채널로 전환하여 연속적으로 동일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가 이를 입력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송 서비스가 아니라,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에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고, 또한 TV에 연결된 동영상 재생 장치에 B에 대응되는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사용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B 컨텐츠를 시청하던 경우라면,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의 전원을 켠 후, 동영상 재생 장치에서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한 후 재생하는 것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저장 위치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가 이를 기초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I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1 디스 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와,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일체형으로 구 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와, 상기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 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상기 제2 디스 플레이 단말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 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컨텐츠 전환 시스템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컨텐츠 전환 시스템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장치에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에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컨텐츠 전환 시스템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 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컨텐츠 전환 시스템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장치에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에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의 사용 환경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은 예컨대 TV, PC 모니터,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이동형 디스플레이 단말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이동통신 단말기일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TV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TV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은 도시되지는 않지만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을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5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6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는 제2 컨텐츠에 대 응하는 화면(16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5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재생 컨텐츠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각 디스플레이 단말(130, 140)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상호간에 전환하는 기능을 POP(picture-out-of-picture)라 지칭한다.
이러한 POP 기능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컨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와,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230)와, 컨텐츠 획득부(240)와,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250)와, 컨텐츠 변환부(260)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1 컨텐츠를 재 생하도록 의도하는 신호이며, 예컨대 사용자 입력 등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TV 수신기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TV 수신기 자체에 내장되는 제어 입력 버튼일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이러한 TV 수신기에 연결된 셋탑박스 등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내장되는 제어 입력 버튼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이러한 TV 수신기 또는 셋탑박스에 대응되는 원격 입력 장치 즉 리모컨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예컨대 TV 수신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GUI 형태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키버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게로 전송한다.
한편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로 제1 컨텐츠 전환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기초로 제1 컨텐츠를 재생하여야 한다.
이러한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제1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컨텐츠가 예컨대 디지털 방송 또는 DMB 방송 또는 IP-TV 서비스 등의 서비스인 경우 컨텐츠의 식별 정보는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즉 각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해당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텐츠를 획득하여 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즉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제1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재생하던 경우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되어 연결된 컨텐츠 저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제1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경우라면,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 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컨텐츠에 대해서 URL 형태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에서 제1 컨텐츠를 수신해서 제공하는 경우라면,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컨텐츠에 대해서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형태의 경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포함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1 컨텐츠 재생 시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타데이터는 예컨대 제1 컨텐츠의 형식, 내용, 재생 시작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전술한 PO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컨텐츠 전환 신호와 마찬가지로,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획득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2 컨텐츠가 DMB 방송 채널 등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라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해당 DMB 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지 또는 해당 DMB 방송 채널에 대응하여 다른 형태로 전송되는 방송 채널, 예컨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채널 또는 케이블 방송 채널 또는 IP-TV 서비스 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제2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라면, 해당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되지 않음)와의 통신 접속이 수행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제2 컨텐츠 획득 정보가 생성된 경우라면, 실제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2 컨텐츠 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2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230)에서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2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획득부(240)는 제2 컨텐츠가 지상파 방송 채널을 통하여 획득 가능하다고 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하여 해당 지상파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획득부(240)는 또한 제2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가능하다고 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컨텐츠 획득부(240)를 통하여 획득한 제2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250)는 컨텐츠 획득부(240)를 통하여 획득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컨텐츠 재생이나 디스플레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획득부(240)를 통하여 획득한 제2 컨텐츠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 말(130)이 휴대용 기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디스플레이 단말인 경우에, 제2 컨텐츠의 해상도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것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컨텐츠 획득부(240)에서 획득한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변환부(260)는 해상도의 조정 등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TV 수신기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고정형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 등의 휴대용 기기인 경우 휴대용 기기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TV 수신기인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예컨대 TV 수신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의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별도로 구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유무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의 컨텐츠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를 통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를 통하여 전술한 POP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단말(130, 140)을 각각 제어하여 컨텐츠의 전환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경우라면,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POP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와,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와,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330)와, 컨텐츠 획득부(340)와, 컨텐츠 변환부(360)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른 컨텐츠 전환 장치(도시되지 않 음)로터 전송되어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컨텐츠가 예컨대 디지털 방송 또는 DMB 방송 또는 IP-TV 서비스 등의 서비스인 경우 컨텐츠의 식별 정보는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즉 각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해당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텐츠를 획득하여 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제1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재생하던 경우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되어 연결된 컨텐츠 저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제1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경우라면,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해서 URL 형태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에서 제1 컨텐츠를 수신해서 제공하는 경우라면,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해서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형태의 경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포함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1 컨텐츠 재생 시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타데이터는 예컨대 제1 컨텐츠의 형식, 내용, 재생 시작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350)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에서 수신한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기초로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즉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350)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기초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컨텐츠 재생이나 디스플레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1 컨텐츠가 DMB 방송 채널 등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라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해당 DMB 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지 또는 해당 DMB 방송 채널에 대응하여 다른 형태로 전송되는 방송 채널, 예컨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채널 또는 케이블 방송 채널 또는 IP-TV 서비스 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라면, 해당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되지 않음)와의 통신 접속이 수행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제1 컨텐츠 획득 정보가 생성된 경우라면, 실제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330)에서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획득부(340)는 제1 컨텐츠가 지상파 방송 채널을 통하여 획득 가능하다고 하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하여 해당 지상파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획득부(340)는 또한 제1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가능하다고 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컨텐츠 획득부(340)를 통하여 획득한 제1 컨텐츠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휴대용 기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디스플레이 단말인 경우에, 제1 컨텐츠의 해상도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것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컨텐츠 획득부(340)에서 획득한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변환부(360)는 해상도의 조정 등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전술한 PO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2 컨텐츠를 재 생하도록 의도하는 신호이며, 예컨대 사용자 입력 등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4를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컨텐츠 전환 신호가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에서 생성되면,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 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컨텐츠가 예컨대 디지털 방송 또는 DMB 방송 또는 IP-TV 서비스 등의 서비스인 경우 컨텐츠의 식별 정보는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즉 각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은 해당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컨텐츠를 획득하여 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즉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제2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재생하던 경우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되어 연결된 컨텐츠 저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제2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경우라면,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는 현재 재생 중인 제2 컨텐츠에 대해서 URL 형태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에서 제2 컨텐츠를 수신해서 제공하는 경우라면,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는 현재 재생 중인 제2 컨텐츠에 대해서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형태의 경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포함하여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2 컨텐츠 재생 시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타데이터는 예컨대 제2 컨텐츠의 형식, 내용, 재생 시작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TV 수신기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고정형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 등의 휴대용 기기인 경우 휴대용 기기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TV 수신기인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예컨대 TV 수신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의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별도로 구성되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유무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의 컨텐츠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를 통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를 통하여 전술한 POP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단말(130, 140)을 각각 제어하여 컨텐츠의 전환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경우라면,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POP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 또는 300)를 이용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독립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사이에서 각각 재생하던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가 서로 전환되어 POP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획득이 실패하는 경우, 상호 전환되는 POP 기능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는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130)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를 포함한다.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1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으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거쳐서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에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에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 단하는 경우에만,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고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POP 기능이 구현될 경우에만 컨텐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한쪽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구성 역시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구성 역시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1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으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거쳐서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에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에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고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POP 기능이 구 현될 경우에만 컨텐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한쪽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구성 역시 가능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TV 등의 화면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화면 크기가 작은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서 컨텐츠를 연속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주요 화면 120: 부 화면
130: 제1 디스플레이 단말 140: 제2 디스플레이 단말
150, 160: 화면 200: 컨텐츠 전환 장치
210: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 220: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
230: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 240: 컨텐츠 획득부
250: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 260: 컨텐츠 변환부
300: 컨텐츠 전환 장치 310: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
320: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 330: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
340: 컨텐츠 획득부 350: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
360: 컨텐츠 변환부

Claims (37)

  1.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 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와,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17.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와,
    상기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32.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
  34. 이종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컨텐츠 전환 시스템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컨텐츠 전환 시스템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장치에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에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시스템.
  36. 이종 디스플레이 단말 간의 컨텐츠 전환 시스템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 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컨텐츠 전환 시스템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장치에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에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시스템.
KR1020070126623A 2007-12-07 2007-12-07 컨텐츠 전환 장치 KR10092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23A KR100925513B1 (ko) 2007-12-07 2007-12-07 컨텐츠 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23A KR100925513B1 (ko) 2007-12-07 2007-12-07 컨텐츠 전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51A true KR20090059651A (ko) 2009-06-11
KR100925513B1 KR100925513B1 (ko) 2009-11-05

Family

ID=4098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623A KR100925513B1 (ko) 2007-12-07 2007-12-07 컨텐츠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5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902A (ko) * 2009-12-10 2011-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매체간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3503A (ko) * 2010-02-12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 제어방법
KR101275589B1 (ko) * 2011-12-28 2013-06-17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용 시청범위 측정 방법
KR101480300B1 (ko) * 2012-11-30 2015-01-12 한국과학기술원 메인 스크린과 제2 스크린 간의 상대 위치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5283A (ko) * 2015-11-11 2017-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2797A (ko) * 2019-09-17 2021-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av 시스템에서 세컨드 장치를 이용한 연속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358B1 (ko) 2011-08-11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WO2013022177A1 (en) * 2011-08-11 2013-02-14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7493B (fi) * 1999-06-07 2001-08-15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sovitin ja menetelmä tiedon siirtämiseksi
KR100664935B1 (ko) * 2005-03-1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902A (ko) * 2009-12-10 2011-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매체간 서비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3503A (ko) * 2010-02-12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 제어방법
US10319217B2 (en) 2010-02-12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US11074806B2 (en) 2010-02-12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KR101275589B1 (ko) * 2011-12-28 2013-06-17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용 시청범위 측정 방법
KR101480300B1 (ko) * 2012-11-30 2015-01-12 한국과학기술원 메인 스크린과 제2 스크린 간의 상대 위치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5283A (ko) * 2015-11-11 2017-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2797A (ko) * 2019-09-17 2021-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av 시스템에서 세컨드 장치를 이용한 연속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513B1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513B1 (ko) 컨텐츠 전환 장치
JP444493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40261136A1 (en) Multi-media receiving device and multi-media receiving system
CN101185323A (zh) 动态媒体指南列表
US20190394508A1 (en)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related image content of primary image content
CN102221959A (zh) 一种用于嵌入式媒体播放器多画面显示和控制的方法和系统及应用
US20130176502A1 (en) Mobile terminal, television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levision receiver
JP2007522721A (ja) 電話によるインタラクティブなテレビジョン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装置
US20100306803A1 (en)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US20130176500A1 (en) Mobile terminal, television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levision receiver
US20080104655A1 (en) Digital Video Recorder Having a Pause Feature Displaying the First Frame of a Program
US20090162035A1 (en) Playback method and playback system of contents
KR2006006814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텔레비젼 포털 서비스시스템
KR100859665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티브이에서 콘텐츠 연속 재생 방법
KR10073518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epg 표시 방법
KR200436088Y1 (ko) 맞춤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동기화 기능을 구비하는셋탑박스
KR101102392B1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KR100963837B1 (ko)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KR100935395B1 (ko)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00009352A (ko) 아이피 방송 수신기에서의 광고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KR20090074639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KR10042610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및디지털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
KR100579624B1 (ko) 영상 재생 시스템의 채널 선택 방법
US20100115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video data in video distribution system using network
KR100826173B1 (ko) 채널과 장르의 표시 및 선택을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