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959A - 교정용 인조젖꼭지 - Google Patents

교정용 인조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959A
KR20090054959A KR1020097001649A KR20097001649A KR20090054959A KR 20090054959 A KR20090054959 A KR 20090054959A KR 1020097001649 A KR1020097001649 A KR 1020097001649A KR 20097001649 A KR20097001649 A KR 20097001649A KR 20090054959 A KR20090054959 A KR 2009005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orthodontic appliance
integrated
oral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에이. 테시니
조슈아 위즈맨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에이. 테시니
조슈아 위즈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459,962 external-priority patent/US773173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1/755,050 external-priority patent/US7883530B2/en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에이. 테시니, 조슈아 위즈맨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에이. 테시니
Publication of KR2009005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7Details; Accessories therefor having specific orthodon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angled, e.g. in respect to the bo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Teats having orthodontic properties, e.g. for promoting correct teeth develo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5Nippl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4Cool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통합된 교정 기능을 갖는 구강내 교정용 인조젖꼭지 기구(100)가 개시된다. 상기 기구(100)는 통합된 교정 메카니즘을 갖는다. 벌브(103)는 어린아이가 이를 빨아들임에 따라 상방으로 팽창하거나 가변되며 또한 외측으로 팽창하여 빨기 또는 빠는 행위에 의해 기인하는 뺨 및 입술들의 측부의 내측으로의 압력에 반작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교정용 기구(100)를 포함하는 제품들 및 마찬가지로 어린 아이의 유치열에서의 특정의 부정교합의 억제 및 처치에서 상기 교정용 기구(100) 및 상기 교정용 기구(100)를 포함하는 제품들을 사용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인조젖꼭지, 벌브, 팽창, 부정교합, 유치열, 구개, 치조융기, 교정용 기구

Description

교정용 인조젖꼭지 {ORTHODONTIC PACIFIER/NIPPLE APPLIANCE}
본 발명은 교정용 인조젖꼭지 기구(orthodontic pacifier/nipple applian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합된 교정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인조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손가락, 엄지손가락 및/또는 인조젖꼭지(pacifier)의 연속적이거나 또는 지속되는 비영양적 빨기(non-nutritive sucking)는 구치부 반대교합(posterior crossbites) 또는 전방 개교합(anterior open bites)의 위험성들을 생성하고, 상치돌출(overjet) 및 2급 부정교합(Class II canine) 및 대구치 관계(molar relationships)들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더글러스(Douglass, C. (ed).)의 Oral Care Report 15(2): 4 (2005) 및 오가르드(Ogaard, B.), 라르손(Larsson, E.) 및 린드스텐(Lindsten, R.)의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06: 161-166 (1994)들을 참조하시오. 유치열(primary dentition) 내에서의 구치부 반대교합은 인조젖꼭지의 비영양적 빨기의 가장 흔한 결과들 중의 하나이다. 비영양적 빨기 습관을 갖는 어린이들의 6 내지 12%가 구치부 반대교합으로 발달한다는 것이 연구들에 의해 입증되었으며, 이 빈도는 24 내지 36개월의 나이가 되도록까지 인조젖꼭지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에서는 대략 13%까지 증가된다. 워렌과 그 의 동료들(Warren, JJ., et al.)의 Am. J. Ortho Dentofacial Orthip. 121 : 347- 356 (2002) 및 워렌과 그의 동료들(Warren, J.J., et al.)의 JADA 132: 1685-1693 (2001)들을 참조하시오. 반대교합은 상악동 협색(maxillary arch constriction)에 의해 야기되는 가로상의 상-하악 불일치(transverse maxillo-mandibular discrepancy)이다. 상악궁 협색은 어린이가 손가락 또는 인조젖꼭지 벌브(pacifier bulb)를 빨아들임에 따라 혀의 하강 및 볼(cheek)의 협색으로부터 일어나는 볼들 및 입술들의 측방부의 내측으로의 압력의 결과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미국소아과협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AAP)의 최근 정책은 적어도 12개월까지의 나이에서의 인조젖꼭지의 사용을 권고하고 그리고 영아급사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 SIDS)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영아들을 인조젖꼭지를 사용하여 재우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 미국소아과협회(AAP)의 Policy: Pediatrics 116(5): 1245-1255 (2005)를 참조하시오. 인조젖꼭지들은 또한 통상적으로 보다 나이가 많은 어린이들에 의해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의 미국소아과협회의 추천은 1살 이후까지의 권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소아과협회에 의한 이러한 최근의 안내에 따라, 인조젖꼭지 사용의 빈도와 마찬가지로 그 결과의 교정의 여병(orthodontic complications)을 또한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비록 인조젖꼭지 사용이 특정한 건강 상 잇점들을 갖기는 하나, 사용의 기간은 부정교합(malocclusions)의 발달에 대하여 지수적인 영향(exponential effect)을 갖는다. 이른 연령에서의 부정교합의 교정(correcting) 및/또는 예방은 비정상적인 구-근기능(oro-myofunction)에 의해 복잡하게 되는 장래의 구강안면상의 부조화(orofacial disharmonies)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인조젖꼭지 사용으로부터 야기되는 상악동 협착을 저해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이 유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정용 인조젖꼭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구는 인조젖꼭지, 젖꼭지, 병 또는 유사한 구강내 기구(intraoral appliance)(예를 들면, 수더(soother) 또는 티써(teether) 등과 같은 깨무는 장난감) 내로 통합된 교정 수단을 제공하는 데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교정용 기구들 및 상기 교정용 기구들을 포함하는 제품들을 어린아이들의 유치열 내에서의 부정교합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기구들 및 상기 교정용 기구들을 포함하는 제품들을 사용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교정용 기구들을 포함하는 제품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저부(base portion), 어린이가 벌브(bulb)를 빨아들임에 따라 팽창되도록 하는 통합된 교정수단(integrated orthodontic means)을 갖는 벌브부(bulb portion) 및 상기 기저부와 상기 벌브부를 연결하는 목부(neck portion)를 포함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intraoral orthodontic appliance)를 특징으로 한다. 어린이에 의하여 빨아들이는 힘(sucking force)은 상기 벌브부의 전방의 압축에 의하여 상기 교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벌브의 측벽들의 팽창에 의해 외측으로 그리고 상방으로 힘을 재지향(redirect)시키도록 하고, 그에 의하여 구개(palate), 치조융기(alveolar ridge) 및/또는 치아들에 대하여 압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벌브부는 친근한 형상(shape), 외양(appearance) 및 느낌(feel)을 갖는다. 상기 통합된 교정수단은 상기 벌브 재질 내로 전체적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상기 벌브 재질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힘의 재지향은 상기 벌브의 측벽들의 팽창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합된 교정수단은 통상의 벌브 디자인과 비교하여 상기 벌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벽들의 곡률(curvature)의 변경 및/또는 통상의 벌브 디자인과 비교하여 상기 벌브 벽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들의 두께의 변경 및/또는 상기 벌브 벽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들이 상기 벌브 벽들의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경도 물질(durometer material)로 구축되는 상기 벌브의 다중흐름 구조(multiflow construction) 및/또는 상기 벌브의 벽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들의 내측 상에의 늑재붙이기(ribbing)의 통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늑재붙이기는 상기 벌브의 상부벽(upper wall) 내로 통합되는 조직(tex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브는 통상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편원(oblate)의 형상이거나 또는 체리(cherry)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실드(shield)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씹는 기구(teething device)로서의 사용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벌브는 액체 또는 젤(gel)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기구는 사용 전에 냉각되거나 동결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예를 들면 인조젖꼭지로서 또는 수유 젖꼭지(feeding nipple)로서의 사용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서 이는 액체의 통과를 위한 개방통로(open channel) 또는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밸브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기구를 포함하는 유아용품(baby product)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서 상기 용품은 병의 젖꼭지(bottle nipple), 병, 인조젖꼭지, 티씽기구(soothing device) 또는 수더 및 수유기구(feeding device)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기구는 혀-방지 코팅 넥(anti-tongue coating neck), 입돌출-방지 립 넥(anti-pout lip neck) 및 외부 티씽 조직(external teething texture)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적응품(external adaptations)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어린아이의 유치열 내에서의 특정의 부정교합을 억제하거나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법은 특정의 부정교합의 억제 또는 개선을 필요로 하는 어린아이에게 기저부, 어린이가 벌브를 빨아들임에 따라 팽창되도록 하는 통합된 교정수단을 갖는 벌브부 및 상기 기저부와 상기 벌브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를 포함하는 제품을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어린이에 의하여 빨아들이는 힘이 상기 벌브부의 전방의 압축에 의하여 상기 교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벌브의 측벽들의 팽창에 의해 외측으로 그리고 사앙으로 힘을 재지향시키도록 하고, 그에 의하여 입천장, 치조융기 및/또는 치아들에 대하여 압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상기 벌브부가 친근한 형상, 외양 및 느낌을 가지며, 또한 여기에서 상기 기구의 적용이 어린아이의 유치열에서의 특정의 부정교합을 억제하거나 또는 개선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및 잇점들이 이하의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당해 기술부냥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g들은 각각 본 발명의 교정 인조젖꼭지 기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구체예의 측면도(도 1a), 평면도(도 1b), 배면도(도 1c), 수직단면도(도 1d), 두 수평단면도(도 1e 및 도 1f) 및 부분확대단면도(도 1g)들이며, 여기에서 그 크기는 대략 12 내지 18개월의 연령의 어린아이들에게 적용되는 사이즈 3(size 3)으로 적용되었다.
도 1h 내지 도 1n들은 각각 이러한 동일한 사이즈 3의 구체예의 측면도(도 1h), 평면도(도 1i), 배면도(도 1j), 기저부의 배면도(도 1k), 벌브부의 배면도(도 1l), 상부 사시도(도 1m), 하부 사시도(도 1n)들이다.
도 2a 내지 도 2f들은 각각 본 발명의 상기 제1구체예 보다 작은 크기의 측면도(도 2a), 평면도(도 2b), 배면도(도 2c), 수직단면도(도 2d), 수평단면도(도 2e) 및 부분확대단면도(도 2f)들이며, 여기에서 그 크기는 대략 6 내지 12개월의 연령의 어린아이들에게 적용되는 사이즈 2로 적용되었다.
도 2g 내지 도 2m들은 각각 이러한 동일한 사이즈 2의 구체예의 측면도(도 2g), 평면도(도 2h), 기저부의 배면도(도 2i), 저면도(도 2j), 벌브부의 배면도(도 2k), 상부 사시도(도 2l) 및 하부 사시도(도 2m)들이다.
도 3a 내지 도 3f들은 각각 본 발명의 상기 제1구체예 보다 작은 크기의 측면도(도 3a), 평면도(도 3b), 배면도(도 3c), 수직단면도(도 3d), 수평단면도(도 3e) 및 부분확대단면도(도 3f)들이며, 여기에서 그 크기는 탄생 후 부터 대략 6개 월의 연령의 영아들에게 적용되는 사이즈 1로 적용되었다.
도 3g 내지 도 3m들은 각각 이러한 동일한 사이즈 1의 구체예의 측면도(도 3g), 평면도(도 3h), 기저부의 배면도(도 3i), 저면도(도 3j), 벌브부의 배면도(도 3k), 상부 사시도(도 3l) 및 하부 사시도(도 3m)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들은 각각 본 발명의 제2구체예의 배면도(도 4a), 수직단면도(도 4b), 수평단면도(도 4c)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들은 각각 가역가능한, 체리 형상의 인조젖꼭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구체예의 두 배면도들(도 5a 및 도 5b), 수직단면도(도 5c) 및 수평단면도(도 5d)들이다.
도 6은 벌브의 상부측면 및 하부측면 둘 다의 내부에 리브들을 갖는 가역가능한, 체리 형상의 인조젖꼭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수유를 허용하도록 개방밸브 또는 통로를 포함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벌브의 상부 및 하부들 모두의 내부에 리브들을 갖는 가역가능한, 체리 형상의 인조젖꼭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의 개략적인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단일의 통합리브(integral rib)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의 개략적인 수직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상기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들은 각각 "벨로우즈(bellows)" 형의 통합팽창 메카니즘(integral expansion mechanism)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의 측면도(도 9a) 및 단면도(도 9b)들인 반면에, 도 9c는 팽창된 후의 벌브의 벽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들은 각각 빠는 동작 동안에 본 발명의 인조젖꼭지에 대하여 혀의 힘(tongue force)이 적용되는 위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도 10a) 및 그 결과 혀의 힘의 적용 후 팽창되는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도 10b)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구가 혀의 연동운동(tongue peristalsis) 하에서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구체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들은 각각 벌브 팽창을 야기하는 통합된 내부 메카니즘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사시단면도(12a), 평단면도(12b) 및 길이방향의 측단면도(12c)들이다.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교정용 인조젖꼭지 기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구의 벌브부는 독특한 디자인 및 메카니즘의 작용의 결과로서 지정된 영역(designated areas)들에서 팽창되어 개개인의 구개에 대하여 측방압력(lateral pressure)을 일으킨다. 그 결과의 측방압력은 어린아이가 전통적인 병의 젖꼭지 또는 인조젖꼭지 벌브를 빠는 경우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볼들 및 입술들의 측방부의 내측으로의 압력에 의해 야기되는 상악동 협색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기구들은 상악 구개(maxillary palate)에 대한 조여지는 내측 힘들 및 팽창하는 외측 힘들의 구-근 균형(oro-muscular balance)을 유지한다.
입 안에 대상물(예를 들면, 인조젖꼭지, 엄지손가락, 손가락 등)이 없는 경우, 혀는 자연적으로 입 안에서 치조융기 및 치아들에 대하여 정의 압력(positive pressure)을 가하게 된다. 이 정의 압력은 상기 치조융기들의 폭의 팽창과 마찬가지로 치아들의 견치간(inter-canine) 및 대구치간(inter molar) 거리 성장을 촉진한다. 그러나 어린아이가 대상물(예를 들면 인조젖꼭지의 벌브 또는 엄지손가락 또는 손가락 등)을 빠는 경우, 혀가 압축되고 그리고 상기 대상물은 구개에 대해 압력을 가하여 입천장(roof of the mouth)의 정중선(midline) 쪽으로 부의 압력(negative pressure)을 야기하여 치아들 및 치조융기들, 특히 상부 젖니들(upper deciduous)의 견치들 및 대구치들에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부의 압력은 상기 치조융기들과 마찬가지로 상악의 거리의 성장에 역영향(adverse effect)을 끼쳐 부정교합 및 좁은 상악(narrow upper jaw)의 결과를 가져오는 외측으로의 자연적인 성장 및 턱 팽창(jaw expansion)을 방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기구에서의 벌브 팽창은 빨기 그 자체 및/또는 빠는 작용 동안의 혀의 움직임에 기인하여 팽창을 야기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된다. 여러 가능한 수단이 제공된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팽창은 혀 또는 입의 힘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적절한 위치들에로 지향 또는 재지향시키는 인조젖꼭지의 벌브의 내측에 통합된 늑재붙이기의 존재의 결과이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팽창은 벌브의 특정영역들 내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벽의 형상(들) 및/또는 벽의 두께(들)의 적응들의 존재의 결과이다. 이러한 적응들은 힘들을 재지향시켜 어린아이가 상기 기구를 빨 때 상기 벌브를 측방향으로 팽창시키도록 한다. 힘들은 입의 구개의 내측에 대향하여 상기 벌브의 외측벽들쪽으로 재지향되고, 따라서 빨기로부터 야기되는 내측으로의 힘들에 반작용하게 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벌브의 크기, 형상, 구조 및/또는 두께들이 상기 늑재붙이기와 결합되어 빠는 힘들을 상기 인조젖꼭지 상으로 재지향시켜 상기 수단을 달성하도록 한다. 상기 벌브의 압축 및 그 결과의 상기 벌브 내의 유체의 압축(전형적으로는 공기)은 또한 팽창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 용어 "늑재붙이기"는 상기 인조젖꼭지의 벌브 벽 내로 전체적으로나 또는 부분적으로나 통합된 임의의 부가의 조직적인 특징(textured feature)이며, 여러 형상들, 배치들, 형태들 및/또는 두께들로 존재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늑재붙이기는 하중 하에서의 상기 벌브의 굴성(flex) 및 운동을 변화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벌브 내에 존재하는 늑재붙이기를 포함하는 한편으로 늑재붙이기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상들(예를 들면, 형상, 배치, 형태, 두께 등)은 변형될 수 있다. 형상, 배치, 형태, 두께 또는 사용된 물질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늑재붙이기는 주 벌브와는 다른 물질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더우기, 상기 벌브 벽 내로 통합되는 늑재붙이기를 갖는 단일의 영역을 통하여 늑재붙이기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점들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3개의 서로 다른 크기들의 구체예들을 도 1 내지 도 3들에 각각 나타내었다. 인조젖꼭지(100)는 개개인의 입 안에 위치되는 벌브부(103) 및 목부(102) 그리고 입 밖에 위치되는 기저부(101)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전형적인 인조젖꼭지는 약 1.25㎜의 벽두께를 가지며, 하부벌브벽(108)은 편평하거나 또는 대체로 오목한 한편으로 상부벌브벽(106)은 대체로 볼록하다. 본 발명의 이 구체예에 있어서, 하부벌브벽(108)(빠는 작용 동안에 혀에 의해 충격되는 부분) 및 상부벌브벽(106)(구개 상 또는 그 근처에 놓여지는 부분)들은 두께에 있어서 약 1.5㎜로 증가되며, 따라서 이들 부분들이 더 단단하게 되도록 만든다. 또한, 벽(108)이 볼록한 형태를 갖도록 적용되고, 그에 따라 전형적인 인조젖꼭지들은 가장 약한 힘 아래에서 절첩되는 얇고(약 1.0㎜) 편평한 전방/하부벽(front/lower wall)을 갖는다.
벌브측면(109a 및 109b)들은 전형적인 1.25㎜의 두께를 유지하며, 이는 이들을 각각 하부벽(108) 및 상부벽(106)들 보다 약간 더 약하게 만든다. 상기한 두께 및 형상들의 결과로서, 영역(108)이 혀에 의해 영역(106) 쪽으로 대체로 상방으로 밀려지는 경우, 그 힘은 종전의 설계들에서와 같이 전적으로 상방으로 분포되기 보다는 오히려 보다 바깥 방향으로 분포된다. 이는 벌브측면(109a 및 109b)들의 측방향 팽창을 야기한다. 상기 측방향 팽창은 벽(106)의 상부를 더 단단하게 만드는 벽(106)의 내측면 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브(107)들(본 구체예에서는 3개)에 의해 보조된다. 리브(107)들의 단부들은 대체로 원위단부(111)로부터 목부(102) 쪽으로 측면(109a, 109b)들의 내측 곡면을 따라 진행되어, 혀의 압력으로 인하여 외측으로 팽창하는 상기 측면영역(109a, 109b)들을 구별하도록 한다. 대체로 입천장에 긴밀하게 들어맞도록 상부영역(106)의 곡률과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측면(109a, 109b)들은 치조융기를 측방으로 가압한다. 늑재붙이기의 존재는 상기 늑재붙이기가 이루어진 영역에 강성(rigidity)을 부여하여 빨기의 결과로 힘 이 벌브의 전방/하부 벽(108)에 적용됨에 따라 측방으로의 힘들의 재지향을 야기하며, 상기 벌브의 측방향 팽창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계속해서 상기 벌브의 측면들은 힘의 적용에 따라 구개를 위로 밀어올리고 그리고 바깥으로 밀어낸다.
도 1 내지 도 3들은 각각 본 발명의 구체예의 사이즈 3, 사이즈 2 및 사이즈 1이라는 특정의 관점들에서의 크기들 및 곡률의 반경을 ㎜의 단위로 나타내고 있다. 대체로, 보다 작은 크기의 인조젖꼭지들은 다른 크기 및 형상의 벌브들을 가져 미발달된 구강 생리(oral physiology)를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벽(108)은 대체로 10.5㎜와 같이 작거나 또는 그 보다 더 큰 곡률의 반경을 갖는 구의 형상(spherical shape)을 가져 볼록함(convexity)을 증대시킨다. 대체로, 벽(108)의 보다 큰 볼록함은 상기 벌브에 대한 보다 큰 측방향 팽창을 유도할 수 있으나, 혀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상기 벽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108)의 두께는 증가되어야 한다.
벽(108)의 곡률은 또한 벽(108)을 둘러싸는 영역들의 곡률의 반경에 의존적이다. 도 1에 나타낸 사이즈 3의 구체예에 있어서, 하부 곡률반경(RA, 도 1d)은 약 5㎜이고, 상부 곡률반경(RB)은 약 3㎜이다. RA가 증가함에 따라 RB는 감소하며, 벽(108)의 전체 볼록함은 마찬가지로 증가할 수 있고, 그리고 RA가 감소함에 따라 RB는 증가하며, 벽(108)의 볼록함은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그리고 도 1 내지 도 3들의 도면들에 묘사된 것들로부터 이들 위치들에서의 곡률의 반경에 있어서 약 50% 정도로 크게 되도록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극단적으로, 혀의 패드(tongue pad)(108)의 형상은 반경 RA 및 RB들을 갖는 영역들을 연결하는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으로 기술될 수 있다.
상부벽(106)은 상부 구개(top palate)에 들어맞거나 또는 근사한 편평화된 곡면(flatted curve)이며, 전형적으로 원위부(111), 측면(109a 및 109b)들 그리고 RA로 정의되거나 또는 영향을 받는 곡률의 반경을 갖는다. 벽(106)의 윤곽(profile)은 정확하게 원형의 대칭(circular radius)은 아니며, 오히려 각이 진 변화(lofted transition)를 갖는다. 리브(107)들은 인조젖꼭지(100) 내에 일체로 주조되며, 약 2㎜의 폭과 약 1㎜의 높이이다. 이들 리브들은 벽(106)의 늑재붙이기의 강성도(stiffness)를 더 증가시키고, 이는 영역(109a 및 109b)들의 팽창에 기여한다.
상기 벌브의 형상을 한정하는 곡률반경이 조정되어 팽창 및 전이되는 힘들의 변위를 최적화하도록 하여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어진 곡률반경은 상부 구개에 대해 보다 더 인간공학적으로 놓여지는 한편으로 혀의 접촉 영역을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혀의 패드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벌브 형상의 결과를 가져오는 구체예들이다. 벽 두께는 필요한 만큼 변화되어 특정의 힘의 재지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볼록한 혀의 패드 영역은 보다 더 볼록하게 만들어져서 보다 큰 팽창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 설계의 교정용 처치의 구체예는 또한 초-팽창 잠재성(super-expansion potential)을 갖는 측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영역들은 보다 큰 팽창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질 및/또는 서로 다른 구조, 예를 들면 절첩가능한 벨로우즈(collapsible bellows) 또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다른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내부의 늑재붙이기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들의 구체예들과 극히 유사한 다른 구체예(150)의 상세이다. 이 구체예는 상부벽 내의 물질의 두께에 의존하여 원하는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늑재붙이기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벌브의 영역은 상부 및/또는 바닥 영역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늑재붙이기는 마찬가지로 혀의 패드영역에 첨가될 수 있다. 늑재붙이기는 임의의 두께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벌브 전체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다. 늑재붙이기는 상기 벌브를 안정화시키고 그리고 힘들을 지향시키도록 하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이는 임의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두께의 변화 또는 물질들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리브들의 위치 및 리브들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들은 벌브 뒤틀림(bulb distortion)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역들은 보다 얇고 그리고 보다 유연한 물질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더 한 지지를 위한 늑재붙이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조젖꼭지는 늑재붙이기, 크기, 형상 및 벽 두께 및/또는 곡률에서의 변경 등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벌브 적용들의 서로 다른 특징들의 결합에 의하여 서로 다른 힘들을 전달(예를 들면, 입 안에서의 특정의 위치들에로의 힘들의 적용)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는 상기 기구를 상기 벌브의 부분들이 어린아이들이 빨기를 행함에 따라 구개호선(palatal arch)에 대해 밀어내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되는 한편으로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는 상기 벌브의 부분들이 어린아이들이 빨기를 행함에 따라 상기 구개호선에 대해 밀어올리고 그리고 밀어내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힘들의 크기는 원하는 결과들에 따라 결정되고 그리고 변경될 수 있다.
특정의 증후군들을 처치하기 위하여 기술된 기구로서, 팽창의 비율은 환자들의 요구들을 수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구강 내 압력 및 혀의 밀기로 인하여 항상 상향하는 힘이 존재한다.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특정한 메카니즘, 또는 그들의 물질들과의 조합이 선택될 수 있다. 재지향되는 힘의 크기는 빨기에 의해 유발되는, 내측으로 지향되는 힘들에 부분적으로나 또는 완전히 반작용되거나, 또는 심지어 초과하도록 하여 원하는 건강상 잇점을 달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연령 그룹들 및/또는 특정의 개개인들에 적용되는 가변될 수 있는 빨기 압력(힘)을 고려하는 적용들이 이루어져서 상기 힘이 적용된 압력에 따라 반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어린아이들에서 개시되기 시작한 부정교합을 처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산되는 힘의 크기가 빨기에 의해 유도된 힘들을 초과하도록 하여 설계되도록 하는 적용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도록 팽창 움직임의 위치 및/또는 정도가 설계될 수 있다. 제공된 설계 인자들은 부정교합을 개선하도록 하거나 또는 비영양적 빨기(예를 들면, 표준의 인조젖꼭지, 엄지손가락, 손가락 등)의 사용에 의해 야기되는 현존하는 문제점들을 교정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원하는 건강상의 잇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정의 연령의 어린아이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기구의 개발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반대교합을 나타내며, 현재 인조젖꼭지를 빨고 있는 어린아이에게 도 1 내지 도 3들의 구체예들을 변형시켜 상악 구치부 치아들(maxillary posterior teeth)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측방향으로 더 큰 힘을 지향시키는 팽창하는 벌브를 갖는 기구를 맞추어줄 수 있다.
인조젖꼭지 배치들의 여러 크기들 및 형상들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메카니즘들이 적용되고 그리고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통상의 인조젖꼭지 크기들 및 형상들이 본 목적을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특정의 연령 및 크기의 어린아이들에 대하여 필요한 적절한 힘의 분포를 제공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팽창 메카니즘(들)의 통합과 마찬가지로 인조젖꼭지 기구의 크기가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 내지 도 4들에서 나타낸 표준 형상, 체리/가역적인 형상(도 5) 또는 편구의 형상의 벌브(oblate shaped bulb)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통합된 메카니즘들이 임의의 스타일/형상의 벌브에서 유용하며, 따라서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구의 다른 용도들에는 젖병(baby bottles)들 및 유아용 시피컵(toddler sippy cups)들 상의 젖꼭지들이 포함된다. 부가적으로, 도면들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외부 형상들의 장래의 인조젖꼭지들도 여전히 본 발명의 상기 통합된 메카니즘/디자인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들의 구체예와 동일한 기계적인 원리들로 작동하는 대안의 구조를 도 5(늑재붙이기 무) 및 도 6(늑재붙이기 유)에 나타내었다. 도 5의 기구(300)는 도 1 내지 도 4들에서 앞서 기술한 적용들을 통합하는 체리/가역가능한 형상의 벌브를 포함한다. 본 구체 예에 있어서, 벌브(302)(도 5) 및 벌브(403)(도 6)들은 이들이 치조돌기(alveolar process)의 영역 내에서 상기 구개호선에 대해 상방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상기 벌브의 상부벽 및 바닥벽들에서의 증가된 벽 두께(실질적으로 벽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거나 및/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늑재붙이기(404)를 가하는 것에 의하거나) 및 높이는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제공하여 빨기에 의하여 힘이 상기 벌브의 전방에로 적용되는 경우에 보다 더 측방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오도록 한다. 앞서 기술된 설계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벽 두께 및 벽들의 곡률에서의 변화가 힘의 분배 및 재지향의 잇점을 부여한다.
도 6의 기구(400)는 벌브(403) 내에 늑재붙이기 패턴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형상이 가역적이기 때문에, 통합된 늑재붙이기(404)는 벌브(403)의 상부 및 바닥 둘 다의 위에 포함된다. 참조를 위하여, 베이스(401)와 목(402)을 또한 나타내었다.
또 다른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구는 수유젖꼭지(feeding nipple)로서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수유젖꼭지로서 도 6의 구체예의 적용의 예시적인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구체예에서의 상기 벌브는 상기 벌브의 상부 및 바닥 둘 다에 늑재붙이기(610)를 포함한다. 게다가, 개방통로(612)가 설계 내에 포함되어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한다. 대안의 적응들에 있어서, 인조젖꼭지는 상기 벌브의 단부(tip)에 밸브 또는 구멍을 포함하여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인조젖꼭지들 및 티씽기구들과 유사하게, 임의의 특정의 형태 또는 디자인이 수유젖꼭지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적 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는 상기 늑재붙이기 주제에 대한 변형을 고려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기구의 상기 벌브 내로 통합되는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도 8a는 이러한 변형 구체예(500)의 정면도를 그리고 도 8b는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 및 도 8b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크기가 큰 리브(501)가 벌브(502)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리브의 상단부의 단부(504, 506)들에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리브가 통합되지 않은 영역들에서는, 상기 리브와 상기 벌브 벽 사이에 작은 크기의 공간(예를 들면 약 1㎜)이 남겨져서 원하는 방향(다른 구체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방 및 외측)으로의 휨(flexion)을 허용하도록 한다. 비록 이 메카니즘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른 구체예들에 비하여 보다 큰 리브이기는 하나, 상기 메카니즘, 휨 및 상기 벌브 내에서의 힘의 방향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른 구체예들과 유사하게 기능한다.
도 9a 및 도 9b들은 상기 벌브의 측면들이 팽창하는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는 벌브(700)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벌브(700)는 벌브(700)의 각 측면 상에 하나씩 주름진, 어코디언-형 부분(accordion-like section)(704 및 706)을 갖는다. 부분(704 및 706)들은 빠는 동작 동안에 팽창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팽창은 벌브(700)가 혀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벌브(700)의 밀봉된 내부 내의 증가된 유체 압력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절첩된 부분들에서의 과량의 물질들과 함께 부분(704 및 706)들 내의 집중적인 절첩된 부분들에 의해 형성되는 벽의 약화는 상기 벌브가 혀에 의해 압축 됨에 따라 도 9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704 및 706)들이 외측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야기한다. 이러한 동일한 형태의 팽창은 다른 것들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구조들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장되는 물질(stretchier material)이 상기 주름(pleats) 대신에 부분(704 및 706)들 내에 위치되어 부풀어오르는 영역들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벌브의 내부는 상기 기구가 냉각되도록 하거나 또는 심지어 동결되도록 하여 치통(teething pain)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팽창 작용을 보조하도록 하는 액체 또는 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들이 본 발명의 벌브의 압축 및 팽창을 나타내고 있는 한편으로 도 11은 어떻게 상기 벌브가 혀의 연동운동 하에서 변형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 전방부(601)가 먼저 압축되고 그리고 계속해서 더 후방부(602)가 압축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들은 본 발명의 인조젖꼭지 기구의 또 다른 구체예(5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a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2b는 평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2c는 도 12a의 12C-12C 선을 따라 잘라낸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인조젖꼭지 기구는 인조젖꼭지, 병 또는 다른 수유기구, 티써 등과 같이 어린아이에 의해 빨리워지도록 적용되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기구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체예에 있어서, 벌브부(502), 목부(504) 및 기저부(506)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과 통합되는 통합적인 내부기계기구(internal mechanical device)(510)가 존재한다. 기계기구(510)는 혀에 의해 작동되며, 혀에 의하여 기저부(506) 쪽 으로 대체로 전방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적용되는 제1구조물(512)을 갖는다.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혀의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제1구조물(512)은 그의 원래의 위치에로 역으로 가변된다. 벌브부(502)의 전방/하부벽(534)을 통한 빠는 동작 동안에, 혀에 의해 압력이 적용된다. 기계기구(510)는 각각 화살표 "D" 및 "C"의 방향 내에서의 제1구조물(512)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벌브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팽창아암(expansion arms)(514 및 516)들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팽창아암(514 및 516)들은 혀의 힘을 재지향시키고 그리고 상기 벌브의 측방벽들의 상부의 팽창을 야기한다. 상방으로의 혀의 힘은 또한 벌브 상부표면(532)의 구개 내로의 상향 움직임을 야기하며, 이는 본 발명의 인조젖꼭지 기구의 회복효과(restorative effect)에 기여하지 않는다.
제1구조물(512)은 적절한 전방 방향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그의 움직임의 정도는 제1구조물(512)이 기저부(506) 쪽으로 중심선 A-A를 따라 밀려짐에 따라 보충의 웨지-형 돌출부(wedge-shaped protrusion)(518)를 수용하는 웨지-형 개구(wedge-shaped opening)(520)의 내포(inclusion)에 의하여 제한된다. 제1구조물(512)의 압축은 화살표 C 및 D의 방향 내에서 외측으로의 팽창아암(514 및 516)들의 후속하는 팽창을 야기한다. 이 팽창은 공기 압력에 의해 보조된다. 상기 메카니즘은 상기 전체 벌브를 채우지는 못하며; 개방된 공간들이 도면들에 나타나 있다. 이들 개방된 공간들은 공기가 상기 벌브 내로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벌브 내부가 대기압에 있고, 그리고 빠는 동작 동안에 입의 내부는 더 낮은 압력에 있기 때문에, 상기 벌브 내의 공기가 팽창하고, 이는 부드러운 벌브 팽창 작용을 돕는다.
도 12a 내지 도 12c들의 단일-조각의 통합된 디자인이 안전하고 그리고 효과적이다. 상기 팽창아암들의 적절한 디자인 및 위치에 의해 집중되고, 지향된 팽창이 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단단하고 그리고 보다 약한 영역들을 생성할 수 있는 벌브 벽 두께들에서의 변형들에 의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물질들에는 음식물 접촉 및 미국식품의약국(FDA) 신청들에 대해 승인된 실리콘(silicone) 또는 라텍스(latex)가 포함될 수 있다. 약 5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물질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구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들)은 액상사출성형(LIM ; liquid injection mold) 등급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구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들은 압축성형(CM) 등급이다. 다른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특성들에는 탄성, 형상기억, 단단함/경도 등이 포함된다.
상기 기구의 잔여부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물질의 늑재붙이기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물질들 또는 동일한 물질의 서로 다른 경도들이 사용되어 원하는 힘들을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합성물질들의 늑재붙이기가 포함되어 보다 크거나 또는 보다 작은 탄성 또는 굴성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벌브의 물질들은 그의 구조를 통하여 동일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물질들은 늑재붙이기가 통합된 곳(예를 들면, 상기 벌브의 내측 상부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벌브의 물질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인조젖꼭지의 목부 및/또는 기저부의 물질과 다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원하는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변화가능한 형상, 벽 두께들, 늑재붙이기 및/또는 곡률들을 원하는 대로 달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변화되는 물질들을 포함하는 다중-물질 설계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저부 및 목부는 상기 벌브의 전부 또는 일부 보다 더 단단한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벌브가 충분한 굴성을 가져 원하는 방법으로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하여 또는 대체하여, 상기 벌브 내에 통합된 늑재붙이기는 상기 목부 및/또는 기저부와 동일한 보다 단단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벌브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또는 대체하여, 상기 벌브 내로 통합된 늑재붙이기는 별개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규격들(곡률의 반경, 벽 두께, 전체 길이들)을 앞서 기술된 인조젖꼭지 설계들에 대해 약 ±35%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벽 두께의 변화의 효과는 보다 유연하거나 또는 보다 강한, 보다 힘-지향 영역(force-directing section)을 생성하는 것이다. 유사하게, 곡률의 반경의 변화는 상기 벌브가 주어진 방향 내에서 보다 더 굴곡되기 쉽도록 하거나(곡률의 보다 작은 반경) 또는 주어진 방향 내에서 보다 덜 굴곡되도록 하는(곡률의 보다 큰 반경) 원인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벽 두께 및 다른 측면(강화된 영역)에 대한 한 측면(보강된 영역)에서의 늑재붙이기에서의 차이들은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만약에 이것이 일어난다면, 이론적으로는, 상기 벌브는 팽창되기 보다는 오히려 보다 얇은 영역 상으로 중첩되는 경향이 될 것이다.
늑재붙이기와 관련하여, 도면들 대부분에서 나타낸 상기 리브들은 약 0.5 내지 0.25㎜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상기 늑재붙이기의 반경이 약 2㎜ 보다 더 크거나 같은 크기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늑재붙이기는 늑재붙이기로서의 그의 유효성을 상실하기 시작하며, 이 때에 상기 늑재붙이기는 상기 벌브에 더해진 특성이 덜해지기 시작하고 그리고 벽 두께에서의 변화를 더하게 된다. 상기 늑재붙이기의 용적이 주위의 늑재붙이기가 되지 않은 영역들과 같거나 더 크게 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2㎜ 보다 더 큰 반경은 힘들을 재지향시킴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 반경 또는 길이가 그 주위의 늑재붙이기가 되지 않은 영역들 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늑재붙이기는 효과적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만약에 이러한 경우가 발생한다면, 상기 늑재붙이기의 특성은 늑재붙이기가 되지 않은 특성을 초과하며, 그 위치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굴곡을 야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주위의 늑재붙이기가 되지 않은 벽 보다 더 큰 크기의 늑재붙이기는 내부 특성을 덜하게 되고 그리고 벽 두께를 더 하게 된다.
응력(stress), 온도, 수분, pH 또는 전기장 등과 같은 외부 자극들에 의하여 제어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성들을 갖는 형상기억 물질들이 원하는 형상 변화(팽창)를 달성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물질은 니티놀(Nitinol)이다. 상기 벌브 내로 약 0.020"(인치)의 직경 또는 그 보다 작은 니티놀 와이어를 매립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팽창을 보조하는 온도-감응 반 응(temperature-sensitive reaction) 또는 응력(힘)-감응 반응이 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형상-기억 직물 또는 중합체(그 예들에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들이 포함된다)를 매립하여 보다 더 정교한 응력 또는 온도 감응 동작들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들 물질들을 상기 벌브 내로 매립하거나 또는 일부 경우들에서 실제로 상기 벌브를 주어진 물질로 만드는 것이 적절한 사용이 될 수 있다. 부가의 물질들은 실리콘(현재의 프로토타입들은 쇼어 경도 50A의 실리콘) 또는 쇼어 경도 50A의 라텍스가 될 수 있다. 이들 물질들의 경도는 이상적으로는 쇼어 A 경도로 약 35 내지 65가 되어야 한다. 35 미만의 값들은 너무 "고무질(gummy)" 이고 그리고 심지어 매립된 형상기억 물질들의 도움으로도 형상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유사하게, 65를 넘는 쇼어 경도는 벌브가 너무 단단해져서 적절하게 굴곡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늑재붙이기 물질은 쇼어 경도가 다르거나 또는 실제로 물질이 다를 수 있으나, 앞서 한정된 범위 내에 들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다중의 쇼어 경도의 벌브(multi-Shore bulb)가 주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경도를 요구할 수 있다. 30을 초과하는 쇼어 경도의 편차는 설계된 절첩 영역에서의 손상(failure)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구들은 유아용품으로 사용되도록 적용되거나 및/또는 유아용품 내로 내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구들은 인조젖꼭지로서 유용하며, 상기 기저부에 고정되는 실드(shield) 및 그에 부착되는 선택적인 손잡이의 추가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및/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기구들은 씹는 기구로서 유용하다. 인조젖꼭지와 유사하게, 씹는 기구용으로 상기 기저부에 실드 및/또는 부가의 물질이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씹는 기구의 인조젖꼭지는 액체, 기체 또는 젤로 채워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구를 포함하는 씹는 기구 또는 인조젖꼭지는 동결에 적용될 수 있다. 여러 형상들(예를 들면, 정규의 형상, 체리/가역적인 형상, 편원의 형상)을 포함하여 제공된 인조젖꼭지 기구의 임의의 특정의 구체예들이 바람직하게는 유아용품 내로 내포되어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통상의 형상들의 인조젖꼭지들 또는 씹는 기구들(예를 들면, 정규의 형상, 체리/가역적인 형상, 편원의 형상)의 어떠한 것도 제공된 메카니즘들에 의하여 인조젖꼭지 및/또는 씹는 기구 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구들이 유용하게 되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제품들에 더해, 별도의 변형된 제품들이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에서 본 발명의 기구의 내표가 유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적용들을 갖는 인조젖꼭지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기구들은 예를 들면 혀-방지 코팅 넥, 입돌출-방지 립 넥 및/또는 외부 티씽 조직들을 포함하는 부가의 외부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임의의 특허 및 과학적 문헌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획득가능한 지식을 구축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간행된 특허들, 출원들 및 참고문헌들은 각각이 특별히 그리고 개별적으로 참고로 인용되어야 할 것으로 표시된 한에서는 동일한 정도로 그들의 전체로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비록 앞서의 발명이 명료성 및 이해를 목적으로 어느 정도 상세하게 기술되기는 하였으나, 특정의 구체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이 고려되어야 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본 상세한 설명의 판독으로부터 형태 또는 상세에 있어서의 특정의 변화가 본 발명의 관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들의 범주 이내임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부 도면들에서 나타낸 특징들 및 그 밖의 것들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들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인조젖꼭지의 제조 및 유아용품들의 제조와 관련된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3)

  1. 기저부;
    어린아이가 벌브를 빨아들임에 따라 팽창되는 통합된 교정수단을 갖는 벌브부; 및
    상기 기저부와 상기 벌브부를 연결하는 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어린아이에 의한 빠는 힘이 상기 벌브부의 전방의 압축에 의해 상기 교정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벌브의 측벽들의 팽창에 의해 힘을 외측으로 그리고 상방으로 재지향시키고, 그에 의하여 구개, 치조융기 및/또는 치아들에 대하여 압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교정기구가 전체적으로 벌브 물질 내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교정기구가 실질적으로 벌브 물질 내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힘의 재지향이 상기 벌브의 측벽의 팽창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교정기구가 통상의 벌브 설계에 비하여 상기 벌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벽들의 만곡의 교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교정기구가 통상의 벌브 설계에 비하여 상기 벌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들의 두께의 교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교정기구가 상기 벌브의 다중흐름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벌브 벽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들이 상기 벌브 벽들의 다른 영역에 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경도의 물질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교정기구가 상기 벌브의 벽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들의 내측 상에 통합된 늑재붙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늑재붙이기가 상기 벌브의 상부벽 내로 통합되는 조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가 통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가 편원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가 체리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실드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씹는 기구로서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가 액체 또는 젤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사용 전에 동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7. 제 13 항에 있어서,
    인조젖꼭지로서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8. 제 1 항에 있어서,
    수유젖꼭지로서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액체의 통과를 위한 개방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밸브 또는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21. 제 1 항에 있어서,
    제품이 병의 젖꼭지, 병, 인조젖꼭지, 씹는 기구 및 수유 기구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22. 제 1 항에 있어서,
    혀-방지 코팅 넥, 입돌출-방지 립 넥 및 외부 티씽 조직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기구의 외부적응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
  23. 기저부, 어린이가 벌브를 빨아들임에 따라 팽창되도록 하는 통합된 교정수단을 갖는 벌브부 및 상기 기저부와 상기 벌브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는 구강내 교정용 기구를 포함하는 제품을 특정의 부정교합의 억제 또는 개선을 필요로 하는 어린아이에게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어린이에 의하여 빨아들이는 힘이 상기 벌브부의 전방의 압축에 의하여 상기 교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벌브의 측벽들의 팽창에 의해 외측으로 그리고 사앙으로 힘을 재지향시키도록 하고, 그에 의하여 입천장, 치조융기 및/또는 치아들에 대하여 압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상기 기구의 적용이 어린아이의 유치열에서의 특정의 부정교합을 억제하거나 또는 개선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 아이의 유치열 내의 특정의 부정교합을 억제하거나 또는 개선하는 방법.
KR1020097001649A 2006-07-26 2007-06-15 교정용 인조젖꼭지 KR200900549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59,962 US7731733B2 (en) 2005-07-26 2006-07-26 Expanding orthopedic pacifier
US11/459,962 2006-07-26
US11/755,050 US7883530B2 (en) 2005-07-26 2007-05-30 Expanding nipple appliance
US11/755,050 2007-05-30
US11/762,933 US7931672B2 (en) 2005-07-26 2007-06-14 Orthodontic pacifier/nipple appliance
US11/762,933 2007-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959A true KR20090054959A (ko) 2009-06-01

Family

ID=3898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649A KR20090054959A (ko) 2006-07-26 2007-06-15 교정용 인조젖꼭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31672B2 (ko)
EP (1) EP2049065A4 (ko)
JP (2) JP2009544413A (ko)
KR (1) KR20090054959A (ko)
AU (1) AU2007277019B2 (ko)
CA (1) CA2658850C (ko)
HK (1) HK1135013A1 (ko)
WO (1) WO200801406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807A (ko) * 2015-07-02 2017-01-11 이승희 구강 장치 및 구강 장치의 사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34474A (en) * 2008-02-05 2009-08-16 Medela Holding Ag Mouthpiece and process for production
CN102123692B (zh) * 2008-08-18 2013-07-31 戴维·A·泰西尼 一种生物响应式出牙嚼器
FR2949322B1 (fr) * 2009-09-03 2013-01-11 Francois Fave-Lesage Systeme d'allaitement artificiel
AT508548B1 (de) * 2009-09-11 2011-02-15 Mam Babyartikel Verfahren zur zumindest abschnittsweisen verbindung von wänden eines hohlkörpers sowie hohlkörper
WO2011094729A2 (en) * 2010-02-01 2011-08-04 Tesini David A Varied response teether
AU2011257910B2 (en) * 2010-05-28 2016-01-28 Smilestraw Pty Ltd Drinking mouthpiece
NL2005388C2 (en) * 2010-09-23 2012-03-26 Ipn Ip Bv An orthodontic feeding nipple.
US8827093B1 (en) 2010-12-28 2014-09-09 Maria A. Mendez Bottle nipple device
JP5457592B1 (ja) * 2013-06-24 2014-04-02 由美子 志村 ストレス解消用の咬合力緩衝具
CN104437303B (zh) * 2014-12-01 2016-01-20 上海师范大学 可在多因子变量条件下工作的光电催化还原反应装置
US11033463B2 (en) * 2017-10-20 2021-06-15 David A. Tesini Pacifier fitting system and method
KR102037596B1 (ko) * 2018-03-13 2019-10-28 양진석 유아용 노리개 젖꼭지
US20210121371A1 (en) * 2019-04-12 2021-04-29 Nafys Samandari Orthotropic and Orthodontic Oral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199A (en) * 1897-02-16 Nipple
FR970352A (fr) * 1948-08-13 1951-01-03 Appareil pour l'orthopédie dento-faciale destiné à favoriser la conformation de la mâchoire des nourrissons et des bébés
FR2302724A1 (fr) 1975-03-07 1976-10-01 Sadiep Tetine perfectionnee
JPS5781839U (ko) * 1980-11-08 1982-05-20
DE3108094C2 (de) * 1981-03-04 1985-09-26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2730 Zeven Beruhigungssauger
JPH0313323Y2 (ko) * 1989-01-27 1991-03-27
US5123915A (en) * 1990-04-27 1992-06-23 Miller Lawrence E Medicated pacifier
US5133740A (en) * 1990-12-24 1992-07-28 Leon Kussick Orthopedic pacifier
US5275619A (en) * 1991-01-03 1994-01-0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Low birth weight infant pacifier
US5606871A (en) * 1994-09-13 1997-03-04 Robin Hansen Pacifier shaped teether with cold storage container
FI946191A (fi) * 1994-12-30 1996-07-01 Pentti Alanen Hupi- tai ruokintatutti
US5570796A (en) * 1995-08-04 1996-11-05 Brown; Craig E.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5779071A (en) * 1995-08-04 1998-07-14 New Vent Designs, Inc.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5772685A (en) * 1995-08-29 1998-06-30 Crowe; D. E. Infant pacifier-fluid administering unit
FR2792189B1 (fr) * 1999-04-14 2001-10-12 Louis Marie Dussere Tetine ergonomique
AT408185B (de) * 1999-06-24 2001-09-25 Bamed Ag Schnullersauger
US6253935B1 (en) * 1999-10-20 2001-07-03 Konstantin Anagnostopoulos, Dr.Sc. Articles, such as a nipple, a pacifier or a baby's bottle
US20030034031A1 (en) * 2000-05-22 2003-02-20 Sleep Up Ltd. Pacifi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601720B2 (en) * 2000-09-28 2003-08-05 Gerber Products Company Nursing bottle
US6446822B1 (en) * 2000-09-28 2002-09-10 Gerber Products Company Nursing bottle
US7294141B2 (en) * 2002-09-20 2007-11-13 Ortho-Tain, Inc. Pacifier, a system and a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dentitions
ITUD20020250A1 (it) * 2002-11-27 2004-05-28 Giuliano Clochiatti Succhietto per bambini.
US7029491B2 (en) * 2003-03-26 2006-04-18 Davis John J Pacifier
US7731733B2 (en) * 2005-07-26 2010-06-08 Tw Innovations, Llc Expanding orthopedic pacif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807A (ko) * 2015-07-02 2017-01-11 이승희 구강 장치 및 구강 장치의 사용 방법
US10596074B2 (en) 2015-07-02 2020-03-24 Sue S. Lee Or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14061A2 (en) 2008-01-31
JP2009544413A (ja) 2009-12-17
US7931672B2 (en) 2011-04-26
US20070238063A1 (en) 2007-10-11
HK1135013A1 (en) 2010-05-28
JP2013198762A (ja) 2013-10-03
WO2008014061A8 (en) 2008-04-17
EP2049065A2 (en) 2009-04-22
WO2008014061A3 (en) 2009-04-16
AU2007277019A1 (en) 2008-01-31
AU2007277019B2 (en) 2011-03-17
CA2658850C (en) 2014-07-22
CA2658850A1 (en) 2008-01-31
EP2049065A4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4959A (ko) 교정용 인조젖꼭지
US7294141B2 (en) Pacifier, a system and a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dentitions
CN101511324B (zh) 正牙橡皮奶头/乳头矫治器
US7029491B2 (en) Pacifier
AU2004220495B2 (en) Dent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flow through nasal-pharyngeal airway
US7810503B2 (en)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
US10596074B2 (en) Oral Devices
JP5597634B2 (ja) 生物学的応答おしゃぶり
RU2808477C2 (ru) Соска-пустышка для приучения к правильному положению языка
EP4166117A1 (en) Mandible displacement adjustment device
TW202145976A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ZA200409102B (en) A pacifier, a system and a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dent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