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535A -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535A
KR20090054535A KR1020070121237A KR20070121237A KR20090054535A KR 20090054535 A KR20090054535 A KR 20090054535A KR 1020070121237 A KR1020070121237 A KR 1020070121237A KR 20070121237 A KR20070121237 A KR 20070121237A KR 20090054535 A KR20090054535 A KR 20090054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semiconductor
type
layer
substrate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15320B1 (en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7012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320B1/en
Publication of KR2009005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mpris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6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omojunction type, e.g. bulk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or thin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fer type solar cell is provided to remove a defect in a PN junction layer by inducing a Si-H bond by supplying a hydrogen ion to the PN junction layer through a thermal process. A PN junction layer consisting of a P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 type semiconductor layer(200)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by doping the N type dopant in the upper part of a P type semiconductor substrate(100). An anti-reflective layer(300) is formed in an upper side of the N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N type dopant is activated and the defect in the PN junction layer is removed by performing a thermal process. A front electrode(500) connected to the N typ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A rear electrode(600) connected to the P typ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Description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type solar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Solar Cell)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strate type solar cell.

태양전지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Solar cells are devices that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태양전지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태양전지는 P(positive)형 반도체와 N(negative)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PN 접합 구조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태양광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상기 반도체 내에서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고, 이때, PN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서 상기 정공(+)는 P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자(-)는 N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위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solar cell will be described briefly. The solar cell has a PN junction structure in which a P (positive) type semiconductor and an N (negative) type semiconductor are bonded to each other. Holes and electrons are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by the energy of the incident solar light. At this time, the holes (+) are moved toward the P-type semiconductor by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in the PN junction. Negative (-) is moved toward the N-type semiconductor to generate a potential to produce power.

이와 같은 태양전지는 박막형 태양전지와 기판형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Such solar cells may be classified into thin film solar cells and substrate solar cells.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박막의 형태로 반도체를 형성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고,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 자체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다. The thin film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by forming a semiconductor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a substrate such as glass, the substrate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by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itself as a substrate.

상기 기판형 태양전지는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고 고가의 재료를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전지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thicker and expensive material is used as compared to the thin film type solar cell, but the cell efficiency is excell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기판형 태양전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substrate type solar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기판형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ubstrate-type solar cell.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기판형 태양전지는 P형 실리콘층(10), N형 실리콘층(20), 반사방지층(30), P+형 실리콘층(40), 전면전극(50), 및 후면전극(60)으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substrate-type solar cell is a P-type silicon layer 10, N-type silicon layer 20, the antireflection layer 30, P + type silicon layer 40, the front electrode 50 And a back electrode 60.

상기 P형 실리콘층(10) 및 그 상면에 형성된 N형 실리콘층(20)은 태양전지의 PN접합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P형 실리콘층(10) 및 N형 실리콘층(20)의 상면은 요철구조로 형성되어 태양광이 태양전지 내부로 최대한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type silicon layer 10 and the N-type silicon layer 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silicon layer 10 form a PN junction structure of the solar cell,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P-type silicon layer 10 and the N-type silicon layer 20 are It is formed in an uneven structure so that sunlight can be absorbed into the solar cell as much as possible.

상기 반사방지층(30)은 입사광의 반사를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N형 실리콘층(20)에서 형성된 전자가 재결합하여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anti-reflection layer 30 serves to minimize reflection of incident light and to prevent electrons formed in the N-type silicon layer 20 from being recombined and extinguished.

상기 P+형 실리콘층(40)은 상기 P형 실리콘층(10)의 하면에 형성되어 태양광 에 의해서 형성된 전자가 재결합하여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P + type silicon layer 4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 type silicon layer 10 to prevent electrons formed by sunlight from being recombined and extinguished.

상기 전면전극(50)은 상기 반사방지층(30)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N형 실리콘층(20)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면전극(60)은 상기 P+형 실리콘층(40)의 하면에 형성된다. The front electrode 50 extends from the top of the anti-reflection layer 30 to the N-type silicon layer 20, and the back electrode 6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 + type silicon layer 40. .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과 같은 종래의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단면도이다. 2A through 2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nventional substrate type solar cell as shown in FIG. 1.

우선,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P형 실리콘 기판(10a)을 준비한 후 P형 실리콘 기판(10a)의 상면을 요철구조로 식각한다. First, as shown in FIG. 2A, after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is prepared,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is etched into an uneven structure.

다음,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P형 실리콘 기판(10a)에 N형 도펀트를 확산시켜 상기 P형 실리콘 기판(10a)의 표면에 N형 실리콘(20a)을 도핑한다. Next, as shown in FIG. 2B, the N-type dopant is diffused onto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to dope the N-type silicon 20a to the surface of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이 공정은 상기 P형 실리콘 기판(10a)을 대략 800℃이상의 고온의 확산로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POCl3, PH3 등과 같은 N형 도펀트 가스를 공급하여 N형 도펀트를 상기 P형 실리콘 기판(10a)의 표면으로 확산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In this process, the N-type dopant is supplied to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by supplying an N-type dopant gas such as POCl 3 or PH 3 while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is placed in a high temperature diffusion path of about 800 ° C. or more. ) Is diffused to the surface.

한편, 이와 같은 고온확산공정은 800℃이상의 고온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P형 실리콘 기판(10a)의 표면에 PSG(Phosphor-Silicate Glass)와 같은 부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SG는 태양전지에서 전류를 차폐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식각용액 등을 이용하여 상기 PSG를 제거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igh temperature diffusion process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of 800 ℃ or more, by-products such as PSG (Phosphor-Silicate Glas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Since the PSG causes a problem of shielding current from the solar cell, the PSG is removed using an etching solution or the lik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다음,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P형 실리콘 기판(10a)의 측부 및 하부에 형성된 N형 실리콘(20a)을 제거하여, 상기 P형 실리콘 기판(10a)의 상부에만 N 형 실리콘(20a)을 형성한다. 따라서, P형 실리콘층(10) 및 그 상면에 형성된 N형 실리콘층(20)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이 형성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2c, by removing the N-type silicon (20a) formed on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the N-type silicon (20a) on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0a) To form. Thus, a PN junction layer composed of the P-type silicon layer 10 and the N-type silicon layer 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formed.

다음, 도 2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N형 실리콘층(20) 상면에 반사방지층(3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2d, the anti-reflection layer 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type silicon layer 20.

다음, 도 2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반사방지층(30) 상면에 전면전극(50)을 형성하고, 상기 P형 실리콘층(10)의 하면에 후면전극(6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E, the front electrode 5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30, and the back electrode 6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type silicon layer 10.

다음, 도 2f에서 알 수 있듯이, 고온에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도 1과 같은 기판형 태양전지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면, 상기 전면전극(50)을 구성하는 금속물질이 상기 반사방지층(30)을 뚫고 상기 N형 실리콘층(20)까지 침투하게 되어 전면전극(50)이 N형 실리콘층(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며, 또한, 상기 후면전극(60)을 구성하는 금속물질이 상기 P형 실리콘층(10)으로 침투하게 되어 상기 P형 실리콘층(10)의 하부에 P+형 실리콘층(40)이 형성되게 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2f, by performing a heat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to complete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as shown in FIG. As such, when the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the metal material constituting the front electrode 50 penetrates the anti-reflection layer 30 and penetrates to the N-type silicon layer 20 so that the front electrode 50 is N.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licon-type silicon layer 20, and the metal material constituting the back electrode 60 is penetrated into the P-type silicon layer 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type silicon layer 10 P + type silicon layer 40 is form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판형 태양전지의 경우 아직까지 원하는 만큼의 전지효율을 얻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량생산체제하에서는 비용면에서 유리한 다결정실리콘을 이용하여 기판형 태양전지를 제조하는데, 다결정실리콘의 경우 결정결함이 많이 존재하고 특히 결정입자가 서로 다른 결정방위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경계부에서도 많은 결함이 존재하게 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substrate type solar cell has not yet achieved the desired battery efficiency. Particularly, under the mass production system, substrate type solar cells are manufactured by using polycrystalline silicon,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In the case of polycrystalline silicon, many crystal defects exist, and in particular, since crystal grains are arranged in different crystal orientations, many of them also exist at the boundary thereof. There will be a defect.

따라서, 기판형 태양전지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 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다 하겠다. Therefore, a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by minimizing the defect of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판형 태양전지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meet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requireme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by removing defects present in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P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P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P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N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Doping an N-type dopant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comprising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Activating the N-type dopant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Forming a fro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back electrod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본 발명은 또한 P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P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P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N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eparing a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Doping an N-type dopant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comprising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ctivating the N-type dopant and treating the N-type dopant in a hydrogen atmosphere to remove defects in the PN junction laye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fro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back electrod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플라즈마를 인가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eatment in the hydrogen atmosphere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plasma in a hydrogen atmosphere to perform a plasma treatment.

상기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상기 N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fter the forming of the anti-reflection lay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heat treatment to activate the N-type dopant and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eatment in the hydrogen atmosphere may be performed by a heat treatment in the hydrogen atmosphere.

상기 P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시키는 공정은, N형 도펀트 가스를 공급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oping of the N-type dopant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may be performed by generating a plasma while supplying the N-type dopant gas.

상기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은, 상기 PN접합층에 수소이온을 공급하여 Si-H결합을 유도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hydrogen ions to the PN junction layer to induce Si—H bonding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PN접합층에 공급되는 수소이온은 상기 반사방지층에 함유된 수소원자가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활성화된 것일 수 있다. Hydrogen ions supplied to the PN junction layer may be one in which hydrogen atoms contained in the antireflection layer are activat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본 발명은 또한, N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N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P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eparing an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Doping a P-type dopant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composed of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ctivating the P-type dopant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Forming a fro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providing a back electrode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본 발명은 또한 N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N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P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eparing an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Doping a P-type dopant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composed of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ctivating the P-type dopant and treating in a hydrogen atmosphere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fro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providing a back electrode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플라즈마를 인가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eatment in the hydrogen atmosphere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plasma in a hydrogen atmosphere to perform a plasma treatment.

상기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상기 P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fter the forming of the anti-reflection lay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activating the P-type dopant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eatment in the hydrogen atmosphere may be performed by a heat treatment in the hydrogen atmosphere.

상기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시키는 공정은, P형 도펀트 가스를 공급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oping of the P-type dopant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may be performed by generating a plasma while supplying the P-type dopant gas.

상기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은, 상기 PN접합층에 수소이온을 공급하여 Si-H결합을 유도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hydrogen ions to the PN junction layer to induce Si—H bonding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PN접합층에 공급되는 수소이온은 상기 반사방지층에 함유된 수소원자가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활성화된 것일 수 있다. Hydrogen ions supplied to the PN junction layer may be one in which hydrogen atoms contained in the antireflection layer are activat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처리 공정을 통해 PN접합층에 수소이온을 공급함으로써, Si-H 결합을 유도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Firs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hydrogen ions to the PN junction layer through the heat treatment process, by inducing Si-H bonds to remove th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have.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처리 공정을 반사방지층 형성공정 이후에 수행함으로써,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의 제거와 더불어 도핑된 N형 또는 P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N형 또는 P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시 반사방지층이 배리어 역할을 함으로써 N형 또는 P형 도펀트 이온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되어, 태양전지의 효율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Seco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activation of the doped N-type or P-type dopant ions and the removal of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In particular, the anti-reflection layer acts as a barrier when the N-type or P-type dopant ions are activated, thereby preventing the N-type or P-type dopant ions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셋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여 활성화된 수소이온을 상기 PN접합층에 공급함으로써, Si-H 결합을 유도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Thir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activated hydrogen ions by treatment in a hydrogen atmosphere to the PN junction layer, by inducing Si-H bonds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t has an enhanced effect.

넷째, 본 발명은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을 이용하여 N형 또는 P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종래 고온확산법을 이용하여 도핑하는 공정에 비하여, 보다 정밀하고 재현성 높은 도핑을 실현할 수 있고, 공정시간도 단축되며,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고, 식각공정과 같은 별도의 추가공정이 요하지 않는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by doping the N-type or P-type dopant using the plasma ion doping metho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more precise and reproducible doping, the process time is shorter than the conventional doping using the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No by-products are produced and no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such as etching.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단면도이다. 3A to 3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ubstrate-type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P형 반도체 기판(100a)을 제조한 후, 그 상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A, after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is manufacture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formed into an uneven structure.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0a)은 단결정실리콘 또는 다결정실리콘을 이용할 수 있는데, 단결정실리콘은 순도가 높고 결정결함밀도가 낮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효율이 높으나 가격이 너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다결정실리콘은 상대적으로 효율은 떨어지지만 저가의 재료와 공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생산비가 적게 들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may use single crystal silicon or polycrystalline silicon. Since single crystal silicon has high purity and low crystal defect density, solar cell efficiency is high, but the price is too high, and thus economical efficiency is low. Although relatively inefficient, they are inexpensive and are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due to their low production costs.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0a)은 소정의 에칭공정을 통해 그 상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는데,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0a)으로서 단결정실리콘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는 알카리 에칭에 의해서 그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0a)으로서 다결정실리콘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는 많은 결정입자가 서로 다른 결정방위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알카리 에칭에 의해서 그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반응성 이온 에칭법(Reactive Ion Etching:RIE), 산액을 이용한 등방성 에칭법, 또는 기계적 에칭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is formed by the concave-convex structure through a predetermined etching process. In the case of using a single crystal silicon substrate as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the surface is concave-convex by the alkali etching. Although a polysilicon substrate is used as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since many crystal grains are arranged in different crystal orientations, there is a limit to forming the surface into an uneven structure by alkali etching, which is reactive.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using an ion etching method (RIE), an isotropic etching method using an acid solution, or a mechanical etching method.

상기 반응성 이온 에칭법은 결정입자의 결정방위에 관계없이 기판의 표면에 균일한 요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결정실리콘 기판의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반응성 이온 에칭법을 적용하게 되면 이후 공정을 동일한 챔버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반응성 이온 에칭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Cl2, SF6, NF3, HBr,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주 가스로 이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Ar, O2, N2, He,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첨가 가스로 이용할 수 있다. Since the reactive ion etching method can form a uniform uneven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rrespective of the crystal orientation of the crystal grains, the reactive ion etching method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process of forming the uneven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polysilicon substrate. The application of reactive ion etching has the advantage that subsequent processes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chamber. When the reactive ion etching method is applied, Cl 2 , SF 6 , NF 3 , HBr, or a mixture thereof is used as a main gas, and in some cases, Ar, O 2 , N 2 , He, or a mixture thereof is added. It can be used as a gas.

다음,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0a)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시킨다. 그리하면, P형 반도체층(100) 및 그 상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200)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이 형성된다. Next, as shown in FIG. 3B, an N-type dopant is doped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Then, the PN junction layer which consists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상기 N형 도펀트를 도핑시키는 공정은,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0a)을 그 상면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POCl3, PH3 등과 같은 N형 도펀트 가스를 공급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면 플라즈마 내부의 인(P) 이온이 RF전기장에 의해 가속되어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0a)의 상부로 입사하여 이온도핑된다. The process of doping the N-type dopant is performed by using a plasma ion doping method, specifically,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is placed in a plasma generating apparatus with its upper surface facing upwards and POCl 3 And a plasma generating step while supplying an N-type dopant gas such as PH 3 . When the plasma is generated in this way, phosphorus (P) ions in the plasma are accelerated by the RF electric field and incident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to be ion-dop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을 이용하여 N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종래 고온확산법을 이용하여 N형 도펀트를 도핑하는 공정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process of doping the N-type dopant using the conventional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by doping the N-type dopant using the plasma ion doping method.

첫째,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은 가스유량 이나 RF전력을 조절함으로써 도핑농도 및 도핑깊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확산법에 비하여 보다 정밀하고 재현성 높은 도핑을 실현할 수 있고 공정시간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plasma ion doping method can precisely control the doping concentration and the doping depth by adjusting the gas flow rate or the RF power, it is possible to realize more precise and reproducible doping and shorter processing time than the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둘째,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은 고온확산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고온확산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예로 PSG 또는 BSG)이 생성되지 않고, 따라서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요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Second, since plasma ion doping process is perform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mpared with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by-products (for example, PSG or BSG) generated by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are not produced, and thus, additional processes for removing the by-products are not requir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improved.

셋째, 이온 도핑이 수직방향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P형 반도체 기판(100a)의 상부에만 N형 반도체층(200)이 형성되어 고온확산법에서와 같이 P형 반도체 기판(100a)의 측부 및 하부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공정이 요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ird, since the ion doping procee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so that N formed on the side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as in the high temperature diffusion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oductivity is improved because an additional process for removing the type semiconductor layer is not required.

한편, 이와 같은 플라즈마 이온도핑 공정을 수행한 후에는 도핑된 이온이 단순한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도핑된 이온을 활성화시켜 Si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N형 반도체층(200)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열처리 공정을 플라즈마 이온도핑 공정을 수행한 직후가 아니라 후술하는 반사방지층(300) 형성공정 이후에 수행한다. 그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plasma ion doping process, since the doped ions may act as simple impurities,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is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so as to activate the doped ions and combine with Si.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heat treatment proces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forming process, not just after the plasma ion doping process. The reason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 도 3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N형 반도체층(200)의 상면에 반사방지층(30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3c,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상기 N형 반도체층(200)의 상면이 요철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반사방지 층(300)도 요철구조로 형성된다. As the upper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structure,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is also formed with a concave-convex structure.

상기 반사방지층(300)은 수소원자를 함유하는 물질, 예로서 실리콘질화물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리콘질화물은 NH3, SiH4, 및 N2 가스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CVD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 hydrogen atom, for example, silicon nitride. The silicon nitride may be formed by plasma CVD using NH 3 , SiH 4 , and N 2 gases.

다음, 도 3d에서 알 수 있듯이,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Defect)을 제거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3d, perform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o remove the defect (Defect)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열처리 공정을 통해 상기 PN접합층에 수소이온을 공급함으로 Si-H 결합을 유도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열처리 공정시 수소공급원이 필요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반사방지층(300)이 수소원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열처리 공정에 의해 반사방지층(300)에 함유된 수소원자가 활성화되어 상기 PN접합층에 수소이온이 공급되므로 별도의 수소공급원이 필요하지 않다. By supplying hydrogen ions to the PN junction layer through the heat treatment process, the Si-H bond is induced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Therefore, a hydrogen supply source is required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contains hydrogen atoms, the hydrogen atoms contained in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are activat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Therefore, since hydrogen ions are supplied to the PN junction layer, a separate hydrogen supply source is not required.

또한, 상기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경우, 전술한 도 3b에 따른 공정에서 도핑된 N형 도펀트 이온이 활성화되어 Si와 결합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어, 결국, 한 번의 열처리 공정을 통해 N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와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의 제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N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를 위해 열처리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N형 도펀트가 내부의 Si와 결합하는 것과 별도로 N형 도펀트가 외부로 방출(outgassing 또는 outdiffusing)되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형성된 반사방지층(300)이 배리 어(barrier) 역할을 하기 때문에 N형 도펀트가 외부로 방출되어 손실되지 않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he doped N-type dopant ions are activated in the process according to FIG. 3B, and thus may be combined with Si. Thus, the N-type dopant ions may be obtained through one heat treatment process. Activation and removal of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can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In particular, when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generally performed to activate the N-type dopant ions, the N-type dopa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utgassing or outdiffusing) in addition to the N-type dopant being bonded to the internal Si, thereby causing a los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formed on the upper part serves as a barrier, an N-type dopant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and thus not lost.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N형 반도체층(200)의 상면에 반사방지층(300)을 형성한 후에 열처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첫째,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이 제거되며, 둘째, N형 반도체층(200) 형성을 위해 도핑된 N형 도펀트 이온이 활성화되며, 셋째, 상기 N형 도펀트 이온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태양전지의 효율이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first, th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is removed, second, the N-type semiconductor The doped N-type dopant ions are activated to form the layer 200, and third, the N-type dopant ions are not emitted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상기 열처리 공정은 80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의 제거효과 및 N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효과 구현을 위해 바람직하다.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for the purpose of removing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and activating an N-type dopant ion.

다음, 도 3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반사방지층(300)의 상면에 전면전극물질(500a)을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하고, 상기 P형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후면전극물질(600a)을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한다. 3E,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500a is co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back electrode material 600a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100. It is appli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전면전극물질(500a)을 먼저 도포하고 그 후에 상기 후면전극물질(600a)을 도포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전극물질(600a)을 먼저 도포하고 그 후에 상기 전면전극물질(500a)을 도포할 수도 있다.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500a may be applied first, and then the back electrode material 600a may be applied, and the back electrode material 600a may be applied first, and then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500a may be applied. have.

상기 전면전극물질(500a)은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와 같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500a includes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Ag + Cu, Ag + Al + Zn and It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상기 후면전극물질(600a)은 Al과 같이 P형 도펀트로 기능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예로는 Al, Al+Ag, Al+Mo, Al+Ni, Al+Cu, Al+Mg, Al+Mn, Al+Zn 등과 같은 금속물질을 들 수 있다. The back electrode material 600a may include a material capable of functioning as a P-type dopant, such as Al,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l, Al + Ag, Al + Mo, Al + Ni, Al + Cu, and Al +. Metal materials such as Mg, Al + Mn, Al + Zn, and the like.

상기 전면전극물질(500a) 및 후면전극물질(600a)은 스크린인쇄법(screen printing), 잉크젯인쇄법(inkjet printing), 그라비아인쇄법(gravure printing) 또는 미세접촉인쇄법(microcontact printing) 등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500a and the back electrode material 600a may be formed by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microcontact printing, or the like. Can be applied.

다음, 도 3f에서 알 수 있듯이, 열처리공정을 수행하여 전면전극(500), P+형 반도체층(400), 및 후면전극(60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3f,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a front electrode 500, a P +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and a back electrode 600.

즉, 850℃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를 수행하면, 상기 전면전극물질(500a) 물질이 상기 반사방지층(300)을 뚫고 상기 N형 반도체층(200)까지 침투하여, N형 반도체층(200)과 연결되는 전면전극(500)이 형성된다. 또한, 850℃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를 수행하면, 상기 후면전극물질(600a)이 상기 P형 반도체층(100)의 하면으로 침투하여 P+형 반도체층(400)이 형성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후면전극(600)은 P+형 반도체층(400)을 통해 P형 반도체층(100)과 연결된다. That is, whe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850 ° C. or higher,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500a penetrates through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and penetrates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and is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ront electrode 500 is formed. In addition, whe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850 ° C. or higher, the back electrode material 600a penetrates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100 to form a P +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Therefore, the back electrode 600 is finally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100 through the P +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한편, 상기 후면전극물질(600a)로서 P형 도펀트로 기능할 수 없는 물질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P형 반도체층(100)의 하부에 B2H6와 같은 P형 도펀트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이온도핑하여 P+형 반도체층(400)을 형성하고, 그 이후에 P+형 반도체층(400)의 하면에 후면전극(60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P+형 반도체층(400)을 먼저 형성한 후 후면전극(60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전극(500)을 후면전극(600)과 동시에 형성하지 않고 후면전극(600) 형성 전 또는 후 면전극(600) 형성 후에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 material that cannot function as a P-type dopant as the back electrode material 600a, a plasma containing a P-type dopant such as B 2 H 6 is used below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100. The ion doped to form a P +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after which the back electrode 60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 +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 +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is formed first and then the back electrode 600 is formed, the front electrode 500 is not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back electrode 600, but before the back electrode 600 is formed.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after the back electrode 600 is formed.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수소이온을 외부에서 공급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 것이다. 4A to 4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ubstrate-type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supply hydrogen ions from the outside to remove defects in the PN junction layer. It includes the process to do.

이하 설명하는 공정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우선,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P형 반도체 기판(100a)을 제조한 후, 그 상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4A, after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is manufacture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formed into an uneven structure.

다음,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0a)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시킨다. 그리하면, P형 반도체층(100) 및 그 상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200)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이 형성된다. Next, as shown in FIG. 4B, an N-type dopant is doped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00a. Then, the PN junction layer which consists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100 and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상기 N형 도펀트를 도핑시키는 공정은 플라즈마 이온도핑법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The step of doping the N-type dopant is performed using a plasma ion doping method.

다음, 도 4c에서 알 수 있듯이,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여 활성화된 수소이온을 상기 PN접합층에 공급하여 Si-H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4c, by treating in a hydrogen atmosphere to supply the activated hydrogen ions to the PN junction layer to induce Si-H bonds to eliminate th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플라즈마를 인가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소분위기에서 고온을 가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process of treating in a hydrogen atmosphere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plasma in a hydrogen atmosphere to perform a plasma treatment, or may be a process of performing heat treatment by applying a high temperature in a hydrogen atmosphere.

상기 수소분위기에서의 플라즈마 처리공정은 일반적으로 반응온도가 800℃보 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N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효과 및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의 제거효과를 충실히 구현할 수 없다. 특히,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은 PN접합층의 표면 및 PN접합층의 내부에 각각 존재할 수 있는데, 800℃보다 낮은 온도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PN접합층의 표면의 결함은 어느 정도 제거되지만 상기 PN접합층의 내부의 결함은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PN접합층의 내부 결함의 제거효과 및 N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효과를 충실히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소분위기에서의 플라즈마 처리공정 이후에, 8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열처리 공정은 후술하는 반사방지층(300) 형성공정 이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plasma treatment process in the hydrogen atmosphere is general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800 ° C., the activation effect of the N-type dopant ions and the removal of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cannot be faithfully realized. In particular, th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may b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PN junction layer and the inside of the PN junction layer, respectively. When the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800 ° C., the defects on the surface of the PN junction layer may be any. Although removed to some extent, defects inside the PN junction layer remain without being removed. Therefore, in order to faithfully realize the effect of removing the internal defects of the PN junction layer and the activation effect of the N-type dopant ion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erform a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after the plasma treatment in the hydrogen atmosphere.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preferably performed after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form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고온을 가하는 열처리 공정은 반응온도를 800℃이상에서 수행하며, 이 경우에는 N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효과 및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의 제거효과를 충실히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고온을 가하는 열처리 공정 이후에는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heat treatment process of applying a high temperature in the hydrogen atmosphere is carried out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800 ℃ or mo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aithfully implement the effect of activating the N-type dopant ions and the removal of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n additional heat treatment process 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of applying a high temperature in the hydrogen atmosphere.

다음, 도 4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N형 반도체층(200)의 상면에 반사방지층(30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4d,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00.

다음, 도 4e에서 알 수 있듯이,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Defect)을 제거함과 더불어 N형 도펀트 이온을 활성화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4e, by perform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o remove the defects (Defect)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and to activate the N-type dopant ions.

전술한 도 4c공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c공정이 수소분위기에서 플라 즈마 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PN접합층의 내부 결함의 제거효과 및 N형 도펀트 이온의 활성화효과를 충실히 구현하기 위해서 도 4e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다만, 도 4c공정이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4e의 열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FIG. 4C, when the process of FIG. 4C is a plasma treatment process in a hydrogen atmosphere, in order to faithfully realize the effect of removing the internal defects of the PN junction layer and the activation effect of the N-type dopant ions, A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However, when the process of FIG. 4C is a heat treatment process in a hydrogen atmosphere, the heat treatment process of FIG. 4E may be omitted.

다음, 도 4f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반사방지층(300)의 상면에 전면전극물질(500a)을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하고, 상기 P형 반도체층(100)의 하면에 후면전극물질(600a)을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한다. Next, as shown in FIG. 4F,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500a is co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3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back electrode material 600a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100. It is appli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다음, 도 4g에서 알 수 있듯이, 열처리공정을 수행하여 전면전극(500), P+형 반도체층(400), 및 후면전극(60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4g,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the front electrode 500, P + type semiconductor layer 400, and the back electrode 600.

한편, 이상에서는 P형 반도체 기판을 베이스(base)로 하여 P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N형 반도체 기판을 베이스로 하여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도 포함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a PN junction layer by doping an N-type dopant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with a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as a base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including a step of forming a PN junction layer by doping a P-type dopant on an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based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이하에서는, N형 반도체 기판을 베이스로 하여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함으로써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공정의 구체적인 사항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including a step of forming a PN junction layer by doping a P-type dopant on an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based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will be described. Specific details of each process will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우선, N형 반도체 기판을 제조한 후, 그 상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한다. First, after manufacturing an N 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n uneven structure.

다음, 상기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N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한다. 상기 P형 도펀트를 도핑시키는 공정은, B2H6와 같은 P형 도펀트 함유 가스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이온도핑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Next, a PN dopant is doped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including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step of doping the P-type dopant includes a step of plasma ion doping using a P-type dopant-containing gas such as B 2 H 6 .

다음,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한다. Next, an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다음,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Defect)을 제거한다. Next, a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remove defects existing in the PN junction layer.

다음, 상기 반사방지층의 상면에 전면전극물질을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한 후 열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전면전극물질이 상기 반사방지층을 뚫고 상기 P형 반도체층까지 침투하도록 하여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한다. Next,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n heat treated to allow the front electrode material to penetrate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penetrate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m an electrode.

다음, 상기 N형 반도체층의 하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하여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한후, 상기 N+형 반도체층의 하면에 후면전극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다. Next, an N + typ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by doping an N type dopant under the N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n a back electrod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N + type semiconductor lay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와 같이 전면전극을 먼저 형성한 후 N+형 반도체층과 후면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N+형 반도체층과 후면전극을 먼저 형성한 후 전면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lectrode may be formed first, and then the N +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back electrode may be formed, but the N +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back electrode may be formed first, and then the front electrode may be formed.

한편,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공정 이전에 수소분위기에서 플라즈마 또는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할 수 있다. Meanwhile, before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process, a plasma or a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 hydrogen atmosphere to remove defects in the PN junction layer.

도 1은 종래의 기판형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ubstrate-type solar cell.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과 같은 종래의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단면도이다. 2A through 2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nventional substrate type solar cell as shown in FIG. 1.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단면도이다. 3A to 3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ubstrate-type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단면도이다. 4A to 4G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P형 반도체층 200: N형 반도체층100: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 N-type semiconductor layer

300: 반사방지층 400: P+형 반도체층300: antireflection layer 400: P + type semiconductor layer

500: 전면전극 600: 후면전극500: front electrode 600: rear electrode

Claims (16)

P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Preparing a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P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P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Doping an N-type dopant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comprising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N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 Activating the N-type dopant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Forming a fro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back electrod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P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Preparing a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P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P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Doping an N-type dopant on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comprising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N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 Activating the N-type dopant and treating the N-type dopant in a hydrogen atmosphere to remove defects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Forming a fro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back electrod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플라즈마를 인가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process of the hydrogen atmosphe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of performing a plasma treatment by applying a plasma in a hydrogen atmosphere.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상기 N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activating the N-type dopant and performing a heat treatment to remove th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Manufacturin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process of treating in a hydrogen atmosphe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of performing a heat treatment in a hydrogen atmospher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P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N형 도펀트를 도핑시키는 공정은, N형 도펀트 가스를 공급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doping the N-type dopan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generating a plasma while supplying the N-type dopant gas.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은, 상기 PN접합층에 수소이온을 공급하여 Si-H결합을 유도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step of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supplying hydrogen ions to the PN junction layer to induce a Si-H bond to remove th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manufacturing of a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Way.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PN접합층에 공급되는 수소이온은 상기 반사방지층에 함유된 수소원자가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활성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Hydrogen ions supplied to the PN junction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gen atoms contained in the anti-reflection layer is activat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N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Preparing an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N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Doping a P-type dopant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composed of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P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 Activating the P-type dopant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Forming a fro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type solar cell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back electrode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N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Preparing an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시켜, N형 반도체층 및 그 상면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N접합층을 형성하는 공정;Doping a P-type dopant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o form a PN junction layer composed of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P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 Activating the P-type dopant and treating in a hydrogen atmosphere to remov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상기 P형 반도체층의 상면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Forming a front electrode connect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는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type solar cell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back electrode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플라즈마를 인가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process of the hydrogen atmosphe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of performing a plasma treatment by applying a plasma in a hydrogen atmosphere.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상기 P형 도펀트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tivating the P-type dopant and performing a heat treatment to remove th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Manufacturing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수소분위기에서 처리하는 공정은 수소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process of treating in a hydrogen atmosphe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of performing a heat treatment in a hydrogen atmosphere.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상기 N형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P형 도펀트를 도핑시키는 공정은, P형 도펀트 가스를 공급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step of doping the P-type dopant on the N-typ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generating a plasma while supplying a P-type dopant gas.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or 12, 상기 열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은, 상기 PN접합층에 수소이온을 공급하여 Si-H결합을 유도하여 PN접합층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he step of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supplying hydrogen ions to the PN junction layer to induce a Si-H bond to remove the defects present in the PN junction layer manufacturing of a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Way.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PN접합층에 공급되는 수소이온은 상기 반사방지층에 함유된 수소원자가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활성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Hydrogen ions supplied to the PN junction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type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gen atoms contained in the anti-reflection layer is activat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KR1020070121237A 2007-11-27 2007-11-27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KR1014153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237A KR101415320B1 (en) 2007-11-27 2007-11-27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237A KR101415320B1 (en) 2007-11-27 2007-11-27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535A true KR20090054535A (en) 2009-06-01
KR101415320B1 KR101415320B1 (en) 2014-07-09

Family

ID=4098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237A KR101415320B1 (en) 2007-11-27 2007-11-27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3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27B1 (en) * 2008-12-11 2010-06-24 에스티엑스 솔라주식회사 A fabrication method of a solar cell and a solar cell fabricated thereb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735A (en) * 1999-05-10 2000-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Photovoltaic device and fabrication thereof
CA2387510A1 (en) * 1999-10-13 2001-04-19 Universitat Konstanz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olar cells
JP2004128438A (en) * 2002-08-01 2004-04-22 Sharp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27B1 (en) * 2008-12-11 2010-06-24 에스티엑스 솔라주식회사 A fabrication method of a solar cell and a solar cell fabricat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320B1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5864B (en) Photovolta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41289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electric device
US2018027769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US20090068783A1 (en) Methods of emitter formation in solar cells
WO201814773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assivated solar cell and resulting passivated solar cell
US20150017747A1 (en) Method for forming a solar cell with a selective emitter
JP2014519723A (en) Patterned doping for polysilicon emitter solar cells.
CN11094314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voltaic solar cell with heterojunction and emitter diffusion regions
KR101444709B1 (en) Wafer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572052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KR2010000419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TW201036188A (en) Method of fabricating solar cells
KR10155595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KR10141532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KR100995654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173264A1 (en) Method for producing back contact solar cell
US20100294357A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1516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KR101249030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5881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WO2012108766A2 (en) A method of manufactering a solar cell and a solar cell
KR10112799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heterojunction silicone solar cell using ion shower method
KR102301640B1 (en) Wafer type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32550B1 (en) Method and System of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KR200901246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fer type solar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