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047B1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047B1
KR101383047B1 KR1020120012498A KR20120012498A KR101383047B1 KR 101383047 B1 KR101383047 B1 KR 101383047B1 KR 1020120012498 A KR1020120012498 A KR 1020120012498A KR 20120012498 A KR20120012498 A KR 20120012498A KR 101383047 B1 KR101383047 B1 KR 10138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ata
network
data
transmission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173A (ko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0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04L45/245Link aggregation, e.g. tru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2Multiprotocol routers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 간의 불필요한 정보 교환을 최소화하면서 수신측 장치가 신뢰도 높은 정보를 기초로 즉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송신측 장치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반영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과,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수신측 장치에서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송신측 장치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 간의 불필요한 정보 교환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되는 각 네트워크의 상태에 근거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반영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수신측 장치에서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송신측 장치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 간의 불필요한 정보 교환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되는 각 네트워크의 상태에 근거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반영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하는 부분데이터추출부;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하는 송신시간확인부;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측정부;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획득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기 설정된 상기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는, 상기 송신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확인되는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전송지연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계산된 상기 전송지연차이값 중 이웃하는 전송지연차이값 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중,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특정 제외시간구간에 속하는 제1조건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보다 큰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부분데이터세트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제외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장치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선택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하는 정보삽입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통신부; 및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장치에서 확인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획득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부분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하는 부분데이터 추출단계;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하는 송신시간 확인단계;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 측정단계;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획득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기 설정된 상기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는, 상기 송신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확인되는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전송지연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계산된 상기 전송지연차이값 중 이웃하는 전송지연차이값 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중,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특정 제외시간구간에 속하는 제1조건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보다 큰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부분데이터세트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제외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방법은,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 선택단계;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단계;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부분데이터 송신단계; 및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장치에서 확인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획득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는 전송비율 조정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과,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 간의 불필요한 정보 교환을 최소화하면서 수신측 장치가 신뢰도 높은 정보를 기초로 즉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송신측 장치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반영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400)과,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2 이상의 네트워크 즉 이기종의 네트워크는,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측의 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측의 장치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 과정을 기반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 위치하여 단말장치(100)에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를 상정하여 설명하고, 관리장치(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는,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의 상태(예 : 혼잡 정도)에 따라 부분데이터를 어떤 전송비율을 가지고 각 네트워크로 전송할 지에 대한 데이터 전송비율을 최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 간의 불필요한 정보 교환을 최소화하면서 수신측 장치가 신뢰도 높은 정보를 기초로 즉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송신측 장치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반영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송신측 장치 즉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기 설정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
다시 말해, 관리장치(4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것이다.
이때, 관리장치(40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고,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해당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제1네트워크(예 : 3G)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3G)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중 이웃하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제1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제2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제2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중 이웃하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관리장치(400)는, 부분데이터 패킷1,2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패킷 3,4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5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패킷 6,7을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8,9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관리장치(4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즉 부분데이터 패킷 1,2,5,8,9 중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와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부분데이터 패킷1,2,8,9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데이터 패킷1,2는 3G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되고, 부분데이터 패킷 8,9는 3G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된다.
물론, 관리장치(4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즉 부분데이터 패킷 3,4,6,7 중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3,4와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6,7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부분데이터 패킷3,4,6,7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데이터 패킷 3,4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되고, 부분데이터 패킷 6,7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된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 즉 전술과 같이 송신시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들이 포함된 부분데이터들을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로 전송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수신측 장치 즉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로서의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정상적으로 재정렬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부분데이터에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삽입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예에 따른다면,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와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를 추출할 수 있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3,4와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6,7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추출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추출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각 부분데이터세트 내 각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를 통해 부분데이터 패킷1 및 부분데이터 패킷2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를 확인할 수 있고, 부분데이터 패킷8 및 부분데이터 패킷9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추출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추출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각 부분데이터세트 내 각 부분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수신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부분데이터 패킷1 및 부분데이터 패킷2 간의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를 얻을 수 있고, 부분데이터 패킷8 및 부분데이터 패킷9 간의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에 대응하여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해당되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에 대하여 전술과 같이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을 기초로, 해당되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를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 별로 전술과 같이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을 기초로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지연차이값(gap_i)은 다음의 수식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수식1.
gap_i = 1 - [(y_i) - (x_i)] / (x_i)
이에,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예 :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 및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 등)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예 :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 및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 등)에 대응하여 계산된 전송지연차이값(gap_i) 중 이웃하는 전송지연차이값 간의 차이값(delta_i)을 기초로, 해당되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식2 및 수식3을 통해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식2.
delta_i = gap_i - gap_(i-1)
수식3.
Sum_N = Σ delta_i
이에,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전술의 수식1을 통해 각 부분데이터세트(예 :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 및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 등)에 대응하여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한 후, 수식2와 같이, 이웃하는 전송지연값 간의 즉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과 이웃하는 직전의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1)) 간의 차이값(delta_i)을 계산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이처럼 계산되는 N개의 차이값(delta_i)을 합하여 수식3을 통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Sum_N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하여 계산한 Sum_N을 이용하여 3G 네트워크에 대한 혼잡 정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Sum_N이 음수의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전송지연차이값(gap_i)이 감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음수 값의 Sum_N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단말장치(100)는, Sum_N의 음수 절대값이 클수록 혼잡 정도가 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역시 전술의 수식1, 수식2, 수식3을 반영한 과정을 통해 WiFi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임의의 구간에 반복적으로 추출 및 계산되는 3G 네트워크의 Sum_N가 양수, WiFi 네트워크의 Sum_N가 음수를 갖는 경우, 양수를 갖는 3G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3G 네트워크로의 전송비율을 증가 시키도록 유도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음수를 갖는 WiFi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로의 전송비율을 저감 시키도록 유도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획득할 것이다.
여기서,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Sum_N을 기초로 생성/획득되는 각 접속 네트워크 별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어떤 비율로 조정할지에 대한 조정정책이, 단말장치(100) 및/또는 관리장치(400)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획득한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 즉 관리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하여 관리장치(400)에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조정 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를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을 결정하고, 결정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로 관리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정 요청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다운링크를 기준으로 관리장치(400)가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시 전송 서비스는, 업링크 시 단말장치(100)가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관리장치(400)로 전송하고 관리장치(400)가 부분데이터를 재정렬/결합하므로, 다운링크 시 수신장치로서 단말장치(100)가 수행한 전술의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 및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조정 유도 동작 등을 업링크 시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가 수행하고, 다운링크 시 송신장치로서 관리장치(400)가 수행하는 전술의 송신시간정보 삽입 및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조정 등을 업링크 시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가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즉 송신측 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를 기준으로 관리장치(400)의 참조번호를 언급하고 단말장치(100)의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수신장치(100)를 언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즉 송신측 장치(400)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선택부(420)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하는 정보삽입부(430)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통신부(440)와,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에서 확인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획득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는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부분데이터선택부(420)는, 기 설정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
즉, 부분데이터선택부(420)는, 수신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정보삽입부(43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한다. 여기서,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고,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정보삽입부(43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제1네트워크(예 : 3G)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삽입부(430)는, 제1네트워크(예 : 3G)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중 이웃하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제1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정보삽입부(43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제2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삽입부(430)는, 제2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중 이웃하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부분데이터선택부(420)에서, 부분데이터 패킷1,2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패킷 3,4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5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패킷 6,7을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8,9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정보삽입부(43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즉 부분데이터 패킷 1,2,5,8,9 중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와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삽입부(430)는, 부분데이터 패킷1,2,8,9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물론, 정보삽입부(43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즉 부분데이터 패킷 3,4,6,7 중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3,4와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6,7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삽입부(430)는, 부분데이터 패킷3,4,6,7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통신부(44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며,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통신부(44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 즉 전술과 같이 송신시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들이 포함된 부분데이터들을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전송한다.
즉, 통신부(44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다수의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다수의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300)에 전송함으로써,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450)는, 통신부(440)에서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에서 확인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획득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에 따라, 전술의 부분데이터선택부(420)가 이용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전술과 같이 수신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송신측 장치(400)로 제공하여 송신측 장치(400)에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조정 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50)는, 수신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를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수신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을 결정하고, 결정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로 송신측 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50)는, 수신장치(100)로부터 조정 요청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즉 수신측 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를 기준으로 단말장치(100)의 참조번호를 언급하고 관리장치(400)의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송신장치(400)를 언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즉 수신측 장치(100)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하는 부분데이터추출부(120)와,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하는 송신시간확인부(130)와,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측정부(140)와,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며,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이에 통신부(11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부분데이터추출부(12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부분데이터추출부(12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삽입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예에 따른다면, 부분데이터추출부(12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와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를 추출할 수 있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3,4와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6,7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패킷1,2은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되며, 부분데이터 패킷8,9은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되며,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패킷3,4는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되면, 부분데이터 패킷6,7은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된다.
송신시간확인부(130)는, 부분데이터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한다.
즉, 송신시간확인부(13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추출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각 부분데이터세트 내 각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를 통해 부분데이터 패킷1 및 부분데이터 패킷2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를 확인할 수 있고, 부분데이터 패킷8 및 부분데이터 패킷9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시간측정부(140)는, 부분데이터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한다.
즉, 수신시간측정부(14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추출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각 부분데이터세트 내 각 부분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수신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부분데이터 패킷1 및 부분데이터 패킷2 간의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를 얻을 수 있고, 부분데이터 패킷8 및 부분데이터 패킷9 간의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에 대응하여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해당되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즉, 제어부(15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에 대하여 전술과 같이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을 기초로, 해당되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를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 별로 전술과 같이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을 기초로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지연차이값(gap_i)은 전술의 수식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예 :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 및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 등)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중,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특정 제외시간구간에 속하는 제1조건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보다 큰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부분데이터세트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5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전술과 같이 각 부분데이터세트 별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하기에 앞서,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세트 중 확인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이 특정 제외시간구간에 속하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부분데이터세트에 대해서,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전송지연차이값(gap_i) 계산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전술과 같이 각 부분데이터세트 별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하기에 앞서,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세트 중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이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 보다 큰 제2조건을 특정 부분데이터세트에 대해서,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전송지연차이값(gap_i) 계산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조건 및/또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 부분데이터세트를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제외시킴으로써, 최종으로 획득되는 네트워크상태정보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50)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에 대응하여 계산된 전송지연차이값(gap_i) 중 이웃하는 전송지연차이값 간의 차이값(delta_i)을 기초로, 해당되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의 수식2 및 수식3을 통해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전술의 수식1을 통해 각 부분데이터세트(예 :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 및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 등)에 대응하여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한 후, 수식2와 같이, 이웃하는 전송지연값 간의 즉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과 이웃하는 직전의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1)) 간의 차이값(delta_i)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처럼 계산되는 N개의 차이값(delta_i)을 합하여 수식3을 통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Sum_N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3G 네트워크에 대하여 계산한 Sum_N을 이용하여 3G 네트워크에 대한 혼잡 정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Sum_N이 음수의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전송지연차이값(gap_i)이 감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음수 값의 Sum_N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150)는, Sum_N의 음수 절대값이 클수록 혼잡 정도가 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5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역시 전술의 수식1, 수식2, 수식3을 반영한 과정을 통해 WiFi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임의의 구간에 추출, 계산된 3G 네트워크의 Sum_N가 양수, WiFi 네트워크의 Sum_N가 음수를 갖는 경우, 양수를 갖는 3G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3G 네트워크로의 전송비율을 증가 시키도록 유도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음수를 갖는 WiFi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로의 전송비율을 저감 시키도록 유도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획득할 것이다.
여기서,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Sum_N을 기초로 생성/획득되는 각 접속 네트워크 별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어떤 비율로 조정할지에 대한 조정정책이, 수신측 장치(100) 및/또는 송신측 장치(400)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어부(150)는, 전술과 같이 획득한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송신측 장치(400)로 제공하여 송신측 장치(400)에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조정 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송신측 장치(400)는, 수신측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를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을 결정하고, 결정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로 송신측 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송신측 장치(400)는, 수신측 장치(100)로부터 조정 요청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 간의 불필요한 정보 교환을 최소화하면서 수신측 장치가 신뢰도 높은 정보를 기초로 즉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송신측 장치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반영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송신측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S20).
이때, 관리장치(40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S25). 여기서,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고,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해당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제1네트워크(예 : 3G)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3G)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중 이웃하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제1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제2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제2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중 이웃하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로 전송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S30),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40).
이에 본 발명의 수신측 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정상적으로 재정렬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부분데이터에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한다(S50). 즉,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삽입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추출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하고, 추출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한다(S60).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해당되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한다(S70).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획득한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 즉 관리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한다(S80).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하여 관리장치(400)에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조정 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를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조정할 수 있다(S90).
또는,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을 결정하고, 결정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로 관리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정 요청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조정할 수 있다(S9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기 설정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S110).
즉,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수신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한다(S120). 여기서, 특정 접속 네트워크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고,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제1네트워크(예 : 3G)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제1네트워크(예 : 3G)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중 이웃하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제1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중 제2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제2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중 이웃하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부분데이터 패킷1,2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패킷 3,4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5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패킷 6,7을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8,9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즉 부분데이터 패킷 1,2,5,8,9 중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와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부분데이터 패킷1,2,8,9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부분데이터 즉 부분데이터 패킷 3,4,6,7 중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3,4와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6,7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부분데이터 패킷3,4,6,7 각각에 해당 부분데이터 패킷이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전송되는 것으로 선택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 즉 전술과 같이 송신시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들이 포함된 부분데이터들을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전송한다(S130).
즉,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다수의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다수의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300)에 전송함으로써,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에서 확인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획득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S140,S150).
즉 전술과 같이 수신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송신측 장치(400)로 제공하여 송신측 장치(400)에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조정 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수신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S140)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를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조정할 수 있다(S150).
또는, 수신장치(10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을 결정하고, 결정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로 송신측 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수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조정 요청에 기초하여(S140), 조정 요청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조정할 수 있다(S15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200).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한다(S210).
즉,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삽입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예에 따른다면,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이웃하는 순서정보를 갖는 부분데이터 패킷 쌍, 즉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와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를 추출할 수 있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3,4와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6,7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패킷1,2은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되며, 부분데이터 패킷8,9은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되며,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패킷3,4는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되면, 부분데이터 패킷6,7은 하나의 부분데이터세트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한다(S220).
즉,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추출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각 부분데이터세트 내 각 부분데이터 패킷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를 통해 부분데이터 패킷1 및 부분데이터 패킷2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를 확인할 수 있고, 부분데이터 패킷8 및 부분데이터 패킷9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한다(S220).
즉,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추출된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으로 구성되는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각 부분데이터세트 내 각 부분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수신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부분데이터 패킷1 및 부분데이터 패킷2 간의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를 얻을 수 있고, 부분데이터 패킷8 및 부분데이터 패킷9 간의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한다(S240).
즉,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에 대하여 전술과 같이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을 기초로, 해당되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를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 별로 전술과 같이 확인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 및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을 기초로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지연차이값(gap_i)은 전술의 수식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부분데이터세트(예 :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 및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 등)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S240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중,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특정 제외시간구간에 속하는 제1조건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보다 큰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부분데이터세트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전술과 같이 각 부분데이터세트 별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하기에 앞서,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세트 중 확인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이 특정 제외시간구간에 속하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부분데이터세트에 대해서,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전송지연차이값(gap_i) 계산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전술과 같이 각 부분데이터세트 별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하기에 앞서,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세트 중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_i)이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_i) 보다 큰 제2조건을 특정 부분데이터세트에 대해서,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전송지연차이값(gap_i) 계산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조건 및/또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 부분데이터세트를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제외시킴으로써, 최종으로 획득되는 네트워크상태정보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각 부분데이터세트에 대응하여 계산된 전송지연차이값(gap_i) 중 이웃하는 전송지연차이값 간의 차이값(delta_i)을 기초로, 해당되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의 수식2 및 수식3을 통해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전술의 수식1을 통해 각 부분데이터세트(예 :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 및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 등)에 대응하여 전송지연차이값(gap_i)를 계산한 후, 수식2와 같이, 이웃하는 전송지연값 간의 즉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8,9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과 이웃하는 직전의 2 개의 부분데이터 패킷1,2에 대한 전송지연차이값(gap_(i-1)) 간의 차이값(delta_i)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이처럼 계산되는 N개의 차이값(delta_i)을 합하여 수식3을 통해 3G 네트워크에 대한 Sum_N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3G 네트워크에 대하여 계산한 Sum_N을 이용하여 3G 네트워크에 대한 혼잡 정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Sum_N이 음수의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전송지연차이값(gap_i)이 감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음수 값의 Sum_N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Sum_N의 음수 절대값이 클수록 혼잡 정도가 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역시 전술의 수식1, 수식2, 수식3을 반영한 과정을 통해 WiFi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임의의 구간에 추출, 계산된 3G 네트워크의 Sum_N가 양수, WiFi 네트워크의 Sum_N가 음수를 갖는 경우, 양수를 갖는 3G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3G 네트워크로의 전송비율을 증가 시키도록 유도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음수를 갖는 WiFi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혼잡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WiFi 네트워크로의 전송비율을 저감 시키도록 유도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획득할 것이다.
여기서,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Sum_N을 기초로 생성/획득되는 각 접속 네트워크 별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어떤 비율로 조정할지에 대한 조정정책이, 수신측 장치(100) 및/또는 송신측 장치(400)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전술과 같이 획득한 특정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한다(S250).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송신측 장치(400)로 제공하여 송신측 장치(400)에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조정 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송신측 장치(400)는, 수신측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를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조정정책에 따른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을 결정하고, 결정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로 송신측 장치(400)에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송신측 장치(400)는, 수신측 장치(100)로부터 조정 요청되는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4:3)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 및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 간의 불필요한 정보 교환을 최소화하면서 수신측 장치가 신뢰도 높은 정보를 기초로 즉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송신측 장치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반영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과,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 간의 불필요한 정보 교환을 최소화하면서 수신측 장치가 신뢰도 높은 정보를 기초로 즉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송신측 장치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단말장치
110 : 통신부 120 : 부분데이터추출부
130 : 송신시간확인부 140 : 수신시간측정부
150 : 제어부

Claims (10)

  1.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장치로부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에서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하는 부분데이터추출부;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하는 송신시간확인부;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측정부;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전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획득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기 설정된 상기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전송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는,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전송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확인되는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전송지연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계산된 상기 전송지연차이값 중 이웃하는 전송지연차이값 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전송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중,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특정 제외시간구간에 속하는 제1조건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보다 큰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부분데이터세트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전송 수신 장치.
  6.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선택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송신시간정보를 삽입하는 정보삽입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통신부; 및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장치에서 확인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시간을 기초로 측정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전송 송신 장치.
  7.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부분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중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에서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된 송신시간정보가 인지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추출하는 부분데이터 추출단계;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서 인지되는 각 송신시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확인하는 송신시간 확인단계;
    추출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 측정단계;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획득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기 설정된 상기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확인되는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전송지연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각각에 대응하여 계산된 상기 전송지연차이값 중 이웃하는 전송지연차이값 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며 서로 이웃하는 부분데이터로 구성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세트 중,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특정 제외시간구간에 속하는 제1조건 및 확인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이 측정된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보다 큰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부분데이터세트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상태정보 획득에 이용되지 않도록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동작 방법.
KR1020120012498A 2012-02-07 2012-02-07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38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98A KR101383047B1 (ko) 2012-02-07 2012-02-07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98A KR101383047B1 (ko) 2012-02-07 2012-02-07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173A KR20130091173A (ko) 2013-08-16
KR101383047B1 true KR101383047B1 (ko) 2014-04-08

Family

ID=4921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498A KR101383047B1 (ko) 2012-02-07 2012-02-07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0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981B1 (ko) 2014-05-20 2015-09-18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복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라이브 스트림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483A (ko) * 1999-11-12 2001-06-15 이계철 패킷서비스를 위한 이동성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68797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통신 처리 시스템 시험을 위한 호 접속방법
KR20090055833A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483A (ko) * 1999-11-12 2001-06-15 이계철 패킷서비스를 위한 이동성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68797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통신 처리 시스템 시험을 위한 호 접속방법
KR20090055833A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981B1 (ko) 2014-05-20 2015-09-18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복수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라이브 스트림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173A (ko)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64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CA2738103C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30030001A (ko) 2 차 셀 빔 복구
KR20090042744A (ko) 무선 제어 장치,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시스템, 호 접수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140310381A1 (e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over multiple networks, and apparatus therefor
RU2725174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896731B1 (ko) 사용자 장치 측정값 정보를 피어 투 피어 방식으로교환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JP6055556B2 (ja) CoMPユーザ確定方法及び装置
CN106792895B (zh) 一种确定数据包大小的方法及设备
KR10138304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2398433B1 (ko) 전송 지연의 측정
US10616403B2 (en) Voice quality assessment method and apparatus
Khan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in clustered LTE networks
KR10120703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857565B1 (ko)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CN103442406B (zh) 一种接入控制方法及装置
KR10149254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73757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096478A (ja) 基地局、オフセット値算出方法、及び接続セル決定方法
KR10157429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3501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32803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40759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501308B1 (ko) 데이터 분석 기반 오류 예측 및 네트워크 재구성 방법과 장치
KR101370602B1 (ko)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