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808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808A
KR20090058808A KR1020070125572A KR20070125572A KR20090058808A KR 20090058808 A KR20090058808 A KR 20090058808A KR 1020070125572 A KR1020070125572 A KR 1020070125572A KR 20070125572 A KR20070125572 A KR 20070125572A KR 20090058808 A KR20090058808 A KR 2009005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ire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ang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745B1 (ko
Inventor
김종득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12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7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속한 특정 거주지에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하고, 해당 거주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유선 전화번호를 통한 호착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특정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 유선 전화망을 통한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거주지 내에 위치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착신을 통보하고,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요청에 따라 통화로를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유선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통화 중계장치와, 특정 주거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을 받게 되면, 호연결 요청에 의한 통화로 형성에 따라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의 유선전화 통화를 진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125572
유선전화, 이동통신 단말기, 근거리, 무선통신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System and Method for Wire Communication Using Mobile Terminal and Wire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Therefor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선 전화번호를 부여하여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유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종단에 설치된 기지국과의 상향/하향 무선 채널을 통한 끊임없는 무선 통신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문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면서 음성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문자, 이미지, 음성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최근에는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게임, 동영상 게임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업체가 등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컨텐츠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현재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면서 유선 전화기의 통신 가입자 수를 초과하고 있으며, 무선 통화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휴대가 간편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거주지에 설치되어 있는 유선 전화기의 사용 빈도가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현재는 유선 전화기의 유선 전화번호가 할당되는 특정 거주지에서도 무선 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한 상대방과 유선 전화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유선 전화번호를 통한 통화 이용빈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롭고 획기적인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속한 특정 거주지에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하고, 해당 거주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유선 전화번호를 통한 호착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 전화번호가 할당된 특정 거주지에 설치되어 유선 전화망 및 인터넷망과 연결하여 유선전화 통화 및 유선인터넷 통화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통화신호를 무선으로 중계하는 유선통화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 유선 전화망을 통한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거주지 내에 위치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착신을 통보하고,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요청에 따라 통화로를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유선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통화 중계장치와, 특정 주거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을 받게 되면, 호연결 요청에 의한 통화로 형성에 따라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의 유선전화 통화를 진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특정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선통화 중계장치에서 유선 전화망을 통한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이 검출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거주지 내에 위치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착신을 통보하는 단계와, 특정 주거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을 받게 되면, 해당 호착신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통화 키입력이 이루어지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에 호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요청에 따라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유선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선통화 중계장치에 따르면, 유선 전화망과 연결되어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발신에 따른 링신호를 검출하고, 호연결 요청에 따른 스위칭을 진행하여 유선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한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여 디지털 형태의 수화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송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에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를 통한 수화 음성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송화 음성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통화 메모리, 상대방으로부터의 호착신에 따라 호착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호연결에 따라 상기 통화 메모리로부터의 수화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함과 더불어, 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링신호가 검 출되면 해당 링신호에 따른 호착신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시켜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해당 주거지에 대해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유선전화 통화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화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단말 전화번호와 더불어 유선 전화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유선 전화번호가 할당된 특정 주거지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상태에서 해당 주거지에 설치된 유선통화 중계장치를 통해 유선 전화망을 통한 유선전화 통화와 인터넷망을 통한 유선인터넷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주거지에 고정 설치되는 유선 전화기를 통하지 않고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 통화가 가능하게 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 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유선 전화기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지 않아도 해당 거주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어느 사용자라도 편리하게 유선 통화를 진행할 수 있고, 유선전화번호를 통한 음성통화 사용빈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은, 거주지(10) 내에 설치된 유선통화 중계장치(12)와, 인터넷망, 유선 전화망, 이동 통신망, 거주지(10) 내에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를 통해 유선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4,16),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거주지(10) 내의 각 이동통신 단말기(14,16)와 유선인터넷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기(18), 유선 전화망을 통해 상기 거주지(10) 내의 각 이동통신 단말기(14,16)와 유선전화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유선 전화기(20), 원격지에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각 이동통신 단말기(14,16)와 무선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주지(10)는 유선 전화번호가 할당되는 유선 전화기가 설치 가능한 곳으로서, 일반 가정, 사무실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4,16)를 휴대한 사용자가 적을 두고 생활할 수 있는 모든 생활 공간을 포괄한다.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는 거주지(10) 영역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서, 유선 전화망을 통한 상대방 유선 전화기(20)로부터의 호착신 또는 인터넷망을 통한 상대방 인터넷 전화기(18)로부터의 호착신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거주지(10) 내에 위치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4,16)에 호착신을 통보하고,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4,16) 중에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요청에 따라 통화로를 형성하여 유선 전화기(20)와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유선전화 통화 또는 인터넷 전화기(18)와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유선인터넷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SLIC)(30)과, 디지털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DSP)(32), 통화 메모리(34),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 이더넷 모듈(Ethernet Switch)(38), 마이크로 프로세서(40), 데이터 메모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의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은 유선 전화망과 TIP 선로 및 RING 선로를 통해 유선 연결되고서, 상대방 유선 전화기(20)로부터의 호발신에 따른 링신호(Ring Signal)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에 제공하고, 거주지(10)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호연결 요청에 따라 스위칭을 진행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여 스피치 회로(Speech Circuit)를 통한 수화 음성 및 송화 음성의 신호 처리에 의해 유선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32)는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한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여 디지털 형태의 수화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되는 송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송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에 출력한다.
상기 통화 메모리(34)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32)를 통해 디지털신호 처리된 유선전화 통화를 위한 수화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이더넷 모듈(38)을 통해 수 신되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유선인터넷 통화를 위한 수화 음성 패킷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출력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32) 또는 이더넷 모듈(38)로 출력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은 상대방으로부터의 호착신에 따라 유선 전화번호를 포함한 호착신 신호를 상기 거주지(10)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호연결에 따라 상기 통화 메모리(34)로부터의 수화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함과 더불어, 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 또는 무선랜(WiFi) 통신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디지털 통신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16)와 통신을 진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거주지(10)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4,16)와의 무선 통신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해당 거주지(10)의 거리 반경과 동등한 무선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무선 통신 가능 영역은 블루투스 통신 또는 무선랜(WiFi) 통신을 위한 무선출력 파워의 조절에 의해 증감시킬 수 있다.
상기 이더넷 모듈(38)은 인터넷망을 통해 상대방 인터넷 전화기(18)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호를 통해 호접속을 진행하여 인터넷 전화기(18)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유선인터넷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패킷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로부터 상대방 유선 전화기(20)의 호발신에 의한 링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링신호를 유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착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을 통해 해당 주거지(10)에 위치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4,16)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더넷 모듈(38)을 통해 상대방 인터넷 전화가(18)로부터의 호착신이 있게 되면 그에 따른 호착신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을 통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4,16)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을 통해 해당 주거지(10)에 위치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연결 요청이 있으면,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 또는 이더넷 모듈(38)을 스위칭시켜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통화 메모리(34)의 동작을 인에이블시켜서 유선전화 통화 또는 유선인터넷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42)는 해당 주거지(10)에 대해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유선전화 통화 또는 유선인터넷 통화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1에서, 상기 각 이동통신 단말기(14,16)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에 따라 부여되는 무선단말 전화번호에 추가적으로 상기 주거지(10)에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듀얼 번호를 보유하고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영역에 해당하는 주거지(10) 내에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로부터의 호착신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받게 되면 각각 수신벨을 울리거나 진동을 통해 호착신을 통보하고, 사용자의 통화 버튼 조작에 따라 통화를 원하게 되면 호발신 요청을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에 보내어 통화로 형성에 의한 유선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이동통신 단말기(14,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50)와, 표시부(52), 데이터 메모리(54), 제어부(56), 디지털신호 처리부(58), 무선통신 모뎀(60),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62), 마이크로폰(64), 스피커(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5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통화 및 문자데이터 통신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것으로서, 다수의 키버튼 중에서 통화 키버튼을 통하여 유선 통화를 위한 통화 키입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52)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통화 상태 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상태, 각종 단말기 기능 실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로부터 유선전화 통화 또는 유선인터넷 통화를 위한 호착신 상태를 무선 통화를 위한 호착신과 구분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54)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무선단말 전화번호 및 유선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 실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를 통한 유선 통화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62)을 통해 상기 주거지(10) 내의 유선통화 중계장치(12)로부터 유선 통화를 위한 호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해 당 호착신 신호의 유선 전화번호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듀얼 번호 중에서 유선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것인지를 판단하여 호착신을 수신벨 출력이나 진동 출력, 상기 표시부(52)를 통한 호착신 표시를 통해 통보하고, 상기 키입력부(50)의 사용자 키조작에 의해 통화 입력이 이루어지면 호연결 요청을 수행함에 의해, 유선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를 통한 유선전화 통화 또는 유선인터넷 통화시에, 상기 무선통신 모뎀(60)을 통해 이동 통신망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임을 통보하고,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58)가 유선 통화를 위한 수화 음성 및 송화 음성의 디지털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58)는 상기 무선통신 모뎀(60)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화, 문자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디지털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선통화의 진행시에 상기 제어부(56)의 제어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62)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66)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64)으로부터 입력되는 송화 음성 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62)로 출력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62)은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과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 즉,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무선랜(WiFi) 통신 방식 등을 통해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와 유선 통화를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마이크로폰(64)은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통화 또는 유선 전화망, 인터넷망을 통한 유선 통화를 위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게 되고, 상기 스피커(66)를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을 출력한다.
한편, 도 1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유선인터넷 통화를 진행하기 위한 상대방 단말기가 인터넷 전화기(18)로 한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VoIP 인터넷 전화용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단말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특정 주거지(10)에 대해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가 제 1 및 제 2이동통신 단말기(14,16)에 각각 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14,16)가 주거지(10)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대방 유선 전화기(20)로부터 유선 전화망을 통해 해당 유선 전화번호로 호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는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해서 호착신에 따른 링신호를 검출하게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상기 링신호의 검출에 따라 유선 전화번호가 포함된 호착신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을 통해 해당 주거지(10) 내에 위치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4,16)에 전송한다.
이에,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이동통신 단말기(14,16)에서는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로부터의 호착신 신호를 모두 수신받게 되어 호착신을 알리는 수신벨을 출력하거나 진동 발생, 표시부(52)를 통한 호착신 표시를 수행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이동통신 단말기(14,16) 중에서 예컨대 제 1이동통신 단말기(14)의 사용자가 키입력부(50)의 통화 키버튼을 조작하여 유선 통화를 진행하고자 하게 되면, 상기 제 1이동통신 단말기(14)에서는 호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에 전송하고,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는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을 스위칭하여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에서는 호착신 신호의 발생을 중지하게 되고, 상기 제 2이동통신 단말기(16)에서는 호착신 통보를 중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대방 유선 전화기(20)로부터의 수화 음성 신호가 디지털신호 처리부(32)를 통해 디지털신호 처리되어 통화 메모리(34)의 버퍼링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에 의해 상기 제 1이동통신 단말기(14)에 무선 전송되고, 상기 제 1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수화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신호 처리부(58)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66)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이동통신 단말기(14)로부터의 사용자에 의한 송화 음성 신호는 디지털신호 처리부(58)를 통해 디지털신호 처리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62)을 통해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로 무선 전송되고,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는 상기 송화 음성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6)을 통해 수신받아 통화 메모리(34)를 통해 디지털신호 처리부(32)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서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해 상대방 유선 전화기(20)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선 통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제 1이동통신 단말기(14)에서 사용자의 키입력 조작에 의해 통화 종료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유선통 화 중계장치(12)는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30)의 스위칭 접속을 해제하여 유선전화 통화를 종료시키게 된다.
한편, 인터넷망을 통해 상대방 인터넷 전화기(18)와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유선인터넷 전화통화를 진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12)에서는 상기 유선 전화망을 통한 유선전화 통화와 유사한 과정으로 진행되지만, 인터넷망을 통한 유선인터넷 전화통화의 경우에는 이더넷 모듈(38)을 통해 VoIP호로 호접속되어 음성신호 패킷을 통한 상호간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선통화 중계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유선통화 중계장치를 매개로 한 유선통화가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거주지, 12:유선통화 중계장치,
14,16,22:이동통신 단말기, 18:인터넷 전화기,
20:유선 전화기, 30: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
32:디지털신호 처리부, 34:통화 메모리,
36: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38:이더넷 모듈,
40:마이크로 프로세서, 42:데이터 메모리.

Claims (14)

  1. 특정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 유선 전화망을 통한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거주지 내에 위치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착신을 통보하고,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요청에 따라 통화로를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유선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통화 중계장치와;
    특정 주거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을 받게 되면, 호연결 요청에 의한 통화로 형성에 따라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의 유선전화 통화를 진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는 유선 전화망과 연결되어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발신에 따른 링신호(Ring Signal)를 검출하고, 호연결 요청에 따른 스위칭을 진행하여 유선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한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여 디지털 형태의 수화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송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에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를 통한 수화 음성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송화 음성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통화 메모리,
    상대방으로부터의 호착신에 따라 호착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호연결에 따라 상기 통화 메모리로부터의 수화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함과 더불어, 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링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링신호에 따른 호착신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시켜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해당 주거지에 대해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유선전화 통화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인터넷망을 통해 상대방 인터넷 전화기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호를 통해 호접속을 진행하여 인터넷 전화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유 선인터넷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패킷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더넷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이더넷 모듈을 통해 상대방 인터넷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이 있게 되면 그에 따른 호착신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요청에 따라 이더넷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여 유선인터넷 통화가 진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 또는 무선랜(WiFi) 통신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디지털 통신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거주지의 거리 반경과 동등한 무선 통신 가능 영역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호착신 신호를 수신받고, 호연결 요청에 의한 통화로 형성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상대방의 수화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음과 더불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무선통신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화, 문자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디지털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유선통화의 진행시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송화 음성 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로부터 유선 통화를 위한 호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착신을 통보하고, 사용자에 의해 통화 키입력이 이루어지면 호연결 요청을 수행함에 의해, 유선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주거지에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는 상기 호착신 신호에 유선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상 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호착신 신호의 유선 전화번호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유선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것을 판단함에 의해 호착신을 통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무선랜(WiFi) 통신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디지털 통신방식으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를 통한 유선전화 통화시에 이동 통신망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임을 통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10. 특정 주거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선통화 중계장치에서 유선 전화망을 통한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이 검출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거주지 내에 위치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착신을 통보하는 제1단계와;
    특정 주거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 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착신을 받게 되면, 해당 호착신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2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통화 키입력이 이루어지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에 호연결을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요청에 따라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유선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에서 상기 호착신 신호에 해당 주거지에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주거지에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호착신 신호의 유선 전화번호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유선 전화번호와 동일한 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호착신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상대방 인터넷 전화기로부터 VoIP호를 통해 호착신이 오면, 그 호착신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유선인터넷 통화를 위한 호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망의 VoIP호를 통해 유선인터넷 통화가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유선통화 중계장치를 통한 유선전화 통화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임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방법.
  14. 유선 전화망과 연결되어 상대방 유선 전화기로부터의 호발신에 따른 링신호를 검출하고, 호연결 요청에 따른 스위칭을 진행하여 유선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한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여 디지털 형태의 수화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 기로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송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에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를 통한 수화 음성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송화 음성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통화 메모리;
    상대방으로부터의 호착신에 따라 호착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호연결에 따라 상기 통화 메모리로부터의 수화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함과 더불어, 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링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링신호에 따른 호착신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유선전화 인터페이스 모듈을 스위칭시켜서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해당 주거지에 대해 할당된 유선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유선전화 통화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통화 중계장치.
KR1020070125572A 2007-12-05 2007-12-0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KR10140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572A KR101401745B1 (ko) 2007-12-05 2007-12-0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572A KR101401745B1 (ko) 2007-12-05 2007-12-0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08A true KR20090058808A (ko) 2009-06-10
KR101401745B1 KR101401745B1 (ko) 2014-05-30

Family

ID=4098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572A KR101401745B1 (ko) 2007-12-05 2007-12-0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7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8350A2 (en) * 2009-09-01 2011-03-10 Ringcentral, Inc. Dock station for mobile devices
KR200469627Y1 (ko) * 2013-03-04 2013-10-28 박헌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안전장치
US8838082B2 (en) 2008-11-26 2014-09-16 Ringcentral, Inc. Centralized status server for call management of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8885809B2 (en) 2007-09-28 2014-11-11 Ringcentral, Inc. Techniques for bypassing call screening in a call messaging system
KR101485124B1 (ko) * 2014-04-23 2015-01-22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VWN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종 단말기의 통합형 VoIP 연결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9084186B2 (en) 2008-11-24 2015-07-14 Ringcentral, Inc. Call management for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867B1 (ko) 2001-10-12 2006-08-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0500032B1 (ko) * 2002-10-08 2005-07-05 주식회사 위다스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93893A (ko) *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퓨쳐위즈 유선전화기와 이동통신기와의 일대일 통신장치
KR100634416B1 (ko) * 2005-02-15 2006-10-16 (주)씨알시스템 유무선 착신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8775B2 (en) 2007-09-28 2018-04-17 Ringcentral, Inc. Techniquest for bypassing call screening in a call messaging system
US9736756B2 (en) 2007-09-28 2017-08-15 Ringcentral, Inc. Centralized status server for call management of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9571641B2 (en) 2007-09-28 2017-02-14 Ringcentral, Inc. Techniques for bypassing call screening in a call messaging system
US8885809B2 (en) 2007-09-28 2014-11-11 Ringcentral, Inc. Techniques for bypassing call screening in a call messaging system
US9258673B2 (en) 2007-09-28 2016-02-09 RingControl, Inc. Centralized status server for call management of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9084186B2 (en) 2008-11-24 2015-07-14 Ringcentral, Inc. Call management for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8838082B2 (en) 2008-11-26 2014-09-16 Ringcentral, Inc. Centralized status server for call management of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US8805399B2 (en) 2009-09-01 2014-08-12 Ringcentral, Inc. Dock station for mobile devices
US9078115B2 (en) 2009-09-01 2015-07-07 Ringcentral, Inc. Dock station for mobile devices
WO2011028350A2 (en) * 2009-09-01 2011-03-10 Ringcentral, Inc. Dock station for mobile devices
WO2011028350A3 (en) * 2009-09-01 2011-07-07 Ringcentral, Inc. Dock station for mobile devices
KR200469627Y1 (ko) * 2013-03-04 2013-10-28 박헌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안전장치
KR101485124B1 (ko) * 2014-04-23 2015-01-22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VWN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종 단말기의 통합형 VoIP 연결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745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11735A1 (en) Phone hold mechanism
JPWO2002100083A1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装置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JP2005192207A (ja) Ip基盤の画像/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呼転換/呼ピックアップ方法
KR2009005880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KR19980013943A (ko) 개선된 착신 및 핸드오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무선전화시스템
CN102387243A (zh) 移动终端
KR101006332B1 (ko) 메시지 변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607703B1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100652569B1 (ko) 블루투스 헤드셋에 의한 통화 중 대기 전환 방법
JPH0750708A (ja) コードレ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925244B1 (ko)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4144650B2 (ja) 電話端末
JP2010258697A (ja) 移動電話端末と連携する内線電話システム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JP5352529B2 (ja) 内線電話システムおよび無線基地局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KR100728433B1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방법
KR101065051B1 (ko) 호 전환 정보 표시 시스템, 방법 및 단말기
JP6156911B2 (ja) 中継装置、中継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80253360A1 (en) Terminal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JP2008042242A (ja) 電話着信時メッセージ通知システム
KR20030012654A (ko) 무선 블루투스폰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591892B1 (ko) 부가 번호를 서비스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31859A (ko) Dect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통신처리방법
KR100996127B1 (ko) 인터넷 전화의 광고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