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837B1 -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837B1
KR100963837B1 KR1020070126630A KR20070126630A KR100963837B1 KR 100963837 B1 KR100963837 B1 KR 100963837B1 KR 1020070126630 A KR1020070126630 A KR 1020070126630A KR 20070126630 A KR20070126630 A KR 20070126630A KR 100963837 B1 KR100963837 B1 KR 10096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ayer unit
playback terminal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655A (ko
Inventor
최성종
전인찬
김인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8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과 제2 컨텐츠 재생 단말 사이의 컨텐츠 POP(Picture-out-of-picture)를 위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 내에 구비되는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로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송(Transport) 계층부와, 상기 전송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는 적응(Adaptation) 계층부와,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Display) 계층부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추출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를 제어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인지 판단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 및 상기 재생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Control) 계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계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컨텐츠, 식별 정보, 제어 계층, 적응 계층, 전송 계층, 재생 계층, URL, POP(picture-out-of-picture)

Description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PICTURE-OUT-OF-PICTURE FUNCTION 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경우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형태에서 디지털 방송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 비해 용량을 4~8배로 늘릴 수 있으며, 자체 내장된 신호 처리 기능을 통하여 스포츠, 영화 등의 PPV(Pay-per-view) 서비스, 홈쇼핑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방송의 형태는 예컨대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과 같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 뿐만 아니라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위성 DMB와 같은 이동 상태에서의 방송 수신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로도 확산되고 있다. 또한 초고속 통신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인 IP-TV 서비스 역시 디지털 방송의 하나의 형태로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지상파 방송을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DMB 방송, IP-TV 등의 다양한 디지털 방송 형태가 제공됨에 따라 시청자의 방송 채널 선택 폭이 넓어지게 된다.
이하 본원 발명의 명세서에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차량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디지털 방송의 수신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장치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이라 지칭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또는 방송 서비스 수신 기능을 내장한 휴대용 기기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기기는 자체 내장된 동영상 코덱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MB 수신 기능이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는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 다.
이하 본원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DMB 방송의 수신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이라 지칭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방송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컨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는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경우 방송 채널의 증가에 따라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화면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1개뿐이다.
즉 예컨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하나인 TV를 통하여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하나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여 TV 화면에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DMB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도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화면에는 동시에 하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만 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PIP(Picture-in-Picture) 기능이 도입되었다.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PIP 기능은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1개의 주요(main) 화면(110)과 1개 또는 그 이상의 부(sub) 화면(120)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종래의 TV 서비스에 있어서, 주요 화면(110)은 예컨대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부화면(120)에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지는 않지만 어떠한 내용이 방송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의 방송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부화면(120)에는 TV에 연결되는 DVD 플레이어나 VTR 등에서 재생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PIP 기능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우선 디지털 방송에서 PI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튜너를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튜너의 사용은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
또한 PIP 기능을 이용하여 부화면(120)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주요 화면(110)의 일부 부분을 가리게 되므로 사용자의 TV 시청시 불편함을 가져온다.
한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환경의 다변화에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퇴근길에 자신의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좀 더 큰 화면을 제공하는 TV 등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A라는 DMB 채널에 대응되는 DMB 방송을 시청하던 경우라면,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의 전원을 켠 후, A라는 DMB 채널에 대응하는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의 채널로 전환하여 연속적으로 동일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가 이를 입력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송 서비스가 아니라, 예컨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고, 또한 TV 등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연결된 동영상 재생 장치에 B에 대응되는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사용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B 컨텐츠를 시청하던 경우라면,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의 전원을 켠 후, 동영상 재생 장치에서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한 후 재생하는 것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저장 위치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가 이를 기초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I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과 제2 컨텐츠 재생 단말 사이의 컨텐츠 POP(Picture-out-of-picture)를 위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 내에 구비되는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로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송(Transport) 계층부와, 상기 전송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는 적응(Adaptation) 계층부와,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Display) 계층부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추출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를 제어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인지 판단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 및 상기 재생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Control) 계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적응 계층부의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경로 정보(URL)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적응 계층부가 상기 제2 컨텐츠의 경로 정보 형태로 표시되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추출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 계층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응 계층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전송 계층부에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응 계층부는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인지 판단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 상기 제2 컨텐츠가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통보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 및 상기 재생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 상기 제2 컨텐츠가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통보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 및 상기 재생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상기 제어 계층부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계층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 상기 제1 컨텐츠가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 계층부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 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계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의 사용 환경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은 예컨대 TV, PC 모니터,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은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이동형 디스플레이 단말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또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이 TV인 경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은 도시되지는 않지만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을 포 함하는 사용 환경에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에서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5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에서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6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에서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60')이 디스플레이되고,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에서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5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재생 컨텐츠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각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상호 간에 전환하는 기능을 POP(picture-out-of-picture)라 지칭한다.
이러한 POP 기능을 포함하여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는 전술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 모두에서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어느 한쪽에서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가 배치된 컨텐츠 재생 단말을 의미하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가 배치되거나 또는 제1 컨텐츠 재생 단말과 연동하여 컨텐츠 POP의 기능 구현이 가능한 컨텐츠 재생 단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 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일 수 있으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마찬가지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 또는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는, 전송(Transport) 계층부(210)와, 적응(Adaptation) 계층부(230)와, 재생(Display) 계층부(250)와, 제어(Control) 계층부(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는 전술하듯이 제1 컨텐츠 재생 단말 내에서 배치될 수 있다.
전송 계층부(210)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식별 정보가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경우 방송 채널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 식별 정보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가능한 경로 정보인 경우 해당 경로 정보에 대응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적응 계층부(230)는 전송 계층부(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컨텐츠의 재생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이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방송 컨텐츠의 경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할 수 있다.
재생 계층부(250)는 적응 계층부(230)에서 추출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즉 방송 프로그램을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하여 재생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제어(Control) 계층부(27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추출하도록 적응 계층부(2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Control) 계층부(270)는 적응 계층부(230)에서 추출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Control) 계층부(270)는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적응 계층부(230) 및 상기 재생 계층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계층부의 기능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API 함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API 함수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1. Open(IN: URL, OUT: handle)
Open() 기능은 적응 계층부(230)에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기 위한 기능에 대응한다.
Open() 기능에서 호출(Caller) 측은 적응 계층부(230)이며, 수신(Callee) 측은 전송 계층부(270)이다. 또한 Open() 기능의 입력 값은 컨텐츠의 식별 정보, 예 컨대 컨텐츠의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열일 수 있다. 경로 정보는 방송 채널 정보 또는 네트워크 상의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Open() 기능의 출력값은 handle 형태이며, handle은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Open() 기능을 이용하여 적응 계층부(230)는 전송 계층부(210)로부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의 추출이 가능하다.
예컨대 적응 계층부(230)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전송 계층부(210)에 전송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적응 계층부(230)가 제2 컨텐츠의 경로 정보 형태로 표시되는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면, 적응 계층부(230)는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계층부(270)로부터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의 추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의 추출은 제어 계층부(270)의 제어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2. Play()
Play() 기능은 재생 계층부(250)의 컨텐츠 재생 기능에 대응한다. Play() 기능에서 호출 측은 제어 계층부(270)이며, 수신 측은 재생 계층부(250)이다. 또한 Play() 기능의 경우 입력값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현재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 즉 handle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Play() 기능의 경우 별도의 출력값이 지정되지 않았으나, API 설계에 따라서 출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 계층부(270)는, Open() 기능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Play() 기능을 이용하여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계층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3. GetURL(OUT: URL)
GetURL()은 제어 계층부(270)에서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즉 URL을 얻기 위한 기능에 대응한다.
GetURL() 기능에서 호출 측은 제어 계층부(270)이며, 수신 측은 적응 계층부(230)이다. 또한 GetURL() 기능의 경우 입력값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현재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 즉 handle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GetURL()을 이용하여 제어 계층부(270)는, 적응 계층부(230)의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 즉 handle로부터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경로 정보(URL)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4. SetURL(IN: URL, OUT: handle)
SetURL()은 제어 계층부(270)에서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기능에 대응한다. SetURL() 기능에서 호출 측은 제어 계층부(270)이며, 수신 측은 적응 계층부(230)이다. 현재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제1 컨텐츠를 재생하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 계층부(270)는 수신한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URL)으로 지정하여 적응 계층부(230)에서 제2 컨텐츠에 대한 컨 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도록 한다.
5. Set2ndURL(IN: URL)
Set2ndURL()은 제어 계층부(270)가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할 컨텐츠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Set2ndURL() 기능에서 호출 측은 제어 계층부(270)이며, 수신 측은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이다. Set2ndURL()은 현재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중이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URL)를 입력받고,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6. IsPOPAble(IN: URL)
IsPOPAble()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제어 계층부(270)에서 확인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IsPOPAble() 기능에서 호출 측은 제어 계층부(270)이며, 수신 측은 역시 제어 계층부(270)이다.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 계층부(270)는 적응 계층부(230)를 통하여 제2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수신받는다. IsPOPAble() 기능에서 별도의 출력값이 지정되지 않았으나, API 설계에 따라서 제2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경우 참(True), 아닌 경우 거짓(False)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sPOPAble() 기능을 이용하면, POP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제2 컨텐츠가 재생 가능하고,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제1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경우에만,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종래 재생하던 제1 컨텐츠 대신에 제2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응 계층부(230)는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으며, IsPOPAble() 기능은 재생하고자 하는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가 이러한 컨텐츠 식별 정보 리스트 내에 포함되는 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 계층부(270)는 적응 계층부(230)를 통하여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전술한 컨텐츠 식별 정보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 결과 제2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면, 제어 계층부(270)는 제2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제어 계층부(270)는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적응 계층부(230) 및 재생 계층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적응 계층부(230)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기능이 없는 경우에도, IsPOPAble() 기 능은 재생하고자 하는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예컨대 Open() 기능을 이용하여 제2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지 판단이 가능하다. Open() 기능을 이용하여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가 추출될 수 있으면, 제2 컨텐츠는 제1 컨텐츠 단말에서 재생이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도, IsPOPAble() 기능을 통한 확인 결과 제2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면, 제어 계층부(270)는 제2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제어 계층부(270)는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적응 계층부(230) 및 재생 계층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가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도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도 4의 전송(Transport) 계층부(210)와, 적응(Adaptation) 계층부(230)와, 재생(Display) 계층부(250)와, 제어(Control) 계층부(270)는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각 기능을 수행하는 차이가 있다.
즉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의 전송 계층부는 제2 컨텐츠 단말에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의 적응 계층부는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의 전송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는 것이고,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의 재생 계층부는 2 컨텐츠 재생 단말의 적응 계층부에서 추출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는 것이고,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의 제어 계층부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의 적응 계층부를 제어하는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 또한 POP 기능을 위한 확인 등도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 대응하여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가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계층 구조가 어떠한 형식으로 구현되던지 간에, 제어 계층부(270)로부터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계층부(270)로 전송하는 기능과,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만 하면, 제1 컨텐츠 재생 단말과 연동하여 POP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 제1 컨텐츠가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컨텐츠가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 계층부(270)로부터 제2 컨텐츠가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IsPOPAble() 기능을 참조로 하여 제1 컨텐츠 재생 단말과 연동하여 POP를 수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계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주요 화면 120: 부 화면
130: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140: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
150, 160: 화면 210: 전송 계층부
230: 적응 계층부 250: 재생 계층부
270: 제어 계층부

Claims (16)

  1. 제1 컨텐츠 재생 단말과 제2 컨텐츠 재생 단말 사이의 컨텐츠 POP(Picture-out-of-picture)를 위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 내에 구비되는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로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송(Transport) 계층부와,
    상기 전송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는 적응(Adaptation) 계층부와,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Display) 계층부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추출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를 제어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인지 판단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 및 상기 재생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Control) 계층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적응 계층부의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경로 정보(URL) 형태로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적응 계층부가 상기 제2 컨텐츠의 경로 정보 형태로 표시되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추출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 계층부를 제어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계층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전송 계층부에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재생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계층부는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인지 판단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를 제어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 상기 제2 컨텐츠가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통보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 및 상기 재생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계층부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 상기 제2 컨텐츠가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통보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적응 계층부 및 상기 재생 계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상기 제어 계층부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계층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 상기 제1 컨텐츠가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통보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은,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 계층부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다고 통보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인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단말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인 것인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16. 삭제
KR1020070126630A 2007-12-07 2007-12-07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KR10096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30A KR100963837B1 (ko) 2007-12-07 2007-12-07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30A KR100963837B1 (ko) 2007-12-07 2007-12-07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55A KR20090059655A (ko) 2009-06-11
KR100963837B1 true KR100963837B1 (ko) 2010-06-16

Family

ID=4098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630A KR100963837B1 (ko) 2007-12-07 2007-12-07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8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894A (ko) * 2005-11-28 2007-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와 방송 간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호이용하기 위한 홈네트워크/방송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894A (ko) * 2005-11-28 2007-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와 방송 간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호이용하기 위한 홈네트워크/방송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55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61136A1 (en) Multi-media receiving device and multi-media receiving system
US8117636B2 (en) Method of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television programs and related data broadcasting programs on the same screen with options to select reserved viewing and reserved recording thereon
KR100925513B1 (ko) 컨텐츠 전환 장치
JP2006528438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ピクチャー・イン・ピクチャービデオ
KR100793801B1 (ko) 티브이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000642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WO2005094073A1 (ja) 視聴支援装置および番組録画システム
KR20110068101A (ko) 디지털 방송망의 미리보기 채널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US91916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irtual channel service
US20090162035A1 (en) Playback method and playback system of contents
KR1008462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KR100963837B1 (ko)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KR10073518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epg 표시 방법
KR100859665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티브이에서 콘텐츠 연속 재생 방법
KR100935395B1 (ko)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02392B1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JP2018182762A (ja) 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装置、記憶媒体、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72169A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72291B1 (ko) Iptv 서비스에서의 시청자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85991B1 (ko) Hdd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타임쉬프트를이용한 메모 편집 방법
KR101009544B1 (ko) Iptv 서비스에서의 콘텐츠 상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76827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채널 선국 방법
KR100826173B1 (ko) 채널과 장르의 표시 및 선택을 위한 방법
KR10042610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및디지털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
EP17862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proved selection of a media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