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644B1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644B1
KR101235644B1 KR20110119570A KR20110119570A KR101235644B1 KR 101235644 B1 KR101235644 B1 KR 101235644B1 KR 20110119570 A KR20110119570 A KR 20110119570A KR 20110119570 A KR20110119570 A KR 20110119570A KR 101235644 B1 KR101235644 B1 KR 101235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access network
network
parti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11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644B1/ko
Priority to PCT/KR2012/009019 priority patent/WO2013073784A1/ko
Priority to CN201280052039.7A priority patent/CN10404091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644B1/ko
Priority to US14/279,778 priority patent/US91250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에 근거한 네트워크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고,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송신하며,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예 : 혼잡 정도)에 따라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에 근거한 네트워크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고,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송신하며,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예 : 혼잡 정도)에 따라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되도록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예 : 혼잡 정도)에 따라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선택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식별정보삽입부;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정보삽입부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접속 네트워크 중 제1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1전송상태정보값 및 제2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2전송상태정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전송상태정보값과 제2전송상태정보값의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은,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 선택단계;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식별정보 삽입단계;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부분데이터 송신단계; 및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전송상태정보 획득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전송비율 가변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정보 삽입단계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비율 가변설정단계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비율 가변설정단계는, 상기 각 접속 네트워크 중 제1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1전송상태정보값 및 제2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2전송상태정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전송상태정보값과 제2전송상태정보값의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은,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부분데이터 수신단계;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 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전송상태정보 획득지원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과,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에 근거한 네트워크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능동적으로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 의해 부분데이터가 전송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400)과,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2 이상의 네트워크 즉 이기종의 네트워크는,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즉,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측의 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측의 장치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운링크를 고려하여 송신측의 장치로서 즉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로서 관리장치(400)를 상정하여 설명하고, 수신측의 장치로서 즉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로서 단말장치(100)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서는, 수신측의 장치(100) 및 단말장치(100)를 혼용하고 송신측의 장치(400) 및 관리장치(400)를 혼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는,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의 상태(예 : 혼잡 정도)에 따라 부분데이터를 어떤 전송비율을 가지고 각 네트워크로 전송할 지에 대한 데이터 전송비율을 최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 별로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대응되는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비교한 결과에 근거하여 측정한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최적으로 가변 설정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송신측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특정 주기시간 마다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통해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별로 식별정보를 삽입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인지 혹은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수신측 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재정렬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들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한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에서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장치(400)에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관리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장치(400)에서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로 관리장치(400)에서 인지 혹은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에서 획득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3G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장치(400)에서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에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장치(400)는,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즉,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관리장치(400)로 제공하면,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수신하게 된다.
이에 앞서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별로 식별정보를 삽입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인지 혹은 측정하여 보유하였다.
따라서,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3G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생성한 전송상태정보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하면, 관리장치(400)는, 자체적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지 않고도 이를 획득할 수 있다.
관리장치(400)는, 자체 생성하거나 또는 제공 받아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
물론, 업링크 시에는, 송신측의 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100)가, 전술과 같이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 식별정보 삽입,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전송하고, 이후 자체 생성하거나 또는 제공 받아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것이다.
물론, 업링크 시에는, 수신측의 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400)가, 전술과 같이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재정렬/결합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 접속 네트워크 별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단말장치(100)로 제공 또는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것이다.
한편, 전술에서는, 송신측의 장치(400)가 부분데이터에 식별정보를 삽입하고, 식별정보가 삽입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송신측의 장치(400)에서 부분데이터에 식별정보를 삽입하지 않고도, 송신측의 장치(400) 및 수신측의 장치(100)는 송신측 장치(400)가 송신하고 수신측 장치(100)에서 수신하게 되는 동일한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상호 기 정의된 측정정책을 보유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송신측 장치(400)의 식별정보 삽입 및 수신측 장치(100)의 식별정보 인지 없이도 동일한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여 전술과 같이 각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즉 송신측의 장치(400)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선택부(410)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식별정보삽입부(420)와,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440)와,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44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며,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부분데이터선택부(410)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부분데이터선택부(410)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식별정보삽입부(42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별정보삽입부(420)는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특정 주기시간 마다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식별정보삽입부(420)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이용하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특정 주기시간을 보유하고,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해당하는 특정 주기시간이 도달할 때 마다 해당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상호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를 선택하고 이에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장치(400)가 부분데이터 패킷1,2,3을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패킷4,5,6을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식별정보삽입부(42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특정 주기시간이 도달함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 패킷1,2를 선택하고 이에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정보삽입부(42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특정 주기시간이 도달함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 패킷5,6를 선택하고 이에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통신부(440)는, 상기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의 장치로 송신한다.
즉, 통신부(44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다수의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다수의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300)에 송신함으로써,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430)는,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430)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430)는, 통신부(440)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별로 식별정보를 삽입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인지 혹은 측정하여 보유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신부(440)에서 부분데이터 패킷1,2,3을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고 부분데이터 패킷4,5,6을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때, 제어부(43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식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 패킷1,2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를 인지 혹은 측정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식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 패킷5,6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z)를 인지 혹은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430)는,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보유/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3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측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장치(100)로부터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30)는,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장치 (100)로부터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k)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3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측의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 즉 혼잡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즉,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설명하면, 제어부(430)는, 다음과 같은 수식1에 따라 3G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11090581256-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1090581256-pat00002
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i번째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의미하고,
Figure 112011090581256-pat00003
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i번째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이에,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전송상태정보는, i번째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수식1에 따라 연산된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제어부(430)는,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술의 수식1에 근거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는 수식1의 연산에 따른 전송상태정보값을 가지게 된다.
이때,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 보다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이 커질 수록 전송에 지연이 발생한 것을 의미하고 해당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의 혼잡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하므로, 전송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전송상태정보값이 1에 가까울수록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전송상태정보값이 0에 가까울수록 네트워크 상태가 나쁜 즉 혼잡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전송상태정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어부(430)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주기시간 마다 식별정보를 삽입 송신함에 따라 주기시간 마다 수집되는 n개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생성한 n개의 전송상태정보에 대한 평균을 도출하여, 이를 각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30)는,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장치(100)로부터 접속 네트워크 별로 생성한 전송상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30)는, 제1실시예와 같이 자체적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수신측의 장치(100)로부터 접속 네트워크 별로 생성한 전송상태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430)는,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30)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전송상태정보값이 0 이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43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전송상태정보 대응 전송상태정보값을 기반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다시 말해 0 이하인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를 검색한다. 이에, 제어부(430)는, 0 이하의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제어부(430)는, 0 이하의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변경하여 설정(예 : 3G : WiFi = 3:4)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30)는, 0 이하의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WiFi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 및 다른 접속 네트워크(예 : 3G)의 전송상태정보값을 특정 가변정책에 반영하여, 특정 가변정책에 따라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변경하여 설정(예 : 3G : WiFi = 3:4)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30)는, 상기 각 접속 네트워크 중 제1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1전송상태정보값 및 제2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2전송상태정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전송상태정보값과 제2전송상태정보값의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전송상태정보 대응 전송상태정보값을 기반으로,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이용하고 있는 접속 네트워크가 WiFi, 3G, LTE인 경우, 제어부(430)는, WiFi의 전송상태정보값과 3G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비교, WiFi의 전송상태정보값과 LTE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비교, 3G의 전송상태정보값과 LTE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비교할 것이다.
이에, 제어부(430)는, 비교할 2 종류의 접속 네트워크 즉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제1 접속 네트워크(예 : 3G)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다른 제2접속 네트워크(예 : WiFi)의 전송상태정보값과 상호 비교한 결과,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변경하여 설정(예 : 3G : WiFi = 3:4)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는, 비교할 2 종류의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 중 큰 값의 전송상태정보가 작은 값의 전송상태정보의 n배(예 : 2배) 이상 큰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어부(430)는, 전송상태정보값의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를 갖는 WiFi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 및 다른 접속 네트워크(예 : 3G)의 전송상태정보값을 특정 가변정책에 반영하여, 특정 가변정책에 따라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변경하여 설정(예 : 3G : WiFi = 3:4)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3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전송상태정보 대응 전송상태정보값을 기반으로,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을 절대적으로 비교하여 큰 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가 좋다고 즉 혼잡 정도가 낮다고 판단하고, 큰 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높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3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특정 주기시간 마다 생성되는 전송상태정보 대응 전송상태정보값을 기반으로, 이전 전송상태정보값 보다 현재 전송상태정보값이 증가하면 해당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높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현재 전송상태정보값 0.4가 이전 전송상태정보값(0.6) 보다 작아지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현재 전송상태정보값 0.2가 이전 전송상태정보값(0)보다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430)는, WiFi 네트워크의 혼잡 정도가 낮아지고 반면 3G 네트워크가 혼잡해졌다고 판단하여, 3G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고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높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즉 수신측의 장치(100)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측정부(130)와, 상기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부분데이터결합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며,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이에 통신부(11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분할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통신부(110)는 송신측의 장치(400)에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WiFi=5:5)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데이터결합부(12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재정렬한다. 그리고, 데이터결합부(120)는, 재정렬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수신시간측정부(13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시간측정부(130)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들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신시간측정부(13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식별정보가 포함된 부분데이터 존재를 모니터링한다. 이에, 수신시간측정부(13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 패킷1,2,3 중 부분데이터 패킷1,2에서 식별정보가 인지됨에 따라 부분데이터 패킷1,2를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로 판단하고, 부분데이터 패킷1,2 간의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y)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시간측정부(130)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 패킷4,5,6 중 부분데이터 패킷5,6에서 식별정보가 인지됨에 따라 부분데이터 패킷5,6를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로 판단하고, 부분데이터 패킷5,6 간의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k)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수신시간측정부(130)는,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식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 송신측의 장치(400)에서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송신측의 장치(400)에서 측정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송신측의 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인지 혹은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송신측의 장치(400)로부터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z)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송신측의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 즉 혼잡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즉,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전술의 수식1에 따라 3G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40)는,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술의 수식1에 근거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전송상태정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어부(140)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400)가 특정 주기시간 마다 식별정보를 삽입 송신함에 따라 주기시간 마다 수집되는 n개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생성한 n개의 전송상태정보에 대한 평균을 도출하여, 이를 각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생성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송신측의 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 장치(400)에서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에 근거한 네트워크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능동적으로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즉,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측의 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측의 장치도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송신측의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S10),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S20).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한다(S30).
즉,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특정 주기시간 마다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통해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S40),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45).
이때,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별로 식별정보를 삽입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인지 혹은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수신측 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S50), 수신된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재정렬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한다(S60).
즉, 단말장치(100)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들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한 관리장치(400)에서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장치(400)에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관리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S65), 관리장치(400)에서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로 관리장치(400)에서 인지 혹은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에서 획득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한다(S70).
즉,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3G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S75), 관리장치(400)에서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에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장치(400)는,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즉,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관리장치(400)로 제공하면(S65),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수신하게 된다.
이에 앞서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별로 식별정보를 삽입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인지 혹은 측정하여 보유하였다.
따라서, 관리장치(400)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함으로써(S80),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0).
즉, 관리장치(400)는,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3G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WiFi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가 접속 네트워크 별로 생성한 전송상태정보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하면, 관리장치(400)는, 자체적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지 않고도 이를 획득할 수 있다.
관리장치(400)는, 자체 생성하거나 또는 제공 받아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S90).
물론, 업링크 시에는, 송신측의 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100)가, 전술과 같이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 식별정보 삽입,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전송하고, 이후 자체 생성하거나 또는 제공 받아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것이다.
물론, 업링크 시에는, 수신측의 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400)가, 전술과 같이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재정렬/결합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 접속 네트워크 별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단말장치(100)로 제공 또는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 즉 수신측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S100).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측의 장치(400)에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WiFi=5:5)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재정렬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재정렬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부분데이터를 수신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식별정보가 인지되는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를 검색하고(S110) 이들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식별정보가 포함된 부분데이터 존재를 모니터링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 패킷1,2,3 중 부분데이터 패킷1,2에서 식별정보가 인지됨에 따라 부분데이터 패킷1,2를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로 판단하고, 부분데이터 패킷1,2 간의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y)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부분데이터 패킷4,5,6 중 부분데이터 패킷5,6에서 식별정보가 인지됨에 따라 부분데이터 패킷5,6를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로 판단하고, 부분데이터 패킷5,6 간의 데이트 수신시간 간격(k)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식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한 장치(400)에서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송신측의 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S130),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측정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송신측의 장치(400)에서 측정된 상기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S140).
즉,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측의 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인지 혹은 측정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400)로부터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z)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송신측의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 즉 혼잡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즉,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수식1에 따라 3G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술의 수식1에 근거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전송상태정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400)가 특정 주기시간 마다 식별정보를 삽입 송신함에 따라 주기시간 마다 수집되는 n개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생성한 n개의 전송상태정보에 대한 평균을 도출하여, 이를 각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생성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송신측의 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 장치(400)에서 각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즉 송신측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S200),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S210).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한다(S22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특정 주기시간 마다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이용하는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특정 주기시간을 보유하고,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해당하는 특정 주기시간이 도달할 때 마다 해당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상호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를 선택하고 이에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송신측 장치(400)가 부분데이터 패킷1,2,3을 3G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하고 부분데이터 패킷4,5,6을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선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특정 주기시간이 도달함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 패킷1,2를 선택하고 이에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특정 주기시간이 도달함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즉 연속하는 부분데이터 패킷5,6를 선택하고 이에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의 장치(100)로 송신한다(S230).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다수의 제1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다수의 제2부분데이터를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300)에 송신함으로써,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선택된 부분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별로 식별정보를 삽입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인지 혹은 측정하여 보유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부분데이터 패킷1,2,3을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고 부분데이터 패킷4,5,6을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 때,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식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 패킷1,2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를 인지 혹은 측정하고,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식별정보가 삽입된 부분데이터 패킷5,6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z)를 인지 혹은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을 보유/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식별정보의 인지에 따라 수신측 장치(100)에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측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2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50~S260).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장치(100)로부터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별로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제공받을 수 있다(S25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장치(100)로부터 3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k)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상태정보 생성 즉 혼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S260).
즉, 3G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수식1에 따라 3G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각 접속 네트워크 별로 전술의 수식1에 근거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는 수식1의 연산에 따른 전송상태정보값을 가지게 된다.
이때,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x) 보다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y)이 커질 수록 전송에 지연이 발생한 것을 의미하고 해당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의 혼잡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하므로, 전송상태정보가 1에 가까울수록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전송상태정보가 0에 가까울수록 네트워크 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전송상태정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주기시간 마다 식별정보를 삽입 송신함에 따라 주기시간 마다 수집되는 n개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기초로 생성한 n개의 전송상태정보에 대한 평균을 도출하여, 이를 각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장치(100)로부터 접속 네트워크 별로 생성한 전송상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S240).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실시예와 같이 자체적으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수신측의 장치(100)로부터 접속 네트워크 별로 생성한 전송상태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S27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전송상태정보값이 0 이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전송상태정보 대응 전송상태정보값을 기반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다시 말해 0 이하인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를 검색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0 이하의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0 이하의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변경하여 설정(예 : 3G : WiFi = 3:4)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0 이하의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WiFi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 및 다른 접속 네트워크(예 : 3G)의 전송상태정보값을 특정 가변정책에 반영하여, 특정 가변정책에 따라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변경하여 설정(예 : 3G : WiFi = 3:4)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각 접속 네트워크 중 제1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1전송상태정보값 및 제2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2전송상태정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전송상태정보값과 제2전송상태정보값의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네트워크(예 : 3G 및 WiFi)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전송상태정보 대응 전송상태정보값을 기반으로,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동시 전송 서비스에서 이용하고 있는 접속 네트워크가 WiFi, 3G, LTE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WiFi의 전송상태정보값과 3G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비교, WiFi의 전송상태정보값과 LTE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비교, 3G의 전송상태정보값과 LTE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비교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비교할 2 종류의 접속 네트워크 즉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제1 접속 네트워크(예 : 3G)의 전송상태정보값을 다른 제2접속 네트워크(예 : WiFi)의 전송상태정보값과 상호 비교한 결과,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예 : WiFi)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변경하여 설정(예 : 3G : WiFi = 3:4)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는, 비교할 2 종류의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 중 큰 값의 전송상태정보가 작은 값의 전송상태정보의 n배(예 : 2배) 이상 큰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상태정보값의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를 갖는 WiFi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값 및 다른 접속 네트워크(예 : 3G)의 전송상태정보값을 특정 가변정책에 반영하여, 특정 가변정책에 따라 WiFi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예 : 3G : WiFi = 2:5)을 변경하여 설정(예 : 3G : WiFi = 3:4)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에 근거한 네트워크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능동적으로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를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각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부분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에 근거한 네트워크 전송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최적의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능동적으로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 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400 : 관리장치
410 : 부분데이터선택부 420 : 식별정보삽입부
430 : 제어부 440 : 통신부

Claims (12)

  1.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선택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식별정보삽입부;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식별정보가 삽입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가 상기 수신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삽입부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접속 네트워크 중 제1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1전송상태정보값 및 제2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2전송상태정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전송상태정보값과 제2전송상태정보값의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장치.
  6.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삽입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식별정보가 삽입되는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장치가 송신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장치.
  7.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하는 부분데이터 선택단계;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부분데이터 중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식별정보 삽입단계;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부분데이터 송신단계; 및
    송신한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의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및 상기 식별정보가 삽입되는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가 상기 수신장치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전송상태정보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전송비율 가변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삽입단계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이웃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비율 가변설정단계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각각에 대응하여 획득한 접속 네트워크 별 전송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비율 가변설정단계는,
    상기 각 접속 네트워크 중 제1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1전송상태정보값 및 제2 접속 네트워크의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제2전송상태정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전송상태정보값과 제2전송상태정보값의 차이가 특정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및 제2 접속 네트워크 중 작은 전송상태정보값을 갖는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방법.
  12. 기 설정된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각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부분데이터 수신단계;
    특정 접속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 중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식별정보가 삽입되는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간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을 측정하는 수신시간 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 수신시간 간격 및 상기 식별정보가 삽입되는 상기 특정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송신장치가 송신한 데이터 송신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특정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전송상태정보 획득지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동시 전송 송수신 방법.
KR20110119570A 2011-11-16 2011-11-16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23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9570A KR101235644B1 (ko) 2011-11-16 2011-11-16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PCT/KR2012/009019 WO2013073784A1 (ko) 2011-11-16 2012-10-31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CN201280052039.7A CN104040912B (zh) 2011-11-16 2012-10-31 支持基于多个网络的同时数据传输服务的设备和方法
US14/279,778 US9125065B2 (en) 2011-11-16 2014-05-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multiple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9570A KR101235644B1 (ko) 2011-11-16 2011-11-16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644B1 true KR101235644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9570A KR101235644B1 (ko) 2011-11-16 2011-11-16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25065B2 (ko)
KR (1) KR101235644B1 (ko)
CN (1) CN104040912B (ko)
WO (1) WO2013073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2896B2 (ja) * 2013-11-12 2016-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
WO2017008698A1 (zh) * 2015-07-10 2017-01-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多通道路由方法及装置
WO2017008697A1 (zh) * 2015-07-10 2017-01-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多通道路由方法及用户设备
WO2017008701A1 (zh) * 2015-07-10 2017-01-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用户设备
US10320691B1 (en) 2016-01-30 2019-06-11 Innovium, Inc. Visibility packets
US10574577B1 (en) 2016-03-02 2020-02-25 Innovium, Inc. Load balancing path assignments techniques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DE102016008708A1 (de) * 2016-07-16 2018-01-18 Audi Ag Rückmeldekanal zur sicheren Datenübertragung
US11075847B1 (en) 2017-01-16 2021-07-27 Innovium, Inc. Visibility sampling
CN109561455B (zh) * 2018-12-14 2022-02-18 四川通信科研规划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混合网络的通信系统及方法
JP7386141B2 (ja) * 2020-08-27 2023-11-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情報管理システム
US11621904B1 (en) 2020-11-06 2023-04-04 Innovium, Inc. Path telemetry data collection
US11784932B2 (en) 2020-11-06 2023-10-10 Innovium, Inc. Delay-based automatic queue management and tail dro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639A (ko) * 2008-01-24 200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
KR20110016749A (ko) *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접속 무선망에서 대역폭 확장을 위한 다중링크 데이터 분배/집중 장치
KR20110097492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 호밍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한 패킷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187B1 (ko) * 2003-10-18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의 전송율을 찾기위한 조절 방법
FI20040865A0 (fi) * 2004-06-21 2004-06-21 Nokia Corp Tiedonsiirto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KR100874152B1 (ko) * 2005-10-14 2008-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이종 무선망들을 이용한 동시 데이터 서비스 장치및 방법
JP4506856B2 (ja) * 2008-03-10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9253015B2 (en) * 2010-07-09 2016-02-02 Attila Technologies, Llc Transparent proxy architecture for multi-path data connec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639A (ko) * 2008-01-24 200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
KR20110016749A (ko) *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접속 무선망에서 대역폭 확장을 위한 다중링크 데이터 분배/집중 장치
KR20110097492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 호밍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한 패킷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3784A1 (ko) 2013-05-23
US20140247740A1 (en) 2014-09-04
US9125065B2 (en) 2015-09-01
CN104040912B (zh) 2017-02-22
CN104040912A (zh)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64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US9888429B2 (en) Multi-network based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es applied to the same
US8612567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policy and terminal device for changing network in heterogeneous networks
US10492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multiple networks
JP2014526163A (ja) モバイル通信ネットワーク、基盤機器、及び方法
JP2014522152A (ja) モバイル通信装置及び方法
KR20140117517A (ko) 연결 및/또는 세션 설정 결정들에 관한 방법들 및 장치
KR1025705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디네이션을 통한 와이파이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5150717A1 (en) Access point selection depending on signal strength and load
KR101247817B1 (ko)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모바일 시스템
KR10136998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20703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38304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49254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97555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0040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60139591A (ko) 라우팅 방법 및 그 장치
JP6450994B2 (ja) 管理サーバ、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16223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KR10132803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57429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6918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3501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799407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6278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