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276A -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276A
KR20090059276A KR1020070126038A KR20070126038A KR20090059276A KR 20090059276 A KR20090059276 A KR 20090059276A KR 1020070126038 A KR1020070126038 A KR 1020070126038A KR 20070126038 A KR20070126038 A KR 20070126038A KR 20090059276 A KR20090059276 A KR 20090059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sludge dryer
heat
storage tank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867B1 (ko
Inventor
김현배
윤희철
정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7012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8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3Heat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응축잠열 회수기, 폐수 저장조, 습식 세정기를 포함한다. 응축잠열 회수기는 슬러지 건조기에서 배출된 폐열 및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가스가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중에 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고, 배가스를 하부로 배출한다. 폐수 저장조는 응축잠열 회수기의 하부에 연통설치되며, 배가스가 상부로부터 유입되며, 응축잠열 회수기의 폐열 회수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된다. 습식 세정기는 폐수 저장조의 상부에 연통설치되며, 배가스가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중에 배가스를 습식 세정하고, 배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며, 습식 세정에서 발생된 세정수를 폐수 저장조로 배출한다. 따라서 배가스 중의 폐열 및 오염물질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고, 운전 및 보수의 효율성을 증대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슬러지, 건조기, 배가스, 처리장치

Description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 gas of sludge dryer}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성 슬러지 연료화 시설의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악취, 분진, 수분 등의 환경오염물질 및 폐열을 함유한 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성 슬러지는 통상 상수, 공업용수, 산업용폐수, 하수 및 분뇨의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생물 잔재물로 주성분으로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최근 들어 폐기처분 하여야 할 대상에서 재활용 가능한 물질로 바뀌고 있다.
통상의 슬러지는 함수율이 75∼85%인 탈수 케익 형태로 발생되며, 수분을 제외한 슬러지의 고형물 중 유기물질은 보통 40∼80%로 다양한 범위 내에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건조할 경우 발열량은 보통 2,500kcal/kg에서 최고 4,500kcal/kg에 달하고 있다.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는 690만톤/년씩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을 해양투기나 소각처리하고 있으며, 환경문제나 사회적인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어, 정부에서는 2011년까지 유기성 슬러지의 해양투기 금지법을 만들어 유기성 슬러지의 육상에서의 재활용 비율을 70%정도까지 높이고자 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슬러지 재활용방법으로는 고화방법, 단순건조, 퇴비화, 탄화, 경량골재화, 연료화 방법이 있으며, 연료화 방법은 유기성 슬러지를 첨가제를 소량 투입하고 펠릿(Pellet)화하여 함수율 10%이하의 제품을 생산하고 생산된 제품은 화력발전소 보조연료나 시멘트 소성로 보조 연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는 처리장치의 특성상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러한 배가스 처리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이러한 처리장치는 운전작업이 어렵고, 보수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의 구성을 하나의 장치 내에 일체로 구비하여, 배가스 중의 폐열 및 오염물질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고, 운전 및 보수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기에서 배출된 폐열 및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가스가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고, 상기 배가스를 하부로 배출하는 응축잠열 회수기; 상기 응축잠열 회수기의 하부에 연통설치되며, 상기 배가스가 상부로부터 유입되며, 상기 응축잠열 회수기의 폐열 회수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폐수 저장조; 및 상기 폐수 저장조의 상부에 연통설치되며, 상기 배가스가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배가스를 습식 세정하고, 상기 배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며, 상기 습식 세정에서 발생된 세정수를 상기 폐수 저장조로 배출하는 습식 세정기;를 포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응축잠열 회수기는, 내부에 배열된 복수의 핀-튜브로 이루어져 상기 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른 슬러지 건조기에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튜브의 외곽을 통과한 건조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열교환기에서 회수한 폐열을 다른 슬러지 건조기에 공급되는 건조공기의 열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응측잠열 회수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응축잠열 회수기는,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둘레에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배출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를 70∼80℃로 유지하도록 건조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습식 세정기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가스의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스프레이부와, 상기 스프레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레이부에서 분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미스터(Demister)와, 상기 더미스터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더미스터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폐수 저장조는, 폐수의 수위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측면에 수위조절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폐수 저장조는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상기 폐수 저장조 내의 산소농도를 8% 이하로 유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의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고, 슬러지 건조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분진 등 환경오염물질과 수분을 제거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배가스 중의 폐열 및 오염물질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고, 운전 및 보수의 효율성을 증대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배가스 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는 메인프레임(10), 폐수 저장조(20), 응축잠열 회수기(30) 및 습식 세정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슬러지 건조기에서 배출된 폐열 및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가스를 처리하게 된다.
메인프레임(10) 내부에 폐수 저장조(20)가 설치되고, 폐수 저장조(20)의 상부에는 응축잠열 회수기(30) 및 습식 세정기(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수 저장조(20)의 상부에는 응축잠열 회수기(30) 및 습식 세정기(40)가 연통설치되어, 슬러지 건조기에서 배출된 폐열 및 오염물질을 포함한 배가스가 응축잠열 회수기(30), 폐수 저장조(20), 습식 세정기(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은 지지대에 의해 입방체로 형성된 프레임으로서, 수평 지지대(11)와 수직 지지대(12)에 의해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의 일측 수평 지지대(11)의 교차부에는 사선형태로 지지바아(1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바아(13)에는 결합구(14)가 설치되어 있다. 타측의 수평 지지대(11)에도 결합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폐수 저장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폐수 저장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폐수 저장조(20)는 응축잠열 회수기에서 배가스의 폐열회수시 발생된 응축수와 상기 습식 세정기에서 발생된 냉각수 및 응축수 등의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장조(21)와, 이 저장조(21)의 상부 일측에 응축잠열 회수기(30)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제 1 연통부(22) 및 습식 세정기(40)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제 2 연통부(23)를 구비한다.
또한, 저장조(21)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 수위 측정기(27)가 설치되고, 타측에 온도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저장조(21)의 일측면 하단에는 배수부(24)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오버플로어관(25)가 형성되어 배수부(24)에 연결되어 있다.
폐수 저장조(20)는 배수부(24), 오버플로어관(25) 및 수위 측정기(27)로 이루어진 수위조절부가 측면에 설치되어, 폐수의 수위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한다. 저장조(21) 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여 차단하고, 이러한 밀폐차단에 의해 저장조(21) 내의 산소농도를 약 8% 이하로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산소농도가 8% 보다 높으면, 저장조(21) 내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저장조(21)의 일측에 설치된 온도센서(26)에 의해 응축잠열 회수기(30)와 습식 세정기(40)의 처리효율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응축잠열 회수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응축잠열 회수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B부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응축잠열 회수기의 튜브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잠열 회수기(30)는 메인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입설되되 하부의 폐수 저장조(20)와 연통되며, 상체부(30a)와 하체부(30b)로 이루어지며, 상체부(30a)로부터 슬러지 건조기의 폐열 및 오염물 질을 함유한 배가스가 유입되며, 하체부(30b)에서 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고 나머지 배가스를 하방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하체부(30b)에는 배가스의 유동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배플(30c)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응축잠열 회수기(30)의 상체부(30a)에는, 유입부(31), 상부 점검창(32) 및 세척부(33)가 설치되고, 하체부(30b)에는 유출구(34), 유입구(35), 하부 점검창(36), 유출부(37), 배수구(37a) 및 열교환기(38)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부(31)는, 상체부(30a)의 상단에 설치되어 슬러지 건조기의 폐열 및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가스가 유입된다. 상부 점검창(32)은 상체부(30a) 둘레에 설치되며, 유리나 투명수지 등의 투명판을 개재해서 상체부(30a)의 내부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창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세척부(33)는 상체부(30a)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노즐을 개재해서 물을 하방으로 분사하여 열교환기(38) 등과 같은 응축잠열 회수기(30)의 내부구성을 세척하게 된다.
유입구(35)는, 열교환기(38)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른 슬러지 건조기의 건조공기가 유입된다. 유입구(35)의 둘레에는 온도센서(35a)와 압력센서(35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유출구(34)는 열교환기(38)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구(35)에서 유입되어 열교환기(38)에 의해 예열된 건조공기가 유출된다. 유출구(34)의 둘레에는 온도센서(34a)와 압력센서(34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 및 유출되는 건조공기의 온도 및 압력을 온도센서(34a, 35a) 및 압력센서(34b. 35b)에 의해 검출하여 건조공기의 열교환율, 유입량 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배출되는 건조공기의 온도 및 압력은 건조공기의 유입량에 의 해 변동되므로, 이들 검출값에 의거해서 건조공기의 유입량을 외부의 송풍부에서 제어하게 된다.
열교환기(38)는 하체부(30b)의 내부에 설치되며, 튜브시트(39b)를 개재해서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복수의 튜브(38a)로 이루어져 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여 다른 슬러지 건조기의 건조공기를 예열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38)는 튜브(38a)의 외측 둘레에는 상하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핀(38b)이 설치되어, 열교환 효율이 우수한 복수의 핀-튜브(pin-tube)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열교환기(38)에서 회수한 폐열을 다른 슬러지 건조기에 공급되는 건조공기의 열원으로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건조공기가 핀-튜브의 외곽을 통과하여 예열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시트(39b)는 복수의 튜브(38a)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설치공(h)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점검창(36)은, 하체부(30b)의 외측 양측면에 유리나 투명수지 등의 투명판을 개재해서 하체부(30b)의 내부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창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유출부(37)는 하체부(30b)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교환기(38)를 통과한 배가스및 응축수 등이 하방으로 배출된다. 배수구(37a)는 하체부(30b)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교환기(38) 등의 내부구성을 세척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체부(30a)와 하체부(30b)는 상체부 플랜지(39a), 튜브시트(39b) 및 하체부 플랜지(39c)를 개재해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응축잠열 회수기(30)는 슬러지 건조기의 폐열 및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가스가 유입부(31)를 개재해서 상체부(30a)로 유입되며, 이 배가스가 열교환기(38)의 튜브(38a)로 유입되어 이동하면서 하체부(30b)에서 폐열이 회수되어 다른 건조기의 건조공기를 예열하고, 나머지 배가스는 하방으로 배출하여 폐수 저장조(20)로 배출된다.
또한, 상체부(30a)의 세척부(33)에 의해서 열교환기(38) 등의 내부구성을 물로 세척한 폐수는 배수구(37a)로 배출된다. 이 배수구(37a)는 배수관(25a)를 개재해서 오버플로어관(25)에 연통되어 폐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의 스프레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의 세척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상세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의 세척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측면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습식 세정기(40)는 메인프레임(10)의 상부 타측에 입설되되 폐수 저장조(20)의 상부와 연통설치되고, 상체부(40a)와 하체부(40b)로 이루어진다. 하체부(40b)에서는 슬러지 건조기의 폐열 및 오염물질 등을 함유한 배가스가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습식 세정되며, 상체부(40b) 에서는 습식 세정된 배가스가 상방으로 배출된다.
습식 세정기(40)의 상체부(40a)에는 배출부, 점검창(42) 및 제 1 세척부(43)가 설치되고, 하체부(40b)에는 제 2 세척부(44), 스프레이부(45), 점검창(46), 더미스터(Demister; 47), 유입부(48) 및 패킹지지대(49)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부는 제 1 배출부(41a)와 제 2 배출부(41b)로 이루어지며, 폐열 및 오염물질이 처리된 배가스가 상부로 배출된다. 점검창(42)은 상체부(40a)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유리나 투명수지 등의 투명판을 개재해서 상체부(40a)의 내부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창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세척부(43)는 상체부(40a)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노즐(43a)을 개재해서 물을 하방으로 분사하여 더미스터(47)의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세척부(44)는 하체부(40b)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노즐(44a)을 개재해서 물을 상방으로 분사하여 더미스터(47)의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제 1 세척부(43)와 제 2 세척부(44)는 더미스터(47)의 상하 양쪽에 모두 설치되거나 적어도 한쪽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레이부(45)는 하체부(40b)의 내부에 수평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복수의 노즐(45a)을 개재해서 악취, 분진 및 수분 응축용 물을 하방으로 분사하여 배가스의 오염물질을 세정하게 된다.
점검창(46)은 하체부(40b)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유리나 투명수지 등의 투명판을 개재해서 하체부(40b)의 내부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창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더미스터(47)는 와이어 메쉬(wire mesh)로 이루어지며 스프레이부(45)의 상부 에 설치되어, 스프레이부(45)에서 분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유입부(48)는 하체부(40b)의 하부에 형성되어, 폐열 및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가스가 상방으로 유입된다. 패킹지지대(49)는 하체부(40b)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스프레이부(45)의 하측에 설치된 다양한 형상의 패킹(packing)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습식 세정기(40)는 응축잠열 회수기(30)와 폐수 저장조(20)를 통과한 슬러지 건조기의 폐열 및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가스가 유입부(48)를 개재해서 하체부(40b)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되며, 스프레이부(45)에 의해 오염물질이 세정되고, 상체부(40a)의 제 1 배출부(41a) 및 제 2 배출부(41b)의 2개의 배출부를 개재해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더미스터(47)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고, 더미스트(47)에 부착되는 불순물은 제 1 세척부(43) 및 제 2 세척부(44)에 의해서 제거되므로, 더미스터(47)의 교체없이 장시간 제거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에 대한 배가스의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폐열 회수장치의 배가스 흐름은 대략 95℃(T1)의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가 응축잠열 회수기(30)의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에서 60∼70℃(T4)로 냉각되어 수증기가 응축되면서 발생하는 응축잠열을 포함해서 대략 550∼650kcal/kg의 열량을 빼앗긴다.
빼앗긴 열량은, 건조공정의 응축장치에서 냉각된 대략 25∼35℃(T2)의 건조공기를 대략 70∼80℃(T3)의 공기로 승온시키는 다른 슬러지 건조기의 건조공기의 열원으로 사용된다. 특히, 건조공기의 예열온도가 70℃보다 낮으면 건조공기의 유입량이 과다하여 유속이 빨라지므로 다른 슬러지 건조기에서 건조작업이 원활하지 않고, 80℃ 보다 높으면 건조공기의 유입량이 저하하여 유속이 느려지므로 다른 슬러지 건조기에 별도의 송풍수단을 설치해야 하므로, 70∼80℃(T3)의 공기로 승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략 60∼70℃(T4)℃로 냉각된 배가스는 하부의 폐수 저장조(20)를 통과하여 습식 세정기(4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통과한다. 이때, 슬러지 건조기의 건조공정에서 발생된 악취물질과 분진 등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게 되고, 대략 60∼70℃(T4)에서 대략 50∼55℃(T5)로 냉각되면서 발생된 응축수가 제거가 된다.
습식 세정기(40)를 통과한 배가스는 제 1 배출부(41a) 및 제 2 배출부(41b)의 2개 배출부를 개재해서 일정량이 배출되며, 이러한 배출부(41a, 41b)의 배출유량은 건조공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밸브 등의 제어부에 의해 조절하여 최적의 유량을 배출하게 된다.
습식 세정기(40)에서 배출된 저온의 배가스의 대부분은 건조용 열교환기에서 약 450℃ 승온된 후 슬러지 건조기의 건조공기로 재사용되고, 계내 음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부의 배가스를 연소실로 포집하여 고온에서 처리함으로써 습식 세정 기(40)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건조기 내의 악취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배가스 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폐수 저장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폐수 저장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응 축잠열 회수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응축잠열 회수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13은 도 11의 B부에 대한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응축잠열 회수기의 튜브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의 스프레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의 세척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상세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의 습식 세정기의 세척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측면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프레임 20: 폐수 저장조
30: 응축잠열 회수기 40: 습식 세정기

Claims (7)

  1. 슬러지 건조기에서 배출된 폐열 및 오염물질을 함유한 배가스가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고, 상기 배가스를 하부로 배출하는 응축잠열 회수기;
    상기 응축잠열 회수기의 하부에 연통설치되며, 상기 배가스가 상부로부터 유입되며, 상기 응축잠열 회수기의 폐열 회수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폐수 저장조; 및
    상기 폐수 저장조의 상부에 연통설치되며, 상기 배가스가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배가스를 습식 세정하고, 상기 배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며, 상기 습식 세정에서 발생된 세정수를 상기 폐수 저장조로 배출하는 습식 세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잠열 회수기는,
    내부에 배열된 복수의 핀-튜브로 이루어져 상기 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른 슬러지 건조기에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핀-튜브의 외곽을 통과한 건조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열교환기에서 회수한 폐열을 다른 슬러지 건조기에 공급되는 건조공기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측잠열 회수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잠열 회수기는,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둘레에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배출되는 건조공기의 온도를 70∼80℃로 유지하도록 건조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세정기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가스의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스프레이부와, 상기 스프레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레이부에서 분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미스터(Demister)와, 상기 더미스터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더미스터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부를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저장조는, 폐수의 수위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측면에 수위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저장조는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상기 폐수 저장조 내의 산소농도를 8%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KR1020070126038A 2007-12-06 2007-12-06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KR100912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38A KR100912867B1 (ko) 2007-12-06 2007-12-06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38A KR100912867B1 (ko) 2007-12-06 2007-12-06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276A true KR20090059276A (ko) 2009-06-11
KR100912867B1 KR100912867B1 (ko) 2009-08-18

Family

ID=4098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038A KR100912867B1 (ko) 2007-12-06 2007-12-06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9890A (zh) * 2018-12-26 2019-03-01 华润电力(海丰)有限公司 一种防止污泥干化装置混合废气冷凝的装置及方法
KR20190120542A (ko) * 2018-04-16 2019-10-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 휴대용 수소수 미스트기
KR102638221B1 (ko) * 2023-05-25 2024-02-21 (주)에코에바콘 백연 및 미세먼지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679B1 (ko) 2015-05-11 2015-12-28 장우기계(주) 슬러지 건조기용 폐열 회수장치
KR101695473B1 (ko) 2016-07-19 2017-01-23 장우기계 주식회사 배가스의 폐열회수 및 탈습겸용 장치
KR102205773B1 (ko) 2018-12-06 2021-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열을 재이용한 정전분무 사이클론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433A (ja) * 1992-03-13 1993-10-05 Ryoji Watabe 湿式集塵装置
KR960011037B1 (ko) * 1993-09-09 1996-08-16 이대성 폐수 재생능력을 가진 샤워터널식 배기 정화장치
KR100471923B1 (ko) 2001-07-06 2005-03-08 주식회사 시원기업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KR100895079B1 (ko) * 2002-09-02 2009-04-28 주식회사 포스코 밀도 및 형상변화를 이용한 배가스 정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42A (ko) * 2018-04-16 2019-10-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 휴대용 수소수 미스트기
CN109399890A (zh) * 2018-12-26 2019-03-01 华润电力(海丰)有限公司 一种防止污泥干化装置混合废气冷凝的装置及方法
CN109399890B (zh) * 2018-12-26 2024-03-15 华润电力(海丰)有限公司 一种防止污泥干化装置混合废气冷凝的装置及方法
KR102638221B1 (ko) * 2023-05-25 2024-02-21 (주)에코에바콘 백연 및 미세먼지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867B1 (ko)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67B1 (ko)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JP5913369B2 (ja) 非接触形の排気余熱汚泥乾燥システム
US6458188B1 (en) Method and means for air filtration
KR100856055B1 (ko) 열교환형 세정장치
JP2019000845A (ja) 汚泥処理用の排ガス浄化および熱回収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387292B1 (ko) 활성탄 필터부 및 회전형 세정수 공급수단을 갖는 사이클론 스크러버가 추가된 텐터후단 배기가스의 처리 공정 시스템
IE77772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content of acid gas pollutants in waste gases from an incineration device
CN110215790A (zh) 一种低热蒸汽全热回收除尘除湿分离机
CN202835409U (zh) 一种小型锅炉烟尘余热利用及除尘装置
JP2004168589A (ja) ゴミの焼却、焼却後の廃ガスの集塵・中和・触媒の反応装置及び触媒後の肥料化プラント並びにその構造
CN211734157U (zh) 一种密闭间接换热的污泥干化系统
KR10180018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의 응축용 탑
CN107376617A (zh) 湿法脱硫系统冷凝除雾防石膏雨一体化装置
CN206751587U (zh) 一种mvr工业污水处理装置
KR101580679B1 (ko) 슬러지 건조기용 폐열 회수장치
CN210595649U (zh) 一种杂盐干化工艺的专用设备
CN212327767U (zh) 污泥干化机出口尾气处理系统
CN211886173U (zh) 一种高温印染废气处理装置
CN1123734C (zh) 炉、窑烟气净化处理系统
CN208458002U (zh) 一种工业烟气优化利用消白系统
CN209254409U (zh) 有机气态污染物的冷凝处理系统
CN208426799U (zh) 一种烟尘处理装置
CN202876582U (zh) 烟气洗涤塔
CN220531135U (zh) 一种适用于湿污泥间接热干化的废气处理装置
CN110342719A (zh) 一种杂盐干化的工艺及专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