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757A -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757A
KR20090058757A KR1020070125499A KR20070125499A KR20090058757A KR 20090058757 A KR20090058757 A KR 20090058757A KR 1020070125499 A KR1020070125499 A KR 1020070125499A KR 20070125499 A KR20070125499 A KR 20070125499A KR 20090058757 A KR20090058757 A KR 2009005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put
menu
image processing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898B1 (ko
Inventor
권기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898B1/ko
Priority to US12/237,420 priority patent/US9781467B2/en
Publication of KR2009005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898B1/ko
Priority to US15/097,713 priority patent/US10003845B2/en
Priority to US15/975,369 priority patent/US11146846B2/en
Priority to US17/479,141 priority patent/US1199140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25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in a remote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uning resonant circuits and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2200/25Remote control device with display
    • H03J2200/26Remote control device with touch screen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리모트 컨트롤러는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처리 가능한 메뉴처리부와; 모드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의 입력 메뉴가 표시되도록 메뉴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한다.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 영상처리장치{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가지는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입력 모드에 대응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가지는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영상처리장치는 전원의 온/오프, 복수의 영상 간의 상호 전환, 화면과 볼륨의 조정 및 예약 녹화 등 다양한 옵션의 선택 지정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제공된다.
또한 근래의 영상처리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하여 입력될 수 없는 다양하고 복잡한 것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해서 별도의 입력장치가 영상처리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영상처리장치는 단순히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각 기능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영상처리장치에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입력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입력장치들이 점유하는 공간이 증가하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 기능별로 입력장치를 바꿔서 조작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입력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메뉴를 구현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입력 메뉴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전환시켜 표시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입력 모드를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 및 전환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자 입력 또는 핸드라이팅 입력이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처리 가능한 메뉴처리부와; 상기 모드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드의 상기 입력 메뉴가 표시되도록 상기 메뉴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뉴처리부는 상기 핸드라이팅 입력이 가능한 메모 영역이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메뉴처리부는 한글, 알파벳, 숫자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가능한 문자 입력 메뉴가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메뉴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입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함께 표시되도록 처리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된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송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달된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컨트롤러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정보가 입력되어 송신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본체제어부를 가지는 영상처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소정의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영상처리본체의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처리 가능한 메뉴처리부와; 상기 모드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드의 상기 입력 메뉴가 표시되도록 상기 메뉴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메뉴 표시 단계는, 상기 핸드라이팅 입력이 가능한 메모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 메뉴 표시 단계는, 한글, 알파벳, 숫자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가능한 문자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 메뉴 표시 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드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입력 메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 상기 모드의 선택 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를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현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복수 입력장치를 이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가 각 모드 별로 입력장치를 교체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통합할 수 있으므로, 장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입력 메뉴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구현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입력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장치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본체(100)와, 이 영상처리본체(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본체(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이러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소정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30)와,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본체통신부(140)와,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체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처리장치(1)는 TV, 셋탑박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영상처리장치(1)가 셋탑박스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처리본체(100)의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입력 모드를 가지며 각 모드는 상호 전환되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입력 모드는 영상처리본체(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드,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모드 및 사용자에 의한 수기, 즉 핸드라이팅(hand-writing)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입력 모드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이중 두 가지 모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 기능의 모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210)과, 다양한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메뉴처리부(220)와, 터치 스크린(2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송신하는 등 본체통신부(140) 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 통신부(230)와, 사용자가 각 입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모드선택부(240)와,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며 모드의 선택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는 입력 메뉴가 전환되도록 메뉴처리부(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영상처리본체(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수신부(130)는 본체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영상기기(미도시)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외부 영상기기(미도시)는 DVD, VCR, PC 등일 수 있다. 신호수신부(130)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포맷은 RCA, HDMI, DVI 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신호수신부(13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아날로그 TV 방송, DTV 방송,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VOD(Video-on-demand)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신호수신부(130)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의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처리, 영상의 크기 조정을 위한 스케일링,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화면 조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통신부(14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자세하게는 컨트롤러 통신부(230)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본체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상기 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입력 모드에 따라서 포함되는 정보 및 신호 규격 등이 상이할 수 있으며, 본체통신부(140)는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제어부(150)는 제어 모드의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처리본체(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체제어부(150)는 문자 입력 모드 또는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의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문자 정보 또는 핸드라이팅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본체통신부(140)에 수신되면, 이를 필요에 따라서 처리 또는 전송한다. 예를 들면, 본체제어부(15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입력된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미도시)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 본체통신부(140)에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신호송신부(미도시)로부터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터치 스크린(210)은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 스크린(210)은 각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 표시된 입력 메뉴를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소정 정보를 입력한다. 이를 위한 터치 스크린(21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210)의 판면 상에 적외선에 의한 격자를 형성하고, 이 격자에 손가락 등의 물체가 접촉하게 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접촉한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 판단 한 후 이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메뉴처리부(220)는 복수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환 선택됨에 따라서,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즉 메뉴처리부(220)는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2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있어서 각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메뉴처리부(220)가 구현할 수 있는 입력 메뉴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2의 상측 왼쪽에는 제어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 키가 표시된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어 메뉴 키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숫자 키, 영상의 설정값, 볼륨, 채널 등을 전환 지정하기 위한 커서 키 및 선택 키 등을 포함한다.
도 2의 하측에는 문자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키가 표시된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문자 입력 키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인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 입력 자판으로부터 추출되어 마련되며, 한글, 알파벳,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한글 입력 키는 두벌식 또는 세벌식 규격을 가지며, 알파벳 입력 키는 쿼티(QWERTY), 드보락(DVORAK) 또는 애저티(AZERTY) 방식의 규격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상측 오른쪽에는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메모 영역(211)이 표시된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도시되어 있다. 메모 영역(211)은 터치 스크린(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메모 영역(211)에 접촉시킴으로써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 메모 영역(211)을 리셋(reset)하는 등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 키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 통신부(230)는 터치 스크린(2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본체통신부(140)로 송신한다. 컨트롤러 통신부(230)는 터치 스크린(210)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되면, 이 정보를 처리하여 본체통신부(140)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컨트롤러 통신부(230)는 각 입력 모드에 대응하여 상이하게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송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모드선택부(24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외부에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드선택부(240)는 사용자가 복수의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된 입력 모드를 제어부(250)에 알림으로써 제어부(250)가 이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모드선택부(240)는 기계적인 버튼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입력 메뉴의 전환과 무관하게 터치 스크린(210) 일측에 항상 형성된 키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며, 모드선택부(240)로부터 모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메뉴처리부(220)를 제어한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모드선택부(240)를 통해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가 모드선택부(240)로부터 제어부(250)로 출력된다. 그 리고 제어부(25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이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며,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메뉴처리부(220)를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문자 입력 모드 또는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일 때에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25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정보를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모드 선택에 따른 입력 메뉴의 표시 과정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모드선택부(240)를 조작하여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다(S100). 모드선택부(240)는 이에 모드 선택 신호를 제어부(250)로 출력하며, 제어부(250)는 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모드를 판단한다.
제어부(250)는 선택된 모드가 영상처리본체(100)의 제어 모드로 판단하면(S110), 제어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 키가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메뉴처리부(220)를 제어한다(S120).
한편 제어부(250)는 선택된 모드가 문자 입력 모드로 판단하면(S130), 문자 입력 키가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메뉴처리부(220)를 제어한다(S140).
한편 제어부(250)는 선택된 모드가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로 판단하면(S150), 핸드라이팅 입력이 가능한 메모 영역(211)이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메뉴처리부(220)를 제어한다(S160).
각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표시된 입력 메뉴를 터치하여 소정 정보를 입력하고, 제어부(250)는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컨트롤러 통신부(230)를 통해 영상처리본체(100)로 송신한다. 본체제어부(150)는 수신된 정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영상처리본체(100)를 제어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에 해당하는 입력 메뉴가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되는 것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복수의 모드 중 복수 개를 선택하여 각각의 입력 메뉴가 터치 스크린(210)의 한 화면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두 가지 모드의 입력 메뉴가 함께 표시되는 예를 제2실시예로 하여,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영상처리장치(1)에서 복수의 모드 선택에 따른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드선택부(240)를 통해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두 가지를 선택한다(S2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를 선택한다고 하면, 제어부(250)는 우선 터치 스크린(210)의 입력 메뉴 표시 영역 중 각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표시될 영역을 둘로 분할한다(S210).
제어부(250)는 분할된 하나의 표시 영역에 제어 메뉴 키를 표시하며, 다른 표시 영역에 메모 영역을 표시한다(S220). 이로써 하나의 터치 스크린(210)에 두 가지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함께 표시되며, 사용자는 각 입력 메뉴를 조작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모드선택부(240)를 조작하면 이로부터 모드 선택 신호가 제어부(250)에 전달된다고 설명했으나, 이러한 선택 신호는 영상처리본체(100)에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예를 제3실시예로 하여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모드 선택 신호를 영상처리본체(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실시예에서, 영상처리본체(100)는 네트워크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리모트 컨트롤러(2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신호수신부(130)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선택 신호를 최초 생성하는 주체는 상기 네트워크로 접속된 서버(미도시) 또는 서버(미도시)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미도시) 등 다양하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본체(100)가 방송하는 영상컨텐츠가 쇼핑몰의 제품 판매 컨텐츠이고, 사용자가 이 쇼핑몰에서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대금 결재 시 사용자의 직필 서명을 쇼핑몰로 전송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신호수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미도시)로 접속되며, 이 서버(미도시)에는 쇼핑몰의 클라이언트 단말(미도시)이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조작하여 제품 구매에 관한 정보를 쇼핑몰 로 전송하면, 쇼핑몰의 단말(미도시)은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가 되도록 모드 선택 신호를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직필 서명을 요청한다.
이 모드 선택 신호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처리본체(100)로 전달된다(S300). 자세하게는 선택 신호가 신호수신부(130)에 수신된다. 본체제어부(150)는 본체통신부(140)를 통해 이 선택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200)로 송신한다(S310).
선택 신호가 컨트롤러 통신부(230)에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수신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모드, 즉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를 선택한다(S320). 그리고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 즉 메모 영역(211)을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한다(S330).
사용자는 표시된 메모 영역(211)에 직필 서명을 하고 이를 영상처리본체(100)로 전송하면, 영상처리본체(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 직필 서명의 정보를 쇼핑몰로 전달한다.
이렇게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 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입력 메뉴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하나의 모드 선택에 따른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복수의 모드 선택에 따른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모드 선택 신호를 영상처리본체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처리장치 100 : 영상처리본체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신호수신부 140 : 본체통신부
150 : 본체제어부 200 : 리모트 컨트롤러
210 : 터치 스크린 220 : 메뉴처리부
230 : 컨트롤러 통신부 240 : 모드선택부
250 : 제어부

Claims (12)

  1.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처리 가능한 메뉴처리부와;
    상기 모드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드의 상기 입력 메뉴가 표시되도록 상기 메뉴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처리부는 상기 핸드라이팅 입력이 가능한 메모 영역이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처리부는 한글, 알파벳, 숫자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가능한 문자 입력 메뉴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입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함께 표시되도록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마련된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송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달된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컨트롤러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
  7.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정보가 입력되어 송신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본체제어부를 가지는 영 상처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소정의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영상처리본체의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처리 가능한 메뉴처리부와;
    상기 모드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모드의 상기 입력 메뉴가 표시되도록 상기 메뉴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모드, 문자 입력 모드 및 핸드라이팅 입력 모드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메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메뉴 표시 단계는, 상기 핸드라이팅 입력이 가능한 메모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메뉴 표시 단계는, 한글, 알파벳, 숫자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가능한 문자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메뉴 표시 단계는, 상기 복수의 모드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입력 메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 상기 모드의 선택 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KR1020070125499A 2007-12-05 2007-12-05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KR10113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99A KR101135898B1 (ko) 2007-12-05 2007-12-05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US12/237,420 US9781467B2 (en) 2007-12-05 2008-09-25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5/097,713 US10003845B2 (en) 2007-12-05 2016-04-13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5/975,369 US11146846B2 (en) 2007-12-05 2018-05-09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7/479,141 US11991409B2 (en) 2007-12-05 2021-09-20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99A KR101135898B1 (ko) 2007-12-05 2007-12-05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57A true KR20090058757A (ko) 2009-06-10
KR101135898B1 KR101135898B1 (ko) 2012-04-13

Family

ID=4072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499A KR101135898B1 (ko) 2007-12-05 2007-12-05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9781467B2 (ko)
KR (1) KR101135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384B1 (ko) * 2000-11-23 2005-05-31 이은자 민들레환제조방법
KR101135898B1 (ko) * 2007-12-05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KR20100045188A (ko) 2008-10-23 2010-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GB0823591D0 (en) * 2008-12-30 2009-01-28 Eldon Technology Ltd A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broadcast programming
KR101058525B1 (ko) * 2009-10-09 2011-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 입력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508482B2 (en) * 2009-11-30 2013-08-13 Neil Van der Byl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102011052636A1 (de) * 2011-08-12 2013-02-14 Medion Ag Eingabeeinrichtung zur Fernsteuerung von elektronischen Geräten
CN103024566B (zh) * 2012-12-06 2015-1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视界面操作控制装置、遥控装置及方法
KR102015347B1 (ko) * 2013-01-07 2019-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JP5853999B2 (ja) * 2013-06-17 2016-02-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遠隔操作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768841B2 (ja) * 2013-06-21 2015-08-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遠隔操作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75230B1 (ko) * 2016-07-29 202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35950C (en) 1986-10-03 1995-06-20 Kenneth George Sharp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ing amorphous silicon films from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dihalosilanes
US5231578A (en) * 1988-11-01 1993-07-27 Wang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document annotation and manipulation using images from a window source
KR950033799A (ko) 1994-05-10 1995-12-26 이헌조 엘씨디(lcd)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리모트 콘트롤러 및 리모트 콘트롤방법
KR0170326B1 (ko) * 1994-07-27 1999-03-30 김광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654529A (en) * 1995-05-03 1997-08-05 Hewlett-Packard Company Stylus-input computing system with erasure
KR970058192A (ko) 1995-12-21 1997-07-31 배순훈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다기능 리모콘(Remocon)과 리모콘 제어 방법
US6097441A (en) * 1997-12-31 2000-08-01 Eremote, Inc. System for dual-display interaction with integrated television and internet content
US6208341B1 (en) * 1998-08-05 2001-03-27 U. S. Philips Corporation GUI of remote control facilitates user-friendly editing of macros
US7094977B2 (en) * 2000-04-05 2006-08-22 Anoto Ip Lic Handelsbolag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association
US6717073B2 (en) * 2000-12-29 2004-04-06 Intel Corporation Wireless display systems, styli, and associated methods
US20030025738A1 (en) * 2001-07-31 2003-02-06 Eastman Kodak Company User interface including portable display for use with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20030025676A1 (en) * 2001-08-02 2003-0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nsor-based menu for a touch screen panel
US20030034957A1 (en) * 2001-08-17 2003-02-20 Dubil Thomas James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television program on a remote control device
KR20040047854A (ko) * 2001-09-26 2004-06-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방송 수신기
KR100811339B1 (ko) * 2001-10-11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되는 원격제어 시스템 및방법
US7002553B2 (en) 2001-12-27 2006-02-21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109974B2 (en) * 2002-03-05 2006-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n on-screen display (OSD)
US6914551B2 (en) * 2002-04-12 2005-07-05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to facilitate universal remote control
US7109908B2 (en) * 2002-10-18 2006-09-19 Contec Corporation Programmable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KR100500962B1 (ko) * 2002-11-29 2005-07-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대화형 텔레비전의 무선 입력 장치
US20040152414A1 (en) * 2003-02-04 2004-08-05 Wang David S.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video signal through a television tuner and displaying the video signal
WO2004071092A1 (de) * 2003-02-10 2004-08-19 Betty Technology Ag Peripherie-vorrichtung für ein fernsehgerät
US20050108751A1 (en) * 2003-11-17 2005-05-19 Sony Corporation TV remote control with display
US7872642B2 (en) * 2004-03-12 2011-01-18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trolling device having multiple user interfaces
CN1328653C (zh) * 2004-03-19 2007-07-25 郦东 一种在便携式终端上进行手写输入的方法及系统
TWI236239B (en) * 2004-05-25 2005-07-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Remote controller
JP4572696B2 (ja) * 2005-02-17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制御信号入力システム、制御信号入力方法。
US7669770B2 (en) * 2005-09-06 2010-03-02 Zeemote, Inc. Method of remapping the input elements of a hand-held device
KR100833365B1 (ko) * 2006-02-23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콘과 그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US20070236613A1 (en) * 2006-03-28 2007-10-11 Foss Jonathan G TV remote with image capability
KR101428730B1 (ko) * 2007-01-04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검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KR101135898B1 (ko) * 2007-12-05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US8803655B2 (en) * 2010-05-11 2014-08-1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46860A1 (en) 2009-06-11
KR101135898B1 (ko) 2012-04-13
US20160227268A1 (en) 2016-08-04
US9781467B2 (en) 2017-10-03
US20180262796A1 (en) 2018-09-13
US20220007070A1 (en) 2022-01-06
US11146846B2 (en) 2021-10-12
US11991409B2 (en) 2024-05-21
US10003845B2 (en)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898B1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US8793613B2 (en) GUI for audio video display device (AVDD) with pervasive appearance but changed behavior depending on command input mode
EP1548559B1 (en) Inputting method and device
US20070266397A1 (en) Multimedia display apparatus with add-on personal computer functions capable of entering keyboard keys with remote control
EP2184918A2 (en) Broadcas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135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screen channel selection
TW200930096A (en) User interface for set top box
US8724527B2 (en) Remote-control system, remote controller, remote-control method,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00067296A (ko) 메인 영상처리장치와 서브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4260A (ko) 영상처리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8866895B2 (en) Passing control of gesture-controlled apparatus from person to person
US20140240263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01957A1 (en) Display apparatus
JP4473739B2 (ja) 映像装置、及びそのメニュー操作方法
JP2000059704A (ja) 番組予約装置
US20070266418A1 (en) Multimedia display apparatus with add-on personal computer functions capable of entering keyboard keys with remote control
US201301765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3601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37929A1 (en)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force input in a medi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106564B2 (ja) 放送受信装置
EP264275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153732A (ja) リモコン装置、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2640070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