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030B1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030B1
KR101328030B1 KR1020120004455A KR20120004455A KR101328030B1 KR 101328030 B1 KR101328030 B1 KR 101328030B1 KR 1020120004455 A KR1020120004455 A KR 1020120004455A KR 20120004455 A KR20120004455 A KR 20120004455A KR 101328030 B1 KR101328030 B1 KR 10132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partial data
early
tim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689A (ko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04L45/245Link aggregation, e.g. tru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을 미연에 방지하고, 더 나아가 혼잡윈도우 크기를 빠르게 증가시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은, 특정 전송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수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송장치가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을 미연에 방지하고 더 나아가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각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수신 응답(Ack)이 미수신된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면 관리장치가 자체 생성한 수신 응답을 먼저 전송장치 측에 제공하여 전송장치로 빠른 수신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을 미연에 방지하고, 더 나아가 혼잡윈도우 크기를 빠르게 증가시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는, 특정 전송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기응답발생판단부; 및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송장치가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상기 조기 수신 응답을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한 이후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부분데이터의 미 수신을 알리는 미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상기 미수신 응답을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응답시간은, 상기 재전송타임아웃시간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응답시간은,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측정되는 패킷왕복시간에 근거한 특정 패킷왕복시간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의 전송지연시간을 기초로 계산되는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 간의 차이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특정 전송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부분데이터 전송단계;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기응답발생 판단단계; 및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송장치가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제한하는 조기수신응답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상기 조기 수신 응답을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한 이후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부분데이터의 미 수신을 알리는 미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상기 미수신 응답을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는 수신응답 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잇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응답시간은, 상기 재전송타임아웃시간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응답시간은,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측정되는 패킷왕복시간에 근거한 특정 패킷왕복시간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의 전송지연시간을 기초로 계산되는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 간의 차이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각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수신 응답(Ack)이 미수신된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면 관리장치가 자체 생성한 수신 응답을 먼저 전송장치 측에 제공하여 전송장치로 빠른 수신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을 미연에 방지하고, 더 나아가 혼잡윈도우 크기를 빠르게 증가시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전송 서비스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전송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400)과,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2 이상의 네트워크 즉 이기종의 네트워크는,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와,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사용하여 전송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즉,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전송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 위치하여 단말장치(100)에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를 상정하여 설명하고, 상기 관리장치(4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는,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단말장치(100) 측에서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들을 분실/손실 없이 모두 수신하여 분할순서에 맞게 재정렬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헌데, 각 네트워크 간 망 품질(Throughput, delay, loss 등)이 상호 상이할 뿐 아니라 실시간으로 각 네트워크의 망 상태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각 네트워크의 전송지연(latency) 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사용하여 각 부분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더라도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latency) 차이로 인해 단말장치(100)에서 실제 각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의 수신시점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유실되지 않고 전송지연으로 인해 수신이 늦어지는 경우에도 TCP 재전송 규칙에 따라 불필요하게 부분데이터 패킷을 다시 재전송하게 되어 전반적인 TCP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즉, TCP 재전송 규칙에 따르면, 데이터(부분데이터 패킷)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로부터 미수신 응답(Dup Ack)이 특정 횟수(예 : 3회) 수신됨에 따라 해당 데이터(부분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미수신 응답 기반 재전송 동작과, 데이터(부분데이터 패킷)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RTO: Retransmission Time-Out)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당 데이터(부분데이터 패킷)를 재전송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이 일반적이다.
특히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에 의해 필요없는 재전송이 발생하면, 기존의 TCP는 망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 속도를 인위적으로 낮추므로 TCP 성능 저하를 피할 수가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 특히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을 미연에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400)는, 특정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관리장치(400)에서 전송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전송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여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들에 포함된 식별정보(예 : 가상IP)를 토대로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됨을 나타내는 동일 식별정보(예 : 가상IP)를 갖는 부분데이터들을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를 기반으로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수신된 부분데이터들을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는 과정에서, 정상 수신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Ack)를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다.
더불어,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수신된 부분데이터들을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는 과정에서, 미 수신된 부분데이터에 대응되는 미수신 응답(예 : Duplicate ACK, 이하 Dup Ack라 함)를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한 경우를 설명하면, 단말장치(1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 중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빠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더 빨리 수신함에 따라, 관리장치(400)로부터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동안,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중인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를 미처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Ack)를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고, 당연히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Ack)은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지 않을 것이다.
이 후, 단말장치(100)는,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게 되면,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Ack)를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면, 수신한 순서정보 4의 부분데이터 보다 앞선 순서정보 2의 누락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미수신 응답(Dup Ack)을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하고, 순서정보 5의 부분데이터 보다 앞선 순서정보 2의 누락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미수신 응답(Dup Ack)을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다.
이처럼 누락된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회신/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인 TCP 재전송 규칙에 따르는 것으로 Dup Ack는 송신 측에서 여러 개의 segment를 한꺼번에 전송했는데 수신된 segment의 순서가 틀렸을 경우 수신 측이 발생 시키는 Ack 이다.
한편, 관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외부장치(50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면,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을 카운팅하고 수신 응답(Ack)이 회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Ack)이 미 수신된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장치(400)에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은, 외부장치(500)에서 이용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조기응답시간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측정되는 패킷왕복시간에 근거한 특정 패킷왕복시간,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의 전송지연시간을 기초로 계산되는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 간의 차이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와의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할 수 있다.
각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latency)이 상이하므로 접속 네트워크 별로 패킷왕복시간(RTT) 역시 상이할 것이다. 패킷왕복시간(RTT)은, 송신단(관리장치)에서 패킷(부분데이터)을 송신하여 송신단-수신단-송신단 까지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RTT가 짧아지면 재전송타임아웃도 짧아지고, RTT가 길어지면 재전송타임아웃도 길어진다. 여기서 RTT가 짧다는 것은 패킷의 전송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네트워크 품질이 좋음을 나타낸다.
이때, 관리장치(400)가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패킷왕복시간(RTT) 측정을 위한 별도 패킷을 단말장치(100)와 송수신함으로써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장치(400)는,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중 조기응답시간 설정에 이용하는 특정 패킷왕복시간을 결정하는데, 최소 패킷왕복시간(RTT)을 조기응답시간 설정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예로는 최대 패킷왕복시간(RTT)을 이용하거나 또는 평균 패킷왕복시간(RTT)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와의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을 단말장치(100)와 송수신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직전 순서정보 및 직후 순서정보가 상이한 접속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시점의 직전 순서정보 부분데이터 및 직후 순서정보 부분데이터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이 될 수 있다. 즉, 전술의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예에서,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 및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 또는 순서정보 3의 부분데이터 및 순서정보 4의 부분데이터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에 대응된다 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을 측정하면,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의 개수가 3개 이상이면 각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가장 큰 차이값, 또는 가장 작은 차이값, 또는 평균 차이값을 선택하여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중 특정 패킷왕복시간(RTT) 바람직하게는 최소 패킷왕복시간(RTT)에서 상기 계산한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뺀 차이값을 조기응답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는, 주기적 또는 임의의 시기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마다 전술과 같은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측정 및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 계산을 통해, 조기응답시간을 적응적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여, 외부장치(500)가 상기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재전송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제한한다.
전술의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한 경우를 설명하면, 관리장치(400)는,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을 카운팅한다.
이때,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정상 수신된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회신 받게 되면,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하고,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응답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것이다.
이에,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제공받은 외부장치(500)는,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것이다.
이 후, 관리장치(400)는,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 응답(Ack)이 회신되지 않아, 수신 응답(Ack)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생성하고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더불어, 관리장치(400)는,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한 조기응답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것이다.
이에,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제공받은 외부장치(500)는,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판단하여,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는,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부분데이터의 정상 수신을 알리는 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회신된 수신 응답을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지연되어 정상 수신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회신 받게 되면,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이미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였으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신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의 수신 응답(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장치(400)는,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부분데이터의 미 수신을 알리는 미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회신된 미수신 응답을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즉, 예를 들어,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회신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장치(400)는,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이미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였으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외부장치(500)는,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이 특정 횟수(예 : 3회) 이상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부분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미수신 응답 기반 재전송 동작을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에서는 다운링크 과정을 기준으로 관리장치(400)가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여 단말장치(100)가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와 달리, 업링크 과정을 기준으로 단말장치(100)가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여 관리장치(400)가 수신하는 경우라면, 단말장치(100) 내에서 전달대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상위 어플리케이션이 전송장치가 되고 관리장치(400)가 수신장치가 되어, 단말장치(100)가 전술의 관리장치(400)와 같이 부분데이터를 2 이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 즉 관리장치(400)로 전송하고, 전송한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미 수신된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해당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여 전송장치 즉 상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여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제한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즉 관리장치(400)는, 특정 전송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420)와,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와,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송장치가 상기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재전송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제한하는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즉 관리장치(400)는, 부분데이터선택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 과정을 기준으로 외부장치(500)가 전송장치, 단말장치(100)가 수신장치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부분데이터선택부(41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통신부(420)는, 부분데이터선택부(410)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즉, 통신부(420)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관리장치(400)에서 전송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전송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한 경우를 설명하면,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단말장치(100)로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을 카운팅하고 수신 응답(Ack)이 회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Ack)이 미 수신된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조기응답시간은, 외부장치(500)에서 이용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조기응답시간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측정되는 패킷왕복시간에 근거한 특정 패킷왕복시간,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의 전송지연시간을 기초로 계산되는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 간의 차이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의 특정 기능부, 예를 들면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와의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접속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패킷왕복시간(RTT) 측정을 위한 별도 패킷을 단말장치(100)와 송수신함으로써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중 조기응답시간 설정에 이용하는 특정 패킷왕복시간을 결정하는데, 최소 패킷왕복시간(RTT)을 조기응답시간 설정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예로는 최대 패킷왕복시간(RTT)을 이용하거나 또는 평균 패킷왕복시간(RTT)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단말장치(100)와의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을 단말장치(100)와 송수신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직전 순서정보 및 직후 순서정보가 상이한 접속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시점의 직전 순서정보 부분데이터 및 직후 순서정보 부분데이터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이 될 수 있다. 즉, 전술의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예에서,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 및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 또는 순서정보 3의 부분데이터 및 순서정보 4의 부분데이터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에 대응된다 할 수 있다.
이에,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을 측정하면,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접속 네트워크의 개수가 3개 이상이면 각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가장 큰 차이값, 또는 가장 작은 차이값, 또는 평균 차이값을 선택하여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중 특정 패킷왕복시간(RTT) 바람직하게는 최소 패킷왕복시간(RTT)에서 상기 계산한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뺀 차이값을 조기응답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주기적 또는 임의의 시기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마다 전술과 같은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측정 및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 계산을 통해, 조기응답시간을 적응적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여, 외부장치(500)가 상기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재전송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제한한다.
전술의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한 경우를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4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정상 수신된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회신 받게 되면,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이 경우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응답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것이다.
이에,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제공받은 외부장치(500)는,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것이다.
이 후, 제어부(440)는,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의 판단 결과,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 응답(Ack)이 회신되지 않아, 수신 응답(Ack)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생성하고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더불어, 조기응답발생판단부(430)는,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한 조기응답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것이다.
이에,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제공받은 외부장치(500)는,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판단하여,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더 나아가, 제어부(440)는,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부분데이터의 정상 수신을 알리는 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회신된 수신 응답을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어부(4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지연되어 정상 수신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회신 받게 되면,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이미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였으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신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의 수신 응답(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40)는,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부분데이터의 미 수신을 알리는 미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회신된 미수신 응답을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즉, 예를 들어, 제어부(440)는, 단말장치(100)에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회신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40)는,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이미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였으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이에, 외부장치(500)는,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이 특정 횟수(예 : 3회) 이상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부분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미수신 응답 기반 재전송 동작을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각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수신 응답(Ack)이 미수신된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면 관리장치가 자체 생성한 수신 응답을 먼저 전송장치 측에 제공하여 전송장치로 빠른 수신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에 따르면, 전술과 같이 관리장치가 자체 생성한 수신 응답을 먼저 전송장치 측에 제공하여 전송장치로 빠른 수신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TCP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혼잡윈도우(CWND) 기반 혼잡제어 방식 즉 혼잡으로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윈도의 크기를 작게하여 패킷을 천천히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윈도를 크게 하여 빠르게 전송하는 방식에서, 혼잡윈도우 크기를 빠르게 증가시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는, 각 네트워크 간에 전송지연(latency)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여, 수신장치가 수신되는 각 데이터(부분데이터 패킷)을 순서정보를 토대로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리오더링)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상위계층 즉 TCP계층으로 전달함으로써 미수신 응답(Dup Ack)을 전송장치로 제공하는 비율을 낮춰 미수신 응답 기반 재전송 비율을 낮출 수 있지만, 반면 부분데이터 재정렬(리오더링) 과정 수행에 따른 수신 응답 회신 지연이 추가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전술의 본 발명을 적용한다면,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즉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해 늦게 회신되는 수신 응답을 미리 전송장치 측에 제공할 수 있어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보다 증대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관리장치(400)는, 특정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부터 전송대상 데이터가 전달되면(S10), 전달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 데이터 전송비율에 따라 전송할 부분데이터를 선택한다(S20).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관리장치(400)에서 전송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S30),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전송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40).
이에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여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수신된 부분데이터들을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는 과정에서, 정상 수신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Ack)를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다.
더불어,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수신된 부분데이터들을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는 과정에서, 미 수신된 부분데이터에 대응되는 미수신 응답(예 : Duplicate ACK, 이하 Dup Ack라 함)를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한 경우를 설명하면, 단말장치(1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 중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빠른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더 빨리 수신함에 따라, 관리장치(400)로부터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동안,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중인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를 미처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Ack)를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고(660), 당연히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Ack)은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지 않을 것이다.
이 후, 단말장치(100)는,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게 되면,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Ack)를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다(S90).
한편, 단말장치(100)는,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면, 수신한 순서정보 4의 부분데이터 보다 앞선 순서정보 2의 누락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미수신 응답(Dup Ack)을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하고, 순서정보 5의 부분데이터 보다 앞선 순서정보 2의 누락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미수신 응답(Dup Ack)을 관리장치(400)로 회신하여 제공할 것이다(S100).
이처럼 누락된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회신/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인 TCP 재전송 규칙에 따르는 것으로 Dup Ack는 송신 측에서 여러 개의 segment를 한꺼번에 전송했는데 수신된 segment의 순서가 틀렸을 경우 수신 측이 발생 시키는 Ack 이다.
한편, 관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외부장치(50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면(S30,S40),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즉,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을 카운팅하고 수신 응답(Ack)이 회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Ack)이 미 수신된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장치(400)에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의 전송지연시간을 기초로 계산되는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측정되는 패킷왕복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조기응답시간을 설정하는 상세한 설명은 전술에서 기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관리장치(400)는, S50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여, 외부장치(500)가 상기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재전송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제한한다.
전술의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한 경우를 설명하면, 관리장치(400)는,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을 카운팅한다.
이때,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S60단계를 통해 정상 수신된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회신 받게 되면,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하고,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응답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것이다.
이에,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제공받은 외부장치(500)는,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것이다.
이 후, 관리장치(400)는,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S50단계의 판단 결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 응답(Ack)이 회신되지 않아, 수신 응답(Ack)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70),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생성하고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S80). 더불어, 관리장치(400)는,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한 조기응답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것이다.
이에,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제공받은 외부장치(500)는,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판단하여,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는,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부분데이터의 정상 수신을 알리는 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회신된 수신 응답을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S90단계를 통해 지연되어 정상 수신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회신 받게 되면,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이미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였으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신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의 수신 응답(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S95).
한편, 관리장치(400)는,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부분데이터의 미 수신을 알리는 미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회신된 미수신 응답을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즉, 예를 들어,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회신 받을 수 있다(S100).
이 경우, 관리장치(400)는,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이미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였으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할 수 있다(S110).
이에, 외부장치(500)는,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이 특정 횟수(예 : 3회) 이상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부분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미수신 응답 기반 재전송 동작을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 과정을 기준으로 외부장치(500)가 전송장치, 단말장치(100)가 수신장치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즉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조기응답시간을 설정한다(S200).
여기서, 조기응답시간은, 외부장치(500)에서 이용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조기응답시간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측정되는 패킷왕복시간에 근거한 특정 패킷왕복시간,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의 전송지연시간을 기초로 계산되는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 간의 차이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와의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패킷왕복시간(RTT) 측정을 위한 별도 패킷을 단말장치(100)와 송수신함으로써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중 조기응답시간 설정에 이용하는 특정 패킷왕복시간을 결정하는데, 최소 패킷왕복시간(RTT)을 조기응답시간 설정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예로는 최대 패킷왕복시간(RTT)을 이용하거나 또는 평균 패킷왕복시간(RTT)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와의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을 단말장치(100)와 송수신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직전 순서정보 및 직후 순서정보가 상이한 접속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시점의 직전 순서정보 부분데이터 및 직후 순서정보 부분데이터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이 될 수 있다. 즉, 전술의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예에서,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 및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 또는 순서정보 3의 부분데이터 및 순서정보 4의 부분데이터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송지연시간 측정을 위한 패킷에 대응된다 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을 측정하면,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의 개수가 3개 이상이면 각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지연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가장 큰 차이값, 또는 가장 작은 차이값, 또는 평균 차이값을 선택하여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계산된 각 접속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중 특정 패킷왕복시간(RTT) 바람직하게는 최소 패킷왕복시간(RTT)에서 상기 계산한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를 뺀 차이값을 조기응답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주기적 또는 임의의 시기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마다 전술과 같은 네트워크 별 패킷왕복시간(RTT) 측정 및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D) 계산을 통해, 조기응답시간을 적응적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S210)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S220).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230).
즉,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관리장치(400)에서 전송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전송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즉,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한 경우를 설명하면,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을 카운팅하고 수신 응답(Ack)이 회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전송한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Ack)이 미 수신된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여, 외부장치(500)가 상기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재전송하는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제한한다.
전술의 순서정보 1,2,3,4,5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한 경우를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정상 수신된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회신 받게 되면(S250),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이 경우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응답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것이다.
이에,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제공받은 외부장치(500)는,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1의 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것이다.
한편,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 응답(Ack)이 회신되지 않아, 수신 응답(Ack)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60),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생성하고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S270). 더불어,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한 조기응답시간 카운팅을 종료할 것이다.
이에,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제공받은 외부장치(500)는,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판단하여, 순서정보 2,3의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재전송타임아웃시간 기반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부분데이터의 미 수신을 알리는 미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회신된 미수신 응답을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
즉, 예를 들어,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에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순서정보 4,5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회신 받을 수 있다(S280).
이 경우,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이미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였으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다(S280).
이에, 외부장치(500)는, 누락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미수신 응답(Dup Ack)이 특정 횟수(예 : 3회) 이상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부분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미수신 응답 기반 재전송 동작을 기존의 동작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한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부분데이터의 정상 수신을 알리는 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회신된 수신 응답을 전송장치 즉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지연되어 정상 수신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Ack)을 회신 받게 되면(S300),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조기 수신 응답(예 : Fast Ack)을 이미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였으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신된 순서정보 2의 부분데이터의 수신 응답(Ack)을 외부장치(500)로 제공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S3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각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수신 응답(Ack)이 미수신된 상태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면 관리장치가 자체 생성한 수신 응답을 먼저 전송장치 측에 제공하여 전송장치로 빠른 수신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을 미연에 방지하고, 더 나아가 혼잡윈도우 크기를 빠르게 증가시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이 상이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분데이터 재전송을 효과적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400 : 관리장치
410 : 부분데이터선택부 420 : 통신부
430 : 조기응답발생판단부 440 : 제어부

Claims (8)

  1. 특정 전송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기응답발생판단부; 및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송장치가 상기 조기 수신 응답이 수신된 부분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하여도 재전송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상기 조기 수신 응답을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한 이후,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의 미 수신을 알리는 미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상기 미수신 응답을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기응답시간은, 상기 재전송타임아웃시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기응답시간은,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측정되는 패킷왕복시간에 근거한 특정 패킷왕복시간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의 전송지연시간을 기초로 계산되는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 간의 차이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5. 특정 전송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부분데이터 전송단계;
    상기 전송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기 설정된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기응답발생 판단단계; 및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조기 수신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전송장치가 상기 조기 수신 응답이 수신된 부분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특정 재전송타임아웃시간이 경과하여도 재전송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조기수신응답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에 대한 상기 조기 수신 응답을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한 이후,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응답이 미 회신되는 상태로 상기 조기응답시간이 경과하는 부분데이터의 미 수신을 알리는 미수신 응답이 회신되면, 상기 미수신 응답을 상기 전송장치로 제공하는 수신응답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기응답시간은, 상기 재전송타임아웃시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기응답시간은,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별로 측정되는 패킷왕복시간에 근거한 특정 패킷왕복시간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의 전송지연시간을 기초로 계산되는 네트워크 간 전송지연시간차이값 간의 차이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KR1020120004455A 2012-01-13 2012-01-13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32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55A KR101328030B1 (ko) 2012-01-13 2012-01-13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55A KR101328030B1 (ko) 2012-01-13 2012-01-13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689A KR20130083689A (ko) 2013-07-23
KR101328030B1 true KR101328030B1 (ko) 2013-11-13

Family

ID=4899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455A KR101328030B1 (ko) 2012-01-13 2012-01-13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526B1 (ko) 2013-12-11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756A (ko) * 2002-11-11 2004-05-20 주식회사 마이크로트랙 트랜스폰더 간의 데이터 충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41096A (ko) * 2005-10-1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종 무선망들을 이용한 동시 데이터 서비스 장치및 방법
KR20080100846A (ko) * 2006-04-07 2008-11-19 노키아 코포레이션 다중 반송파 내의 재전송 요청 지연
JP2009100118A (ja) * 2007-10-15 2009-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756A (ko) * 2002-11-11 2004-05-20 주식회사 마이크로트랙 트랜스폰더 간의 데이터 충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41096A (ko) * 2005-10-1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종 무선망들을 이용한 동시 데이터 서비스 장치및 방법
KR20080100846A (ko) * 2006-04-07 2008-11-19 노키아 코포레이션 다중 반송파 내의 재전송 요청 지연
JP2009100118A (ja) * 2007-10-15 2009-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689A (ko)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0420B1 (en) Buffer sizing for multi-hop networks
KR102002660B1 (ko) 실시간 현장 성능을 위한 동적 tcp 층 최적화
US9276832B2 (en) Buffer sizing for multi-hop networks
EP2302827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JP5867160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10484247B2 (en) Transmission control of a multi-hop relay radio
KR102111029B1 (ko) 다중망 병합 전송 장치, 그리고 이의 패킷 스케줄링 방법
US92324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formation carrying capacity by controlling re-transmissions
KR10132803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Jung et al. Novel fastest retransmission and rate control schemes for improving TCP performance in wireless ad hoc networks
KR10130782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20992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WO2019124290A1 (ja) 送信データ量制御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126960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857565B1 (ko) 다중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JP6897769B2 (ja) データ送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8304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EP2806679A2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160187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56278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0630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Urvoy-Keller et al. Improving flow level fairness and interactivity in WLANs using size-based scheduling policies
KR10133501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21622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20130093986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