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95B1 -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5395B1 KR100935395B1 KR1020070126633A KR20070126633A KR100935395B1 KR 100935395 B1 KR100935395 B1 KR 100935395B1 KR 1020070126633 A KR1020070126633 A KR 1020070126633A KR 20070126633 A KR20070126633 A KR 20070126633A KR 100935395 B1 KR100935395 B1 KR 1009353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playback terminal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portable
- switching metho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8—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for seamlessly watching content streams when changing device, e.g. when watching the same program sequentially on a TV and then on a tabl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의 컨텐츠 전환 방법으로서, (a)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는 단계와, (d-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컨텐츠, 식별 정보, 방송 채널, URL, POP(picture-out-of-pi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경우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형태에서 디지털 방송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 비해 용량을 4~8배로 늘릴 수 있으며, 자체 내장된 신호 처리 기능을 통하여 스포츠, 영화 등의 PPV(Pay-per-view) 서비스, 홈쇼핑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방송의 형태는 예컨대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과 같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 뿐만 아니라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위성 DMB와 같은 이동 상태에서의 방송 수신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로도 확산되고 있다. 또한 초고속 통신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인 IP-TV 서비스 역시 디지털 방송의 하나의 형태로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지상파 방송을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DMB 방송, IP-TV 등의 다양한 디지털 방송 형태가 제공됨에 따라 시청자의 방송 채널 선택 폭이 넓어지게 된다.
이하 본원 발명의 명세서에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차량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디지털 방송의 수신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장치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이라 지칭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또는 방송 서비스 수신 기능을 내장한 휴대용 기기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기기는 자체 내장된 동영상 코덱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MB 수신 기능이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는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 다.
이하 본원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DMB 방송의 수신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이라 지칭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방송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컨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는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경우 방송 채널의 증가에 따라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화면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1개뿐이다.
즉 예컨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하나인 TV를 통하여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하나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여 TV 화면에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DMB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도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화면에는 동시에 하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만 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PIP(Picture-in-Picture) 기능이 도입되었다.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PIP 기능은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1개의 주요(main) 화면(110)과 1개 또는 그 이상의 부(sub) 화면(120)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종래의 TV 서비스에 있어서, 주요 화면(110)은 예컨대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부화면(120)에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지는 않지만 어떠한 내용이 방송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의 방송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부화면(120)에는 TV에 연결되는 DVD 플레이어나 VTR 등에서 재생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PIP 기능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우선 디지털 방송에서 PI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튜너를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튜너의 사용은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
또한 PIP 기능을 이용하여 부화면(120)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주요 화면(110)의 일부 부분을 가리게 되므로 사용자의 TV 시청시 불편함을 가져온다.
한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환경의 다변화에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퇴근길에 자신의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좀 더 큰 화면을 제공하는 TV 등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A라는 DMB 채널에 대응되는 DMB 방송을 시청하던 경우라면,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의 전원을 켠 후, A라는 DMB 채널에 대응하는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의 채널로 전환하여 연속적으로 동일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가 이를 입력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송 서비스가 아니라, 예컨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고, 또한 TV 등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연결된 동영상 재생 장치에 B에 대응되는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사용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B 컨텐츠를 시청하던 경우라면,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의 전원을 켠 후, 동영상 재생 장치에서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한 후 재생하는 것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저장 위치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가 이를 기초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I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컨텐츠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컨텐츠 전환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의 컨텐츠 전환 방법으로서, (a)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는 단계와, (d-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2)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3) 상기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4) 상기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2) 상기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3) 상기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4)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e)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d)는, (d-3)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여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 (d-4)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5)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수신 가능한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와, (d-6) 상기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체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7) 상기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대체 URL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와, (d-8) 상기 대체 URL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체 URL을 통하여 상기 제2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의 컨텐츠 전환 방법으로서, (a)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는 단계와, (d-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2) 상기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3) 상기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4)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2) 상기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3) 상기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e)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d)는, (d-3)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여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 (d-4)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5)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수신 가능한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와, (d-6) 상기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체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7) 상기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대체 URL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와, (d-8) 상기 대체 URL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체 URL을 통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컨텐츠 전환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 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을 이용한 컨텐츠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의 사용 환경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은 예컨대 TV, PC 모니터,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은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이동형 디스플레이 단말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또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이 TV인 경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은 도시되지는 않지만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을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에서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5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에서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6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에서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60') 이 디스플레이되고,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에서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5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재생 컨텐츠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각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상호 간에 전환하는 기능을 POP(picture-out-of-picture)라 지칭한다.
이러한 POP 기능을 포함하여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130)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140)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은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 등의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이다.
우선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110).
이러한 단계 S110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제1 컨텐츠를 시청하던 경우,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 등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을 통하여 동일한 제1 컨텐츠를 시청하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등의 사용자 입력을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예컨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내장된 키버튼이나 GUI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컨텐츠가 DMB 방송을 통하여 제공되던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한 DMB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MB 방송 채널이 아니라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이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이동 수신 기능을 구비한 경우라면,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지상파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이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무선 접속을 통하여 제1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던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 즉 컨텐츠 제공 서버의 해당 위치에 대한 URL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가 재생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도 미리 저장되어 있고, 해당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미리 알 수 있다면,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내의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10에서 추출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한다(S130).
이러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의 전송은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이나 기타 이에 대응되는 단거리 무선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을 기초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150). 제2 컨텐츠는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컨텐츠이다.
이러한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역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방송 채널 정보 또는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 또는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2 컨텐츠에 대한식별 정보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 내의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의 수신은 전술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의 전송과 마찬가지로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150을 통하여 수신한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제2 컨텐츠를 재생한다(S170).
단계 S17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이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였더라도 제2 컨텐츠의 획득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재생 코덱 등의 문제로 재생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생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을 통하여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기존에 재생하던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제2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뿐만 아니라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확인은 전술한 POP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한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 및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이용하면,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고 제2 컨텐츠가 휴대 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확인할 수 있다.
POP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고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경우에만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기존에 재생하던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제2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의 제2 컨텐츠 재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컨텐츠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경우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해상도는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경우보다 열악한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제2 컨텐츠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인 경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수신이 가능한 경우라도, 원래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해상도로 재생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또한 예컨대 미리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의 경우에도 해상도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컨텐츠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시스템 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컨텐츠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고,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DMB 수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지상파 디지털 방송 대신에 이에 대응하는 DMB 방송을 수신하여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2 컨텐츠에 대한 지상파 방송 채널 정보인 경우라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수신 가능한 대체 방송 채널, 예컨대 DMB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해당 DMB 방송 채널이 있다면 대체 방송 채널인 DMB 방송 채널을 통하여 제2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인 경우, 해당 URL에 대한 대체 URL이 존재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대체 URL은 예컨대 동일한 제2 컨텐츠를 저장하지만 접속 속도가 더 빠른 네트워크 저장 장치에 대한 URL일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제2 컨텐츠이지만 해상도 등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구현된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일 수 있다.
대체 URL이 존재하는 경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대체 URL을 통하여 제2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만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인 경우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의 통신을 통하여 제2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인 경우에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 내의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사용하여 제2 컨텐츠를 판독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구현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대응되는 컨텐츠 전환 방법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구현되는 컨텐츠 전환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은 특히 TV 등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이다.
우선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210).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전술하듯이 제1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 또는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 내의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지만, 제1 컨텐츠가 미리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내에 저장된 경우라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내의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전송되는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230).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의 추출은 도 4에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의 추출과 유사하다.
즉, 제2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 또는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것이다.
이후 단계 S230을 통하여 추출된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한다(S250).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전술하듯이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210에서 수신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제1 컨텐츠를 재생한다(S270).
단계 S27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다.
즉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이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였더라도 제1 컨텐츠의 획득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재생 코덱 등의 문제로 재생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생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을 통하여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기존에 재생하던 제2 컨텐츠의 재 생을 중단하고 제1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뿐만 아니라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확인은 전술한 POP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한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 및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이용하면,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고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확인할 수 있다.
POP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 제2 컨텐츠가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고 제1 컨텐츠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경우에만,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기존에 재생하던 제2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제1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의 제1 컨텐츠 재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컨텐츠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재생 할 수 있다.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경우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해상도는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경우보다 우월한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제1 컨텐츠가 DMB 방송인 경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DMB 방송 수신이 가능한 경우라도, 원래의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을 의도하여 해상도가 열악한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미리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의 경우에도 해상도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컨텐츠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의 시스템 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컨텐츠가 DMB 방송인 경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DMB 방송 대신에 이에 대응하는 지상파 디지털 또는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 방송 채널을 통하여 제1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1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인 경우라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수신 가능한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고,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면 대체 방송 채널을 통하여 제1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인 경우, 해당 URL에 대한 대체 URL이 존재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대체 URL은 예컨대 동일한 제1 컨텐츠를 저장하지만 접속 속도가 더 빠른 네트워크 저장 장치에 대한 URL일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제2 컨텐츠이지만 해상 도 등이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구현된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일 수 있다.
대체 URL이 존재하는 경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은 대체 URL을 통하여 제1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을 이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TV 등의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사이에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서로 재생하던 컨텐츠의 전환(swapping)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데이터, 즉 코드 또는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지칭한다.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컨대 ROM, RAM 등의 메모리와, CD-ROM, DVD-ROM 등의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저장 매체,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며,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각각에서 제공하던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호간에 전환하여 컨텐츠의 확인이나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을 이용한 컨텐츠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주요 화면 120: 부 화면
130: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 140: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
150, 160: 화면
Claims (30)
-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의 컨텐츠 전환 방법으로서,(a)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b)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c)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d)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단계 (d)는,(d-1)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는 단계와,(d-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a-1)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a-2)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a-3) 상기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a-4) 상기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b-1)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c-1)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c-2) 상기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c-3) 상기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c-4)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e)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단계 (d)는,(d-3)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여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d-4)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확인 되면, 상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d-5)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수신 가능한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와,(d-6) 상기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체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d-7) 상기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대체 URL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와,(d-8) 상기 대체 URL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체 URL을 통하여 상기 제2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삭제
-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의 컨텐츠 전환 방법으로서,(a)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b)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c)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d)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단계 (d)는,(d-1)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는 단계와,(d-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a-1)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a-2) 상기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상기 제1 컨텐츠 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a-3) 상기 제1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a-4)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b-1)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b-2) 상기 제2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상기 제2 컨텐츠 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b-3) 상기 제2 컨텐츠의 저장 위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c-1) 적외선 통신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e)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단계 (d)는,(d-3)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판단하여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와,(d-4) 상기 제2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컨텐츠가 상기 휴대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1 컨텐츠 재생 가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가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d-5)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방송 채널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정형 컨텐츠 재생 단말에서 수신 가능한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와,(d-6) 상기 대체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체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d-7) 상기 제1 컨텐츠의 네트워크 저장 위치에 대한 URL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대체 URL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와,(d-8) 상기 대체 URL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체 URL을 통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방법.
- 삭제
- 제1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제16항 내지 제24항,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텐츠 전환 방법의 각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6633A KR100935395B1 (ko) | 2007-12-07 | 2007-12-07 |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6633A KR100935395B1 (ko) | 2007-12-07 | 2007-12-07 |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9657A KR20090059657A (ko) | 2009-06-11 |
KR100935395B1 true KR100935395B1 (ko) | 2010-01-06 |
Family
ID=4098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6633A KR100935395B1 (ko) | 2007-12-07 | 2007-12-07 |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539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45390A (ja) * | 1999-06-07 | 2001-02-16 | Nokia Corp | 外部装置をテレビジョン装置に結合するための結合装置と方法 |
KR20060099147A (ko) * | 2005-03-10 | 2006-09-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방법 |
-
2007
- 2007-12-07 KR KR1020070126633A patent/KR1009353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45390A (ja) * | 1999-06-07 | 2001-02-16 | Nokia Corp | 外部装置をテレビジョン装置に結合するための結合装置と方法 |
KR20060099147A (ko) * | 2005-03-10 | 2006-09-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9657A (ko) | 2009-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50599B2 (en) | Accumulation display device, interlocked display method and system | |
US903810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for past, current, and future programming | |
US20040261136A1 (en) | Multi-media receiving device and multi-media receiving system | |
KR100628077B1 (ko) | 디지털 티브이의 광고 음악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 |
KR100925513B1 (ko) | 컨텐츠 전환 장치 | |
US20190289358A1 (en) | Integration of control data into digital broadcast content for access to ancillary information | |
CN101779449B (zh) | 用于显示电子节目指南的方法和装置 | |
US20060222328A1 (en) | Digital broadcast playback system,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gital broadcast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 |
KR100937690B1 (ko) | 가상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100846284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 |
KR100935395B1 (ko) |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JP2007028228A (ja) | コンテンツ編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 |
JP2011517910A (ja) | デジタル放送のデータアプリケーションの提供方法 | |
KR100735188B1 (ko) | 디지털 티브이의 epg 표시 방법 | |
KR100963837B1 (ko) | 컨텐츠 pop 계층 구조 구현 장치 | |
US738622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operation for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digital tuner | |
KR20060046332A (ko) |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0785991B1 (ko) | Hdd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타임쉬프트를이용한 메모 편집 방법 | |
US11902602B1 (en) | Combining video content feeds | |
JP6006962B2 (ja) | コンテンツ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KR101362576B1 (ko) |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방송의 대표 영상제공 방법 | |
US2008012064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 |
KR20060100953A (ko) | 실시간 방송의 지연 시청 방법 | |
JP2009501478A (ja) | 記録コンテンツ・チャンネル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KR20040011165A (ko) | 확장된 텔레웹 채널 탐색 기능을 갖는 텔레웹 재생장치및 그 탐색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