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461A - 체크 밸류 확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체크 밸류 확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461A
KR20090055461A KR1020080081152A KR20080081152A KR20090055461A KR 20090055461 A KR20090055461 A KR 20090055461A KR 1020080081152 A KR1020080081152 A KR 1020080081152A KR 20080081152 A KR20080081152 A KR 20080081152A KR 20090055461 A KR20090055461 A KR 2009005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ata
check value
input
generated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584B1 (ko
Inventor
히로아키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8Usage controlling of secret information, e.g. techniques for restricting cryptographic keys to pre-authorized uses, different access levels, validity of crypto-period, different key- or password length, or different strong and weak cryptographic algorith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11Software architecture within ATMs or in relation to the ATM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Abstract

(과제)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여 동록할 때에, 체크 밸류의 확인을 복수 회 행하도록 하여 잘못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잘못된 마스터키의 생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복수 회 행해지면,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한다.
마스터키, 컴포넌트 데이터, 체크 밸류, 핀패드, 자동 거래 장치

Description

체크 밸류 확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CHECK VALUE}
본 발명은 핀패드 (PINPAD) 의 마스터키 생성을 위한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을 확인하기 위한 체크 밸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은행, 신용 금고, 우체국 등의 금융 기관의 지점 등에 배치된 ATM (Automatic Teller Machine : 현금 자동 입출금기), CD (Cash Dispenser : 현금 자동 지급기) 등의 자동 거래 장치를 조작하여 입금, 출금, 납입, 대체, 송금 등의 금융 거래를 행하는 경우, 고객은 현금 카드 등의 카드를 사용함과 함께 비밀 번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음식점, 상점 등의 점포에 있어서 대금을 정산하는 경우로서, 데빗 카드 (debit card), 크레디트 카드 등의 카드로 정산하는 경우, 고객은 카드를 사용함과 함께, 점포의 레지스터에 배치되는 POS (Point of Sales) 단말, 크레디트 카드 단말 등의 단말 또는 그 부속 기기를 조작하여 비밀 번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 거래 장치 및 단말은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 컴퓨터 등의 상위 장치에 금액 등의 정보와 함께 카드로부터 판독한 카드 정보 및 입력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금융 거래, 정산 거래 등의 거래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 암호화 처리하지 않고, 즉 평문으로 비밀 번호를 상위 장치에 송신하면, 통신 내용으로부터 제삼자에 의해 비밀 번호가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입력된 비밀 번호를 암호화 처리하는 비밀 번호 입력 장치로서 핀패드라고 불리는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핀패드를 상기 자동 거래 장치 및 단말에 접속하거나 장착함으로써 암호화 처리된 비밀 번호를 상위 장치에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내용으로부터 제삼자에 의해 비밀 번호가 해석되는 일이 없다.
핀패드에는 암호화에 열쇠가 필요하고, 최상위 열쇠인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열쇠 컴포넌트 데이터로 불리는 숫자열, 즉, 컴포넌트 데이터를 핀패드에 입력한다. 그러면, 그 핀패드가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를 연산하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고 등록한다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 및 2 참조.).
도 2 는 종래의 핀패드의 입력 조작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종래의 마스터키 생성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 는 종래의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서브 루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 에 있어서 31 은 핀패드의 입력 조작부로서, 금액,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드, 금종 (金種), 확인, 정정 버튼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핀패드를 자동 거래 장치 및 단말에 접속하거나 장착했을 때에, 상기 핀패드에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핀패드는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를 연산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고 등록한다.
이 경우,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컴포넌트 데이터는 미리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개개의 컴포넌트 데이터가 각각의 오퍼레이터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마스터키의 생성이 시작되면, 각 오퍼레이터는 각각의 시간에 핀패드를 조작하여, 각각에 전달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실행한다. 또한, 그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순서는 모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에 대해 동일하다.
계속해서, 복수로 분할된 개개의 컴포넌트 데이터의 전부에 대해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이 종료되면, 핀패드는 등록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마스터키를 자동 생성하고, 생성된 마스터키를 등록한다. 이로써, 그 마스터키의 생성이 종료된다.
또한,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시에는, 핀패드의 공장 출하시에 지정된 컴포넌트 데이터와, 그 컴포넌트 데이터가 핀패드에 바르게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 밸류가 기재된 종이가 봉입된 봉투가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행하는 각각의 오퍼레이터에게 전달된다. 또한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의 패스워드도 각 오퍼레이터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이 시작되면, 먼저, 오퍼레이터는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행한다.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은 경우, 정확하게 행해질 때까지 반복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가 되 면, 핀패드가 구비하는 표시 장치, 또는, 핀패드를 접속하거나 장착하는 자동 거래 장치 및 단말이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내용의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행해진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핀패드를 조작하여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상기 핀패드는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장치에 생성된 체크 밸류가 표시된다. 그러면, 상기 오퍼레이터는 표시된 체크 밸류와 미리 전달된 체크 밸류를 비교해 보아,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즉, 오퍼레이터에 의한 체크 밸류의 육안 확인이 행해진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핀패드의 입력 조작부가 구비하는 확인 버튼을 누르고,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핀패드의 입력 조작부가 구비하는 정정 버튼을 누른다. 즉, 확인 또는 정정을 누른다. 그리고, 확인을 누른 경우에는 핀패드로부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여,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이 종료된다. 또, 정정을 누른 경우에는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다시 이루어지고, 이후의 동작이 반복된다. 즉, 핀패드로부터 되돌려진 체크 밸류와 컴포넌트 데이터와 함께 종이에 기재된 체크 밸류가 상이한 경우에는 컴포넌트 데이터를 처음부터 다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플로우 차트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마스터키 생성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1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실행한다.
단계 S1-2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실행한다.
단계 S1-n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실행한다.
단계 S2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마스터키를 자동 생성하여, 마스터키의 생성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서브 루틴의 동작을 닫는 플로우 차트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1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행해지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인지, 또는, NG 인지를 판단한다.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인 경우에는 단계 S12 로 진행되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NG 인 경우에는 다시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행한다.
단계 S12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행해진다.
단계 S13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단계 S14 표시 장치에 생성된 체크 밸류가 표시된다.
단계 S15 오퍼레이터에 의한 체크 밸류의 육안 확인이 행해진다.
단계 S16 확인을 누를지, 또는, 정정을 누를지를 판단한다. 확인을 누를 경우에는 단계 S17 로 진행되고, 정정을 누를 경우에는 단계 S12 로 되돌아간다.
단계 S17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여,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종 료한다.
비특허 문헌 1 : http://partnernetwork.visa.com/dv/pin/main.jsp
비특허 문헌 2 : http://www.ecom.jp/qecom/about_wg/wg05/cr-swg/code-4. html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체크 밸류 확인 방법에 있어서는, 체크 밸류의 확인을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을 행한 오퍼레이터 자신에 의한 단 한번의 육안 확인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이 잘못되어 있고, 체크 밸류가 소정의 것이 아니어도, 오퍼레이터가 오인하여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잘못된 컴포넌트 데이터가 등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마스터키 생성 직전의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에 있어서, 체크 밸류가 잘못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잘못된 마스터키가 생성되어, 당해 핀패드를 사용할 수 없게되고, 공장으로 환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할 때에, 체크 밸류의 확인을 복수 회 행하도록 하여 잘못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잘못된 마스터키의 생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체크 밸류 확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체크 밸류 확인 방법에 있어서는, 비밀 번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암호화에 필요한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 및,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조작부를 구비한 비밀 번호 입력 장치와,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위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그 상위 장치에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거래를 행하는 거래 장치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의 체크 밸류 확인 방법으로서,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복수 회 행해지면,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체크 밸류 확인 방법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행해지면,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잘못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의 확인이 행해진 후에, 다시,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체크 밸류 확인 방법에 있어서는, 비밀 번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암호화에 필요한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 및,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조작부를 구비한 비밀 번호 입력 장치와,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위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그 상위 장치에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거래를 행하는 거래 장치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의 체크 밸류 확인 방법으로서,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가 생성되면,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가 일치하면,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한다.
본 발명의 체크 밸류 확인 장치에 있어서는, 비밀 번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암호화에 필요한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 및,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조작부를 구비한 비밀 번호 입력 장치와,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위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그 상위 장치에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거래를 행하는 거래 장치를 갖는 체크 밸류 확인 장치로서,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복수 회 행해지면,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체크 밸류 확인 장치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행해지면,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잘못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의 확인이 행해진 후에, 다시,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체크 밸류 확인 장치에 있어서는, 비밀 번호를 암호화하 는 암호화 처리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암호화에 필요한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 및,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조작부를 구비한 비밀 번호 입력 장치와,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위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그 상위 장치에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거래를 행하는 거래 장치를 갖는 체크 밸류 확인 장치로서,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가 생성되면,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가 일치하면,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할 때에, 체크 밸류의 확인을 복수 회 행하도록 하여 잘못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잘못된 마스터키의 생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거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거래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은행, 신용 금고, 우체국 등의 금융 기관의 지점 등에 배치된 ATM, CD 등의 자동 거래 장치, 편의점, 슈퍼마켓, 백화점 등의 상점의 점포, 지하가 등에 배치되어, 티켓 예약 기능, 상품 구입 신청 기능, 크레디트 카드의 여신 확인 기능, 시설 정보 안내 기능 등을 갖는 키오스크 (KIOSK) 단말과 같은 다기능 단말, 레스토랑, 바 등의 음식점이나 편의점, 슈퍼마켓, 백화점 등의 상점과 같은 점포의 레지스터에 배치되는 POS 단말, 크레디트 카드 단말 등의 단말인데, 현금 카드, 데빗 카드 (debit card), 크레디트 카드 등의 카드를 사용하여 입금, 출금, 납입, 대체, 송금 등의 금융 거래나 대금의 정산과 같은 각종의 거래를 행할 때에,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행하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소에 배치된 어떠한 종류의 장치라도 된다.
여기서는, 거래 장치 (10) 가 자동 거래 장치, 다기능 단말, POS 단말 등과 같은 입출금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거래 장치 (10) 는 제어부 (11),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로서의 대 호스트 인터페이스부 (12), 거래용 입력 장치로서의 터치 패널 (13), 비밀 번호 입력 장치로서의 핀패드 (14), 표시 장치로서의 LCD (Liquid Crystal Display) (15), 기억 장치로서의 자기 디스크 (DISK) (16), 인쇄 장치로서의 영수증 프린터 (17), 지폐 입출금기 (18) 및 동전 입출금기 (19) 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거래 장치 (10) 는 대 호스트 인터페이스부 (12) 가 전화 회선망, LAN, 인트라넷, 온라인 네트워크,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고, 그 통신 회선망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 등의 상위 장치에 통신 가 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금액 등의 정보와 함께, 입력된 비밀 번호를 상위 장치에 송신하여, 금융 거래, 정산 거래 등의 거래의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 (11) 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 MPU 등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 계시 수단으로서의 타이머, 통신 인터페이스로서의 I/O포트 등을 구비하고,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을 행하는 일종의 컴퓨터로서, 대 호스트 인터페이스부 (12), 터치 패널 (13), 핀패드 (14), LCD (15), 자기 디스크 (16), 영수증 프린터 (17), 지폐 입출금기 (18) 및 동전 입출금기 (19) 의 동작을 포함하는 거래 장치 (10) 전체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 상기 터치 패널 (13) 은 고객, 오퍼레이터 등이 조작하여 거래의 선택, 거래 금액의 입력 등을 행하는 장치인데, 상기 LCD (15) 와 일체화되어, 표시 장치로서도 기능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LCD (15) 는 표시 수단으로서 LCD 이외의 수단, 예를 들어, 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핀패드 (14) 는 고객이 조작하여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배경 기술」 의 항에 있어서 설명한 도 2 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부를 가짐과 함께, 입력된 비밀 번호를 암호화 처리하여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 암호화에 필요한 열쇠로서의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및,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해서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핀패드 (14) 는 거래 장치 (10) 내에 장착된 것이어도 되고, 거래 장치 (10) 와 별체로 구성되고, 통신 케이 블 등을 통하여 거래 장치 (10) 에 접속된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영수증 프린터 (17) 는 거래 내용이 인쇄된 명세표를 발행한다. 그 명세표는 입금, 출금, 잔고 조회, 납입, 대체, 송금, 정기성 예금 설정 등의 고객이 행한 거래에 관한 정보가 인쇄되는 종이 조각으로, 계좌 번호, 거래의 종류, 거래 금액 등이 인쇄된다.
또, 상기 지폐 입출금기 (18) 는 고객에 의해 입금되는 지폐를 진위 감별하고, 계수하여 금종별 보관 금고에 수납함과 함께, 고객에 대해 지불되는 지폐를 금종별 보관 금고로부터 내보내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동전 입출금기 (19) 는 고객에 의해 입금되는 동전을 진위 감별하고, 계수하여 금종별 보관 금고에 수납함과 함께, 고객에 대해 지불되는 동전을 금종별 보관 금고로부터 내보내는 장치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거래 장치 (1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고객이 거래 장치 (10) 를 조작하여 거래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고객이 먼저, 터치 패널 (13) 을 조작함으로써 거래의 종별이 결정된다. 그리고, LCD (15) 는 당해 거래에 대응하는 입력 가이던스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고객은 터치 패널 (13) 을 조작함으로써 가이던스 화면에 표시된 각 항목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 고객은 핀패드 (14) 를 조작함으로써 비밀 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 (11) 는 입력된 각 항목의 데이터의 내용 및 비밀 번호를 대 호스트 인터페이스부 (12) 를 통하여 상위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비밀 번호는 핀패드 (14) 에 의해 암호화 처리되고, 암호화된 상태에서 상위 장치에 송신된다.
또, 입금 거래 등의 경우에는 고객이 지폐를 지폐 입출금기 (18) 의 지폐 입출금구에 세트하면, 지폐 입출금기 (18) 는 지폐를 계수하여, 금종 마다 분리해서 금종별 보관 금고에 수납한다. 동일하게, 고객이 동전을 동전 입출금기 (19) 의 동전 입출금구에 세트하면, 동전 입출금기 (19) 는 동전을 계수하여, 금종 마다 분리해서 금종별 보관 금고에 수납한다. 또한, 출금 거래 등의 경우에는 지폐 입출금기 (18) 및 동전 입출금기 (19) 는 지정된 금액의 지폐 및 동전을 지폐 입출금구 및 동전 입출금구로부터 방출한다. 또한 영수증 프린터 (17) 는 거래 내용이 인쇄된 명세표를 발행한다.
또한, 거래 장치 (10) 는 이와 같은 거래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을 상위 장치와의 대화에 의해 실행한다.
다음으로, 마스터키 생성 처리의 동작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마스터키 생성 처리의 동작은 「배경 기술」 의 항에 있어서 설명한 도 3 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낸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핀패드 (14) 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그 핀패드 (14) 를 거래 장치 (10) 에 접속하거나 장착할 때에,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열쇠 컴포넌트 데이터로 불리는 숫자열인 컴포넌트 데이터를 핀패드 (14) 에 입력하여 등록한다. 핀패드 (14) 의 공장 출하시에, 컴포넌트 데이터의 수, 각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위한 개별의 패스워드, 각 컴포넌트 데이터의 값, 및, 각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체크 밸류가 지정되고, 각각이 인쇄된 종이가 봉입된 봉투가 상기 거래 장치 (10) 의 각 오퍼레이터에게 전달된다.
이 경우,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컴포넌트 데이터는 미리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개개의 컴포넌트 데이터가 각각의 오퍼레이터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마스터키의 생성이 시작되면, 각 오퍼레이터는 각각의 시간에 핀패드 (14) 를 조작하여, 각각에 전달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해서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실행한다. 또한,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순서는 모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에 대해 동일하다. 또, 각 오퍼레이터는 제어부 (11) 에 프로그램이 내장된 가이던스에 따라,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동작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이 시작되면, 먼저, 오퍼레이터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를 조작하여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행한다.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은 경우, 정확하게 행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가 되면,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내용의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행해진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를 조작하여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상기 핀패드 (14) 는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계산을 하여 체크 밸류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생성된 체크 밸류가 표시된다. 동시에, 상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맞으면 확인 버튼, 잘못되었다면 정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등의 오퍼레이터에게 확인을 재촉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러면, 상기 오퍼레이터는 표시된 체크 밸류와 미리 전달된 체크 밸류를 비교해 보아,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즉, 오퍼레이터에 의한 체크 밸류의 육안 확인이 행해진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가 구비하는 확인 버튼을 누르고,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가 구비하는 정정 버튼을 누른다. 즉, 확인 또는 정정을 누른다. 여기서, 정정을 누른 경우에는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다시 행해지고, 이후의 동작이 반복된다.
또, 확인을 누른 경우에는 핀패드 (14) 는 체크 밸류의 확인이 정확하게 행해진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잘못된 체크 밸류, 예를 들어,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보다 1 항 (자리수) 적은 값의 체크 밸류를 LCD (15) 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다. 동시에, 상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재확인입니다. 맞으면 확인 버튼, 잘못되었으면 정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등의 오퍼레이터에게 재확인을 재촉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러면, 상기 오퍼레이터는 다시, 표시된 체크 밸류와 미리 전달된 체크 밸류를 비교해 보아,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즉, 오퍼레이터에 의한 체크 밸류의 육안 확인이 다시 행해진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가 구비하는 확인 버튼을 누르고,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가 구비하는 정정 버튼을 누른다. 즉, 확인 또는 정정의 누름이 다시 행해진다. 또한, 이번에는, 일부러 잘못된 체크 밸류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확인을 누른 경우에는 상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다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해 주세요.」 등의 오퍼레이터에게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다시 행할 것을 재촉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이루어지고, 이후의 동작이 반복된다.
또, 정정이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생성된 체크 밸류가 표시되고,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계산을 하여 생성된 체크 밸류가 표시된다. 동시에, 상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재확인입니다. 맞으면 확인 버튼, 잘못되었으면 정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등의 오퍼레이터에게 재확인을 재촉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러면, 상기 오퍼레이터는 다시, 표시된 체크 밸류와 미리 전달된 체크 밸류를 비교해 보아,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즉, 오퍼레이터에 의한 체크 밸류의 육안 확인이 다시 행해진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가 구비하는 확인 버튼을 누르고,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가 구비하는 정정 버튼을 누른다. 즉, 확인 또는 정정의 누름이 다시 행해진다. 여기서, 정정이 눌려진 경우에는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다시 이루어지고, 이후의 동작이 반복된다.
또, 확인이 눌려진 경우, 핀패드 (14) 는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여, 컴포넌트 데이터가 등록된다. 즉, 일련의 3 회의 확인을 거쳐 컴포넌트 데이터가 등록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한 명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이 종료되면, 다른 오퍼레이터에 의한 다른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한다.
다음으로, 플로우 차트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21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행해지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인지, 또는, NG 인지를 판단한다.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인 경우에는 단계 S22 로 진행되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NG 인 경우에는 다시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행한다.
단계 S22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행해진다.
단계 S23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단계 S24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생성된 체크 밸류가 표시된다.
단계 S25 오퍼레이터에 의한 체크 밸류의 육안 확인이 행해진다.
단계 S26 확인을 누를지, 또는, 정정을 누를지를 판단한다. 확인을 누르는 경우에는 단계 S27 로 진행되고, 정정을 누른 경우에는 단계 S22 로 되돌아간다.
단계 S27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잘못된 체크 밸류가 표시된다.
단계 S28 오퍼레이터에 의한 체크 밸류의 육안 확인이 다시 행해진다.
단계 S29 확인을 누를지, 또는, 정정을 누를지를 판단한다. 확인을 누르는 경우에는 단계 S22 로 돌아오고, 정정을 누른 경우에는 단계 S30 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 표시 화면에 생성된 체크 밸류가 표시된다.
단계 S31 오퍼레이터에 의한 체크 밸류의 육안 확인이 다시 행해진다.
단계 S32 확인을 누를지, 또는, 정정을 누를지를 판단한다. 확인을 누르는 경우에는 단계 S33 으로 진행되고, 정정을 누르는 경우에는 단계 S22 로 되돌아간다.
단계 S33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여,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할 때에, 체크 밸류의 확인을 복수 회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잘못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잘못된 마스터키의 생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동작 및 동일한 효과에 대해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동작 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래 장치 (10) 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고객이 거래 장치 (10) 를 조작하여 거래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마스터키 생성 처리의 동작은 「배경 기술」 의 항에 있어서 설명한 도 3 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나는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핀패드 (14) 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그 핀패드 (14) 를 거래 장치 (10) 에 접속하거나 장착할 때에,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열쇠 컴포넌트 데이터로 불리는 숫자열인 컴포넌트 데이터를 핀패드 (14) 에 입력하여 등록한다. 핀패드 (14) 의 공장 출하시에, 컴포넌트 데이터의 수, 각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위한 개별의 패스워드, 각 컴포넌트 데이터의 값, 및, 각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체크 밸류가 지정되고, 각각이 인쇄된 종이가 봉입된 봉투가 상기 거래 장치 (10) 의 각 오퍼레이터에게 전달된다.
이 경우,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컴포넌트 데이터는 미리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개개의 컴포넌트 데이터가 각각의 오퍼레이터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마스터키의 생성이 시작되면, 각 오퍼레이터는 각각의 시간에 핀패드 (14) 를 조작하여 각각에 전달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해서,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실행한다. 또한, 그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순서는 모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에 대해 동일하다. 또, 각 오퍼레이터는 제어부 (11) 에 프로그램이 내장된 가이던 스에 따라,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동작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이 시작되면, 먼저, 오퍼레이터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를 조작하여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행한다.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은 경우, 정확하게 행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가 되면,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내용의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를 조작하여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그러면, 상기 핀패드 (14) 는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계산을 하여 체크 밸류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미리 전달된 체크 밸류를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내용의 체크 밸류 입력 유도 표시가 행해진다.
그러면, 상기 오퍼레이터는 체크 밸류의 입력을 행한다. 이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는 미리 전달된 체크 밸류, 즉, 핀패드 (14) 의 공장 출하시에 지정된 체크 밸류를 핀패드 (14) 의 입력 조작부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계속해서, 핀패드 (14) 는 체크 밸류의 비교를 행하여,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와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체크 밸류를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 핀패드 (14) 는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 록을 행하여,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종료한다. 이 경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라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 일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 핀패드 (14) 는 소정 횟수 반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와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체크 밸류의 불일치가 연속해서 소정 횟수, 예를 들어, 3 회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소정 횟수 반복된 경우에는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지 않고,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종료한다. 또, 소정 횟수 반복되지 않은 경우, 즉,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와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체크 밸류의 불일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LCD (15) 의 표시 화면에 「컴포넌트 데이터를 다시 입력해 주세요.」 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또한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다시 이루어진 이후의 동작이 반복돤다.
다음으로, 플로우 차트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41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행해지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인지 또는 NG 인지를 판단한다.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OK 인 경우에는 단계 S42 로 진행되고,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이 NG 인 경우에는 다시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처리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행한다.
단계 S42 컴포넌트 데이터 입력 유도 표시가 행해진다.
단계 S43 컴포넌트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단계 S44 체크 밸류 입력 유도 표시가 행해진다.
단계 S45 체크 밸류 입력을 행한다.
단계 S46 체크 밸류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체크 밸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8 로 진행되고, 체크 밸류가 일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47 로 진행된다.
단계 S47 체크 밸류의 불일치가 소정 횟수 반복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체크 밸류의 불일치가 소정 횟수 반복된 경우에는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종료하고, 체크 밸류의 불일치가 소정 횟수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2 로 되돌아간다.
단계 S48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여,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스터키를 생성하기 위한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핀패드 (14) 의 공장 출하시에 지정된 체크 밸류를 입력하고, 그 체크 밸류가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컴포넌트 데이터를 처음부터 다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잘못된 컴포넌트 데이터의 등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잘못된 마스터키의 생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핀패드, IC 카드 판독기 등과 같은, 컴포넌트 데이터 및 비밀 번호의 등록이 필요한 단말에 적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거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는 종래의 핀패드의 입력 조작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종래의 마스터키 생성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 는 종래의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서브 루틴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데이터 등록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부호의 설명
10 : 거래 장치
14 : 핀패드
15 : LCD

Claims (6)

  1. (a) 비밀 번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암호화에 필요한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 및,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조작부를 구비한 비밀 번호 입력 장치와,
    (b)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위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상위 장치에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거래를 행하는 거래 장치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의 체크 밸류 확인 방법으로서,
    (c)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복수 회 행해지면,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류 확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행해지면,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잘못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의 확인이 행해진 후에, 다시,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행해지는, 체크 밸류 확인 방법.
  3. (a) 비밀 번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암호화에 필요한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 및,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조작부를 구비한 비밀 번호 입력 장치와,
    (b)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위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상위 장치에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거래를 행하는 거래 장치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의 체크 밸류 확인 방법으로서,
    (c)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가 생성되면,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가 일치하면,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류 확인 방법.
  4. (a) 비밀 번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암호화에 필요한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 및,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조작부를 구비한 비밀 번호 입력 장치와,
    (b)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위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상위 장치에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거래를 행하는 거래 장치를 갖는 체크 밸류 확인 장치로서,
    (c)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복수 회 행해지면,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류 확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행해지면,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잘못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의 확인이 행해진 후에, 다시,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와 일치하는 것의 확인이 행해지는, 체크 밸류 확인 장치.
  6. (a) 비밀 번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암호화에 필요한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 수단,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를 생성하는 체크 밸류 생성 수단, 및, 상기 컴포넌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조작부를 구비한 비밀 번호 입력 장치와,
    (b)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위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상위 장치에 암호화된 비밀 번호를 송신하여 거래를 행하는 거래 장치를 갖는 체크 밸류 확인 장치로서,
    (c)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컴포넌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체크 밸류가 생성되면,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와 미리 생성된 체크 밸류가 일치하면, 상기 입력된 컴포넌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체크 밸류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류 확인 장치.
KR1020080081152A 2007-11-28 2008-08-20 체크 밸류 확인 방법 및 장치 KR101016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306830 2007-11-28
JP2007306830A JP2009130882A (ja) 2007-11-28 2007-11-28 チェックバリュー確認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461A true KR20090055461A (ko) 2009-06-02
KR101016584B1 KR101016584B1 (ko) 2011-02-22

Family

ID=4074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152A KR101016584B1 (ko) 2007-11-28 2008-08-20 체크 밸류 확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130882A (ko)
KR (1) KR101016584B1 (ko)
CN (2) CN102306418A (ko)
TW (1) TWI3730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2592B (zh) * 2011-07-21 2017-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可信计算的密钥备份和迁移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491B2 (ja) * 1987-08-17 1997-02-05 沖電気工業 株式会社 カ−ド発行方式
WO1996033565A1 (en) * 1995-04-21 1996-10-24 Certicom Corp. Method for signature and session key generation
JP3578237B2 (ja) * 1995-12-27 2004-10-20 日本信販株式会社 カードの正当性確認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カードの正当性確認方法
AU2297497A (en) * 1996-03-22 1997-10-17 Activcard Function acc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lock synchronisation device
JPH1125233A (ja) * 1997-02-07 1999-01-29 Oki America Inc Icカード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NZ535428A (en) * 2002-04-03 2006-08-31 Swivel Secure Ltd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credit and debit card transactions using dynamic random CVV2 code to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O2004017255A1 (ja) * 2002-08-16 2004-02-26 Fujitsu Limited 取引端末装置および取引端末制御方法
US6961852B2 (en) * 2003-06-19 2005-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software using hidden intermediate keys
CN100456669C (zh) * 2003-09-22 2009-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进行组密钥分发的方法
JP4537772B2 (ja) * 2004-06-16 2010-09-08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クシステム
KR20060065271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입력값 체크 방법
US7822200B2 (en) * 2005-03-07 2010-10-2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symmetric key security
CN100531027C (zh) * 2005-07-28 2009-08-19 深圳兆日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安全环境的密钥移植方法
KR20070021644A (ko) * 2005-08-19 2007-02-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비밀번호 재입력 방법
JP2007122417A (ja) * 2005-10-28 2007-05-17 Bank Of Tokyo-Mitsubishi Ufj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67125B2 (ja) * 2007-11-06 2012-11-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取引装置及び該取引装置におけるデータ入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584B1 (ko) 2011-02-22
TWI373016B (en) 2012-09-21
TW200923864A (en) 2009-06-01
CN102306418A (zh) 2012-01-04
CN101447104B (zh) 2011-11-30
JP2009130882A (ja) 2009-06-11
CN101447104A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3601A (en) Electronic-monetary system
JP5830227B2 (ja) 代行収納システム及び代行収納方法
JP4807019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自動取引装置、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自動取引方法
JP5088015B2 (ja) 自動取引装置
JP4735154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4999288B2 (ja) 自動取引装置
KR100968393B1 (ko) 거래 장치 및 그 거래 장치에서의 데이터 입력 방법
KR101016584B1 (ko) 체크 밸류 확인 방법 및 장치
JP5051993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6209423A (ja) 自動取引装置
JP2018142036A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プログラム
JP4770081B2 (ja) 自動販売機、管理装置、自動販売機の商品販売システム
JP5488288B2 (ja) 自動取引装置
JP5223415B2 (ja) 銀行振込中継システム
KR20080107252A (ko) 자동거래장치 및 자동거래 시스템
JP5061801B2 (ja) 自動取引装置認証切替システム
JP2006011919A (ja) 不正取引通知システム
CZ25452U1 (cs) Zapojeni pro výběr finanční hotovosti
JPH027104B2 (ko)
JP2008158866A (ja) 自動取引装置
JP2008242783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