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833A -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833A
KR20090055833A KR1020070122668A KR20070122668A KR20090055833A KR 20090055833 A KR20090055833 A KR 20090055833A KR 1020070122668 A KR1020070122668 A KR 1020070122668A KR 20070122668 A KR20070122668 A KR 20070122668A KR 20090055833 A KR20090055833 A KR 2009005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odem
wireless communication
us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925B1 (ko
Inventor
임기운
김정준
주원용
정인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2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9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접속관리 방법은 사용자 환경에 의한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별 모뎀정보, 망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뎀별 상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뎀별 상세정보를 GUI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우선 접속 설정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무선 통신 모뎀을 이용한 망 접속 또는 망 접속을 전환한다.
이와 같이 자동 접속기능과 접속전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망 접속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뎀, 신호세기, 복합 단말기, 접속관리 프로그램

Description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Connection Management Method, Module and Recording Medium of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Modem}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합 단말기의 사용자가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망 접속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망 접속을 위한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서비스의 발달로 인해 동일한 지역에서 모바일 M-WiMAX(Mobil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M-WiMAX), 무선랜(Wireless lan, WiFi),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 Only) 방송망,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다수의 무선 통신망이 서로 중첩되는 통방 융합 환경들이 생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뎀 및 접속관리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다수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복합 단말기와 결합 서비스가 등장하 였다.
종래의 접속관리 프로그램은 하나의 특정 무선 통신 모뎀과 특정 망 접속 서비스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래서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뎀을 사용하는 복합 단말기의 경우는 사용자의 환경과 용도에 따라 적절한 무선 통신 모뎀과 그에 전용되는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환경은 사용자의 특정 위치(장소), 이동성 등에 따라 접속 가능한 망 환경이나 최적화된 망 환경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 용도는 인터넷, 업로드, 다운로드, 음성통신, 영상통신 등의 서비스 용도일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모뎀의 가장 중요한 장점중의 하나인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 M-WiMAX(이하, 와이브로와 같은 의미로 쓰임) 또는 무선랜 서비스의 경우에는 다른 망에 비해 비교적 커버리지가 적고, 현재까지는 특정지역에 한정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시 망 전환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M-WiMAX 및 무선랜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커버리지를 벗어나 접속을 할 수 없게 되면 사용하고 있던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종료해야만 한다. 그리고 접속 가능한 다른 접속 서비스(EVDO 또는 HSDOA)에 접속하기 위해 해당 무선 통신 모뎀과 전용되는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에서는 다수의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서 종료 또는 실행 해야 하기 때문에 망 전환에 따른 사용자의 접속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갖는 복합 단말기 및 결합 서비스는 사용자의 환경 및 용도에 따라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제1 서비스는 전송 속도가 빠르지만 수신 가능 지역이 한정되고 이용요금이 높은 반면, 제2 서비스는 제1 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송속도는 느리지만 수신 가능지역의 제한이 거의 없고 이용요금이 낮은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환경이 상기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에 각각 접속가능 한 경우 사용자의 서비스 용도 또는 선택에 따라서 적절한 서비스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 및 망 접속 서비스의 보완적인 측면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망 접속 모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합 단말기에 설치되는 통합 접속 프로그램이 사용자 GUI를 통해 각각의 망 접속 여부 및 상태 표시를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각 무선 통신 모뎀의 수신 신호 세기를 통합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사용자의 환경에서 적절한 무선 통신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관리 방법,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갖는 단말장치는,
다수의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장치 인식부;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통합 제어하며 각각의 모뎀정보, 망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제어부; 상기 장치 제어부에서 수집한 모뎀정보, 망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환경에 따른 접속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접속상태 정보를 토대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망 접속상태 관리부; 상기 GUI를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별 상세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우선 접속 조건을 토대로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별 접속 시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부; 및 상기 모뎀별 접속 시도의 우선순위에 따라 특정 망에 접속 하거나 다른 서비스로의 망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접속관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우선 접속 조건은 사용자의 위치 또는 이동성을 고려한 사용자 환경에 따른 각 무선 통신 모뎀별 신호세기, 이용요금, 전송속도,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가지는 단말장치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은,
a) 상기 단말장치에 장착된 다수의 무선 통신 모뎀을 인식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환경에 의한 각각의 무선 통신 모뎀별 모뎀정보, 망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수집한 모뎀별 모뎀정보, 망 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에 기초한 모뎀별 상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세정보를 토대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뎀별 상세정보를 상기 GUI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우선 접속 설정에 따른 특정 무선 통신 모뎀을 이용한 망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우선 접속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각 무선 통신 모뎀별 신호세기, 이용요금, 전송속도,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중 어느 하나이상의 우선 접속 조건이 입력되어 설정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선 접속 설정은 상기 단말장치에 N개의 무선 통신 모뎀이 장착된 경우 제1 우선 순위 무선 통신 모뎀으로부터 제N 우선순위 무선 통신 모뎀 순으로 순차적인 망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d) 단계 이후에 망 접속이 끊기는 경우 상기 우선 접속 설정에 따라 무선 통신 모뎀의 우선순위대로 순차적인 접속을 시도하여 망 접속 모드를 전환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접속관리 이기종 모뎀 및 망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및 각 망 접속 서비스와 속도 등을 고려하고, 사용자의 환경 및 요구에 가장 적절한 무선 통신 모뎀을 사용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망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무선 통신 모뎀별 신호세기, 이용요금, 전송속도 혹은 사용자 설정을 조건으로 우선 접속 정책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자동 접속기능과 접속전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망 접속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은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갖는 복합 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환경 또는 용도에 따라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통해 선택적으로 특정 망에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은 출고시 복합 단말기 내에 내장된 형태이거나, 외장형으로 일반적인 노트북, PDA 등의 단말기에 연결되는 장치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복합 단말기는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이 내장 또는 외장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드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단말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무선 통신 모뎀은 "모뎀",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은 "접속관리 프로그램"으로 각각 약칭하여 표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망 접속을 위한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장치 인식부(110), 장치 제어부(120), 망 접속 수행부(130), 망 접속상태 관리부(140), 사 용자 환경 설정부(150), 표시부(160) 및 접속관리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장치 인식부(110)는 단말장치에 장착된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10)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10)은 M-WiMAX 모뎀(11), 무선랜 모뎀(12), HSDPA 모뎀(13), EVDO 모뎀(14) 및 기타 모뎀을 포함하며, 여기서 기타 모뎀은 이동통신 모뎀, 방송모뎀일 수 있다. 장치 인식부(110)는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이 시작되면 단말장치의 장치 관리자(미도시)로부터 장착되어 있는 네트워크 어댑터 및 모뎀의 리스트를 가져오고, 상기 리스트에 있는 각 모뎀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각 모뎀의 종류을 판단한다.
예컨대, 무선랜 모뎀은 특정 OS에서 제공하는 802.11 무선랜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OID(Object Identifier)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와이브로 모뎀은 와이브로 NDIS OID 규격을 지원하는지 여부로 확인할 수 있다. HSDPA 및 EVDO 모뎀은 모뎀 디바이스 포트로 모뎀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AT 명령어(Attention command)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확인하여 각 모뎀의 장착 여부를 인식한다.
장치 제어부(120)는 장치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각 모뎀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다른 명령어를 다른 방식으로 전달하여 통합 제어한다.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장치 인식부(110) 및 장치 제어부(120)를 통하여 단말장치에 장착된 이기종 무선 모뎀(10)을 인식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모뎀의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장치 제어부(120)는 각 모뎀정보, 망정보 및 신호세기를 수집하여 망 접속상태 관리부(140)로 전달하고, 접속관리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망 접 속을 위하여 특정 모뎀을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망 접속 수행부(130)는 접속관리 제어부(17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결정된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10)의 특정 모뎀을 통하여 단말장치가 특정 통신망에 접속되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망 접속상태 관리부(140)는 장치 제어부(1220)로부터 전달받은 각 모뎀정보, 망정보 및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 및 이동성 등의 사용자 환경에 따라 현재 연결중인 접속상태를 파악한다. 또한, 접속중인 망의 신호세기가 비정상적이면 접속모드 전환이 가능한 서비스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파악된 정보를 접속관리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한편, 상기 파악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생성하여 표시부(16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환경 설정부(150)는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장착된 각 모뎀별 신호세기, 이용요금, 전송속도 및 사용자 설정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망의 우선순위 정책을 설정한다.
표시부(160)는 장치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장치의 리스트와 망 접속상태 관리부에서 수신된 GUI를 이용하여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표시부에 사용자에게 장착된 모뎀별 상세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GUI는 모뎀정보, 망정보 및 신호세기 등에 따른 상태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환경 및 요구에 가장 적절한 모뎀을 선택하여 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접속관리 제어부(170)는 망 접속상태 관리부(140)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모뎀 정보, 망정보, 및 신호세기와 같은 모뎀별 상세정보에 기초하여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10)의 망 접속을 제어한다. 접속관리 제어부(170)는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10)의 망접속을 제어함에 있어서 당업자에 의해 디폴트로 설정된 정책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 환경 설정부(150)로부터 사용자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 정책을 수신하면 이를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특히, GUI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가장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다음, 도 2내지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GUI를 설명한다. 단, 도 2내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UI는 설명의 편의상 M-WiMAX 모드와 무선램 모드만을 지원하는 것으로 예로 들겠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GUI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의 GUI는 접속모드 표시화면(201), 전환모드 표시화면(202), 신호세기 표시화면(203), 연결중인 서비스 표시화면(204), 연결상태 표시화면(205), 연결 시작 표시화면(206), 메뉴 버튼(207) 및 기타 버튼(208)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표시화면들은 단말장치의 망 접속관리를 쉽고 편리하게 지원하기 위한 상태정보를 나타내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가상 버튼(Virtual Button)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속모드 표시화면(201)은 현재 접속관리프로그램이 M-WiMAX 접속 모드에 있 음을 나타낸다.
전환모드 표시화면(202)은 무선랜 모뎀이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탭이며 무선랜의 현재 수신 신호세기를 표시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전환모드 표시화면(202)을 선택(클릭)하게 되면 무선랜 접속 모드 화면으로 전환된다.
신호세기 표시화면(203)은 현재 선택된 모뎀의 신호세기를 나타낸다. GUI상으로는 M-WiMAX 모드가 선택된 상태이므로 M-WiMAX 모뎀의 신호세기를 나타낸다.
연결중인 서비스 표시화면(204)은 현재 선택된 무선 모뎀의 망 접속 서비스 이름을 나타내며 클릭하면 해당 접속 서비스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연결상태 표시화면(205)은 현재 선택된 접속 망으로 연결 가능 여부 및 연결 진행 상태를 표시한다.
연결 시작 표시화면(206)은 현재 선택된 접속 모드로 연결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만약, 연결 시작 표시화면(206)을 선택(클릭)하게 되면 연결 진행 취소 또는 연결 종료를 하기 위한 화면으로 변경된다.
메뉴 버튼(207)은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환경 설정 및 연결 정보를 위한 버튼이다.
기타 버튼(208)은 도움말 연결 버튼 및 접속관리 프로그램 메인 화면 숨김 버튼이다.
다음,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UI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GUI(A)는 M-WiMAX 모뎀 하나만 장착하였을 경우의 화면으로써 M-WiMAX 모드만을 지원한다.
GUI(B)는 상기 GUI(A)에 무선랜 모뎀을 추가 장착하였을 경우의 화면이다. 이때는 M-WiMAX 모뎀과 무선랜 모뎀이 장착되어 두 가지의 모드를 지원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선택된 접속모드 표시화면(201)과 전환모드 표시화면(202)을 표시하고, 각각 신호세기와 모드이름을 표시한다. 만약, 하나의 모뎀이 제거되면 해당 표시화면(탭)이 자동으로 사라짐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모뎀의 장착 또는 탈착 정보를 명확하게 표시한다.
GUI(C)는 상기 GUI(B)의 화면의 M-WiMAX 모드에서 전환모드 표시화면(202)를 선택하여 무선랜 모드로 변경된 화면이다. 상기 GUI(B)와 같이 M-WiMAX 모드에서는 무선랜 모뎀의 신호세기를 전환모드 선택화면(202)의 안테나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GUI(C)와 같은 무선랜 모드에서는 M-WiMAX 모뎀의 신호세기를 전환모드 선택화면(202)에 표시한다.
이때 GUI(C)는 무선랜 모뎀의 신호세기 이외에도 현재 위치에서 검색된 기지국 수와 같은 시설정보를 직관적으로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모드전환 이외에도 디폴트로 설정된 정책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정책에 의해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면 이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GUI(D)는 상기 GUI(C)의 무선랜 모드에서 M-WiMAX 전환모드 선택화면(202)을 선택하여 다시 M-WiMAX로 모드 화면으로 변경된 화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GUI를 통하여 단말장치에 설정된 모뎀정보, 망정보 및 신호세기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접속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환경설정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의 GUI를 통하여 우선 접속 기능 사용여부를 결정하고, 사용할 경우 각 모뎀별 신호세기, 요금, 전송속도에 따라 우선 접속 설정을 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정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정책에 따른 자동 접속 및 망 접속 전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접속 설정 탭에서 신호세기가 선택되면 복합단말기에 장착된 모뎀별 신호세기를 기초로 비교하여 신호세기가 가장 높은 모뎀을 이용하여 해당 망에 접속한다.
우선 접속 설정 탭에서 요금이 선택되면 단말장치에 장착된 모뎀별 서비스 이용요금이 저렴한 순서의 모뎀을 이용하여 해당 망에 접속한다.
우선 접속 설정 탭에서 전송속도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서비스 용도를 파악하고 모뎀별 전송효율이 좋은 순서의 모뎀을 이용하여 해당 망에 접속한다.
우선 접속 설정 탭에서 사용자 설정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우선 순위의 모뎀을 각각 지정하여 복수의 모뎀을 통한 접속이 가능시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망에 접속한다. 또한, 사용자가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의 GUI를 통하여 우선 접속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디폴트로 설정된 정책에 따라 망 연결을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의 GUI를 통하여 표시되는 모뎀 및 망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 및 각 망 접속 서비스 및 속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환경 및 요구에 가장 적절한 모뎀을 사용하여 망 접속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동 시 망 접속 상태의 변화를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주어 망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내지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통합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접속모드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모드 변환 방법은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이 시작되어 단말장치에 장착된 모뎀을 인식하면(S510),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우선 접속 설정에 따라서 초기접속 모드를 표시한다(S520). 이때 초기 접속 모드가 무선랜(Wi-Fi)일 경우(S520, Wi-FI)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무선랜 접속 대기 모드를 표시한다(S531). 그리고, 무선랜 접속 연결 또는 해제명령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한다(S532).
반면, 상기 S520 단계에서 초기 접속 모드가 M-WiMAX(WiMAX)일 경우(S520, WiMAX)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M-WiMAX 접속 대기 모드를 표시한다(S541). 그리고, M-WiMAX 접속 연결 또는 해제 명령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한다(S542).
또한,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접속 모드 변환을 수행한다(S550). 이때,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특정 모뎀의 접속 대기모드(S531)(S541)에서는 바로 선택된 모드로 변환을 수행하고, 특정 모뎀에 접속이 연결 중일 경우는 연결을 해제한 후 선택된 모드로 변경을 수행한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자동 접속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이 M-WiMAX에 접속 중 M-WiMAX의 신호세기가 미약하여 접속이 단절된 후 HSDPA 모뎀의 신호세기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자동 접속모드 전환 기능을 제공한다.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이 M-WiMAX 망에 접속 중 M-WiMAX 망의 신호 세기가 미약하여 접속이 단절되면(S610), 인식된 모뎀의 망접속 가능 여부 상태를 확인한다(S620). 이때, HSDPA 모뎀이 접속가능 한 경우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에 HSDPA 망의 자동 접속 설정이 되어 있으면(S631), HSDPA 모뎀의 신호세기를 확인한 후 신호세기가 양호하면(S632), HSDPA 망에 접속 시도하여 자동으로 접속 모드를 전환 한다.
반면, 상기 S620 단계에서 인식된 모뎀의 망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M-WiMAX 자동 접속 설정이 되어있으면(S641) M-WiMAX 신호세기를 재확인하여 신호세기가 양호하면(S642), M-WiMAX 접속을 시도한다(S643).
상기 S631 단계 또는 S641 단계에서 자동 접속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 접속요청 여부를 확인하여(S650), 사용자 접속 요청이 있으면 해당 모뎀의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요청이 없으면 접속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660).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이 우선순위 조건 에 따른 자동 접속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N개의 모뎀이 장착된 단말장치의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시작과 동시에 N개의 모뎀을 인식하고(S70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우선 접속 설정 정책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자동접속을 수행할지를 판단한다(S702). 그리고, 사용자의 우선 접속 설정이 존재하면 설정된 우선접속 조건을 확인하여 각 모뎀의 우선순위를 파악한다(S703). 이때 우선 접속 조건은 상기 인식된 N개의 모뎀별 신호세기, 이용요금, 전송속도 혹은 사용자 설정으로 입력된 조건이다.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먼저 제1 우선순위 모뎀의 신호세기를 파악하여 신호세기가 양호하면(S704) 사용자의 자동 접속 설정여부를 확인한 후 자동 접속 설정이 되어 있으면(S708), 제1 우선순위 모뎀의 해당 망에 접속을 시도한다(S709). 상기 S708 단계에서 사용자의 자동 접속 설정이 되어있지 않으면 사용자 접속여부를 확인한 다음 연결요청이 있으면(S708), 해당 망에 접속을 시도하고(S709), 연결요청이 없으면 접속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710).
반면, 상기 S704 단계에서 제1 우선순위 모뎀의 신호세기가 미약하여 접속기준 이하이면, 상기 제1 우선순위 모뎀과 같은 방법으로 제2 우선순위 모뎀 내지 제N 우선순위 모뎀까지 순차적으로 신호 세기가 양호한지 파악함으로써 자동 접속을 시도한다(S705, S706).
이와 같이 보 발명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100)은 표시하는 모뎀 및 망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및 각 망 접속 서비스와 속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환경 및 요구에 가장 적절한 모뎀을 사용하여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뎀별 신호세기, 이용요금, 전송속도 혹은 사용자 설정을 조건으로 정책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자동 접속 및 망 접속 전환 기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우선 접속 설정에 따른 자동 접속 또는 모드전환을 하였으나, 당업자의 정책에 따라 우선접속설정 및 요금제를 결합한 다양한 우선순위 접속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요금제를 채택함으로써 우선 접속 설정을 할 수 있다. 그래서, 당업자의 입장에서는 결합 서비스의 보편화로 인해 서비스 사업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요금으로 이기종 망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망 접속을 위한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GUI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UI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환경설정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접속모드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의 자동 접속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관리 프로그램이 우선순위 조건에 따른 자동 접속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6)

  1.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망 접속을 위한 통합 접속관리 프로그램을 갖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장치 인식부;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통합 제어하며 각각의 모뎀정보, 망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제어부;
    상기 장치 제어부에서 수집한 모뎀정보, 망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환경에 따른 접속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접속상태 정보를 토대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망 접속상태 관리부;
    상기 GUI를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별 상세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우선 접속 조건을 토대로 상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별 접속 시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부; 및
    상기 모뎀별 접속 시도의 우선순위에 따라 특정 망에 접속 하거나 다른 서비스로의 망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접속관리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접속 조건은,
    사용자의 위치 또는 이동성을 고려한 사용자 환경에 따른 각 무선 통신 모뎀별 신호세기, 이용요금, 전송속도,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리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 중 사용자가 선택한 모뎀에 대한 망 연결, 연결취소 또는 다른 서비스로의 망 접속전환 명령에 따라 망 접속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리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모뎀에 대한 망 연결, 연결취소 또는 다른 서비스로의망 접속전환 명령이 상기 접속 시도의 우선순위보다 더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각 모뎀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상이한 명령어를 상이한 방식으 로 전달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접속모드 표시화면, 전환모드 표시화면, 신호세기 표시화면, 연결중인 서비스 표시화면, 연결상태 표시화면, 연결 시작 표시화면, 메뉴 버튼 및 GUI 숨김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을 가지는 단말장치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장치에 장착된 다수의 무선 통신 모뎀을 인식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환경에 의한 각각의 무선 통신 모뎀별 모뎀정보, 망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수집한 모뎀별 모뎀정보, 망 정보 혹은 신호세기정보에 기초한 모뎀별 상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세정보를 토대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뎀별 상세정보를 상기 GUI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우선 접속 설정에 따른 특정 무선 통신 모뎀을 이용한 망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접속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각 무선 통신 모뎀별 신호세기, 이용요금, 전송속도,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중 어느 하나이상의 우선 접속 조건이 입력되어 설정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접속 설정은,
    상기 단말장치에 N개의 무선 통신 모뎀이 장착된 경우 제1 우선 순위 무선 통신 모뎀으로부터 제N 우선순위 무선 통신 모뎀 순으로 순차적인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망 접속이 끊기는 경우 상기 우선 접속 설정에 따라 무선 통신 모뎀의 우선순위대로 순차적인 접속을 시도하여 망 접속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사용자의 우선 접속 설정이 없는 경우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무선 통신 모뎀을 이용한 망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망 접속에 실패하거나, 망 접속이 끊긴 경우 상기 인식된 무선 통신 모뎀 중 접속 가능한 상태에 있는 모뎀을 이용하여 망접속 모드를 변경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접속취소, 접속전환, 접속종료 중 어느 하나를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환을 선택하면,
    진행중인 접속모드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따른 특정 무선 통신 모뎀을 이용한 망으로 모드전환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15. 제 7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접속모드 표시화면, 전환모드 표시화면, 신호세기 표시화면, 연결중인 서비스 표시화면, 연결상태 표시화면, 연결 시작 표시화면, 메뉴 버튼 및 GUI 숨김 버튼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하며, 하나이상의 표시화면은 가상 단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접속관리 방법.
  16. 제 7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 된 기록매체.
KR1020070122668A 2007-11-29 2007-11-29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978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68A KR100978925B1 (ko) 2007-11-29 2007-11-29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68A KR100978925B1 (ko) 2007-11-29 2007-11-29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33A true KR20090055833A (ko) 2009-06-03
KR100978925B1 KR100978925B1 (ko) 2010-08-30

Family

ID=4098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668A KR100978925B1 (ko) 2007-11-29 2007-11-29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92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530A2 (ko) * 2011-01-28 2012-08-02 (주)네오위즈게임즈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20130016842A (ko) * 2011-08-09 2013-02-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017663A (ko) * 2011-08-11 2013-02-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247817B1 (ko) * 2011-04-28 2013-03-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모바일 시스템
WO2013172614A1 (ko) * 2012-05-16 2013-11-21 주식회사 에어플러그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83047B1 (ko) * 2012-02-07 2014-04-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20170107340A (ko) * 2016-03-15 2017-09-25 (주)제이엠피시스템 와이파이의 통신 품질 제공 사용자 단말기, 방법,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품질 확인 장치
CN110880978A (zh) * 2019-12-19 2020-03-13 浙江诺诺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pc与终端设备的连接方法、装置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14B1 (ko) * 2002-09-19 2009-03-20 주식회사 케이티 다종 무선망 환경하에서의 무선 데이터 자동 접속 방법
KR100689448B1 (ko) * 2004-02-2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
EP1691260A1 (en) * 2005-02-15 2006-08-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Network Selection User Interface for Wireless Devices
US7685264B2 (en) 2005-08-30 2010-03-2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displaying a collection of network settings for a user to adjust and associate the settings with a network profil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530A2 (ko) * 2011-01-28 2012-08-02 (주)네오위즈게임즈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WO2012102530A3 (ko) * 2011-01-28 2012-12-13 (주)네오위즈게임즈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289721B1 (ko) * 2011-01-28 2013-07-26 (주)네오위즈게임즈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247817B1 (ko) * 2011-04-28 2013-03-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모바일 시스템
KR20130016842A (ko) * 2011-08-09 2013-02-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017663A (ko) * 2011-08-11 2013-02-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83047B1 (ko) * 2012-02-07 2014-04-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WO2013172614A1 (ko) * 2012-05-16 2013-11-21 주식회사 에어플러그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73844B1 (ko) * 2012-05-16 2014-03-17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07340A (ko) * 2016-03-15 2017-09-25 (주)제이엠피시스템 와이파이의 통신 품질 제공 사용자 단말기, 방법,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품질 확인 장치
CN110880978A (zh) * 2019-12-19 2020-03-13 浙江诺诺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pc与终端设备的连接方法、装置及介质
CN110880978B (zh) * 2019-12-19 2021-10-15 浙江诺诺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pc与终端设备的连接方法、装置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925B1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925B1 (ko)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CN109391648B (zh) 一种应用与网络切片的关联方法、装置和通信系统
CN106464303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终端
CN102238701B (zh) 根据网络环境进行自动sim卡选择的设备和方法
EP2438794B1 (en) Dual sim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611906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general bas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status control method
EP29624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97956A1 (en) Multi-interface management configuration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nection manager
WO2010080392A2 (en) Adaptive networking for power savings
JP5225160B2 (ja) 通信端末装置
CN104994527A (zh) 智能家电接入路由器的方法、智能家电及移动终端
WO2017071262A1 (zh) 网络切换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7860048B2 (en) Mobile terminal, resource allocation manage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289721B1 (ko)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200534130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
CN104754674A (zh) 智能移动终端同时访问Wi-Fi附属设备和3G/4G网络的方法及系统
CN105307224B (zh) 一种终端在接入点之间智能切换的方法、装置及终端
CN108966304B (zh) 一种网络模式的切换方法和装置
CN110870353A (zh) 一种WiFi连接的方法及终端
CN103220283A (zh) 网络共享的方法、设备及系统
EP3522602B1 (en) Communication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EP1791301B1 (en) Mobile internet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040090944A1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frequency in the same system
EP3928561B1 (en) Failure recovery for multi-ue device
KR101554551B1 (ko) 혼합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