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975B1 -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975B1
KR101796975B1 KR1020110099822A KR20110099822A KR101796975B1 KR 101796975 B1 KR101796975 B1 KR 101796975B1 KR 1020110099822 A KR1020110099822 A KR 1020110099822A KR 20110099822 A KR20110099822 A KR 20110099822A KR 101796975 B1 KR101796975 B1 KR 10179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ms
web server
network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244A (ko
Inventor
한상진
이주봉
이설화
김형민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975B1/ko
Priority to US13/627,340 priority patent/US9112904B2/en
Publication of KR2013004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LNA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은 현재 위치하는 곳에서 참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웹서버로 상기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웹상의 불특정 이동 단말기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상기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SYSTEM FOR SHARING DLNA NETWORK}
본 발명은 해당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를 검색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단말기 유저이더라도, 상기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웹상에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TV, PC, 모바일폰과 같은 집 안의 정보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통합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규약으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가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DLNA는 상용화된 정보 가전 기기들을 호환성을 높여 홈 네트워크로 구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가전 기기들 간의 디지털 컨텐츠를 자유롭게 공유하게끔 한다.
상기 DLNA 네트워크 기기들은 무선 공유기(WiFi Access Point)를 경유해 컨텐츠를 공유한다. 상기 DLNA 네트워크 기기라 함은 DLNA 미들웨어를 탑재한 기기를 지칭한다. 상기 무선 공유기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기기별로 할당하고, 상기 DLNA 네트워크 기기들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DLNA 네트워크 기기들이 인터넷을 통해 타 기기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유저는 접속 가능한 무선 공유기를 검색한 후 해당 무선 공유기를 경유하여 해당 DLNA 네트워크의 미지털 미디어 서버(DMS : Digital Media Server)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DMS는 컨텐츠를 저장 및 제공한다.
단, 단말기 유저는 무선 공유기가 허용하는 무선 반경 내에 위치하여야 해당 DLNA 네트워크의 DMS를 찾을 수 있고, 이에 접속할 수 있다. 즉, 해당 무선 공유기의 무선 반경 밖에 위치하는 단말기 유저는 상기 무선 공유기를 찾을 수 없어 해당 DLNA 네트워크의 DMS에 접속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웹상의 불특정 단말기 유저들이 지리적 한계 없이 해당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당 DLNA 네트워크의 DMS를 검색할 수 없는 곳에 위치하는 단말기 유저에게 상기 DLNA 네트워크의 DMS의 존재를 웹상에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 DLNA 네트워크의 DMS 주소를 웹상에 게시하여 불특정 단말기 유저들이 상기 DMS 주소로 용이하게 접속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 DLNA 네트워크의 정보, 예컨대, 위치 정보, DMS 정보, 컨텐츠 정보 및 상기 DLNA 네트워크에 대한 불특정 유저들의 의견(이하, 소셜 정보)을 연계하여 웹상에서 검색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견지로서, 본 발명은 DLNA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는 곳에서 참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웹서버로 상기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웹상의 불특정 이동 단말기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상기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견지로서, 본 발명은 DLNA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는 곳에서 참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포함하는 게시물을 웹서버로 업로드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게시물에 대하여 웹상의 불특정 이동 단말기들이 입력한 의견을 다루는 소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게시물과 상기 소셜 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DLNA 네트워크 공유 시스템은 해당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웹상에서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의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이동 단말기 또는 웹서버의 저장소에 해당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도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공유 시스템의 통신 흐름도;
도 5는 웹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DLNA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411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웹상의 불특정 단말기에서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DMS를 검색하는 화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공유 시스템의 통신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웹상의 불특정 단말기 유저들이 지리적 한계 없이 해당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당 DLNA 네트워크의 DMS의 존재를 웹상에 공유한다. 일 예로, 해당 DLNA 네트워크의 DMS 주소는 웹상에 게시되고, 불특정 단말기 유저들이 상기 DMS 주소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게다가, 해당 DLNA 네트워크의 정보, 예컨대, 위치 정보, DMS 정보, 컨텐츠 정보 및 상기 DLNA 네트워크에 대한 불특정 유저들의 의견(이하, 소셜 정보)은 웹상에 연계되어 갱신 저장되고, 웹상에서 상기 DLNA 네트워크에 대한 검색을 폭넓게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의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트의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상호 간에 무선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110)와 웹서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DLNA 네트워크의 무선 AP(Access Point)를 검색한다. 검색된 무선 AP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무선 반경 내에 위치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검색된 무선 AP들은 접근을 허용하는 것과 그러지 않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접근을 허용하는 AP를 경유하여 DLNA 네트워크에 참가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10) 및 DLNA 네트워크의 기기들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통하여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할당받아 통신한다. 이러한 DLNA 네트워크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 : Digital Media Server),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 Digital Media Player),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 : Digital Media Renderer) 및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DMC : Digital Media Control)을 포함하다. 상기 DMS는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고 연계된 단말들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DMP는 상기 DMS 또는 DMS 탑재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상기 DMC는 상기 DMS 탑재 단말기에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한다. 상기 DMR은 상기 DMC를 제어하여 상기 DMS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예컨대, 상기 DLNA 네트워크의 상용화된 기기는 STB, TV, PC, 모바일폰, 프린터, 스피커, 오디오 등 다양하다. 상기 DMP는 상기 DMR 및 DMC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 DNLA 네트워크는 다수의 DMS들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개방된, 즉, 접근을 허용하는 DMS와 통신할 수 있다. 각 DNLA 네트워크에서 대표로 도시된 하나의 DMS(DMS A, DMS B, DMS C 및 DMS D)는 접근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된 DMS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DLNA B 네트워크(131)의 무선 반경에 위치하므로 상기 네트워크(131)의 DMS B(132)를 검색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DLNA C 네트워크(141)의 무선 반경에 위치하므로 상기 네트워크(141)의 DMS C(142)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10)가 상기 DLNA B 네트워크(131)의 무선 반경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DMS B(132)를 검색하지 못하므로 상기 DMS B(132)를 접속 대상으로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상기 이동 단말기(110)가 상기 DLNA C 네트워크(141)의 무선 반경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DMS C(142)를 검색하지 못하므로 상기 DMS C(142)를 접속 대상으로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검색된 상기 DMS B(132)와 DMS C(142)를 접속 대상으로 결정하고 접속할 수 있다.
상기 각 DLNA 네트워크들은 IP(Internet Procotol)를 기반으로 무선 공유기를 통하여 웹(web) 상의 여러 기기와 투명하게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현 위치에서 참가하고 있는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상기 웹서버(120)로 전송한다. 상기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는 위치 정보, DMS 정보,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이동 단말기 또는 웹서버의 저장소에 해당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도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10) 또는 웹서버(120)는 DLNA 네트워크의 위치 정보, DMS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웹서버(120)는 DMS 및 컨텐츠에 대한 웹상의 사용자들의 의견(예컨대, 댓글, 평점)(이하, 소셜 정보)을 상기 DLNA 네트워크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거리명, 셀 ID 측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포함한다. 상기 DMS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와 연계하고 IP 주소, AP 주소 등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DMS 정보와 연계하고 컨텐츠 목록, 컨텐츠명, 상세 설명 등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소셜 정보는 상기 DMS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정보와 연계하고 소셜 사이트 타입, 댓글, 평점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 정보들은 고유 ID가 부여되어 관리되어져 상호 연계한다. 따라서, 웹상의 불특정 단말기들(130)의 유저들은 해당 DLNA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검색을 폭넓게 검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웹서버(120)는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DMS를 상기 정보들을 참조하여 지도상에 제시할 수 있다. 타 이동 단말기로부터 해당 DLNA 네트워크에 대하여 변경된 정보가 업로드 되면, 상기 웹서버(120)는 이를 갱신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 공유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110) 사용자에게 상기 웹서버(120)로 게시물을 게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기 웹서버(120)는 이러한 게시물을 등재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구축한다. 상기 게시물은 해당 DLNA 네트워크를 소개하는 것으로서 상기 DLNA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담는다.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게시물 등록이 요청된 후 게시물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게시물에 대한 ID(identification number)를 부여하고 상기 게시물에 대한 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게시판에 등재한다.
일 예로, 상기 게시물은 상기 DMS 또는 컨텐츠에 대한 HTTP 기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알리는 것을 내용으로 소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DMS에 대한 URL 주소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웹서버(120)로 상기 DMS의 물리적 주소를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물리적 주소에 매핑된 URL 주소(또는, IP 주소)를 할당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특히,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게시물과 상기 DLNA 네트워크 정보 및 소셜 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한다. 상기 웹서버(120)는 불특정 단말기들(130)의 유저들에게 상기 게시물에 대한 댓글, 평점 등의 상기 소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소셜 정보는 상기 게시물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또는 만족도를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더욱이, 상기 소셜 정보는 해당 DLAN 네트워크에 대한 선호도 또는 만족도를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DLNA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웹 사이트, 예컨대, SNS(Social Networking Site)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한다. 본 발명의 DLNA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HTML 페이지,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등의 접근 서비스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10)와 웹서버(120)와의 소통을 이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111)와,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112)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13)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 정보 수신부(114),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5) 및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1)는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된 버튼을 구성하고, 이 버튼을 통해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15)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상기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저장부(113)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14)는 공지된 GPS(Global Positionin System) 정보, 셀 ID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5)롤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15)는 이러한 정보로부터 측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현재 위치에서 접속가능한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상기 웹서버(120)로 제공한다.
상기 웹서버(12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1)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2) 및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이동 단말기(110)와 소통하여 해당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공유 시스템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접속 가능한 해당 DLNA 네트워크의 AP를 검색한다(401 단계). AP가 검색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검색된 AP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403 단계)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참가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DMS를 검색한다(405 단계). 접속을 허용하는 DMS가 검색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집한다(407 단계). 상기 DLNA 네트워크 정보는 위치 정보, DMS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지역, 거리 등을 가리키며,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직접 획득하거나 상기 DLNA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접속을 허용하는 DMS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401 단계 이하를 다시 수행하여, 다른 DLNA 네트워크 참여를 시도한다.
다음,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수집한 DLNA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웹서버(120)로 전송한다(409 단계).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DLNA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한다(411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있는 가운데, 상기 DLNA 네트워크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DLNA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면 이를 상기 웹서버(120)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120)는 이를 갱신 저장한다.
도 5는 웹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DLNA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411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웹서버(120)는 수신한 DLNA 네트워크 정보가 제1웹사이트에 이미 존재하는지 확인한다(413-1 단계). 수신한 DLNA 네트워크 정보가 제1웹사이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수신한 DLNA 네트워크 정보를 제2웹사이트에 등록한다(411-3 단계). 반면, 수신한 DLNA 네트워크 정보가 제1웹사이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수신한 DLNA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1웹사이트에 등록한다(411-5 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웹상의 불특정 단말기에서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DMS를 검색하는 화면을 보여준다.
웹상의 불특정 단말기는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DMS 검색을 요청한다.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웹서버(120)에 저장된 DLNA 네트워크 정보들을 참조하여, 검색 지역을 지도로 보여주고 지도상에 위치하는 DMS들을 알려준다. 상기 웹사이트는 각 DMS에 대한 주소, 컨텐츠 등에 정보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웹서버(120)에 저장된 DLNA 네트워크 정보들과 연계하는 소셜 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DMS에 대한 소셜 정보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 공유 시스템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해당 DMS 또는 컨텐츠를 링크하는 URL 주소를 담은 게시물을 상기 웹서버(120)로 업로드한다(701 단계).
상기 웹서버(120)는 업로드된 상기 게시물과 관계하는 기 저장된 DLNA 네트워크 정보를 연계시킨다(703 단계).
상기 게시물에 대한 소셜 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소셜 정보와 상기 연계된 DLNA 네트워크 정보와 게시물을 연계하여 저장한다(705 단계).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소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DLNA 네트워크 및 게시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신뢰도 등의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웹사이트는 해당 게시물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매긴 평가 점수들의 평균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게시물 및 이와 연계하는 DLNA 네트워크의 만족도 또는 신뢰도 점수를 가산한다. 해당 DLNA 네트워크의 만족도 또는 신뢰도 점수는 해당 DMS 또는 컨텐츠의 만족도 또는 신뢰도 점수와 일맥상통한다.
게다가, 상기 웹서버(120)는 새로운 게시물이 등재되면, 이 게시물과 유사한 것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상기 새로운 게시물은 해당 DLNA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상기 웹서버(120)는 상기 새로운 게시물과 유사 내용을 담은 게시물을 검색할 수 있다. 새로운 게시물과 유사한 게시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웹서버(120)는 해당 DLNA 네트워크에 대한 만족도 또는 신뢰도의 점수를 증가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7)

  1.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 및 웹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상기 DLNA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DLNA 네트워크가 형성된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상기 DLNA 네트워크에 포함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DMS(Digital Media Server)에 관한 DMA 정보, 및 상기 DMS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컨텐츠에 관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 상기 DMS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서로 연계시켜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이동 단말기가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검색을 요청할 때,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DMS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DMS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는 지도와 함께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는 상기 DLNA 네트워크의 DMS의 위치를 제시하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소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셜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는 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소셜 정보를 기초로 상기 DLNA 네트워크에 대한 만족도 지표 또는 신뢰도 지표를 생성하는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MS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관한 위치 정보 ID(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 ID를 상기 DMS 정보에 포함시키는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웹 서버는,
    상기 DMS 정보에 관한 DMS 정보 ID를 생성하고, 상기 DMS 정보 ID를 상기 컨텐츠 정보에 포함시키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관한 소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관한 컨텐츠 정보 ID를 생성하며,
    상기 컨텐츠 정보 ID를 상기 소셜 정보에 포함시키는 시스템.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Cell ID 정보 또는 GPS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MS 정보는,
    IP address 및 AP address를 포함하는 시스템.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명 및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정보는,
    쇼셜 사이트 타입, 댓글 또는 평점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10099822A 2011-09-30 2011-09-30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KR10179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822A KR101796975B1 (ko) 2011-09-30 2011-09-30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US13/627,340 US9112904B2 (en) 2011-09-30 2012-09-26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LNA network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822A KR101796975B1 (ko) 2011-09-30 2011-09-30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244A KR20130049244A (ko) 2013-05-14
KR101796975B1 true KR101796975B1 (ko) 2017-11-14

Family

ID=4799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822A KR101796975B1 (ko) 2011-09-30 2011-09-30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12904B2 (ko)
KR (1) KR101796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5390B (zh) * 2013-02-20 2016-10-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控制電子設備的方法與電子裝置
CN103825890A (zh) 2014-02-19 2014-05-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基于dlna实现云端流媒体文件分享的方法
EP3139563B1 (en) * 2014-05-29 2020-0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dia content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054A (ja) * 2003-05-22 2004-12-09 Casio Comput Co Ltd 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7264B2 (ja) 2001-05-23 2011-06-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広告固定装置
KR100733962B1 (ko) 2005-11-07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11734A1 (en) 2006-03-10 2007-09-13 Kuo-Long Yang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ateway having integrated website server for remote access and method thereof
KR100789425B1 (ko) * 2006-04-10 200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KR100744473B1 (ko) 2006-05-08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의 dms에서 디바이스 들의 rs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12331B1 (ko) * 2006-05-09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7729366B2 (en) * 2007-10-03 2010-06-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network mobil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510878B1 (ko) 2008-01-04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의 dlna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90287802A1 (en) * 2008-05-19 2009-11-19 Nokia Corporation UPnP/DLNA device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953566B2 (en) * 2008-12-29 2015-02-10 Airvana Lp Providing a cellular network with connectivity to a different network
KR101509287B1 (ko) * 2009-02-20 2015-04-14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원격 소스로부터의 dlna 데이터 분배
US8078665B2 (en) 2009-05-04 2011-12-13 Comcast Cable Holdings, Llc Sharing media content based on a media server
EP2486700B1 (en) * 2009-10-06 2019-0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external network-media on a local network-ue using an external network-connected ue
JP2011118470A (ja) * 2009-11-30 2011-06-16 Toshiba Corp 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ル方法
US8494566B2 (en) * 2010-06-01 2013-07-23 Microsoft Corporation Hybrid mobile phone geopositioning
US20120151006A1 (en) * 2010-12-13 2012-06-14 Motorola Mobility, Inc. Content sharing between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and a wide area network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054A (ja) * 2003-05-22 2004-12-09 Casio Comput Co Ltd 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2904B2 (en) 2015-08-18
US20130086168A1 (en) 2013-04-04
KR20130049244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7465B2 (ja) Cpns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パーソナルネットワークを確立する装置及び方法
US97746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multimedia resource and display terminal
US999273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formation push service based on wireless LAN access point
CN101785255B (zh) 用于网络设备的数据流控制
EP25834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personal network using pn routing table
KR101669672B1 (ko)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70039262A (ko) 사물 인터넷(iot)에서의 디바이스 로케이션 등록을 위한 서버
US20090046677A1 (en) Portable cellular enhancer
KR101701158B1 (ko) 홈 네트워크의 장치에 대한 원격 접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000369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me contents
US20240064194A1 (en) Enhanced m2m content management based on interest
KR101531532B1 (ko) 원격 접속에 기초해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8080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컨텍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66270B1 (ko)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960A (ko) 스마트 홈 기반의 네트워킹 디바이스 연동장치 및 그 방법
KR101796975B1 (ko)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KR20170063423A (ko) 멀티미디어 공유 방법, 등록 방법, 서버 및 프록시 서버
KR20130028316A (ko) 홈 네트워크의 단말에 대한 원격 접속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21093B1 (ko)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107475A (ko) 단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단말 및 방법
KR20090047273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5394704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CN104854930A (zh) 用于允许与新检测到的装置进行通信的方法、控制节点、网关和计算机程序
US201500670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networking in a multi-screen environment
KR102095563B1 (ko) Mac 주소를 이용하는 이더넷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