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439A -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 - Google Patents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439A
KR20120001439A KR1020100062216A KR20100062216A KR20120001439A KR 20120001439 A KR20120001439 A KR 20120001439A KR 1020100062216 A KR1020100062216 A KR 1020100062216A KR 20100062216 A KR20100062216 A KR 20100062216A KR 20120001439 A KR20120001439 A KR 2012000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ft eye
right eye
optical axis
camera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to KR102010006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439A/ko
Publication of KR2012000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5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lective optical element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안 카메라 및 우안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고, 상기 좌안 카메라 및/또는 상기 우안 카메라의 내부에 광 축 변화수단을 구비하여 사물의 좌안 광 및/또는 우안 광이 이미지 센서에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간에 영상 얼라인이 가능한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Stereo camera having means for adjusting optical axis}
본 발명은 입체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안 카메라 및 우안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고, 상기 좌안 카메라 및/또는 상기 우안 카메라의 내부에 광 축 변화수단을 구비하여 사물의 좌안 광 및/또는 우안 광이 이미지 센서에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간에 영상 얼라인이 가능한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라고도 불리며, 사물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최근 입체영상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의료나 영화분야에서 입체카메라의 사용이 활발하다.
도 1을 종래의 입체카메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입체카메라(10)는 사물(20)의 좌안 영상을 촬영하는 좌안 카메라(12), 상기 사물(20)의 우안 영상을 촬영하는 우안 카메라(11) 및 상기 좌안 카메라(12) 및 상기 우안 카메라(11)를 고정하기 위한 카메라리그(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안 카메라(12) 및 상기 우안 카메라(11)는 상기 카메라리그(13) 상에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며, 떨어진 거리(r)만큼의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갖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획득한다.
즉, 상기 좌안 카메라(12) 및 상기 우안 카메라(11)는 상기 사물(20)의 위치가 중심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좌안 영상 및 상기 사물(20)의 위치가 중심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우안 영상을 각각 획득한다.
또한, 상기 좌안 카메라(12) 및 상기 우안 카메라(11)는 이동하는 축(a)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사물(20)을 바라보는 각도인 주시각(θ)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관찰자가 좌안으로는 상기 좌안 영상을 보고 우안으로는 상기 우안 영상을 봄으로써 상기 사물(20)의 영상을 입체로 느끼기 위해서는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내의 사물(20)의 높이가 동일하여야 한다.
즉, 상기 사물(20)이 상기 각 영상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위치가 동일하고 수평방향으로는 일정한 거리 떨어져 상기 양안시차가 발생하여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좌안 카메라(12)와 상기 우안 카메라(11)는 동일한 평면상에서 상기 사물(20)을 촬영하여야 한다.
그러나, 영상 촬영시 카메라의 이동은 매우 흔한 것이므로, 상기 좌안 카메라(12) 및 상기 우안 카메라(11)가 수직방향으로 흔들려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좌안 카메라(12) 및 상기 우안 카메라(11)를 손으로 움직이는 동시에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들 내에서 상기 사물(20)의 높이가 동일한지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들(11,12)을 상기 카메라리그에(13) 다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정렬 과정을 영상 얼라인(align)이라고 하며, 종래에는 영상 얼라인을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11,12)를 손으로 움직여 조절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정밀한 조정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입체카메라의 영상 얼라인 시에,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빠르게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영상 얼라인을 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 카메라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광 축을 변화시켜 영상 내의 동일한 사물이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영상 얼라인할 수 있는 입체카메라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카메라에 구비되는 좌안 카메라 또는 우안 카메라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절하지 않고, 카메라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한 채 빠르게 영상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는 입체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사물의 좌안 영상을 획득하는 좌안 카메라; 및 상기 사물의 우안 영상을 획득하는 우안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카메라:는 상기 사물의 좌안 광을 입력받는 좌안 렌즈; 상기 좌안 광을 수광하여 상기 좌안 영상을 획득하는 좌안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좌안 광의 광 축을 변화시켜,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에 상기 좌안 광이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를 변화시키는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서로 정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는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은 상기 좌안 렌즈에서 출력되는 좌안 광의 광 경로를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로 반사하거나 전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은 상기 좌안 광을 반사하거나 전환하는 제1 반사미러 또는 제1 프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은 상기 제1 반사미러 또는 상기 제1 프리즘을 회전시키거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좌안 광이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에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이 변화되게 하는 제1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안 카메라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 사이 또는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과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좌안 광을 전달하는 좌안 릴레이 렌즈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카메라:는 상기 사물의 우안 광을 입력받는 우안 렌즈; 상기 우안 광을 수광하여 상기 우안 영상을 획득하는 우안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우안 렌즈와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 광의 광 축을 변화시켜,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에 상기 우안 광이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을 변화시키는 우안 광 축 변화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렌즈와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는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을 상기 우안 렌즈에서 출력되는 우안 광의 광 경로를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로 반사하거나 전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은 상기 우안 광을 반사하거나 전환하는 제2 반사미러 또는 제2 프리즘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을 상기 제2 반사미러 또는 상기 제2 프리즘을 회전시키거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우안 광이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에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이 변화되게 하는 제2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안 카메라는 상기 우안 렌즈와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 사이 또는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과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 광을 전달하는 우안 릴레이 렌즈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입체카메라에 의하면 좌안 카메라 또는 우안 카메라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절하지 않고, 카메라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한 채, 카메라 내부에 광 축 변화수단을 이용하여 렌즈로 입사되는 사물의 좌안 광 또는 우안 광의 광 축을 변화시켜 영상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정밀하게 영상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입체카메라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의 다른 릴레이 렌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의 다른 릴레이 렌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카메라가 영상 얼라인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100)는 서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사물(20)의 좌안 영상(112a)을 획득하는 좌안 카메라(110) 및 상기 사물(20)의 우안 영상(122a)을 획득하는 우안 카메라(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안 카메라(110)는 좌안 렌즈(111), 좌안 이미지 센서(112), 좌안 광 축 변화수단(113) 및 좌안 릴레이 렌즈(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안 렌즈(111)는 상기 사물(20)의 좌안 광(20a)을 입력받는다.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는 상기 좌안 렌즈(111)에서 입력된 좌안 광(20a)을 수광하여, 상기 사물(20)의 좌안 영상(112a)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는 CCD센서(CCD:Charge-Coupled Device)나 CMOS센서(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로 구비된다.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113)은 상기 좌안 렌즈(111)와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좌안 렌즈(111)에서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로 전달되는 좌안 광(20a)의 광축을 변화시켜, 상기 좌안 광(20a)이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에 수광되는 위치나 형상을 변화시킨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좌안 카메라(110)와 상기 우안 카메라(120)가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서 상기 사물(20)을 촬영하지 않을 경우 도 6에서처럼 상기 좌안 영상(112a) 내에서의 상기 사물(20)의 영상(122b) 높이(h1)와 상기 우안 카메라(110)에 의해 획득되는 우안 영상(122a) 내에서 사물(20)의 영상(122b) 높이(h2)가 서로 상이하게 획득된다. 이러한 경우에 관찰자가 좌안으로 상기 좌안 영상(112a)만을 보고 우안으로 상기 우안 영상(122a)만을 보더라도 입체감을 느낄 수 없으므로 상기 사물(20)의 영상(112b,122b)이 상기 좌안 영상(112a) 및 상기 우안 영상(122a) 내에서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영상 얼라인 과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 좌안 카메라(12)를 상하로 움직여 상기 좌안 영상(112a) 내의 상기 사물(20)의 영상(122b) 위치를 조절하였으므로 영상 얼라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영상 얼라인의 정밀도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113)이 상기 좌안 렌즈(111)로 입사되는 좌안 광(20a) 광 축, 즉, 광 경로를 변화시켜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에 상기 좌안 광(20a)이 수광되는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7는 상기 좌안 영상(112a) 및 상기 우안 영상(122a) 내의 사물 영상들(112d,122b)이 서로 높이는 동일하나 상기 좌안 영상(112a) 내의 사물 영상(112d)이 폭주에 의한 왜곡이 발생하여 형상이 변화된 경우로써 이 경우에도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113)이 상기 좌안 광(20a)의 광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보정된 사물 영상(112e)를 갖는 좌안 영상(112a)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113)은 상기 좌안 광(20a)을 반사시키거나 전환하여 상기 좌안 광(20a)의 광 축을 변화시키므로 상기 좌안 렌즈(111)와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는 상기 좌안 광축 변화수단(113)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다.
그러나 상기 좌안 광축 변화수단(113)이 상기 좌안 광(20a)을 반사시키지 않고 회절시켜 상기 좌안 광(20)의 광 경로를 변화시킬 경우, 상기 좌안 렌즈(111)와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는 동일한 직선 축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안 광축 변화수단(113)은 상기 좌안 광(20a)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미러(113a) 및 상기 반사미러(113a)를 회전시키거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좌안 광(20a)의 광 경로가 변화되게 하는 제어기(1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반사미러(113a)는 프리즘과 같은 광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좌안 릴레이 렌즈(114)는 상기 좌안 렌즈(111)로 입력되는 좌안 광(20a)이 손실되지 않고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로 전달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좌안 렌즈(111)와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113)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좌안 릴레이 렌즈(114a) 및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113)과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좌안 릴레이 렌즈(11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좌안 릴레이 렌즈(1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좌안 릴레이 렌즈(114a)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안 릴레이 렌즈(114)는 상기 제2 좌안 릴레이 렌즈(114b)만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100)는 상기 좌안 카메라(110) 전체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빠르고 정밀하게 영상 얼라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우안 카메라(120)는 상기 사물(20b)의 우안 광(20b)을 입력받는 우안 렌즈(121) 및 상기 우안 렌즈(121)로 입력되는 우안 광(20b)을 수광하여 우안 영상(122a)을 획득하는 우안 이미지 센서(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좌안 카메라(110)의 광축 변화 수단(113) 및 좌안 릴레이 렌즈(114)를 상기 좌안 카메라(110)에 구비하지 않고, 상기 우안 카메라(120)에 구비될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며, 이런한 구성 및 효과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극히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내의 구성이라 하겠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200)는 사물(20)의 좌안 영상(112a)을 획득하는 좌안 카메라(110) 및 상기 사물(20)의 우안 영상(122a)을 획득하는 우안 카메라(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안 카메라(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100)의 좌안 카메라(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우안 카메라(110)는 우안 렌즈(121), 우안 이미지 센서(122) 및 우안 광 축 변화수단(210) 및 우안 릴레이 렌즈(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100)와 비교하여 상기 우안 카메라(120)가 상기 우안 광 축 변화 수단(210) 및 우안 릴레이 렌즈(2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210)은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210)과 동일하게 반사미러(211) 및 제어기(212)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210)은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113)과 그 구성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우안 릴레이 렌즈(220)는 제1 우안 릴레이 렌즈(221)와 제2 우안 릴레이 렌즈(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안 릴레이 렌즈(114)의 제1 좌안 릴레이 렌즈(114a) 및 상기 제2 좌안 릴레이 렌즈(114b)와 그 구성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안 릴레이 렌즈(220)는 상기 제1 우안 릴레이 렌즈(221)만을 포함하고, 상기 좌안 릴레이 렌즈(144)는 상기 제1 좌안 릴레이 렌즈(114a)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100)는 광 축 변화수단 및 릴레이 렌즈가 상기 좌안 카메라(110) 또는 상기 우안 카메라(120)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 구비되는 구성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200)는 광 축 변화수단 및 릴레이 렌즈가 상기 좌안 카메라(110) 또는 상기 우안 카메라(120)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카메라(200)는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112)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122)에 수광되는 좌안 광(20a) 및 우안 광(20b)의 수광 위치 및 형상을 모두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정밀한 영상 얼라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200:입체 카메라 110:좌안 카메라
111:좌안 렌즈 112:좌안 이미지 센서
113:좌안 광 축 변화수단 114:좌안 릴레이 렌즈
120:우안 카메라 121:우안 렌즈
122:우안 이미지 센서 210:우안 광 축 변화수단
220:우안 릴레이 렌즈

Claims (10)

  1. 서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사물의 좌안 영상을 획득하는 좌안 카메라; 및
    상기 사물의 우안 영상을 획득하는 우안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카메라:는
    상기 사물의 좌안 광을 입력받는 좌안 렌즈;
    상기 좌안 광을 수광하여 상기 좌안 영상을 획득하는 좌안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좌안 광의 광 축을 변화시켜,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에 상기 좌안 광이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를 변화시키는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서로 정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는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은 상기 좌안 렌즈에서 출력되는 좌안 광의 광 경로를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로 반사하거나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은 상기 좌안 광을 반사하거나 전환하는 제1 반사미러 또는 제1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은 상기 제1 반사미러 또는 상기 제1 프리즘을 회전시키거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좌안 광이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에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이 변화되게 하는 제1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카메라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 사이 또는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과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좌안 광을 전달하는 좌안 릴레이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우안 카메라:는
    상기 사물의 우안 광을 입력받는 우안 렌즈;
    상기 우안 광을 수광하여 상기 우안 영상을 획득하는 우안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우안 렌즈와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 광의 광 축을 변화시켜,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에 상기 우안 광이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을 변화시키는 우안 광 축 변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 렌즈와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는 상기 좌안 광 축 변화수단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을 상기 우안 렌즈에서 출력되는 우안 광의 광 경로를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로 반사하거나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은 상기 우안 광을 반사하거나 전환하는 제2 반사미러 또는 제2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을 상기 제2 반사미러 또는 상기 제2 프리즘을 회전시키거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우안 광이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에 수광되는 위치 또는 형상이 변화되게 하는 제2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 카메라는 상기 우안 렌즈와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 사이 또는 상기 우안 광 축 변화수단과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 광을 전달하는 우안 릴레이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메라.
KR1020100062216A 2010-06-29 2010-06-29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 KR20120001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16A KR20120001439A (ko) 2010-06-29 2010-06-29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16A KR20120001439A (ko) 2010-06-29 2010-06-29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39A true KR20120001439A (ko) 2012-01-04

Family

ID=4560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216A KR20120001439A (ko) 2010-06-29 2010-06-29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4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5204A1 (ko) * 2012-08-30 2014-03-06 (주)지에스엠솔루션 뷰 포인트에 따른 입체화 방법
KR101490162B1 (ko) * 2013-05-29 2015-02-05 주식회사 레드로버 촬영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입체 현미경 어댑터
CN105898268A (zh) * 2015-12-21 2016-08-24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立体拍摄系统以及虚拟现实头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5204A1 (ko) * 2012-08-30 2014-03-06 (주)지에스엠솔루션 뷰 포인트에 따른 입체화 방법
KR101490162B1 (ko) * 2013-05-29 2015-02-05 주식회사 레드로버 촬영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입체 현미경 어댑터
CN105898268A (zh) * 2015-12-21 2016-08-24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立体拍摄系统以及虚拟现实头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978B1 (en) Variable 3-dimensional adaptor assembly for camera
JP5014979B2 (ja) 個人用電子機器の3次元情報取得及び表示システム
US10334225B2 (en) Stereoscopic camera
US8390675B1 (en) Stereoscopic camera and system
JP2010081580A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
KR20190007021A (ko) 3d 멀티-개구 이미징 디바이스, 멀티-개구 이미징 디바이스, 3d 멀티-개구 이미징 디바이스의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체 시야를 캡쳐하는 방법
US8639109B2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WO2010024270A1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
US9019352B2 (en) Two-parallel-channel reflector with focal length and disparity control
KR20120001439A (ko) 광 축 변화수단이 구비된 입체카메라
WO2011086890A1 (ja) 鏡筒アダプタ、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WO2007102658A1 (en) Objectif photographique en 3d
CN101395519B (zh) 三维摄像透镜系统
JP2013141052A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本体ユニット、3d撮影用レンズユニット
JP2005173270A (ja) 立体撮影用光学装置、撮影装置、立体撮影システム及び立体撮影装置
KR101082382B1 (ko) 입체영상 촬영렌즈계
KR101123099B1 (ko) 광 경로 변화 렌즈가 구비된 입체카메라
KR100938453B1 (ko)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입체현미경
JP2013046081A (ja) 撮影装置および映像生成方法
KR100938459B1 (ko)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US20120163790A1 (en) Stereo-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RU23053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удаленных объемных объектов
KR100938456B1 (ko) 입체영상 획득장치 및 입체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한 입체현미경
KR20180115590A (ko) 라이트 레이 필드 디스플레이
JP2004126290A (ja) 立体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