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956A -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 기지국 간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 기지국 간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956A
KR20090054956A KR1020097001379A KR20097001379A KR20090054956A KR 20090054956 A KR20090054956 A KR 20090054956A KR 1020097001379 A KR1020097001379 A KR 1020097001379A KR 20097001379 A KR20097001379 A KR 20097001379A KR 20090054956 A KR20090054956 A KR 2009005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ath
communication setup
mobile station
related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576B1 (ko
Inventor
얼우 리우
동야오 왕
지민 리우
강 센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09005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중계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셋업하기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이동국은 그 자신 및 초기 레인징과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의 중계국들로부터 1차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요청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이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에, 그것은 이동국에 대한 전송 경로를 할당하고, 1차 전송 경로를 따라, 정보를 중계국에 전송하며, 응답 메시지를 중계국에 전송한다. 이동국 및 관련된 중계국들이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 및 전송 경로 정보를 획득할 때, 이동국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전송 경로를 따라 중계국들을 통해 기지국에 전송된다.
이동국, 전송 경로, 중계국, 초기 레인징

Description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 기지국 간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THE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S AND THE BS IN THE MULTI-HOP RELAY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에이블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device)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전자통신 기술은 광대역 및 높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쪽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 및 새로운 기술 표준이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802.16/802.16e 네트워크들에서,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 및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network entry procedure) 후에, 서비스 접속이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해 그들에 대해 이동국(mobile station; MS)과 기지국(base station; BS) 사이에서 셋업(set up)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MS는 서비스를 위한 접속을 요청하기 위해 BS에 다이내믹 서비스 부가-요청(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 DSA-REQ)을 전송한다. BS는 데이터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 대응하는 접속 식별(connection identification; CID)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경로를 사용하도록 MS에 통지하기 위해 다이내믹 서비스 부가-응답(Dynamic Service Addition-Response; DSA-RSP)으로 응답한다.
상술한 예는 중계국(relay stationi; RS)을 고려하지 않는다. MS와 BS 사이의 대역폭 및 통신 거리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RS가 MS와 BS 사이에 도입된다.
모바일(mobile)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들에서, 비-중계 네트워크(non-relay network)와 유사한 방식이 접속 셋업을 위해 필요하다. 모바일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들에서의 접속 셋업의 간단한 방식은 RS가 MS와 BS 사이에서 DSA-REQ와 DSA-RSP을 명확하게 중계하고, 또한 MS와 BS 사이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명확하게 중계하는 것이다.
RS가 DSA-REQ 신호, DSA-RSP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를 명확하게 중계하는 해결책에 대해, 그것은 아래와 같은 몇몇 단점들을 갖는다:
(1) MS와 BS 사이에 단지 하나의 전송 경로만이 존재하고, 그것은 혼잡(congested)되기 매우 쉽다.
(2) MS와 BS로 구성되는 동일(MS, BS) 쌍 사이의 상이한 서비스 접속들은 동일한 경로를 사용해야 할 수 있고, 그것은 상이한 서비스들에 대해 구별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제공하는 원리에 위배한다.
(3) 리소스 할당은 이 프레임워크(framework) 하에서, 부하 균형(load balance) 및 서비스 병합(service merging)이 구현하기에 매우 어렵기 때문에, 최적화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술한 해결책이 간단하지만, 보다 유연하고 지능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MS가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를 통해 BS와의 접속을 셋업하는 기술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MS가 네트워크에 들어갈 때, 초기 레인징 및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 후에, 네트워크는 MS와 BS 사이의 초기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 전송 경로(BS, RS, MS를 포함하는) 상의 이웃하는 노드들의 각 쌍 사이의 링크는 자신의 1차 접속 식별(primary connection identification))에 대응한다. MS가 BS와 통신을 희망할 때, 그것은 1차 전송 경로를 통해 BS에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에 따라, BS는 MS를 위한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경로(이웃하는 노드들의 각 쌍의 링크가 그것의 데이터 접속 식별에 대응한다) 및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응하는 무선 리소스들(wireless resources)을 할당하고, 중계 네트워크를 통해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MS에 통지한다. 이어서, MS는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BS에 대해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중계국(들)을 통해 이동국과의 접속을 셋업하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국에 전송 경로의 전송 경로 관련 정보 및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을 통해 이동국에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셋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전송 경로의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에 놓고;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셋업 관련 메시지를 할당된 전송 경로를 통해 이동국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중계국(들)을 통해 이동국과의 접속을 셋업하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접속 셋업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접속 셋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에 의해 전달된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3 수신 수단;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경로 할당 수단; 및 이동국에 전송 경로의 전송 경로 관련 정보 및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 3 통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경로 할당 수단은: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로부터 통신 셋업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 1 추출 수단; 및 통신 셋업 관련 정보와 현재 네트워크 리소스들에 따라 이동국에 대한 전송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경로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3 통지 수단은 할당된 전송 경로를 통해 이동국에 전송 경로의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3 통지 수단은: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셋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전송 경로의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에 넣기 위한, 생성 수단; 및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셋업 관련 메시지를 할당된 전송 경로를 통해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국의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계국은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업링크 상의 최종-홉 디바이스(last-hop device)에 의해 전달된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계국은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다운링크 상의 최종-홉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국의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얻는 단계; 전송 경로 관련 정보로부터 이 중계국에 관련된 라우팅 정보(routing information)를 추출하는 단계; 및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국 내의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assistant connection device)가 제공되고,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는: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수단; 기지국에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통지하기 위한, 제 1 통지 수단;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수단; 이동국에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통지하기 위한, 제 2 통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신 수단은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업링크 상의 최종-홉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통지 수단은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업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에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신 수단은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다운링크 상의 최종-홉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또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국의 방법이 제공되고, 중계국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전송 경로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접속 셋업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전송 경로 관련 정보로부터 이 중계국에 관련된 라우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계국은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통지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라,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국의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전송 경로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접속 셋업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획득 수단; 전송 경로 관련 정보로부터 이 중계국에 관련된 라우팅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 2 추출 수단; 및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제 4 통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획득 수단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5 수신 수단; 및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로부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획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라,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들)을 통해 이동국과의 접속을 셋업하기 위한 접속 셋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기존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이점들을 갖는다:
- 본 발명은 네트워크 리소스를 최적화하여 사용하고 더 양호한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할 수 있다;
- 그것은 단지 CID들로 구성된 서비스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도록 RS에 요청하고, 단지 RS들에 대해 낮은 복잡성을 부가하고, RS들은 여전히 MS에 대해 명백하다(transparent);
- 또한, 본 발명은 멀티-경로 라우팅, 서비스 병합, 제어 및 데이터 분리(control and data separation), 협력하는 중계 및 부하 균형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성능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 신호 전송 과정에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및 트랜슬레이션(translation)과 같은 방법들이, 전송될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전송된 신호는 다양한 네트워크 표준에 대해 적응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대역폭을 저장(save)하기 위해 전송된 데이터의 크기를 줄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판독할 때 다음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를 통해 BS와 MS 사이에서 접속을 셋업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RS를 통해 BS와 MS 사이에서 접속을 셋업하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BS의 접속 셋업 디바이스를 도시 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BS와 MS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의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BS와 MS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의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RS를 통해 BS와 MS 사이의 접속을 셋업하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BS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BS와 MS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의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b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BS와 MS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해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의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모바일 멀티-홉 중계(들)를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를 도시한 도면이다. MS(10), 여러 개의 RS들(RS11 내지 RS15) 및 BS(16)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네트워크가 초기에 확립될 때, MS와 각각의 RS는 초기 레인징 및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을 통해 대응하는 1차 CID를 획득한다(1차 CID는 약간의 제어 및 관리 정보에 대해 BS와 통신하도록 MS 또는 RS를 인에이블하는 BS에 의해 할당된 CID이다). 그것은 실제로 (이웃하는 노드들 간의 접속 대신에) MS 또는 RS 사이의 접속을 BS로 식별한다. 1차 CID를 획득한 후에, MS 또는 RS는 약간의 제어 및 관리 정보를 BS와 교환하기 위해, 정보가 1차 CID로 표시된 접속에 전송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1차 CID는 단지 MS 또는 RS 및 BS 사이의 접속을 나타내고(그러나, 서비스 전송을 위한 RS들 사이의 CID는 이웃하는 RS들 간의 접속을 나타낸다), 이것은 MS(10)와 BS(16) 사이의 접속을 셋업하기 전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MS와 RS는 BS쪽 방향(이하, 업링크 방향으로서 언급되는) 및/또는 BS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하, 다운링크 방향으로서 언급되는)에 대해 1차 전송 경로들에 대응하는 1차 CID들을 결정한다. 보편성의 손실 없이, MS(10)에서 BS(16)로의 1차 전송 경로가: MS(10)-RS(11)-RS(12)-RS(13)-BS(16)라고 가정하고, 이 경로 상의 각각의 노드와 BS 사이의 접속에 대응하는 1차 CID들이 각각 1000, 1001, 1002, 및 1003이라고 가정하자.
초기 레인징 및 네트워크 엔트리 후에, MS(10)는 그 자체와 BS 사이의 접속의 1차 CID를 인식한다. 그것이 BS(16)과의 통신을 시작할 때(대안적으로, 통신은 BS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그것은 1차 CID에 의해 식별된 접속을 통해 BS(16)에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는 MS(10)와 RS(11) 사이의 링크를 통해 RS(11)에 도달한다. RS(11)(그 자체와 BS(16) 사이의 링크에 대 응하는 1차 CID(1001)를 알고 있는)는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어서, 1차 CID(1001)에 의해 식별된 링크를 통해 출력된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RS(12)는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어서, 1차 CID(1002)에 의해 식별된 링크를 통해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RS(13)는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어서, 1차 CID(1003)에 의해 식별된 링크를 통해 BS(16)에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BS(16)가 MS(10)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BS(16)는 MS(10)에 의해 요구된 무선 리소스들, 현재 네트워크 무선 리소스 상황 및 다른 조건들에 따라 MS(10)을 위한 데이터 전송 경로를 할당한다. 경로 상의 이웃하는 노드들의 각 쌍 사이의 링크는 그 자신의 데이터 CID를 가지며, 그러므로, 데이터 전송 경로는 일련의 데이터 CID들로 구성된 CID 매핑 정보에 의해 나타내질 수 있고, 데이터 전송 경로는 1차 전송 경로와는 상이할 수 있다. 보편성의 손실 없이, BS(16)에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해 MS(10)에 대해 할당된 데이터 전송 경로가: MS(10)-RS(11)-RS(14)-RS(15)-RS(16)이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링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CID들이 1000, 1004, 1005 및 1006이므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응하는 CID 매핑 정보는: 1000-1004-1005-1006이다. 또한, BS(16)는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 및 현재 무선 리소스 상황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해 무선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멀티-경로 라우팅 및 협력 중계가 이용될 때, BS(16)이 데이터 전송 경로 상의 각 링크에 대해 다수의 데이터 CID들을 할당할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서, CID 매핑 정보는 DSA-RSP 신호로부터 개별 적으로 전송된다. DSA-RSP는 초기 전송 경로를 통해 MS(10)에 피드백되는(fed back) 반면에, CID 매핑 정보는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경로 상의 각 RS에 전송된다.
BS(16)는 대응하는 1차 CID에 의해 나타내진 경로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1차 CID(1003)에 의해 나타내진 경로를 따라, DSA-RSP를 RS(13)에 전송한다.
RS(13)가 BS(16)로부터 상기 DSA-RSP를 수신한 후에, DSA-RSP가 RS(11)에 도달할 때까지, RS(13)는 그것을 DSA-RSP에서 1차 CID(1002)에 따라 RS(12)에 전달한다.
한편, CID 매핑 정보는 할당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따라 전송되고, RS(15), RS(14)를 통과하고, RS(11)에 도달한다. CID 매핑 정보가 각각의 RS에 도달할 때마다, RS는 CID 매핑 정보 내의 콘텐트들(contents)에 따라 저장하는 CID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테이블은 입력 CID, 출력 CID, 전송 동안의 최종-홉 노드, 전송 동안의 다음-홉 노드 및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따라서,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해 RS를 위한 입력 및 출력 경로가 결정된다. CID 매핑 정보(출력 CID 등)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따라, RS는 데이터 전송 경로 상에서 아래로(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는) CID 매핑 정보를 중계할 수 있다. CID 매핑 정보가 RS(11)(MS(10)에 직접 링크되는)에 도달할 때, RS(11)는 그것이 저장하고 있는 CID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RS(11)가 CID 매핑 정보 및 DSA-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RS(11)는 BS(16)에서 MS(10)로 수신된 DSA-RSP를 전송한다. 그 후에, MS(10)는 DSA-RSP 메시지에서 대응하는 링크의 데이터 CID에 따라 결과로서 생기는 데이터 서비스 전송을 수행할 것 이다(즉, CID(1000)에 따라, 그것은 1000로 나타내진 접속을 통해 출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BS(16)는 DSA-RSP에서 CID 매핑 정보를 실장하고, 그것을 함께 전송하고, 여기서, CID 매핑 정보는 BS(16)에 의해 MS(10)에 대해 할당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RS(11)에 도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CID 매핑 정보는 RS(15) 및 RS(14)를 통해 RS(11)에 도달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DSA-RSP 신호가 각각의 RS에 도달할 때마다, RS는 그것이 CID 매핑 정보에 따라 저장하고 있는 CID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테이블은 입력 CID, 출력 CID, 최종-홉 노드, 다음-홉 노드 및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그러므로,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해 RS에 대한 위한 입력 및 출력 경로가 결정된다. 적어도, RS(11)는 MS(10)가 데이터 서비스 전송을 실행할 수 있음을 통지하기 위해, MS(10)에 CID 매핑 정보가 없는 DSA-RSP(DSA-RSP가 최종적으로 MS에 도달할 때, 그것은 표준 DSA-RSP 메시지, 즉 실장된 CID 매핑 정보는 MS에 대해 투명성(transparency)을 유지하기 위해, 제거된다), 및 데이터 전송 경로(예를 들면, 1000)에 대응하는 데이터 CID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RS가 그 자신의 CID 매핑 정보를 업데이트 한 후에, 대응하는 데이터 CID는 대역폭을 저장하기 위해, CID 매핑 정보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예로서 RS(15)를 취하면,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그 자신의 업데이트된 CID 매핑 테이블은 아래와 같다:
최종-홉 노드 입력 CID 출력 CID 다음-홉 노드
RS14 1005 1006 BS16
여기에서, CID 매핑 정보는 RS(15)와 BS(16) 사이의 링크에 대응하는 데이터 CID(1006)를 더 포함한다. 이 CID는 RS(14), RS(11) 및 MS(10)에 대해 직접적인 의미를 갖지 않고, 그러므로, 1006은 상술한 테이블이 업데이트된 후 RS(15)의 CID 매핑 정보로부터 삭제될 수 있고, 이어서, RS(14)로 전달되는 업데이트된 CID 매핑 정보는: 1000, 1004, 100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따라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를 통해 BS와 MS 사이의 접속을 셋업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DSA-RSP는 CID 매핑 정보에 실장되고 그것들이 함께 전달되는 상황이 예로서 취해진다.
우선, 초기 레이징 및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 후에, MS와 RS는 MS(10)와 BS(16) 사이의 서비스 접속을 셋업하기 전에 제어 메시지 전송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그들 각각의 1차 CID들을 획득하고, 각각의 1차 CID들은 BS(16)의 방향 쪽으로 정보(예를 들면, DSA-REQ)를 전송하기 위해 각각의 경로들에 대응한다.
단계(S10)에서, BS(16)와의 접속을 셋업하는데 필요한 MS(10)는 그것의 1차 CID에 대응하는 링크에 따라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위쪽으로 전송한다(초기 전송 경로가 예로서 MS(10)-RS(11)-RS(12)-RS(13)-RS(16)인 앞의 경우를 여전히 취하는).
단계(S11)에서,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각각의 RS에 의해 중계된 후에,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는 BS(16)에 도달한다.
단계(S12)에서, BS(16)는 MS(10)의 위치, 요청된 무선 리소스들 정보 및 네 트워크 리소스들 상태에 따라, MS(10)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BS(16)는 MS(10)에 대해 데이터 전송 경로를 할당하고, 데이터 전송 경로 상의 이웃하는 노드들 간의 각각의 링크를 대응하는 데이터 CID와 묶는다.
단계(13)에서, BS(16)는 할당된 CIS 매핑 정보(데이터 전송 경로 상에 각각의 데이터 CID를 포함하는)를 MS(10)에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ID 매핑 정보는 DSA-RSP에 실장될 수 있고 이어서, 그것을 위해 결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따라 MS(10)에 전송되고; CID 매핑 정보는 또한 DSA-RSP로부터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는 결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따라 RS(11)(MS(10)와 직접 통신하는)에 전송되고, 반면에, 후자는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RS(11)에 전송된다. RS(11)가 DSA-RSP 및 CID 매핑 정보를 수신한 후에, RS(11)는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경로를 이용하도록 MS(11)에 통지한다.
단계(S14)에서, DSA-RSP를 수신한 후에, MS(10)는 서비스를 전송하도록 요청된 CID를 인식하고, 이어서, CID로 나타내진 링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위쪽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5)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상의 각각의 RS는 데이터 서비스가 BS(16)에 도달할 때까지, CID 매핑 정보가 아래쪽으로 전달될 때 업데이트되고 자체적으로 미리-저장되는 CID 매핑 테이블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으로 수신하고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RS를 통해 BS와 MS 사이의 접속을 셋업하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BS 내의 접속 셋업 디바이스의 블록 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BS는 예를 들면, 도 1에서 BS(16)이다. 접속 셋업 디바이스(161)는 제 3 수신 수단(1610), 경로 할당 수단(1611) 및 제 3 통지 수단(1612)을 포함한다. 경로 할당 수단(1611)은: 제 1 추출 수단(16110) 및 경로 선택 수단(16111)을 포함하고; 제 3 통지 수단(1612)은: 생성 수단(16120) 및 전송 수단(16121)을 포함한다.
제 3 수신 수단(1610)은 초기에 MS(10)에 의해 전달되고 최근접한 RS에 의해 전달되는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경로 할당 수단(1611)에서 제 1 추출 수단(16110)에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1 추출 수단(16110)은 리소스 수요와 같은 통신 셋업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그것을 경로 선택 수단(16111)에 전송한다.
경로 선택 수단(16111)은 리소스 수요 및 현재 네트워크 리소스들과 같은 추출된 통신 셋업 관련 정보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해 MS(10)에 대해 적절한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데이터 전송 경로 상의 이웃하는 노드들의 각 쌍 간의 링크로 묶인 일련의 데이터 CID로 구성된 CID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 수단(16120)은 DSA-RSP에 CID 매핑 정보를 실장하고,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응하는 CID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셋업 관련 정보(이 실시예에서는 DSA-RSP)를 생성한다.
전달 수단(16121)은 MS(10)에 대해 결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따라 MS(10)에 CID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DSA-RSP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BS와 MS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 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 내의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111)는 도 1에서 모든 RS들에 위치되고, 여기서는, 예로서 RS(11)를 취한다.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111)는: 제 1 수신 수단(1110), 제 1 통지 수단(1111), 제 2 수신 수단(1112) 및 제 2 통지 수단(1113)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DSA-RSP 및 CID 매핑 정보는 개별적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 1 수신 수단(1110)은 업링크 방향 상의 최종-홉 노드(RS(11)에 대해, 최종-홉 노드는 MS(10)이다)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DSA-REQ)를 수신한다.
제 1 통지 수단(1111)은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BS(16)에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구체적으로,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는 1차 CID(1001)로 나타내진 접속을 통해 전송된다).
제 2 수신 수단(1112)은 다운링크 방향 상의 최종-홉 노드(RS(11)에 대해, 최종-홉 노드는 RS(14)이다)로부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즉, DSA-RSP)를 수신한다.
제 2 통지 수단(1113)은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다운링크 방향 상의 다음-홉 노드(MS)에 DSA-RSP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BS와 MS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의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는: 제 1 획득 수단(1120), 제 2 추출 수단(1121) 및 제 4 통지 수단(122)을 포함한다. 제 1 획득 수단(1120)은 제 4 수신 수단(1120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CID 매핑 정보와 DSA-RSP는 개별적으로 전송된다.
BS(16)로부터 CID 매핑 정보가 도달할 때, 제 1 획득 수단(1120) 내의 제 4 수신 수단(11200)은 메시지를 수신하고, 획득 수단(1120)은 그것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 즉, CID 매핑 정보를 얻는다. 제 2 추출 수단(1121)은 RS(11)(그것의 입력 CID, 출력 CID 등)에 관련된 라우팅 정보를 CID 매핑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제 4 통지 수단(1122)은 라우팅 정보에 따라 CID 매핑 정보를 다음-홉 RS(MS 쪽으로)에 통지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서,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수단(11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업데이팅 수단을 더 포함한다. CID 매핑 정보를 수신한 후에, 업데이팅 수단은 미리-저장된 CID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RS(11) 내의 업데이트된 테이블은 아래와 같다:
최종-홉 노드 입력 CID 출력 CID 다음-홉 노드
MS10 1000 1004 RS1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수단(11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삭제 수단을 더 포함한다. CID 매핑 테이블이 업데이팅 수단에 의해 업데이트된 후에, 삭제 수단은 리소스들(resources)을 저장하기 위해, CID 매핑 정보로부터 다운링크 방향 상의 RS의 다운링크 노드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CID 정보를 삭제한다. 이 실시예에서, RS는 (RS(11)와 RS(14) 사이의 링크에 대응하는)CID 매핑 정보로부터 1004를 삭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RS를 통해 BS와 MS 사이의 접속을 셋업하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BS에서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20)에서, BS(16)는 초기에 MS(10)에 의해 전송되고 BS(16)에 최근접한 RS인 RS(13)에 의해 전달되는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DSA-REQ)를 수신하고, 무선 리소스 수요 및 MS(10)에 관련된 다른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서, 단계(21)에서, BS(16)는 무선 네트워크 리소스 상태 및 통신 셋업 요청에 따라 MS(10)에 대한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소스 수요와 같은 통신 셋업 관련 정보가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후에, BS(16)는 리소스 수요 및 현재 네트워크 리소스들과 같은 추출된 통신 셋업 관련 정보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해 MS(10)에 대해 적절한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데이터 전송 경로 상의 이웃하는 노드들의 각 쌍 사이의 링크와 묶인 일련의 데이터 CID들로 구성된 CID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22)에서, BS(16)는 전송 경로 정보와 응답 신호를 MS(1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CID 매핑 정보가 DSA-RSP에 실장된 후에,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응하는 CID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셋업 관련 정보(이 실시예에서는 DSA-RSP)가 생성되고, BS(16)는 MS(10)에 대해 결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따라 CID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DSA-RSP를 MS(10)에 전송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BS와 MS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 내의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의 방 법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DSA-RSP 및 CID 매핑 정보는 개별적으로 전송된다.
단계(S30)에서, RS는 업링크 방향 상의 최종-홉 노드(RS(11)에 대해, 최종-홉 노드는 MS(10)이다)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DSA-REQ)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S31)에서, RS(11)는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구체적으로는,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는 1차 CID(1001)로 나타내진 접속을 통해 전송된다)를 BS(16)에 전송한다.
이어서, BS(16)는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DSA-RSP)를 피드백하고, 이어서, 단계(S32)에서, RS(11)는 다운링크 방향 상의 최종-홉 노드(RS(11)에 대해, 최종 홉 노드는 RS(14)임)로부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DSA-RSP)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S33)에서, RS(11)는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다운링크 쪽으로 다음 홉 노드(MS)에 DSA-RSP를 전송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BS와 MS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RS 내의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CID 매핑 정보 및 DSA-RSP는 개별적으로 전송된다.
단계(S40)에서, BS(16)에 의해 전송된 CID 매핑 정보(또는 DSA-RSP와 같은, 그것의 캐리어(carrier))가 도달할 때, RS(11)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S41)에서, RS(11)는 CID 매핑 정보(또는 그것의 캐리어)로부터, 데이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 즉, CID 매핑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S42)에서, RS(11)는 RS(11)(그것의 입력 CID, 출력 CID 등)에 관련된 라우팅 정보를 CID 매핑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단계(S43)에서, RS(11)는 DSA-RSP 메시지를 MS(10)에 통지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업데이트 단계를 더 포함한다. CID 매핑 정보를 수신한 후에, RS(11)는 미리-저장된 CID 매핑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에 따라, RS(11) 내의 업데이트된 테이블은 아래와 같다:
최종-홉 노드 입력 CID 출력 CID 다음-홉 노드
MS10 1000 1004 RS1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삭제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업링크 CID 매핑 테이블이 RS(11)에 의해 업데이트된 후에, RS(11)는 리소스들을 저장하기 위해, CID 매핑 정보로부터 다운링크 방향 상의 RS의 다운링크 노드들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CID를 삭제한다. 이 실시예에서, RS는 CID 매핑 정보로부터 1004(RS(11)와 RS(14) 사이의 링크에 대응하는)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38)

  1. 중계국(들)(relay station(s))을 통해 이동국과의 접속을 셋업(set up)하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network device)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에 의해 전달되는(forwarded)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로부터 통신 셋업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셋업 관련 정보 및 현재 네트워크 리소스들(network resources) 둘 모두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한 전송 경로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할당된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전송 경로 상의 모든 중계국들에 상기 전송 경로의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을 통해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상기 이동국에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셋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에 상기 전송 경로의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넣는 단계(putting); 및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셋업 관련 메시지를 상기 할당된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셋업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요구되는 상기 무선 리소스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중계국(들)을 통해 이동국과의 접속을 셋업하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접속 셋업 디바이스(connection setup device)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3 수신 수단;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경로 할당 수단; 및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제 3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접속 셋업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할당 수단은:
    통신 셋업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제 1 추출 수단; 및
    상기 통신 셋업 관련 정보 및 현재 네트워크 리소스들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한 전송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경로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접속 셋업 디바이스.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지 수단은 상기 할당된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전송 경로 상의 모든 중계국들에 상기 전송 경로의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셋업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지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을 통해 초기 전송 경로를 따라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들에 전송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셋업 디바이스.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지 수단은: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셋업 관련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에 상기 전송 경로의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넣기 위한, 생성 수단; 및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셋업 관련 메시지를 상기 할당된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전송 경로 상의 다음-홉 중계국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으로서, 다음 홉(next-hop)이 상기 이동국이면,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가 없는 상기 통신 셋업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는, 상기 전송 수단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셋업 디바이스.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셋업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요구되는 상기 무선 리소스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셋업 디바이스.
  13.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국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i.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ii.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단계;
    iii.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iv.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는: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업링크 상의 최종-홉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는:
    상기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업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상기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다운링크 상의 최종-홉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는:
    상기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다운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 내의 중계국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전송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I.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II.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중계국에 관련된 라우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는: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정보는 상기 중계국의 다운링크 상의 다음 홉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III는: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상기 다운링크 상의 상기 다음-홉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정보는 상기 중계국의 다운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다운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국 내의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assistant connection device)에 있어 서: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수단;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기 위한 제 1 통지 수단;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수단; 및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한 제 2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수단은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업링크 상의 최종-홉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지 수단은 상기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업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셋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수단은 상기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다운링크 상의 최종-홉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지 수단은 상기 미리 규정된 전송 경로의 상기 다운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30.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접속 셋업을 돕기 위한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에서 중계국 내의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전송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 사이의 상기 접속 셋업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31. 제 30 항에 있어서,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제 1 획득 수단;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중계국에 관련된 라우팅 정보를 추출 하기 위한 제 2 추출 수단; 및
    상기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한 제 4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획득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4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획득 수단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 5 수신 수단; 및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로부터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획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통지 수단은 상기 라우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어시스 턴트 접속 디바이스.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정보는 상기 중계국의 다운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통지 수단은 상기 다운링크 상의 상기 다음-홉 디바이스에 상기 전송 경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정보는 상기 중계국의 다운링크 상의 다음-홉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통지 수단은 상기 다운링크 상의 상기 다음-홉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셋업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37. 청구항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중계국(들)을 통해 이동국과의 접속을 셋업하기 위한 상기 접속 셋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38. 청구항 제 25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제 1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 및/또는 청구항 제 30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제 2 어시스턴트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전자통신 네트워크 내의 중계국.
KR1020097001379A 2006-09-20 2007-09-19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374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10116346.3 2006-09-20
CN2006101163463A CN101150841B (zh) 2006-09-20 2006-09-20 多跳中继网络中建立移动终端与基站间连接的方法和设备
PCT/CN2007/002763 WO2008034349A1 (fr) 2006-09-20 2007-09-19 Procédé et un dispositif d'établissement d'une communication entre une sm et la sb dans un réseau relais à sauts multip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956A true KR20090054956A (ko) 2009-06-01
KR101374576B1 KR101374576B1 (ko) 2014-03-17

Family

ID=3920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379A KR101374576B1 (ko) 2006-09-20 2007-09-19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03966B2 (ko)
EP (1) EP2068459B1 (ko)
JP (1) JP5057401B2 (ko)
KR (1) KR101374576B1 (ko)
CN (1) CN101150841B (ko)
WO (1) WO20080343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10B1 (ko) * 2009-12-17 2013-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전송 범위가 다른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87271B2 (en) 2009-12-17 2014-07-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with different transmission cover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7725B (zh) * 2008-07-01 2013-10-1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中基站对端设备选择通信路径的方法和装置
KR101075964B1 (ko) * 2009-02-02 2011-10-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595428B1 (ko) * 2009-02-2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중계기
GB2469689A (en) 2009-04-24 2010-10-27 Nec Corp Relay communications system
EP2730045B1 (en) * 2011-07-08 2016-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aying multicast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9066287B2 (en) * 2012-01-24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relay selection and setup
KR101855273B1 (ko) 2012-12-18 201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홉 협력 통신을 위한 단말 및 기지국의 통신 방법과 멀티 홉 협력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WO2017043179A1 (ja) 2015-09-09 2017-03-1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7995531B (zh) * 2016-10-26 2020-10-0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iptv视频传输方法、装置和系统
CN108901043B (zh) * 2018-07-23 2022-02-15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多级中继网络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549B2 (ja) 2000-03-01 2003-09-08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ルーチング方法及びルータ装置
JP2002026923A (ja) 2000-07-06 2002-01-25 Nippon Hoso Kyokai <Nhk> 自己増殖型無線分配ネットワーク
US6788670B1 (en) * 2000-10-27 2004-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forwarding in multi-hop networks
US7031293B1 (en) * 2001-03-26 2006-04-18 Tropos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increased data throughput in a wireless multi-hop network
EP1467524A4 (en) * 2001-12-28 2005-03-30 Nokia Corp ROUTING PROCEDURE FOR A MOBILE AD HOC NETWORK
JP4014893B2 (ja) 2002-03-01 2007-1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ホップ接続用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これに用いる無線局
US7702280B2 (en) * 2002-05-27 2010-04-20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station, reception station,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th deciding method, and communication path deciding program
EP1656771A1 (en) 2003-08-21 2006-05-17 NTT DoCoMo INC. Resource re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with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US8018893B2 (en) * 2003-09-03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facilitated communications
KR100577352B1 (ko) * 2003-09-17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Wpan에서 멀티홉 떨어진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방법
SE0303602D0 (sv) * 2003-12-30 2003-12-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self-organizing cooperative network
KR100678185B1 (ko) * 2004-06-23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구성 및갱신 방법
CN101006660A (zh) * 2004-08-18 2007-07-25 摩托罗拉公司 用于透明中继的方法和装置
WO2006043903A1 (en) * 2004-10-21 2006-04-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in multi-hop cellular networks
KR100810201B1 (ko) 2005-06-1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장치 및 방법
US8554232B2 (en) * 2005-08-17 2013-10-0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CN1929440B (zh) * 2005-09-09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中转站对业务流进行管理的方法和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10B1 (ko) * 2009-12-17 2013-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전송 범위가 다른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87271B2 (en) 2009-12-17 2014-07-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with different transmission co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04666A (ja) 2010-02-12
WO2008034349A1 (fr) 2008-03-27
CN101150841A (zh) 2008-03-26
EP2068459A4 (en) 2015-09-02
CN101150841B (zh) 2011-09-07
EP2068459B1 (en) 2019-05-01
US20090310515A1 (en) 2009-12-17
JP5057401B2 (ja) 2012-10-24
KR101374576B1 (ko) 2014-03-17
EP2068459A1 (en) 2009-06-10
US8203966B2 (en)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576B1 (ko)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 기지국 간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2201747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parated mobility management and session management
KR10082713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시그널링 연결 설정방법
CN101877860B (zh) 中继节点、服务网关、中继数据的传输方法及系统
US83256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system
TWI404372B (zh) 於無線多重跳頻中繼通信系統中多點傳播分佈樹的建立及維護
EP18044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identifiers in a multi-hop relay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219102B (zh) 一种数据转发方法和装置
WO2018166326A1 (zh) 用户信息管理的方法和系统
KR101413518B1 (ko) 멀티­홉 무선 통신 시스템, 그리고 그러한 시스템에서의 중계 방법 및 중계국
WO2015090057A1 (zh) 路由信息发送、接收的方法、装置及路由信息处理系统
WO2011079730A1 (zh) 中继网络中的切换方法和系统
TW201826874A (zh) 用於將非3gpp或非ip設備連接到lte的通訊系統的方法和設備
CN110582092B (zh) 路径时延信息获取方法及相关设备
KR20220044328A (ko) 라우팅 방법, bsr의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9246765B (zh) 一种用户面数据会话的管理方法和装置
CN107211331A (zh) 用于在通信系统中配置断开连接的tcp连接的方法和装置、切换支持方法及其装置
CN114630389A (zh) 远端终端业务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0105410A1 (zh) 一种建立无线承载的方法、装置及系统
CN109818667B (zh) 一种基于星上信道交换的远端设备入网控制方法
RU99115466A (ru) Спутников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разнесение по нескольким узловым станциям для абонентского аппарата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CN11249257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02404759B (zh) 一种Un接口的承载复用方法及系统
KR20060128040A (ko) 중계국들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그룹을 갖는wlan에서의 통신 방법
US202201919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radio bea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