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844B1 -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844B1
KR101373844B1 KR1020120051988A KR20120051988A KR101373844B1 KR 101373844 B1 KR101373844 B1 KR 101373844B1 KR 1020120051988 A KR1020120051988 A KR 1020120051988A KR 20120051988 A KR20120051988 A KR 20120051988A KR 101373844 B1 KR101373844 B1 KR 10137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twork
servic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151A (ko
Inventor
송준석
김영국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어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to KR102012005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844B1/ko
Priority to PCT/KR2013/004223 priority patent/WO2013172614A1/ko
Publication of KR2013012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가 위치하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방법은,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현재의 이용 망(網)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1데이터 속도를 얻고, 또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이용 망이 아닌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2데이터 속도를, 그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해, 수집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이 저장되어 있는 하나의 정보수집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이용 망과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고, 그 구성된 통신서비스 정보를,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는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inform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here a terminal is located}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 대한 서비스 속도 정보를 단말기들로부터 획득하여 가공한 후 그 가공된 정보를 타 장치, 예를 들어 타 서버에 제공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은 휴대폰은 물론이고,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이하, “무선통신 단말기”로 통칭한다. )을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브라우징(browsing)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원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streaming)방식으로 수신하여 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무선통신 인프라와 무선통신 단말기의 성능이 더욱 개선되면서, 이제는 대용량의 영상 컨텐츠, 예를 들어 스포츠, 뉴스, 음악 프로그램 등의 다시보기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다양하고 풍부한 영상 컨텐츠를, 개선된 성능의 무선 환경하에서 자유로이 액세스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특정의 서버에서 원하는 컨텐트를 브라우징한 후 해당 컨텐트를 스트리밍방식으로 보는 것을 선호하게 되었다. 스트리밍방식은 원하는 컨텐트의 선택시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즉 컨텐트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매우 짧은 버퍼링(buffering) 시간 후에 바로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플레이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무선통신 환경은 그 서비스 특성에 변화가 심하여, 제공되는 컨텐트의 끝까지 현재상황에서 스트리밍방식으로 플레이될 수 있을 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트를 스트리밍방식으로 플레이 시작한 후, 시청하는 영상이 끊어지거나 화면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면 그 때 비로소 현재 통신상태가 해당 컨텐트의 스트리밍을 지원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제서야 시청을 중단하게 된다. 이는 무선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컨텐트의 만족감을 주지 못하면서 시간적 손실을 가져다 주게 된다.
그리고, 통상 무선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가 있는 데, 현재 접속된 어느 하나의 통신망의 현재 서비스 속도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트를 스트리밍방식으로 지원하지 못하더라도 타 통신망은 그 컨텐트가 스트리밍일 때 요구되는 데이터 속도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그 지원여부를 해당 통신망으로 접속을 전환하여 자신이 플레이 원하는 컨텐트를 다시 요구하기 전까지는 이를 알 수가 없다.
본 발명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복수의 이종망들의 각각에 대한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 단말기가 플레이 요구할 가능성이 있는 컨텐트에 대하여 각 통신망 이용시의 플레이 유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트의 수신측 통신상태외에 그 제공측의 전송능력 상태도 확인하고 이에 근거해 복수의 이종망들의 각각에 대한 통신 서비스 정보를 보다 더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이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해 부담하는 비용이 서비스 이용시의 품질에 반영되도록, 특정 통신망, 예를 들어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에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통신망에 대해서는 적응적으로 통신 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일 방법은, 복수의 무선 통신망의 임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어떤 통신망인지 그리고 그 통신망의 어떤 서비스 영역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망 및 영역정보와 함께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1단계와, 무선 통신망과 서비스 영역에 따라 기 분류되어 있는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상기 수신된 망 및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정보수집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반영하는 2단계와,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현재의 이용 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1데이터 속도를 얻고, 또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이용 망이 아닌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2데이터 속도를, 그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구하는 3단계와,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이용 망과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4단계와, 상기 구성된 통신서비스 정보를,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는, 상기 이용 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상기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상기 제 1데이터 속도를 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는, 상기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에서 지정한 유효범위에 속하는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의 대표값을 상기 데이터 속도로서 구한다. 여기서, 상기 대표값은 상기 유효범위에 속하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용 망의 상기 위치 영역에서 보고한, 그 보고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경과하지 않은 데이터 서비스 속도로부터 상기 제 1데이터 속도를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의 이용 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고유정보를 타 장치에 제공하면서, 상기 현재의 이용 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현재의 이용 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알 수 있게 하는 상기 정보와, 기 구축되어진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들간의 상호 위치관계 정보에 근거해, 상기 타 무선망 및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이 파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타 무선망 및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는,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에 근거하여, 주어진 데이터 속도가 해당 망의 해당 영역에서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을 판단한 정보와, 상기 해당 망 각각을 식별케 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직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4단계는,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보다 설정된 여유치이상 높은 경우에, 상기 해당 망의 해당 영역에서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4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를 확인하고, 그 요금제 정보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 중 특정의 통신망에서의 향후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에 비용을 부담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으면, 그 부담의 정도에 따라 상기 여유치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상기 판단한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4단계가,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가 상기 이용 망의 상기 위치 영역에서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를 필요로 하는 컨텐트 항목의 파일 데이터 제공과 관련된 특정 서버의 전송능력이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지 못하는 지를 더 확인함으로써 가능성이 있다는 상기 판단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2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속도와 함께 수신된 서버에 대한 정보로부터 얻은 서버 식별정보를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와 연계하여 상기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반영하며,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상기 이용 망과 그 망의 상기 위치 영역에 근거해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상기 특정 서버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는 엔트리를 찾는 단계와, 그러한 엔트리가 찾아지면 그 엔트리의 데이터 서비스 속도와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가능성이 있다는 상기 판단을 선택적으로 번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상기 판단한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가,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단말기가 위치하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 또는 단말기를 고유하게 특정하는 정보 )가 함께 기재된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각 컨텐트 항목의 플레이시의 필요 속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한 쌍의 컨텐트 항목에 대하여,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상기 판단한 정보가 서로 다르면,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된 컨텐트 항목들에 대한 목록문서를 작성할 때,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간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목록문서에 근거하여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동일하지 않은 실행개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도록 하는,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이 단계는, 특히,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의 일 항목에 대해서, 상기 판단한 정보가 지원 가능을 지시하는 것이면, 그 일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는,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플레이를 진행하는 제 1실행개체가 기동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의 다른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는, 컨텐트 데이터를 플레이없이 수신하여 파일로서 저장하는 제 2실행개체가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포함시켜 상기 목록문서를 작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가 컨텐트에 대한 필요 속도일 때,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해 상기 판단한 정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하는 실행문을,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된 컨텐트 항목들에 대해 작성하는 목록문서에 포함시키는,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이 단계는, 특히,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컨텐트 항목에 대해 상기 판단한 정보가, 상기 사용 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제 1판단정보와 상기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제 2판단정보에서 서로 상이함을 나타내면서, 상기 제 1판단정보가 지원 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것인 경우에 한하여, 그 임의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상기 제 2판단정보가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하는 실행문을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는, 상기 이용 망을 식별케 하는 정보와 상기 제 1데이터 속도, 그리고 상기 타 무선망을 식별케 하는 정보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서로 연계하여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직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이,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컨텐트 항목의 플레이시의 필요 속도와,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각기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속도가 각기 구해진 해당 망의 해당 영역에서 상기 필요 속도가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임의의 한 쌍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상기 판단이 서로 다르면,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간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목록문서에 근거하여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동일하지 않은 실행개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도록 하는,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더 포함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데이터 속도와의 비교에 근거한, 상기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상기 판단의 결과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하는 실행문을,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시켜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3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서비스 영역이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영역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이용 망 또는 상기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3데이터 속도를, 그 타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더 구한다. 그리고, 상기 4단계는, 더 구해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3데이터 속도를 상기 이용 망 또는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것으로 더 이용하여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4단계는,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가 합산된 데이터 속도를 더 이용하여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1단계 내지 5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와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호 별개로 독립되어 통신망을 통해 상호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망 및 영역정보는, 해당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물리적인 신호 송수신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이거나, 또는 위치에 대한 경위도 좌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장치는, 복수의 무선 통신망의 임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어떤 통신망인지 그리고 그 통신망의 어떤 서비스 영역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망 및 영역정보와 함께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된 망 및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과 서비스 영역에 따라 기 분류되어 있는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정보수집표를 특정하며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반영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집부와,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현재의 이용 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1데이터 속도를 얻고, 또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이용 망이 아닌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2데이터 속도를, 그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구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이용 망과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작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력되는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컨텐트 항목에 대한 판단 값을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임의의 한 쌍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상기 판단 값이 서로 다르면,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간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목록문서에 근거하여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동일하지 않은 실행개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시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력되는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 데이터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컨텐트 항목의 플레이시의 필요 속도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상기 영역에 대해 상기 이용 망과 상기 타 무선망에서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임의의 한 쌍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상기 판단이 서로 다르면,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간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목록문서에 근거하여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동일하지 않은 실행개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시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장치는, 복수의 무선 통신망들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연결된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통신경로에서의 데이터 수신속도를 측정하여 보고토록 하고, 그 보고된 데이터 수신속도 정보와 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서비스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사용 망과 타 무선망에 대한 임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특정 플레이 유형을 각기 결정하고, 그 결정된 유형의 실행 또는 안내를 위한 실행문을,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 문서에 포함시켜 제공하는 1장치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의 임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어떤 통신망인지 그리고 그 통신망의 어떤 서비스 영역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망 및 영역정보와 함께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된 망 및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과 서비스 영역에 따라 기 분류되어 있는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정보수집표를 특정하며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반영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1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영역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로부터 파악된 상기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상기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타망 데이터 속도를 구하고, 그 구해진 타망 데이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영역에서의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1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2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컨텐트 항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그 응답을 수신하게 되면, 그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는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에서 지원가능한 플레이 유형을 그 응답을 통해 바로 알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이후의 컨텐트 항목의 선택시에 지원가능한 플레이 유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한다. 따라서, 불충분한 통신속도하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즉시 플레이, 예를 들어 스트리밍을 위한 동작을 해당 단말기에 요구함으로써 대기하게 되는 시간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선 통신망외에 사용가능한 타 무선통신망에 대해서도, 응답에 포함된 각 컨텐트 항목에 대한 플레이 유형이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즉시 플레이를 원하는 경우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 지를, 단말기에 대한 별도의 또는 번거로운 조작없이도, 화면표시된 상기 응답을 일람(一覽)해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측의 무선통신 환경이 양호한 상태이더라도 서버측의 전송능력 상태가 일시적으로 불량한 경우를 추가적으로 판단함으로써, 단말기에 제공하는 응답에서 임의 컨텐트 항목에 대해 즉시 플레이로 표시되게 한 경우 그 표시의 신뢰성을 더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이루어지는 통신망들과 관련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일 예를 예시한 것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위치하는 각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구축된, 이용속도들이 등재되는 정보수집표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경우에 대해 구축된 정보수집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임의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이 타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여 중첩되는 경우, 그 중첩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정보수집표를 구축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임의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수집표로부터 타 무선망의 연관된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수집표를 특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임의 정보수집표의 타망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타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이용속도를 선택적으로 파악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용속도 정보로써 작성되는 통신서비스 정보의 각각의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망 접속과 관련한 참조정보를 얻기 위한, 단말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으로부터, 단말기의 위치영역과 관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a 및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제공할 응답페이지에 대해서, 단말기의 현재 사용망에서의 컨텐트 파일의 플레이 유형을 서로 달리 지정해서 작성한 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제공할 응답페이지에 대해서, 단말기가 현재 접속하고 있지 않은 타 무선망에서의 컨텐트 파일의 플레이 유형을 알 수 있게 하는 안내정보를 포함시켜 작성한 일 예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서비스 정보를 얻기 위한 요청이, 단말기에 제공할 응답 페이지에 포함시킬 각 컨텐트 항목의 필요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작성된 일 예이고,
도 9b 내지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서비스 정보가, 각 컨텐트 항목에 대해 각 무선망에서 또는 복수 무선망의 병용(倂用)에 의해 스트리밍이 지원가능한 지 아닌 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구성되는 각각의 예이고,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기로부터 보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이용속도외에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 정보 제공지의 식별정보 등을 함께 정보수집표의 엔트리로서 등재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도 10a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서비스 정보를 얻기 위한 요청이, 단말기에 제공할 응답 페이지에 포함시킬 각 컨텐트 항목의 필요속도와 소스(source)주소(IP)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작성된 일 예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트리밍이 지원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컨텐트 항목에 대해서, 해당 컨텐트의 서버측의 전송능력 상태를 확인하여 그 지원가능성을 다시 검증하는 과정에 대한 일 예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서버들이 동일 명칭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서버들을 식별키 위한 정보로서 정보 서비스 명칭을 사용하기 위한, IP주소 등과 정보 서비스 명칭간의 변환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예이고,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임의 단말기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에 의한 비용적 부담에 따라, 스트리밍 지원가능 판단을 위한 기준요건을 비례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규칙의 예를 각기 예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서비스 정보가 상호 분리된 서버들에서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응답 페이지의 작성에 이용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속도 측정치들에 대한 정보수집표를 구축하고 이에 근거해 통신서비스 정보를 작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이루어지는 통신망들과 관련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 예시하고 있는 무선 통신망들은, 셀룰러(cellular) 방식의 광역의 서비스 범위를 갖는 이동전화 통신망(10)( 이하, "셀룰러 망"으로 약칭한다. )과 지역적으로 산포(散布)된 서비스 존들에 의한 제한된 서비스 범위를 갖는 Wi-Fi 무선랜망(1)( 이하, "Wi-Fi 망"으로 약칭한다. )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개념과 원리는 위 예시된 통신망으로 국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그 통신망의 서비스 범위의 광역성 정도,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또는 가입자 수 등이 상이한 다른 명칭의 인프라(infra)가 상이한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와이브로(Wibro) 망, 또는 LTE 망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종망(異種網)들에 대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전체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을 위해,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 웹 서버(202), 컨텐트 서버들(203,204), 그리고 액세스 제어서버(210)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들은 모두 고속의 기간 통신망(11)을 통해 상호간에, 또는 타 통신망(1,10)을 경유한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들(100k, k=1,2,3,…)로부터, 각자가 이용한 통신망의 데이터 서비스 속도 등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이용속도 정보 등을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며, 그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웹 서버(202)에 무선 통신망(1,10)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속도이거나 또는 특정 유형의 플레이의 지원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특정 유형, 예를 들어 스트리밍방식의 플레이의 지원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란, 상관된 컨텐트의 플레이시에 요구되는 데이터 속도가 상당시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지 아닌 지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판단한 정보가 된다. 여기서, 상당시간이란, 통계적으로 볼 때 무선 통신망의 통신상태가 큰 변화없이 유지되는 시간일 수 있다. 또는, 그렇게 유지되는 시간이 확률적으로 일정치이상되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웹 서버(202)는 임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 예를 들어 컨텐츠들의 브라우징을 위한 HTTP Request에 대한 응답 정보, 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작성하여 해당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 상기 응답정보를 구성할 때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로부터 제공되는 통신서비스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컨텐트 서버들(203,204)은, 컨텐트에 대한 파일들이 자신의 대용량 저장장치에 수록되어 있는 서버들이며, 그 수록된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 정보, 예를 들어 URL이 상기 웹 서버(202)가 작성하는 응답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복수의 이종망들(1,10) 중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할 때 또는 상기 Wi-Fi 망(1)의 접속가능한 하나의 접속점을 선택하는 데 참조할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통신망의 선택 또는 접속점의 선택이 필요한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그 단말기의 식별자와 그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도 1에 예시된 전체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이루어지는 일 과정은 도 2에 예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예시된 과정을 참조하여 상기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예시에서, 각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는, 무선 통신망을 액세스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이동전화 기능을 갖춘 노트북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 들은, 자신에 구비된 운영시스템(O/S),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하, "어플"로 약칭한다. )을 통해 예시된 무선 통신망( 1 또는 10 )의 어느 하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S201) 후에는, 그 이용시에 제공받았던 데이터 서비스의 속도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보고하게 된다(S202).
그리고, 상기 보고에는 해당 단말기가 접속하여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area)의 식별정보가 또한 포함된다. 여기서 "서비스 영역"이란, 상기 셀룰러 망(10)에서의 하나의 서비스 권역( 이하, “셀”(cell)이라고도 칭한다. )이거나 상기 Wi-Fi 망(1)의 임의 접속점(AP: Access Point)에 의한 서비스 존(zone)(1k, k=1,2,3,..)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권역에 속하는 임의의 구역(section)일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서비스 영역”의 용어는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는 다양한 유형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망(10)의 서비스 권역인 경우에는 셀 식별자( 예를 들어, 그 셀의 형성하는 기지국의 ID ), 접속점의 서비스 존인 경우에는 접속점의 식별자( 예를 들어, 접속점의 MAC 주소 )가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된다. 그리고 임의의 특정 구역일 경우에는 중심 경위도 좌표( 이 경우에는 지정된 반경이 적용되어 구역이 획정된다. ) 또는 펨토(femto)셀 식별자가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을 식별케 하는 망 정보와 그 통신망에서의 영역을 식별케 하는 영역정보가 필요한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자신의 정보 유형으로써 통신망을 식별케 하므로, 상기 망 정보와 영역 정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접속점 식별자인 경우에는 상기 Wi-Fi 망(1)의 해당 영역이 이용된 것임을 의미하고, 나머지 다른 식별정보( 셀 식별자, 경위도 좌표, 펨토셀 식별자 )인 경우에는 상기 셀룰러 망(10)의 해당 영역이 이용된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의 각각은, 데이터 속도 등의 상기 보고를 위해, 데이터 경로상의 자원( 무선신호 대역폭, 데이터를 공급하는 서버 등 )이 최대로 이용되게 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 예를 들어 파일 다운로드 등을 수행했을 때의 서비스 속도( 예를 들어, 초당 수신 데이터량 )를 측정하여 보고하게 된다. 그 이유는,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유형에 따라, 예를 들어 스트리밍의 경우 그 경로상의 자원이 최대로 이용되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이런 상태에서 측정된 속도는 경로상의 자원의 가용범위와는 무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속도 등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따라 기 분류되어 있는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수신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정보수집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하나의 엔트리로서 등재한다(S203). 이 때,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일시(日時)도 해당 엔트리 함께 기록할 수도 있다. 각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별로 구분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 등의 엔트리들의 집합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보수집표"라는 용어는, 각기 별도로 구분된 데이터 개체, 예를 들어 각각의 파일로서 구분되어 존재하는 엔트리들의 집합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전체의 엔트리들이 하나 또는 몇 개의 데이터 개체로 분산됨으로써 2개이상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들에 대한 엔트리들이 동일한 데이터 개체에 속해 있다 하더라도, 각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가 해당 데이터 개체내에 기재되어 있어서 그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별로 구분할 수 있는 엔트리들의 각 그룹을 지칭하는 의미로서도 사용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임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용속도 정보 등이 엔트리로서 등재되는 정보수집표들의 구성에 대한 예를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로써 분류된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접속점 식별자에 의한 일부 정보수집표들에 대한 것이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수신된 이용속도 정보 등을 등재하기 위한 정보수집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상기 복수의 이종망들(1,10)의 구축된 맵(map) 또는 지형도에 따라 미리 파악된 정보에 근거하여,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보수집표를 각기 구분시키는 각 접속점에 대해서 그 서비스 존이 속한 상기 셀룰러 망(10)의 셀의 식별자를 타망(他網) 영역정보(300a,310a,320a)로서 해당 정보수집표에 기재해 둔다.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서비스 권역의 식별자에 의해 분류된 각 정보수집표에는, 그 셀에 포함되어 중첩되는 서비스 존의 식별자( 즉, 접속점 식별자 )를 해당 정보수집표에 기재하지 않는다. 이는 셀이 서비스 존을 그 속에 포괄하기 때문에, 하나의 셀이 특정되더라도 그 보다 좁은 서비스 존을 특정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경위도 좌표 또는 펨토셀 식별자로써 분류된 정보수집표에 대해서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경위도 좌표( 및 기 지정된 크기의 반경 ) 또는 펨토셀에 의한 구역이 접속점에 의한 서비스 존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경위도 좌표 또는 펨토셀에 대한 정보수집표의 타망 영역정보에 접속점 식별자를 기재하게 되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해당 경위도 좌표 또는 펨토셀에 대한 정보수집표의 타망 영역정보에 접속점 식별자를 기재하지 않는다. 특히, 후자는, 각각의 영역들의 포함관계가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인데, 이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해당 접속점(AP n)에 대한 정보수집표(330)에 대해서, 해당 서비스 존(32)이 속한 서비스 권역(30)대신 그 보다 작은 영역의 서비스 구역(31)의 식별자(fCell_IDp)를 타망 영역정보(330a)로서 기재해 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광역의 서비스 영역에 그보다 좁은 범위를 갖는 서비스 영역이 속하는 경우, 상기 광역의 서비스 영역에 대해서 영역을 이원화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도 3b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권역(30)에 대한 정보수집표(340)( 또는 서비스 구역(31)에 대한 정보수집표 )외에, 그에 속하는 서비스 존(32)과 중첩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수집표(350)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후자의 정보수집표(350)는,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외에 타 무선망의 영역에 대한 식별정보가 함께(351) 그 특정에 이용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가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시의 데이터 속도를 측정하여 보고할 때, 그 이용 통신망이 상기 셀룰러 망(10)이면, 그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외에, 타 무선망, 즉 상기 Wi-Fi 망(1)에 대해 주변 검색을 행한 후 검색된 접속점이 있으면 그 접속점( 다수인 경우에는 신호세기가 가장 높은 접속점 )의 식별자도 함께 보고정보에 포함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가 상기 Wi-Fi 망(1)의 임의 접속점을 이용한 후에 이용속도 정보를 보고할 때, 타 무선망, 즉 상기 셀룰러 망(10)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보고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기 파악하고 있는 접속점들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사설(private) 접속점을 이용한 경우에도, 서로 다른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간의 포함 또는 배치관계를 파악하여 적절히 정보수집표를 구축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a의 예시에서는, "ID1"로 식별되는 접속점을 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1002)로부터 수신된 이용속도 정보, 즉 측정값( 서비스 이용속도는 단말기가 측정한 값이므로 이에 대해서 "측정값"이라는 용어도 사용한다. )을 해당 접속점의 정보수집표(300)에 하나의 엔트리(301)로서 추가 등재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a의 예는, "ID1"과 "ID2"로 식별되는 각 접속점의 서비스 존(11,12)이 동일한 셀에 속하고, "ID3"으로 식별되는 접속점의 서비스 존(13)은 다른 셀에 속하는 경우에 대해, 연관된 셀 식별자가 각 정보수집표의 타망 영역정보(300a,310a,320a)에 기재된 예를 보여준다. 한편, 수신된 이용속도 정보를 해당 정보수집표에 등재할 때,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이용속도 정보가 수신된 일시에 대한 정보도 해당 정보수집표에 함께 등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각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로부터 서비스 이용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해당 정보수집표에 등재하고 있는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무선통신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1001)가 특정의 서버, 예를 들어 상기 웹 서버(202)에 특정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다시보기와 같은 컨텐트 브라우징을 위한 URL에 대한 HTTP Request를 송신하면(S211), 상기 웹 서버(202)는 그 요구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기 전에,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접속하여 위치하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S212). 상기 웹 서버(202)는, 수신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에 대한 응답을 구성할 때 항상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것은 아니고, 구성할 응답이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예를 들어, 그 응답에 소정 크기이상의 컨텐트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야 하는 경우에 한하여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송신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그 요청에 포함시킨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가 자신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제공할 때는, 현재 상기 Wi-Fi 망(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존의 식별자, 즉 접속된 접속점의 식별자를, 상기 셀룰러 망(1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셀 식별자, 펨토셀 식별자 또는 경위도 좌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웹 서버(202)에 임의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송신할 때, 현재 접속되어 있는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외에, 타 무선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현재 상기 Wi-Fi 망(1)에 접속되어 있으면, 해당 접속점의 식별자외에 상기 셀룰러 망(10)의 서비스 권역의 식별자를, 현재 상기 셀룰러 망(10)에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Wi-Fi 망(1)이 주변에서 검색되는 경우, 상기 셀룰러 망(10)의 현재 서비스 권역의 식별자외에, 해당 접속점의 식별자를 함께 송신하게 된다. 물론, 후자의 경우에 주변에서 접속점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셀룰러 망(10)의 서비스 권역의 식별자만을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와 함께 송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주변에서 복수의 접속점이 검색되는 경우, 그 복수의 접속점 식별자들을 모두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로서 상기 웹 서버(202)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식별정보도 함께 수신되면,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때, 그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의 단말기( 또는 가입자 ) 식별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소정의 로그인 절차를 통해서 인증을 통과한 후인 경우, 기 등록된 개인정보에서 파악된 상기 식별정보를 추가적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수신한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는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해당되는 정보수집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엔트리들의 이용속도에 대해 유효범위에 있는 이용속도들을 대표하는 이용속도, 즉 대표값을 산출한다. 이 대표값은,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때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서비스 속도에 상응하는 값이 된다. 상기 유효범위는, 등재된 이용 속도들의 전(全)범위일 수도 있고, 이용속도 분포도에서 중심부의 일정비율, 예를 들어 80%에 해당하는 속도들의 범위일 수도 있다. 또한 등재된 일시가 최신인 기 지정된 수의 엔트리들의 이용 속도들을 상기 유효범위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표값은 상기와 같이 결정된 유효범위내의 이용 속도들의 평균값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특정된 정보수집표의 타망 영역정보가 유효한 값인 지를 확인한다. 만약,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된 정보수집표(410)에 유효한 타망 영역정보(410a)가 기재되어 있으면, 그 타망 영역정보(410a)가 지시하는(40) 정보수집표(420)를 다시 특정하여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420)에 등재된 측정값들(421)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대표값을 산출한다. 물론, 앞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유효한 타망 영역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이와 같은 대표값 산출은 수행하지 않는다.
도 4a의 예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현재 상기 Wi-Fi 망(1)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그 단말기(1001)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그 단말기(1001)의 현재 사용망과 타 무선망, 즉 상기 셀룰러 망(10)에 대한 이용속도 대표값을 각기 구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웹 서버(202)에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송신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현재 상기 셀룰러 망(10)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따라 타 무선망, 즉 상기 Wi-Fi 망(1)에 대한 이용속도 대표값을 선택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때 제공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펨토셀 식별자이거나 경위도 좌표인 경우에,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에, 유효한 타망 영역정보(430a)가 기재되어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타망 영역정보(430a)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450)로부터 대표값을 추가적으로 산출하고,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의 타망 영역정보(440a)가 기재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제공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셀 식별자이면서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더 이상의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타 무선망에 대한 이용속도 산출을 위한 동작은 수행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에 따라,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도 함께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특정된 정보수집표의 타망 영역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그 수신된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를 직접 이용해 해당되는 정보수집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로부터 타 무선망에 대한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측정된 이용속도가 엔트리로서 등재되는 정보수집표에 타망 영역정보를 위한 필드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도 함께 수신되는 경우, 그 수신된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가, 상기 Wi-Fi 망(1)의 서비스 존 식별정보이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현재 사용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 예를 들어, 도 3c의 340 )가 아닌, 그 식별정보와 상기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 예를 들어, 도 3c의 350 )로부터 현 사용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게 된다. 물론, 타 무선망에 대한 이용속도 대표값은, 수신된 상기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 예를 들어 접속점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로부터 산출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의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대해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의 현재 영역에서의 사용망과 타 무선망에 대한 이용속도 대표값이 각기 구해지면, 이들로써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서비스 정보(510)를 구성하여(S214), 그 요청을 송신한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한다(S215). 물론, 타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이 식별되지 않아 타 통신망에 대한 이용속도의 대표값이 산출되지 않았으면, 현 사용망에 대한 대표값만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망과 타 무선망에 대해 각기 구해진 이용속도 대표값을 서로 합산한 이용속도 정보도 또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현재 사용망에 대해서 복수개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상기 Wi-Fi 망(1)의 다수 접속점들에 의해 중첩된 서비스 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각 서비스 존( 즉, 접속점 )의 식별자들을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자신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서비스 존에 대해서는 특정 표시자를 부기하거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 목록에서 약속된 특정 위치, 예를 들어 선두에 배치하여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웹 서버(202)가 하나의 통신망에 대해서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그 식별정보들을 모두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제공하면서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각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로부터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여,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 통신망(520)에 대해서 복수개의 이용속도 정보(521)가 포함되는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하게 된다. 타 무선망에 대해서는, 상기 수신된 복수개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들 중 하나, 예를 들어 특정 표시자가 부기된 또는 목록에서 특정 위치에 배치된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의 타망 영역정보에 기재된 값에 의해 지시되는 정보수집표에서 그 타 무선망에 대해 위치하는 서비스 영역의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게 된다.
도 5b는, 현 사용망에 대해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의 이용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서비스 정보의 예를 제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당연히 타 무선망에 대해서도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의 이용속도 정보가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웹 서버(202)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로부터 타 무선망에 대해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그 각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로부터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여, 그 타 무선망의 각 서비스 영역에 대해 해당 이용속도 대표값을 기재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수신한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단말기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로부터 그 단말기의 현재 사용망을 판단하여 해당 통신망과 타 무선망에 대한 이용속도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해당 단말기 또는 그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통해 그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영역( 및 서비스 통신망 )를 알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위한 각 무선통신 단말기는,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망의 선택이나 상기 Wi-Fi 망(10)의 접속점 선택을 위해, 외부의 서버, 예를 들어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에,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Wi-Fi 망(10)을 액세스하기 위한 통신수단의 MAC 주소, 또는 통신망 또는 접속점 선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고유하게 부여된 코드 등( 이하, "단말기 고유정보"라 칭한다. )을, 무선통신 단말기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는, 이와 같이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와 함께 단말기 고유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축되어 있는 단말기 영역 데이터베이스(600)에, 그 정보가 수신된 시점 정보(611)와 함께 하나의 엔트리(610)로서 추가한 뒤, 자신에게 축적된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상태와 통계적 정보 등을 이용해 통신망 선택 또는 접속점 선택에 참조할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웹 서버(202)에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송신할 때, 전술한 바의 단말기 고유정보도 함께 송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웹 서버(202)도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때, 그 요청에 상기 수신한 단말기 고유정보도 포함시키게 된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수신한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단말기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단말기 고유정보를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에 전달하면서 그에 대응되는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요청한다(S213a).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로부터 단말기 고유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축되어 있는 단말기 영역 데이터베이스(600)에서, 단말기 고유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수신된 단말기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엔트리를 찾는다. 해당 엔트리가 찾아지면, 그 엔트리의 등재 시각을 상기 단말기 고유정보가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로부터 수신된 시각과 비교하고, 그 시각의 차이가 지정된 시간차, 예를 들어 5분 또는 10분이하이면 그 엔트리에 등재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제공하게 된다(S213b).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제공되면, 그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정보수집표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S214),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의 앞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공하게 된다(S215). 한편, 액세스 제어서버(210)는, 수신한 단말기 고유정보를 자신의 단말기 영역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찾지 못하거나 찾은 엔트리의 등재시각이 상기 지정된 시간차이상인 경우에는, "유효정보 검색실패"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지하게 되고, 이 통지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도 통신서비스 정보에 "알수없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재하여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하게 된다.
단말기 고유정보를 통해 해당 단말기의 서비스 영역을 확인하는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셀룰러 망(10)의 서비스 영역이 통지되었을 때, 해당 단말기의 위치에 대해 그 통지된 서비스 영역에 속하거나 그 영역을 지나가는 상기 Wi-Fi 망(1)의 서비스 영역을 특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웹 서버(202)를 통해 단말기 고유정보가 여러 번 수신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로부터 확인되는 해당 단말기가 위치하는 상기 셀룰러 망(10)의 서비스 영역이 특정 패턴을 따라 변경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기 파악하고 있는 양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들의 상호 위치관계에 근거해, 특정 교통수단, 예를 들어 지하철에 구축된 상기 Wi-Fi 망(1)의 접속점에 의한 서비스 영역을 해당 단말기의 타 무선망에 대한 위치 영역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의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이 있을 때, 그 타 무선망의 위치영역에 대한 이용속도 정보도 당연히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로 통신서비스정보를 요청하기 전 또는 요청한 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로부터 수신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에 대한 응답 페이지를 작성하게 되는데, 이 작성을 위해서, 그 응답 페이지에 컨텐트 파일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URL을 포함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그 컨텐트 파일에 대한 ID를 포함하는 링크정보, 예를 들어 "http://vod.contenteserver1.com/.../?video_id=ZXCVBNM"와 같은 URL을 이용하여 그 컨텐트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 예를 들어, 도시된 제 1컨텐트 서버(203)에 그 컨텐트 파일에 대한 메타(meta) 정보를 요청한다. 이 요청에 대해 상기 제 1컨텐트 서버(203)는 해당 ID로 식별되는 컨텐트 파일의 메타 정보를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하는 데, 이 메타 정보에는 해당 컨텐트 파일을 액세스하기 위한 URL과 그 컨텐트 파일의 플레이시에 요구되는 필요속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의 요청에 대한 응답에 포함시킬 하나 이상의 컨텐트 파일에 대해서 메타 정보를 모두 획득하게 된다.
전술한 바의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현재 망과 타 무선망에 대한 이용속도 대표값을 각기 확인하게 되면, 상기 웹 서버(202)는, 자신이 구성할 응답문서에 리스트할 컨텐트 파일들에 대한 각 메타 정보로부터 파악한 각 컨텐트 파일의 스트리밍시의 필요속도를 상기 확인된 이용속도 대표값과 비교하게 된다(S221a). 그 비교결과, 이용속도의 대표값이 임의 컨텐트 파일의 스트리밍시의 필요속도보다 일정 여유치, 예를 들어 10%이상 더 크면, 해당 컨텐트 파일에 대해서는 스트리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트리밍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웹 서버(202)는 후자의 경우에는 해당 컨텐트 파일에 대해서 그 플레이 유형을 다운로드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해당 컨텐트 파일에 대한 플레이 유형이 결정되면,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응답문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의 현재 망에 대해서 결정된 플레이 유형이, 이후에 해당 컨텐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수행되게 하는 실행문을 포함시켜 작성하고(S221b), 그와 같이 작성된 응답문서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에 수신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공한다(S222).
도 7a와 7b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각기 예시한 것으로서, 도 7a는 플레이 유형이 "스트리밍"으로 결정된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 7b는 "다운로드"로 결정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7a의 예를 먼저 설명하면,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임의의 플레이어와 연결될 수 있는 값을 갖는 마임유형(701)이 기재된 최종응답(70)과, 내부정보 등을 통해 연계되는 링크정보(711)를 상기 웹 서버(202)가 상기 응답 페이지(71)에 포함시킨 것이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기 응답 페이지(71)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에 전송된 후, 제목이 "Funniest Video 1"으로 표기된 이미지 항목에 대해 안내된 플레이 유형(712)을 확인한 후 사용자가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그에 따라 상기 링크정보(711)에 대한 HTTP Request가 상기 웹 서버(202)에 수신되고, 그 링크정보(711)에 의해 연계된 상기 최종응답(70)이 다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에 제공된다. 상기 최종응답(70)에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정보(711)에 대응시킨 컨텐트 파일의 데이터(702)가 포함된다.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링크정보(711)에 연결된 컨텐트 파일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내부정보를 통해 확인하여, 그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특정 위치 또는 외부 서버, 예를 들어 상기 제 1컨텐트 서버(203)로부터 순차적으로 컨텐트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최종응답(70)에 포함시킨다. 물론, 이 최종응답(70)에 포함될 상기 컨텐트 파일은, 디코딩의 시작에 필요한 정보 등이 파일의 선두에 코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최종응답(70)의 선두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에 전달되면, 그 헤더의 마임유형에, 특정 실행개체,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가 연결되어 있다면 그 플레이어가 기동되어 그 최종응답(70)에 계속적으로 부가되는 컨텐트 파일의 데이터를 디코딩하면서 스트리밍 플레이를 진행하게 된다. 즉, 컨텐트 파일에 대한 플레이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가 필요로하는 최소한의 데이터 버퍼링이 있은 후에 바로 시작된다.
만약,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의 현재 망에 대해서 그 결정된 플레이 유형이 “다운로드”인 경우에는, 상기 웹 서버(202)는,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성되는 최종응답(72)과 연계되는 링크정보(731)를 갖는 응답 페이지(73)를 작성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에 제공하게 된다. 제공된 상기 응답 페이지(73)에서 해당되는 링크정보(731)가 선택되어 그에 대한 HTTP Request가 수신되면, 상기 웹 서버(202)는 그에 연계된 상기 최종응답(72)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에 제공하게 되는 데, 그 최종응답(72)에 기재된 마임유형(721)에 의해, 미디어 플레이어가 아닌, 브라우저 등에 부속되어 있는 다운로드 실행기 등이 기동되어 후속하는 데이터(723)를 수신하여 파일로서 저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한 위 방식에 따라,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로부터 제공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위치하는 영역의 현재 사용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 예를 들어 이용속도에 따라, 상기 응답 페이지에 리스트할 임의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적절한 플레이 유형이 적용되도록 하는 실행문을 포함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로부터 제공된 통신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위치하는 영역의 현재 사용망이 아닌 타 사용망에 대해서도, 그 타 사용망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상기 응답 페이지에 리스트할 임의의 컨텐트 항목에 대해 수행될 플레이 유형을 알 수 있게 하는 실행문을 상기 응답에 또한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로부터 제공된 통신서비스 정보가 단일 통신망에 대해서 복수의 이용속도들을 기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 영역이 아닌 타 서비스 영역에 대해서도, 그 타 서비스 영역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상기 응답 페이지에 리스트할 임의의 컨텐트 항목에 대해 수행될 플레이 유형을 알 수 있게 하는 실행문을 상기 응답에 또한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망( 또는 현재 서비스 영역 )에 대해서 해당 컨텐트 항목이 “다운로드”로 플레이 유형이 결정되었을 때(801), 타 무선망에 의해서는( 또는 타 서비스 영역에서는 ) 플레이 유형이 “스트리밍”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그 타 사용망 사용시( 또는 그 타 서비스 영역으로의 전환시 )의 플레이 유형 안내를 위한 실행문(802)을 응답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해당되는 서비스 영역의 이용속도를, 상기 웹 서버(202)와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간의 통신서비스 정보로서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컨텐트의 필요속도가 제공될 수 있는 지 없는 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때,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901)(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가 대신 포함될 수도 있다. )외에, 자신이 응답페이지에 리스트할, 특정 조건의 컨텐트 항목, 예를 들어 일정 크기이상의 영상 컨텐트의 항목들에 대한 각각의 필요속도 정보(910)를 제공한다. 즉,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트 파일의 플레이시에 요구되는 디코딩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각 컨텐트 항목에 대한 필요속도에 대한 정보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은 방식으로 그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트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로부터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각 컨텐트 항목은, 서로 다른 내용을 갖는 컨텐트의 파일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서로 동일 내용에 대한 것이지만 그 품질을 서로 달리하는 요구속도를 갖는 컴포넌트(component) 파일들에 대해서 각기 개별적으로 다룬 항목이다. 즉, 하나의 컨텐트에 속하는 서로 다른 품질의 컴포넌트들이 N개일 때, 상기 컨텐트 항목은 N개가 됨을 의미한다. “컨텐트 항목”의 용어는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다.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필요속도가 기재된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그 요청에 기재되어 있는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로부터,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의 현재 사용망과 타 무선망에 대한 이용속도의 대표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대표값과, 상기 요청에 기재된 각 항목의 필요속도를 상호 비교한다. 상기 산출한 대표값이 일정 비율, 예를 들어 10%이상 필요속도보다 더 높으면 해당 항목에 대해서는, 상당시간 그 필요속도가 지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지원가능”을, 그렇지 않으면 “지원불가”를 나타내는 약속된 정보를 기재하여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지원가능 또는 지원불가의 판단을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의 현재 사용망과 타 무선망에 대해서 각각 행하여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한다. 도 9b는 이러한 방식에 의해 구성된 통신서비스 정보의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청에 기재된 각 항목의 필요속도를, 각 통신망에 대해 산출된 이용속도 대표값을 모두 가산한 속도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도 9c에서와 같이, 그 필요속도의 지원가능성 여부를 판단한 정보(925)를 더 추가하여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925)는, 상기 웹 서버(202)에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전송한 무선통신 단말기가 동시에 복수의 이종망들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에 유용한 정보가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의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현재 사용망에 대해서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도 9d에서와 같이, 그 사용망의 각 서비스 영역에 대해 산출된 이용속도 대표값으로부터, 각 서비스 영역에 대해 판단된 지원가능 여부의 정보(930)를 포함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하게 된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타 무선망에 대해서 복수의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타 무선망의 각 서비스 영역에 대해 판단된 지원가능 여부의 정보가,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할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웹 서버(202)는, 도 9b 또는 9d에 예시된 바와 같은 통신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현재 사용망( 또는 현재 서비스 영역 )에 대해 “지원가능”의 경우에는, 도 7a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선택시의 스트리밍을 위한 실행문을 해당 컨텐트 항목에 대해 기재하고, “지원불가”의 경우에는 도 7b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선택시의 다운로드를 위한 실행문을 해당 컨텐트 항목에 대해 기재하는 방식으로 응답 페이지를 작성하게 된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타 무선망( 또는 타 서비스 영역 )에 대한 “지원가능”과 “지원불가”에 대해서는 그를 안내하는 실행문을 상기 응답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 있는 것처럼, 현재 사용망( 또는 현재 서비스 영역 )이 “지원불가”이고, 타 무선망( 또는 타 서비스 영역 )이 “지원가능”인 경우(921,931)에 한하여 타 무선망( 타 서비스 영역 )에 대해 “지원가능”, 즉 스트리밍 또는 즉시 플레이가 가능함을 안내하는 실행문을 상기 응답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9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종망들을 모두 사용한 경우에 대한 지원가능 판단정보가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웹 서버(202)는 그 판단에 따른 정보를 안내하는 실행문을 상기 응답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망들이 개별적으로 모두 “지원불가”인 경우에 한하여 모든 통신망 사용이 “지원가능”일 때(926), 그 사실을 안내하는 실행문을 상기 응답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전송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영역( 및 타 무선망에서의 영역 )의 서비스 속도를, 자신이 구축하고 있는 정보수집표들에 등재된 측정값들로부터 추정하여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직접 제공한 서비스 속도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를 정보수집표로부터 얻게되는 이용속도 대표값에 우선하여( 즉, 정보수집표로부터 대표값을 산출하지 않고 )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해당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속도 정보를 우선하는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대신 전술한 바의 단말기 고유정보가,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현재 사용망 및 타 무선망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에, 통신망 선택이나 접속점 선택을 위한 정보를 요청할 때,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와 단말기 고유정보외에, 현재 자신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에 대해 측정한 서비스 속도 정보도 함께 제공하게 된다. 물론, 이 정보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에 그 수신시점과 함께 적절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다. 그리고 나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컨텐트의 리스트를 요청하는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단말기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웹 서버(202)로 전송하면, 그 단말기 고유정보는 상기 웹 서버(202)에 의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전달되고,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그 단말기 고유정보를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에 대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로부터 수신할 때, 그 단말기 고유정보에 의해 등재되어 있는 서비스 속도 정보와 그 정보가 수신되었던 시점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신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수신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현재 일시와 비교하고, 그 차이가 기 지정된 시간차, 예를 들어 5분 또는 10분이하이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로부터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는 대신, 상기 수신된 서비스 속도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한다. 물론, 상기 수신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상의 타망 영역정보를 이용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현재 접속하고 있지 않은 타 무선통신망의 영역에 대한 정보수집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를 이용해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는 동작은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속도 정보와 정보수집표로부터 산출된 이용속도 대표값으로써, 통신서비스 정보를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거나, 상기 수신된 서비스 속도 정보와 정보수집표로부터 산출된 이용속도 대표값을 이용하여, 도 9b 또는 9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는,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의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 항목에 대한 필요속도 정보(910)가 포함된 경우이며, 도면에 예시된 경우와는 달리,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901) 대신 단말기 고유정보가 포함된 경우이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수신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와 현재 일시와의 차이가 상기 기 지정된 시간차이상이면, 그 시점 정보와 함께 수신된 서비스 속도 정보를 버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함께 수신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의 현재 망과 타 무선망상의 영역에 대한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물론 전술하였던 실시예의 설명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가, 자신이 이용하였던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보고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고시에 그 속도를 측정하게 된 데이터 송신지에 대한 식별정보, 예를 들어 원격지 IP주소를 함께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보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와 같이 보고되는 정보를, 도 1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정보가 수신된 시점에 대한 정보(1001)와 함께, 수신된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에 의한 정보수집표(1000)에 등재하게 된다.
도 1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속도 정보(1002)가, 단말기에 데이터를 제공한 서버의 식별정보, 예를 들어 IP주소(1010)와 함께 정보수집표에 등재되는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로부터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에 따라, 상기 웹 서버(202)가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을 할 때,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응답페이지에 리스트할 각 컨텐트 항목에 대해 플레이시에 필요로 하는 속도(1110)와 그 해당 데이터 파일이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서버의 IP주소(1111)도 함께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제공하게 된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트 파일을 실제로 제공하게 될 서버의 IP주소(1111)가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1100)에 포함되어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그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1100)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 또는 단말기 고유정보 )(1101)를 이용하여, 각 항목이 요구하는 필요속도(111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의 현재 사용망의 서비스 영역에서 스트리밍 방식의 플레이가 지원가능한 지를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 있어서, 임의의 컨텐트 항목에 대해 스트리밍이 지원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음의 방식으로 그 지원가능 판단을 검증하게 된다.
하기의 설명은, 도 11과 같이 예시된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그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수집표가 도 10a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함에 따른 것이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스트리밍 가능이라고 판단된 컨텐트 항목이 있으면(S1201), 그 항목, 예를 들어 도 11의 첫번째 컨텐트 항목(1112)에 대해서, 그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의 IP주소(1112a)와 동일한 IP주소가, 해당되는 정보수집표(1000)의 서버 IP주소 필드(1010)에 기재되어 있고, 또한 해당 정보수집표(1000)에 등재된 시점과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이 수신된 시점과의 시간차가 기 지정된 시간격, 예를 들어 5분이하인 엔트리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S1203). 만약, 그러한 엔트리가 해당 정보수집표(1000)에 있다면(S1204), 그 엔트리의 이용속도 값이 상기 첫번째 컨텐트 항목(1112)이 요구하는 필요속도(1112b)보다 일정 여유치이상 높은 지를 판단한다(S1205). 만약 높다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해당 컨텐트 항목의 파일에 대해서, 해당 서버( IP주소가 s1.t1.u1.v1인 서버 )측의 전송능력도 스트리밍을 위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위치하는 서비스 영역에서의 무선신호 품질은 스트리밍이 가능하지만, 해당 서버측은 현 시점에 그렇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처음 판단을 정정하게 된다(S1206). 다시 말하면, 해당 컨텐트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이, 서버측의 일시 또는 잠정적인 이유로 그 속도를 지원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도 9b, 9c 또는 9d와 같은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할 때, 해당되는 항목에 대해 "지원불가"를 지시하는 약속된 정보를 기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좀 더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의 예시된 도면에서, 제 3의 무선통신 단말기(1002)가 상기 제 1컨텐트 서버(20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제 1컨텐트 서버(203)의 일시적인 과부하 등으로 인해 그 수신속도가 떨어지고, 이 상태, 즉 낮은 데이터 수신속도에 대한 보고가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이루어진 한편, 해당 서비스 영역내의 타 단말기들은, 상기 제 1컨텐트 서버(203)외의 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서버측의 별다른 장애없이 해당 서비스 영역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속도를 향유함으로써 그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보고들이 이루어진 상황하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001)가 상기 웹 서버(202)에 요청한 응답 페이지에 상기 제 1컨텐트 서버(203)에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항목을 리스트해야할 때, 해당 컨텐트 항목에 대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등재된 정보수집표상의 측정치들로부터는 1차적으로 스트리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지만, 2차적으로 검증할 때, 상기 제 1무선통신 단말기(1002)가 보고한 정보에 의해 스트리밍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서버측의 문제로 인해 스트리밍이 불가함에도 불구하고, 단말기 위치영역의 현재 서비스 품질에 의해 스트리밍이 가능하다고 오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1100)에 포함된 상기 첫번째 컨텐트 항목(1112)의 서버 IP주소(1112a)와 동일한 IP주소를 갖고, 또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된 시점과 기 지정된 시간차이내로 등재된 엔트리가, 해당 정보수집표(1000)에서 복수개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그 엔트리들의 이용속도들의 산술 평균값 또는 최신 등재된 것일수록 큰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얻은 가중 평균값이, 상기 첫번째 컨텐트 항목(1112)이 요구하는 필요속도(1112b)보다 일정 여유치이상 높은 경우에, 해당 서버도 스트리밍을 충분히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전술한 검증과정을, 최초 "지원가능"으로 판단된 컨텐트 항목의 마지막까지(S1207,S1208) 수행함으로써, "지원가능"으로 판단된, 상기 수신된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된 컨텐트 항목들에 대해서, 서버측까지 고려하여 실제로 스트리밍이 지원가능한 것인 지를 검증완료하게 된다.
도 12에 예시된 검증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IP주소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IP주소대신 해당 서버가 수행하는 정보 서비스의 명칭( 예를 들어 "youtube", "다음TV팟" 등 ) 또는 각 명칭에 대해 할당한 코드 등을 서버의 식별정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에 대한 IP주소와, 그 서버들이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의 액세스를 위한 URL의 호스트와 도메인 명( 디렉토리 명을 포함할 수도 있다. )( 이하, "호스트/도메인 정보"라 약칭한다. )에 대하여, 도 13에서와 같이, 정보 서비스 명칭을 상호 연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게 된다. 통상, 단일의 정보 서비스는 이용자가 많은 경우 복수의 서버들로써 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일 정보 서비스에 대해 각기 다른 IP주소를 갖는 엔트리들(1301,1302)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있게 된다.
정보 서비스 명칭 또는 코드를 서버의 식별정보로서 사용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로부터 측정한 속도정보가 원격지 IP주소와 함께 보고되면, 그 IP주소를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일치하는 IP주소가 있으면,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일치하는 IP주소의 엔트리에서 읽은 정보 서비스 명칭( 또는 코드 )(1021)을, 보고된 IP주소를 대체하여 해당되는 정보수집표에 등재한다(1020). 그리고, 상기 웹 서버(202)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때, 자신이 응답페이지에 리스트할 각 컨텐트 항목을 요청하기 위한 액세스 위치정보, 예를 들어 URL에서의 호스트/도메인 정보를,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IP주소( 도 11의 1111 )대신 포함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요청에 포함된 각 항목의 필요속도가 지원가능하다고 판단된 항목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검증할 때, 그 항목의 호스트/도메인 정보에 연계된 정보 서비스 명칭( 또는 코드 )을,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고, 그렇게 찾아진 정보 서비스 명칭( 또는 코드 )을,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고된 정보가 등재되어 있는 해당되는 정보수집표에서 다시 찾는다. 이 과정에서 찾아진 엔트리들 중에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이 수신된 시점과 그 엔트리의 등재시점과의 차이가 기 지정된 시간격이내인 엔트리의 이용속도( 또는 엔트리들의 이용속도 평균값 )를, 해당 컨텐트 항목이 요구하는 필요속도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정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측의 전송능력을 검증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스트리밍 지원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확인한 이용속도 대표값( 또는 해당 단말기가 보고한 이용속도 )이 해당 컨텐트 항목이 요구하는 필요속도보다 기 지정된 일정 여유치이상 높은 값인 지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유치를, 상기 셀룰러 망(10)에 대해 적용할 것과 상기 Wi-Fi 망(1)에 대해 적용할 것을 이원적으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상기 셀룰러 망(10)에 대해 적용할 여유치에 대해서는, 컨텐트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최종적으로 수신하게 될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서비스 가입 요금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웹 서버(202)에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전송할 때, 자신을 유일 식별케 하는 식별자,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에 부여된 가입자 전화번호를 포함시켜 송신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웹 서버(202)가 그 요구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때,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함께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수신한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상기 기간 통신망(11)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가입자 정보 운영서버에 제공하면서, 해당 가입자가 상기 셀룰러 망(1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자신을 유일 식별케 하는 식별자를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하지 않는 대신, 상기 웹 서버(202)가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송신할 때, 해당 단말기( 수신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의 송신자 )의 IP주소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IP주소를 수신하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상기 셀룰러 망(10)에 접속하는 단말기들에 IP주소를 할당하는 주소관리 서버에 상기 수신한 IP주소를 제공하면서, 그 IP주소를 할당한 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를 요청한다. 이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해당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게 된다. 만약, 상기 수신한 IP주소가 특정 유형, 예를 들어 "192.168." 등으로 시작하는 가상 IP이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주소관리 서버에 가입자 전화번호를 요청하지 않는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을 상기 서비스정보 제공서버(201)에 하게 된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를 송신한 단말기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그 정보로부터, 해당 단말기가 현시점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따른 비용적 부담을 확인한다. 그 비용적 부담이 확인되면, 도 14a 및 1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기 지정된 규칙(1401,1402)에 따라 전술한 바의 상기 여유치를 적응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도 14a 및 14b에 그래프로서 예시된 각 규칙(1401,1402)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비용적 부담이 클수록 상기 여유치의 값도 증가하는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예시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의 규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비용적 부담을 고려하여, 상기 셀룰러 망(10)에서의 스트리밍 지원가능 판단을 위한 여유치가 높아지도록 설정하는 이유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싼 비용을 부담하고, "지원가능"이라고 판단된 정보에 근거해 사용자가 컨텐트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이 이루어 지도록 했을 때는, 무선 통신망의 통신품질의 시간적 변동성에 의해 스트리밍의 중단 또는 장애가 발생되는 확률을 상대적으로 더 낮추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 또는 단말기 고유정보 )를 통해, 해당 단말기의 현재 사용망과 타 무선망을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구분한 다음, 상기 셀룰러 망(10)이 되는 어느 통신망, 즉 현재 사용망 또는 타 무선망에 대한 스트리밍의 지원가능을 판단하기 위한 여유치를, 도 14a 또는 1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규칙(1401,1402)에 따라 결정하여 이용속도와 컨텐트 항목의 필요속도의 비교에 적용하게 된다. 즉, 해당 정보수집표로부터 산출되는 이용속도 대표값( 또는, 현재 사용망인 경우에 해당 단말기로부터 보고된 이용속도 )이, "해당되는 컨텐트 항목이 요구하는 필요속도"에 상기 규칙(1401,1402)에 따라 결정된 여유치를 더한 값보다 클 때 스트리밍이 "지원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상기 웹 서버(202)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응답정보를 구성할 때,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하여 이용하였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의 통신서비스 정보 제공은, 최초 응답 페이지의 구성을 위해서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웹 서버(202)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에 대해 최초 응답 페이지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해당 단말기에 제공한 후에도, 통신서비스 정보가 필요한 임의의 시점에,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현재 통신상 연결된, 즉 세션(session)이 개설되어 있는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전술한 바의 정보(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 단말기의 고유정보 등 )를 제공하면서 요청하게 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웹 서버(202)가, 이미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였던 응답 페이지의 내용을, 새로운 통신상태에 맞도록 갱신하거나 특별한 통신상태를 알리기 위한 알람정보를 푸쉬(push)하고자 할 때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에서의 현재 사용망과 타 무선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하였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에서의 타 무선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만을 구성하여 상기 웹 서버(202)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서버들과 단말기간에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웹 서버(202)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현재 사용망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정보를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웹 서버(202)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로부터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 예를 들어 홈 페이지 요청문서가 수신되어(S1501) 그에 대한 응답 페이지를 제공할 때, 기 지정된 특정 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하면서 그 수신속도를 측정하는 스트립트를 그 응답 페이지에 포함시킨다(S1502).
그 수신된 응답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에서 이면모드(background mode)로 실행되어, 자신에게 기 지정되어 있는 특정 파일을 요청하여(S1503) 수신하면서 그 수신속도, 즉 현재 연결된 통신경로상의 전송속도를 측정한 뒤(S1504a, S1504b), 이를 상기 웹 서버(202)에 보고한다(S1505). 그러면, 상기 웹 서버(202)는 이를 이후에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다(S1506). 이 후에,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로부터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 또는 단말기 고유정보 )가 수신되는 시점(S1511)에, 그 수신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에 전달하면서, 해당 단말기의 위치 영역에서의 타 무선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요청한다(S1512). 상기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 또는 단말기 고유정보 )는, 상기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가 특정 형태, 예를 들어 컨텐트 목록을 요청하는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에 송신할 때 함께 제공되거나 또는 특정 웹 페이지 요청과는 별도로 상기 웹 서버(202)에 송신될 수도 있다.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타 무선망에 대해서만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여(S1513) 상기 웹 서버(202)에 응답하면(S1514), 그 통신서비스 정보와, 앞서 보고되어 저장된 상기 수신속도를 사용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컨텐트 항목에 대한 특정 플레이 유형의 지원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된 통신서비스 정보가 이미 각 항목에 대한 상기 특정 플레이 유형의 지원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정보이면 그 정보를 그대로 이용한다. ). 물론, 상기 보고된 수신속도는, 상기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 영역에서의 현재 사용망에서의 지원가능 판단을 위해 사용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서비스 정보는 타 무선망에서의 지원가능 판단을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응답 페이지에 포함되는 각 컨텐트 항목에 대한 플레이 유형이 그 선택 시에 수행되게 하는 또는 그 유형을 안내하는 실행문을 상기 응답 페이지에 포함시켜 작성하게 된다(S1515). 그리고, 이 작성된 응답 페이지는, 앞서의 컨텐트 목록의 웹 페이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공하게 된다(S1516).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망 접속기(201a),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 그리고 DB 관리기(20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는 단일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각 구성요소별로 상호 독립된 복수개의 컴퓨팅 장치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가 독립된 컴퓨팅 장치, 예를 들어 서버(server)로 구축되는 경우에는, 이들 간에는 전용선 또는 전용망으로 상호 연결되며 적절한 네트워크 보안통신 프로토콜하에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6에 예시된 상기 각 구성요소, 즉 망 접속기(201a),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 그리고 DB 관리기(20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가 수행하는 전술한 동작들을 상호 협력하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망 접속기(201a)는 상기 기간 통신망(11)을 통해 타 서버들과 통신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셀룰러 망(10) 및/또는 Wi-Fi 망(1)에 연결된 통신 노드와 상기 기간 통신망(11)을 통해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웹 서버(202)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과, 상기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100k, k=1,2,3,…)들로부터 수신되는 이용속도 보고를 위한 정보를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로부터 통신서비스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타 서버들 또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정보 교환을 위해 소켓 및/또는 세션과 같은 통신용 논리적 객체들을 관리한다.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는, 상기 망 접속기(201a)로부터 수신되는 이용속도 보고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DB 관리기(201c)에 전달하면서 데이터베이스화를 요청한다. 상기 망 접속기(201a)로부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그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를 상기 DB 관리기(201c)에 전달하면서, 해당되는 정보수집표상에 등재된 엔트리들을 요청하고, 이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서, 연관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현 사용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엔트리들(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등재한 이용속도 값들 )과 상기 연관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엔트리들이 함께 수신되면, 또는 그들을 확인할 수 있는 저장공간의 위치정보가 각기 수신되면,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와 같이, 그 엔트리들로부터 이용속도 대표값을 각기 산출하고, 그 산출한 이용속도 대표값을 각각 기재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상기 망 접속기(201a)로 전달하면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을 송신한 서버로의 전송을 요청한다. 물론,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는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상기 요청에 기재된 임의 컨텐트 항목의 필요속도에 대한 특정 플레이 유형의 지원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라, 연관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해서만 이용속도 대표값 또는 특정 플레이 유형의 지원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DB 관리기(201c)는, 수신되는 이용속도 보고에 포함된 정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자신이 관리하는 물리적 저장공간에 구축하거나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이 추가하고,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 등이 수신되면 그 정보들로부터 해당되는 정보수집표를 특정하고( 연관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타 무선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수집표도 또한 특정한다. ), 그 특정된 각 정보수집표상의 엔트리들의 측정값들에 대해 유효범위를 결정한 후, 그 유효범위내의 측정값들을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에 전달하거나 이들을 액세스할 수 있는 저장공간의 위치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DB 관리기(201c)는 각 서비스 영역에서의 최신의 이용속도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설정된 일정기간이 경과한 엔트리들에 대해서는 삭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의 각 구성요소(201a,201b,201c)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념과 사상에서의 기본적인 사항만에 대한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 각 구성요소(201a,201b,201c)의 동작은 위 설명으로써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각 구성요소(201a,201b,201c)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의 동작( 예를 들어, 단말기 고유정보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서비스 영역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정보수집표상에서 이용속도 대표값을 산출하는 대신, 연관된 단말기로부터 직접 수신된 해당 서비스 영역에 대한 이용속도를 이용하는 동작 등 )을, 각기 할당된 기능에 부합하는 형태로 분배하여 각각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구성요소(201a,201b,201c)의 동작은, 도 16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사항에 국한되지 않고,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의 각 동작의 부분들로 당연히 확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는 서로 별도로 독립된 컴퓨팅 장치인 정보 수집부와 정보 제공부로써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는, 수신되는 이용속도 보고에 포함된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여 정보수집표에의 데이터베이스화를 상기 DB 관리기(201c)에 요청하는 등의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수신되는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기재된 서비스 영역의 식별정보에 대하여, 상기 DB 관리기(201c)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등의 전술한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망 접속기(201a)도 전술한 기능들과 그에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들이, 각기 별도의 컴퓨팅 장치로서 구성된 상기 정보 수집부와 정보 제공부에 분배되어 그 장치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망 접속기(201a),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 그리고 DB 관리기(201c)간에는 정보 전달에 의한 요청과 응답간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요청에 기재된 정보식별자를 그 응답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응답되는 정보를 요청에 부가하여 응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상기 웹 서버(202) 및/또는 상기 액세스 제어서버(210)가 수행하였던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201)의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기(201b)에, 또는 상기 각 구성요소(201a,201b,201c)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신호교환할 수 있는 별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 Wi-Fi 망 1k: Wi-Fi 서비스 존
10: 셀룰러 망 11: 기간 통신망
100k: 무선통신 단말기 201: 서비스 정보 제공서버
201a: 망 접속기 201b: 통신서비스 정보 처리부
201c: DB 관리기 202: 웹 서버
203, 204: 컨텐트 서버 210: 액세스 제어서버

Claims (30)

  1.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통신망의 임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어떤 통신망인지 그리고 그 통신망의 어떤 서비스 영역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망 및 영역정보와 함께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1단계와,
    무선 통신망과 서비스 영역에 따라 기 분류되어 있는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상기 수신된 망 및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정보수집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반영하는 2단계와,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현재의 이용 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1데이터 속도를 얻고, 또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이용 망이 아닌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2데이터 속도를, 그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구하는 3단계와,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이용 망과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4단계와,
    상기 구성된 통신서비스 정보를,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이용 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상기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상기 제 1데이터 속도를 구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에서 지정한 유효범위에 속하는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의 대표값을 상기 데이터 속도로서 구하고, 상기 대표값은 상기 유효범위에 속하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의 평균값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용 망의 상기 위치 영역에서 보고한, 그 보고로부터 일정시간 이상 경과하지 않은 데이터 서비스 속도로부터 상기 제 1데이터 속도를 얻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현재의 이용 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고유정보를 타 장치에 제공하면서, 상기 현재의 이용 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현재의 이용 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알 수 있게 하는 상기 정보와, 기 구축되어진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들간의 상호 위치관계 정보에 근거해, 상기 타 무선망 및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파악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타 무선망 및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는,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에 근거하여, 주어진 데이터 속도가 해당 망의 해당 영역에서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을 판단한 정보와, 상기 해당 망 각각을 식별케 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보다 설정된 여유치이상 높은 경우에, 상기 해당 망의 해당 영역에서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가입하고 있는 요금제 정보를 확인하고, 그 요금제 정보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 중 특정의 통신망에서의 향후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에 비용을 부담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으면, 그 부담의 정도에 따라 상기 여유치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가 상기 이용 망의 상기 위치 영역에서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를 필요로 하는 컨텐트 항목의 파일 데이터 제공과 관련된 특정 서버의 전송능력이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지 못하는 지를 더 확인함으로써 가능성이 있다는 상기 판단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속도와 함께 수신된 서버에 대한 정보로부터 얻은 서버 식별정보를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와 연계하여 상기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반영하며,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상기 이용 망과 그 망의 상기 위치 영역에 근거해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상기 특정 서버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는 엔트리를 찾는 단계와,
    그러한 엔트리가 찾아지면 그 엔트리의 데이터 서비스 속도와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가능성이 있다는 상기 판단을 선택적으로 번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진 데이터 속도는,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함께 기재된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각 컨텐트 항목의 플레이시의 필요 속도인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한 쌍의 컨텐트 항목에 대하여,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상기 판단한 정보가 서로 다르면,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된 컨텐트 항목들에 대한 목록문서를 작성할 때,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간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목록문서에 근거하여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동일하지 않은 실행개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도록 하는,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의 일 항목에 대해서, 상기 판단한 정보가 지원 가능을 지시하는 것이면, 그 일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는,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플레이를 진행하는 제 1실행개체가 기동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의 다른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는, 컨텐트 데이터를 플레이없이 수신하여 파일로서 저장하는 제 2실행개체가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포함시켜 상기 목록문서를 작성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해 상기 판단한 정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하는 실행문을,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 요청에 포함된 컨텐트 항목들에 대해 작성하는 목록문서에 포함시키는,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컨텐트 항목에 대해 상기 판단한 정보가, 상기 사용 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제 1판단정보와 상기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제 2판단정보에서 서로 상이함을 나타내면서, 상기 제 1판단정보가 지원 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것인 경우에 한하여, 그 임의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상기 제 2판단정보가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하는 실행문을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시키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이용 망 및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유하게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는, 상기 이용 망을 식별케 하는 정보와 상기 제 1데이터 속도, 그리고 상기 타 무선망을 식별케 하는 정보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서로 연계하여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컨텐트 항목의 플레이시의 필요 속도와,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각기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속도가 각기 구해진 해당 망의 해당 영역에서 상기 필요 속도가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임의의 한 쌍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상기 판단이 서로 다르면,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간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목록문서에 근거하여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동일하지 않은 실행개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도록 하는,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데이터 속도와의 비교에 근거한, 상기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의 상기 위치 영역에 대한 상기 판단의 결과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하는 실행문을,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시켜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서비스 영역이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영역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이용 망 또는 상기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3데이터 속도를, 그 타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더 구하고,
    상기 4단계는, 더 구해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3데이터 속도를 상기 이용 망 또는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것으로 더 이용하여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가 합산된 데이터 속도를 더 이용하여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 내지 5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와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호 별개로 독립되어 통신망을 통해 상호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및 영역정보는, 해당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물리적인 신호 송수신 기기에 대한 식별정보이거나, 또는 위치에 대한 경위도 좌표인 것인 단말기 위치영역의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7.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통신망의 임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어떤 통신망인지 그리고 그 통신망의 어떤 서비스 영역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망 및 영역정보와 함께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된 망 및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과 서비스 영역에 따라 기 분류되어 있는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정보수집표를 특정하며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반영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집부와,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현재의 이용 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1데이터 속도를 얻고, 또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상기 이용 망이 아닌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 2데이터 속도를, 그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구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데이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이용 망과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통신서비스 정보를 작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 제공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컨텐트 항목에 대한 판단 값을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임의의 한 쌍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상기 판단 값이 서로 다르면,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간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목록문서에 근거하여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동일하지 않은 실행개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시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정보 제공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통신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1데이터 속도와 상기 제 2 데이터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컨텐트 항목의 플레이시의 필요 속도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상기 영역에 대해 상기 이용 망과 상기 타 무선망에서 임의 시간 지원될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되는 임의의 한 쌍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상기 판단이 서로 다르면, 상기 한 쌍의 컨텐트 항목간에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목록문서에 근거하여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동일하지 않은 실행개체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동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상기 목록문서에 포함시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정보 제공장치.
  30. 무선 통신망의 통신상태를 반영한 응답을 구성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통신망들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연결된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통신경로에서의 데이터 수신속도를 측정하여 보고토록 하고, 그 보고된 데이터 수신속도 정보와 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서비스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사용 망과 타 무선망에 대한 임의 컨텐트 항목에 대한 특정 플레이 유형을 각기 결정하고, 그 결정된 유형의 실행 또는 안내를 위한 실행문을,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 문서에 포함시켜 제공하는 1장치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의 임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망에서 어떤 통신망인지 그리고 그 통신망의 어떤 서비스 영역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망 및 영역정보와 함께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된 망 및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과 서비스 영역에 따라 기 분류되어 있는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정보수집표를 특정하며 그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를 반영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1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영역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로부터 파악된 상기 타 무선망과 그 망에서 위치하는 영역에 근거해 상기 정보수집표들 중에서 특정된 정보수집표에 등재된 데이터 서비스 속도들로부터 상기 타 무선망을 통해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타망 데이터 속도를 구하고, 그 구해진 타망 데이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영역에서의 상기 타 무선망에 대한 상기 통신서비스 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1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2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 제공장치.
KR1020120051988A 2012-05-16 2012-05-16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7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988A KR101373844B1 (ko) 2012-05-16 2012-05-16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3/004223 WO2013172614A1 (ko) 2012-05-16 2013-05-13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988A KR101373844B1 (ko) 2012-05-16 2012-05-16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51A KR20130128151A (ko) 2013-11-26
KR101373844B1 true KR101373844B1 (ko) 2014-03-17

Family

ID=4958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988A KR101373844B1 (ko) 2012-05-16 2012-05-16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3844B1 (ko)
WO (1) WO201317261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744A (ko) * 1997-05-26 1998-12-05 윤종용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 측정 방법
KR20070069647A (ko) *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서비스 정보 제공이 가능한 망 연동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20090055833A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001249B1 (ko) 2009-06-12 2010-12-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통신 네트워크를 갖는 차량용 프로토콜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744A (ko) * 1997-05-26 1998-12-05 윤종용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 측정 방법
KR20070069647A (ko) *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서비스 정보 제공이 가능한 망 연동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20090055833A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001249B1 (ko) 2009-06-12 2010-12-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통신 네트워크를 갖는 차량용 프로토콜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51A (ko) 2013-11-26
WO2013172614A1 (ko)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1679B2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選択方法、ユーザ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AU20103074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sonal network for providing a CPNS service
US20120303705A1 (en) Contents simultaneous playback terminal, the sam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501100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information related to mutual communication property between a terminal and access points of a wireless network to be used in connecting to the wireless network
US91308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personal network using PN routing table
KR101512062B1 (ko) P2p 모드에서 저장된 콘텐츠를 액세스하기 위한 피어 식별자들을 얻기 위한 요구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연관된 관리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장비
KR10178080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컨텍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JP5011433B2 (ja) 他のペアの近傍にあるペアグループを決定する方法、関連するサーバ及び解析装置
US20120117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personal network
KR101260261B1 (ko) 무선망 접속을 위한 참조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장치
KR101621093B1 (ko)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73844B1 (ko)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무선 통신망들의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82915A (ko) 콘텐츠를 분할하고 분할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사용 이력을 관리하는 서버
KR101796975B1 (ko)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KR2019004516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858247B1 (ko)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93818B1 (ko) 상위 네트워크 접속 품질에 연동한 무선 인터넷 접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822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데이터 공유를 위한 인덱스 서버
KR100835528B1 (ko) 구간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방법 및그 스트리밍 단말기
CN114615720B (zh) 一种配网语音的播放方法、系统、终端以及物联网设备
KR20140080949A (ko)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20160108067A (ko) 이동셀 기반의 sns 서비스 제공 장치, 플랫폼 및 sns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16198A (ko) 인터넷 기반 서비스 사용환경 제공장치 및 방법
CN109213907A (zh) 用于推荐信息的方法与设备
CN116896558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