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481A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8481A KR20090058481A KR1020090034354A KR20090034354A KR20090058481A KR 20090058481 A KR20090058481 A KR 20090058481A KR 1020090034354 A KR1020090034354 A KR 1020090034354A KR 20090034354 A KR20090034354 A KR 20090034354A KR 20090058481 A KR20090058481 A KR 200900584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ght eye
- eye image
- image
- left eye
- sli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18—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light path, e.g. for comparing two specimens
- G02B21/20—Binocular arrangements
- G02B21/22—Stereoscopic arrang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5—Control or image processing arrangements for digital or video microscopes
- G02B21/367—Control or image processing arrangements for digital or video microscopes providing an output produced by proces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source images, e.g. image tiling, montage, composite images, depth sectioning, image comparis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8—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details of associated display arrangements, e.g. mounting of LCD monito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의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을 용이하게 정렬하여 입체영상으로 획득하는 한편, 상기 입체영상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사물의 이차원 평면 영상을 삼차원 입체영상으로 보여주는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획득장치는 사물의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영상획득 장치 및 사물의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좌안 영상획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획득 장치들 내부에 구비된 이미지센서모듈을 상부에서 하부로 지탱하여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을 여러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영상들이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에 정렬하여 획득되게 한다.
입체 현미경, 입체영상, 편광, 이미지센서모듈, 슬라이더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의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을 용이하게 정렬하여 입체영상으로 획득하는 한편, 상기 입체영상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사물의 이차원 평면 영상을 삼차원 입체영상으로 보여주는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현미경이란 인간의 눈으로 관찰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작은 물체, 미생물 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로써, 사물의 영상을 렌즈계의 배율에 따라 확대하여 확대된 영상을 결상하여 관찰자에게 제공해주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현미경은 렌즈계의 개수에 따라 단안 현미경과 쌍안 현미경으로 구분되며, 사람이 경통의 일 단부에 눈을 대고 확대된 사물의 영상을 관찰하게 되어 있다.
최근에는 현미경에 결상된 영상을 이미지 센서로 감광하여 LCD 등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보여주는 현미경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한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크게 디스플레이장치의 서로 다른 편광을 이용하여 편광안경을 쓰고 입체영상을 관찰하는 안경방식과 관찰자의 눈의 위치에 맞게 좌우 영상을 공간상에서 구분하여 출력하는 무 안경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상기 무 안경방식은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과 배리어(Barrier) 방식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이러한 무 안경방식은 안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편리성이 우수하지만 관찰자가 좌우, 앞뒤로 이동시 입체 영상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며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합성된 좌우 영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해상도 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경방식은 광학필터 역할을 하는 편광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시야각이나 해상도 측면에서 무 안경방식에 비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입체영상을 고해상도로 유지하려면 두 가지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는데, 하나는 렌즈계와 이미지센서 간에 일정한 초점거리를 유지하여야하는 거리조건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렌즈계에 결상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일정한 위치에서 상기 이미지센서에 감광되어야하는 위치조건이다.
따라서, 입체영상 합성에 필요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획득시, 상기 거리조건 및 위치조건이 동시에 만족되지 않는다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만들어지는 입체영상은 기하학적인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거리조건은 상기 이미지센서의 특징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15mm 정도의 짧은 거리를 요구한다.
즉,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렌즈계 사이에 상기 이미지센서를 움직이게 하는 스테이지 장치를 삽입하는 것은 정밀한 가공기술이 요구되므로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렌즈계와 이미지센서 간에 짧은 거리조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을 정확한 위치에서 감광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획득장치의 요구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계에 결상된 영상들이 이미지센서모듈에 감광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영상 획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계와 이미지센서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획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이용한 고 해상도의 입체 현미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로 서로 다른 입체영상데이터를 출력해 줄 수 있는 입체 현미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는 사물의 영상을 결상하는 렌즈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계에 결상되는 사물의 영상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렌즈계가 장착되는 부분이 천공된 하우징, 상부에서 하부로 지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계에 결상된 영상을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이미지센서모듈 및 상기 이미지 센서모듈을 수평면상에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이 상기 영상신호를 획득 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제1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제1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하게 하는 제1 수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을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에 의해 관통되고,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맞닿아 상기 제1 축 방향으로는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암나사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제2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2 수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2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 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획득장치는 우안 이미지 센서모듈을 구비하여 우안 렌즈계에 결상된 사물의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영상획득 장치 및 좌안 이미지 센서모듈을 구비하여 좌안 렌즈계에 결상된 사물의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좌안 영상획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모듈 또는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모듈은 각각 상기 렌즈계들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지탱되어 상기 렌즈계들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평면상의 일정한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우안 영상 또는 상기 좌안 영상을 획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센서모듈은 제 1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획득하고, 다른 하나의 이미지센서모듈은 상기 제 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다른 하나의 영상을 획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센서모듈은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이미지센서모듈은 제 1 축 방향 및 상기 제 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영상을 획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모듈들은 제 1 축 방향 및 상기 제 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상기 영상을 획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영상획득 장치는 내부에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우안 영상을 결상하는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장착 되고, 상기 우안 렌즈계에 결상되는 우안 영상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우안 렌즈계가 장착되는 부분이 천공된 우안 하우징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모듈을 상부에서 하부로 지탱하며 수평면상에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이 상기 우안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가 수평면상에서 90도 회전한 형태이고, 상기 좌안 영상을 결상하는 좌안 렌즈계의 상부에 장착되는 좌안 영상 획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제1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우안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제1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하게 하는 제1 수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는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을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에 의해 관통되고,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맞닿아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는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제2 암나사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제2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2 수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2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획득장치가 구비된 입체 현미경은 사물의 우안 영상을 결상하는 우안 렌즈계, 사물의 좌안 영상을 결상하는 좌안 렌즈계, 상기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영상획득 장치, 상기 좌안 렌즈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좌안 영상획득 장치, 상기 영상신호들을 입력받아 각각 좌안영상데이터 및 우안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만드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우안 영상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우안 렌즈계가 장착되는 부분이 천공된 우안 하우징, 상기 우안 렌즈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우안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 렌즈계에 결상된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이미지센서모듈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모듈을 수평면상에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이 상기 우안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좌안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우안 영상획득 장치가 수평면상에서 90도 회전한 형태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제1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우안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제1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하게 하는 제1 수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는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을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에 의해 관통되고,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맞닿아 상기 제1 축 방향으로는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제2 암나사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제2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2 수나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2 수 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현미경은 사물의 우안 영상을 결상하는 우안 렌즈계, 사물의 좌안 영상을 결상하는 좌안 렌즈계, 상기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영상획득 장치, 상기 좌안 렌즈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좌안 영상획득 장치, 상기 영상신호들을 입력받아 각각 좌안영상데이터 및 우안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만드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우안 영상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우안 렌즈계가 장착되는 부분이 천공된 우안 하우징, 상기 우안 렌즈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우안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 렌즈계에 결상된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이미지센서모듈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모듈을 수평면상에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이 상기 우안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좌안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우안 영상획득 장치가 수평면상에서 90도 회전한 형태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데이터들을 변환하여 적청, 렌티큘러, 베리어, 스텝베리어, 마이크로폴, 좌우 사이드바이사이드 또는 상하 사이드바이사이드 방식의 입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변환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입체 현미경은 상기 신호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용 P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제1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우안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제1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하게 하는 제1 수나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는 상기 우안 이미지센서모듈을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에 의해 관통되고,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맞닿아 상기 제1 축 방향으로는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제2 암나사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제2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2 수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2 수 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현미경은 사물의 우안 영상을 결상하는 우안 렌즈계, 사물의 좌안 영상을 결상하는 좌안 렌즈계, 상기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영상획득 장치, 상기 좌안 렌즈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좌안 영상획득 장치, 상기 영상신호들을 입력받아 각각 좌안영상데이터 및 우안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만드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우안 영상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우안 렌즈계가 장착되는 부분이 천공된 우안 하우징, 상기 우안 렌즈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우안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 렌즈계에 결상된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이미지센서모듈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모듈을 수평면상에서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좌안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좌안 렌즈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며 상기 좌안 렌즈계에 결상된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좌안 이미지센서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데이터들을 변환하여 적청, 렌티큘러, 베리어, 스텝베리어, 마이크로폴, 좌우 사이드바이사이 드 또는 상하 사이드바이사이드 방식의 입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변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용 PC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이미지센서모듈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제1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 상부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맞닿아 상기 제1 축 방향으로는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제2 암나사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관통하되,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제1 암나사와는 나사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슬라이더 상에서 이동하게 하는 제1 수나사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제2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2 수나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바 및 상기 제2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계에 결상된 영상들이 이미지센서 모듈에 감광되는 위치를 하나의 축 방향 또는 직교하는 두 개의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영상 획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계와 이미지센서 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획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획득 위치를 조절하여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만들어지는 입체영상이 기하학적인 왜곡 없이 최적의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입체현미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입체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와 호환가능한 입체현미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 을 참조하면, 본 발명 따른 영상 획득장치(100)의 제1 실시예는 하우징(110), 이미지센서모듈(120) 및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빛을 받아들여 전기신호를 만들어내는 이미지센서모듈(120)은 그 크기나 종류 등에 따라 초점거리가 다르므로 렌즈계(30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야하는 조건을 거리조건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거리조건은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의 특징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15mm 정도의 짧은 거리를 요구한다.
즉,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과 상기 렌즈계(300) 사이에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을 움직이게 하는 장치를 삽입하는 것은 정밀한 가공기술이 요구되므로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 하우징(110)은 사물의 영상을 결상하는 렌즈계(3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중앙 부분은 상기 렌즈계(300)에 결상된 사물의 영상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100)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모듈(120)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육면체로 구비하였으며, 하우징 본체(112)와 하우징 덮개(111)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는 제1 수나사(132)가 삽입되는 제1 수나사 삽입홈(112a)과 상기 제1 수나사 삽입홈(112a)의 양쪽에 상기 가이드바(133)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바 삽입홈(1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계(300) 결상된 사물의 영상을 전기신호인 영상신호로 획득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은 상부에서 하부로 지탱되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매달려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이 하부에서 상부로 지탱된다면 지탱시키는 수단에 의해 상기 거리조건을 쉽게 만족시킬 수 없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모듈(120)은 상부에서 하부로 지탱되어, 상기 렌즈계(300)와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 형태이므로 상기 거리조건이 매우 짧은 경우라도 쉽게 만족시키며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로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여 사람이 사물의 확대 영상을 관찰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은 시시디(CCD:Charge Coupled Device)소자 또는 시모스(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소자로 이루어지며, 영상판, 광다이오드 등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130)은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이 상기 렌즈계(300)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되도록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의 상부에서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을 지탱하는 동시에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을 일정한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130)은 제1 슬라이더(131), 제1 수나사(132) 및 제1 가이드바(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슬라이더(131)는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 상부에 결합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의 회전에 의해 결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 슬라이더(131)는 상기 거리조건을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을 상기 렌즈계(300)와 일정한 거리 떨어진 지점에 고정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슬라이더(131)와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의 결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거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종류에 관계없이 어떠한 이미지센서모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더(131)는 제1 축방향(a)으로 수나사가 결합할 수 있는 제1 암나사(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축방향(a)은 X축 또는 Y축 어느 방향이라도 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나사(132)는 양 단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지않은 나사로써 상기 하우징(110)의 제1 수나사 삽입홈(112a)을 통과한 후, 상기 제1 암나사(131a)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정부분에 거치 된다.
즉, 상기 제1 수나사(132)의 회전력은 상기 제1 암나사(131a)에만 전달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131)는 상기 제1 수나사(13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축방향(a)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바(133)은 상기 제1 수나사(132)의 양쪽에 나란히 위치하고, 두 개의 가이드바(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이드바 삽입홈(112b)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131)를 관통한 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정 부분에 거치된다.
그러나 상기 제1 가이드바(133)는 하나의 가이드바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의 가이드바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바(133)는 상기 제1 수나사(132)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 슬라이더(131)의 직선운동으로 용이하게 변환시켜 줄 수 있다면 개수에 관계없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바(133)는 가이드레일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131)를 가이드할 수도 있다.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1 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200)는 하우징(110), 이미지센서모듈(120),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130) 및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들(130,210)에 의해 X,Y축으로 이동하며 렌즈계(300)에 결상된 사물의 영상을 영상신호로 획득한다.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210)은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130)을 상기 제1 축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축방향(b)으로 이동하게 한다.
즉,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210)은 상기 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130)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210)은 제2 슬라이더(211), 제2 수나 사(212) 및 제2 가이드바(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슬라이더(211)는 상기 제1 축방향(a)과 직교하는 제2 축방향(b)으로 제2 암나사(211a)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1 수나사(132)에 의해 관통되고, 양 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맞닿아 상기 제1 축방향(a)으로는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더(211)는 상기 제1 수나사(132)와 나사결합을 하지않고 단지 관통만이 되므로, 상기 제1 수나사(132)의 회전력은 상기 제2 슬라이더(211)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1 슬라이더(131)에만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더(211)는 상기 제1 슬라이더(131)와 함께 상기 제1 가이드바(133)에 의해 관통된다.
즉, 상기 제1 슬라이더(131)는 상기 제2 슬라이더(211) 상에서 상기 제1 축방향(a)으로 움직이는 형태이다.
상기 제2 수나사(212)는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된 제2 수나사 삽입홈(112c) 통과하여 상기 제2 암나사(211a)와 나사결합 한 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정부분에 거치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수나사(212)가 회전하면 상기 제2 슬라이더(211)가 상기 제2 수나사(212)의 회전축 방향(b)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수나사(132)와 상기 제2 수나사(2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들(131,211)이 상기 제1 축방향(a) 또는 상기 제2 축방향(b)으로 움직이게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131) 하부에 부착되는 이미지센서모듈(120)이 움직이게 되 는 것이다.
상기 제2 가이드바(213)는 상기 제2 수나사(212)의 양쪽에 상기 제2 수나사(212)와 나란한 두 개의 가이드바(213)로 이루어지며, 제2 가이드바 삽입홈(112d)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211)를 관통한 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정 부분에 거치된다.
그러나 상기 제2 가이드바(213)는 하나의 가이드바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의 가이드바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가이드바(213)는 상기 제2 수나사(212)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 슬라이더(211)의 직선운동으로 용이하게 변환시켜 줄 수 있다면 개수에 관계없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바(213)는 가이드레일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211)를 가이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센서모듈(120)은 정밀한 가공기술이 없이도 상기 렌즈계(300)와의 거리조건을 쉽게 만족하여 구비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에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현미경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1 및 도2 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현미경의 제1 실시예는 우안 렌즈 계(310), 좌안 렌즈계(320), 우안 영상 획득장치(100), 좌안 영상 획득장치(100a), 신호처리부(400),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 및 저장용 PC(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우안 렌즈계(310)는 사물이 방출하는 빛을 받아들여 우안 영상을 결상하는 우안 대물렌즈(311), 상기 우안 대물렌즈(311)에서 전달되는 우안 영상을 반사시키는 우안 반사미러(312), 상기 우안 반사미러(312)에 의해 반사된 우안 영상을 절환시키는 우안 절환미러(313) 및 상기 우안 절환미러(313)에 의해 좌우가 절환된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 획득장치(100)로 전달하는 우안 접안렌즈(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안 렌즈계(320)는 사물이 방출하는 빛을 받아들여 좌안 영상을 결상하는 좌안 대물렌즈(321), 상기 좌안 대물렌즈(321)에서 전달되는 좌안 영상을 반사시키는 좌안 반사미러(322), 상기 좌안 반사미러(322)에 의해 반사된 상을 절환시키는 좌안 절환미러(323) 및 상기 좌안 절환미러(323)에 의해 좌우가 절환된 상을 좌안 영상 획득장치(100a)로 전달하는 좌안 접안렌즈(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100)는 상기 우안 렌즈계(310)에 의해 결상된 우안 영상을 감광하여 우안 영상신호를 만들며, 도1 에서 보인 본 발명의 영상 획득장치(100)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된다.
상기 좌안 영상 획득장치(100a)는 상기 좌안 렌즈계(320)에 의해 결상된 좌안 영상을 감광하여 좌안 영상신호를 만들고,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100)와 동 일한 구성이며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100)를 평편상에서 90도 또는 -90도로 회전한 형태로 상기 좌안 렌즈계(320) 상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100) 내부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모듈(120)과 상기 좌안 영상 획득장치(100a) 내부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모듈(120)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일정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감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은 각각 일정한 위치에서 감광되어야 하는데 이 조건을 위치조건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건은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서로 동일한 크기이며, 사람의 좌안 및 우안으로 보았을 때 발생하는 시차 거리만큼 서로 시차가 있는 영상들로 획득되어야 하는 조건이다.
즉, 상기 위치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영상들을 입체 영상으로 합성하게 되면 영상의 기하학적 왜곡이 발생하여 해상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 신호처리부(400)는 상기 영상 획득장치(100,100a)들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들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에서 읽어들일 수 있는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의 두 개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400)는 내부에 상기 영상 신호들을 입력받는 제어장치(미도시), 상기 영상 신호들을 영상 데이터로 변화하는 그래픽 보드(미도시) 및 데이터 변환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미도시)은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적청, 렌티큘러(lenticular), 베리어, 스텝베리어, 마이크로폴, 좌우 사이드바이사이드 및/또는 상하 사이드바이사이드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될 여러 포맷의 입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두 장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편광방식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500) 뿐만 아니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와도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입체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청방식은 아나글리프(anaglyph)라고도 하며 각각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역할을 하는 청색영상과 적색영상을 하나의 면에 동시에 출력하여 적청필터 역할을 하는 적청안경을 끼고 입체영상을 관찰하는 방식이며, 상기 렌티큘러, 베리어, 스텝베리어, 마이크로폴, 좌우 사이드바이사이드, 관찰자의 눈의 위치에 맞게 좌우 영상을 공간상에서 구분하여 출력하는 주시각 조절 방식에 의해 안경이 없이도 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방식이다.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신호처리부(400)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만들어준다.
또한,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는 하프미러 상에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동시에 결상하여 입체 영상을 만드는 안경방식과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공간상에서 구분하여 출력하는 무안경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경방식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로 구비하였다.
상기 저장용 PC(600)는 상기 신호처리부(400)에서 만들어진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 우안 영상데이터 및/또는 입체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외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로 출력해준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와 호환이 가능하다.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현미경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1, 도2 및 도3 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현미경의 제2 실시예는 우안 렌즈계(310), 좌안 렌즈계(320), 우안 영상 획득장치(200), 좌안 영상 획득장치(600), 신호처리부(400),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 및 저장용 PC(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200)는 상기 우안 렌즈계(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안 렌즈계(310)에 결상된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며, 도2 에서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200)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된다.
상기 좌안 영상 획득장치(600)은 상기 좌안 렌즈계(3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안 렌즈계(320)에 결상된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며, 좌안 이미지센서모듈(12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안 이미지센서모듈(120a)은 상기 좌안 렌즈계(320)와 상기 거리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좌안 영상신호를 획득한다.
즉, 상기 좌안 영상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우안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위치를 조절하며 입체영상의 위치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5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현미경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3 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체 현미경의 제3 실시예는 우안 렌즈계(310), 좌안 렌즈계(320), 우안 영상 획득장치(200), 좌안 영상 획득장치(200a), 신호처리부(400),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500) 및 저장용 PC(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우안 렌즈계(310)는 사물의 우안 영상을 결상하여 우안 영상 획득장치(200)로 전달하고, 상기 좌안 렌즈계(320)는 사물의 좌안 영상을 결상하여 좌안 영상 획득장치(200a)로 전달한다.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200)는 상기 우안 영상을 감광하여 우안 영상신호를 획득하며, 도2 에서 보인 영상 획득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안 영상 획득장치(200a)는 상기 좌안 영상을 감광하여 좌안 영상신호를 획득하며, 도2 에서 보인 영상 획득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안 영상 획득장치(200a)는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200)를 평면 상에서 90도 또는 -90도 회전시킨 형태로 상기 좌안 렌즈계(320)와 결합하였다.
그러나 상기 우안 영상 획득장치(200) 및 상기 좌안 영상 획득장치(200a) 모두 상기 제1 축방향(a) 및 상기 제2 축방향(b)로 이미지센서모듈(1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좌안 영상 획득장치(200a)를 회전시켜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좌안 영상신호 및 우안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영상들의 위치조건을 좀 더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현미경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현미경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5 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현미경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영상 획득장치 110:하우징
*112a:제1 수나사 삽입홈 112b:제1 가이드바 삽입홈
112c:제2 수나사 삽입홈 112d:제2 가이드바 삽입홈
120:이미지센서모듈 130:제1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
131:제1 슬라이더 132:제1 수나사
133:제1 가이드바 210:제2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
211:제2 슬라이더 212:제2 수나사
213:제2 가이드바 300:렌즈계
310:우안 렌즈계 320:좌안 렌즈계
400:신호처리부 500: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
600:저장용 PC
Claims (4)
- 사물의 우안 영상을 결상하는 우안 렌즈계;사물의 좌안 영상을 결상하는 좌안 렌즈계;상기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영상획득 장치;상기 좌안 렌즈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좌안 영상획득 장치;상기 영상신호들을 입력받아 각각 좌안영상데이터 및 우안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및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만드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상기 우안 영상획득 장치는:상기 우안 렌즈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우안 영상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우안 렌즈계가 장착되는 부분이 천공된 우안 하우징;상기 우안 렌즈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우안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 렌즈계에 결상된 우안 영상을 우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우안 이미지센서모듈; 및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모듈을 수평면상에서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좌안 영상획득 장치는 상기 좌안 렌즈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비되며 상기 좌안 렌즈계에 결상된 좌안 영상을 좌안 영상신호로 획득하는 좌안 이미지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획득장치가 구비된 입체현미경.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데이터들을 변환하여적청, 렌티큘러, 베리어, 스텝베리어, 마이크로폴, 좌우 사이드바이사이드 또는 상하 사이드바이사이드 방식의 입체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변환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신호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체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용 P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획득장치가 구비된 입체 현미경.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상기 이미지센서모듈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제1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슬라이더;상기 제1 슬라이더 상부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맞닿아 상 기 제1 축 방향으로는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제2 암나사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관통하되,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제1 암나사와는 나사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슬라이더 상에서 이동하게 하는 제1 수나사; 및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제2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2 수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획득장치가 구비된 입체현미경.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영상획득위치 조절수단은:상기 제1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바; 및상기 제2 수나사와 나란하게 상기 제2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획득장치가 구비된 입체현미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4354A KR100938459B1 (ko) | 2009-04-20 | 2009-04-20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4354A KR100938459B1 (ko) | 2009-04-20 | 2009-04-20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7129A Division KR100938453B1 (ko) | 2007-07-31 | 2007-07-31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입체현미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8481A true KR20090058481A (ko) | 2009-06-09 |
KR100938459B1 KR100938459B1 (ko) | 2010-01-25 |
Family
ID=4098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4354A KR100938459B1 (ko) | 2009-04-20 | 2009-04-20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845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03679A (zh) * | 2019-12-03 | 2020-05-05 | 苏州福尼亚医疗科技有限公司 | 显微镜外置双路同步平行光3d图像实时采集装置、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3448B2 (ja) * | 1993-03-12 | 2004-11-0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手術用顕微鏡装置 |
-
2009
- 2009-04-20 KR KR1020090034354A patent/KR10093845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03679A (zh) * | 2019-12-03 | 2020-05-05 | 苏州福尼亚医疗科技有限公司 | 显微镜外置双路同步平行光3d图像实时采集装置、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38459B1 (ko) | 2010-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34225B2 (en) | Stereoscopic camera | |
US8339447B2 (en) | Stereoscopic electronic microscope workstation | |
US8358330B2 (en) | Stereoscopic electronic microscope workstation | |
JP4147188B2 (ja) | 観測者追跡を備えた自動立体ディスプレイ | |
US8390675B1 (en) | Stereoscopic camera and system | |
US835846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 |
CN202583688U (zh) | 数字相机3d适配器 | |
JP4639721B2 (ja) | 三次元映像表示装置 | |
JP2007065652A (ja) | 実体顕微鏡 | |
CN109975968A (zh) | 一种带全视场角立体观察功能的体视显微镜 | |
KR100938457B1 (ko)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 |
KR100938453B1 (ko)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입체현미경 | |
KR100938459B1 (ko)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 |
CN101916035A (zh) | 一种立体摄像装置及方法 | |
KR100938456B1 (ko) |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 |
EP3396431A1 (en) | Monocular microscope for capturing stereoscopic image | |
KR100861408B1 (ko) | 두 개의 렌즈계를 구비하는 입체 현미경 | |
KR20070101531A (ko) | 무손실 광로결합장치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용 스테레오줌 렌즈계 | |
JP2011008034A (ja) | ステレオビューア装置 | |
KR20120001439A (ko) |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 | |
CN219417980U (zh) | 一种提供快门3d图像的相机 | |
US20240284029A1 (en) | Encodes Images From a Single Image Sensor of a Single Camera into All Existing 3D Formats | |
JP7484922B2 (ja) | 手術撮像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 |
KR20090127719A (ko) | 미세 물체의 관찰을 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 |
CN219895684U (zh) | 内窥成像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