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356A -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356A
KR20090052356A KR1020097005172A KR20097005172A KR20090052356A KR 20090052356 A KR20090052356 A KR 20090052356A KR 1020097005172 A KR1020097005172 A KR 1020097005172A KR 20097005172 A KR20097005172 A KR 20097005172A KR 20090052356 A KR20090052356 A KR 20090052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trackball
image
zoom level
viewf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026B1 (ko
Inventor
쉐릴 리 로레인 스코트
줄리안 파스
조엘 스틸
패트릭 아담지크
후벨 데이비드 노엘 반덴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5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신규의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무선 이메일 및 전화의 결합된 특징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카메라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카메라로서 사용되고 있을 때 뷰파인더에서 보이는 이미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트랙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계속해서 더 작아지고 보다 많은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기존의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기능과 무선 이메일 능력을 단일 디바이스로 통합한 것이 잘 알려져 있으며, 리서치 인 모션(Research In Motion, 캐나다 워털루 소재)으로부터의 블랙베리(BlackberryTM)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일 예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음성 기능, 음악 및 비디오 플레이어를 통합한 것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더 많은 특징 및 기능이 통합됨에 따라, 사용 편이성(usability)을 최대화하도록 디바이스의 제어 및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점점 카메라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통합되고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의 사용 편이성 개선에 대한 고유 과제를 제시한다.
실제로, 디바이스의 사용 편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리고 또한 휴대성을 확보하는데 바람직한 소형 폼 팩터(form factor)를 유지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상의 입력 디바이스는 다수 용도를 지원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블랙베리 7100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그의 이전 제품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에 위치된 트랙휠(trackwheel)을 포함한다. 트랙휠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들고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를 보는 동안 메뉴를 스크롤하도록 엄지 손가락으로 작동될 수 있고 메뉴 선택을 하도록 안쪽으로 눌릴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트랙휠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대하여 매우 유용한 다용도 입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카메라를 통합하면, 카메라용 렌즈가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후면(rear)에 위치되기 때문에, 트랙휠은 문제가 된다.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잡으며 트랙휠을 동작시키도록 엄지 손가락을 배향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잡을 때 사용자의 둘째 손가락이 카메라 렌즈를 가릴 수 있다. 실제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는, 기존의 카메라 폼 팩터가 사진 이미지의 캡쳐와 관련될 때의 사용 편이성을 위해 설계되는 반면, 셀룰러 전화 또는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의 폼 팩터는 전화 통신 또는 텍스트 기반의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것의 사용 편이성을 위해 설계되기 때문에, 카메라에 대한 기존의 폼 팩터가 셀룰러 전화 또는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에 대한 폼 팩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양상은, 종래 기술의 카메라에 대해 줌 온/오프, 플래시 온/오프와 같은 카메라 기능의 특징이 일반적으로 그 특정 카메라 기능에 고유 하게 전용된 별도의 물리적 버튼을 통하여 개시된다는 것에 있다. 그러나, 일차 기능이 통신하는 것(예를 들어, 전화 통화 및 이메일)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디바이스는 카메라 기능을 위한 일차 입력으로서 전용되는 버튼이 부족하다. 따라서, 카메라 기능을 위해 디바이스 상의 기존의 키와 제어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키의 사용이 사용자에게 직관적(intuitive)이어야 한다.
카메라의 특징을 셀룰러 전화 및/또는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에 조합한 것이 알려져 있지만,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의 사용 편이성은 여전히 미비한 점이 많다.
일 양상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감광 변환기(light sensitive transducer) 및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하는 트랙볼(trackball)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디폴트 줌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며 상기 디폴트 줌 레벨에 대응하는 시야(a field of view)를 갖는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함으로써 뷰파인더(viewfinder)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트랙볼로부터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입력은 상기 시야에 대해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하라는 명령을 나타내는 것인, 입력 수신 단계;
상기 명령이 줌인을 지시하는지 아니면 줌아웃을 지시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줌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단계에서의 상기 줌 레벨에 따라 확장되거나 감소된 시야를 갖는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뷰파인더 상에 재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상기 카메라 기능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방법은 상기 설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능은 무선 전화, 무선 이메일 또는 무선 인스턴트 메시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의 상기 트랙볼의 회전 입력은 줌인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의 상기 트랙볼의 회전 입력은 줌아웃을 나타낼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트랙볼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상기 트랙볼이 눌리는 것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줌 레벨에 따른 상기 뷰파인더 상의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상기 트랙볼이 정지(rest)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회전 위치에 있는지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볼의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위치는 줌이 최소 줌 레벨, 중간 줌 레벨 및 최대 줌 레벨 중 임의의 하나에 있는 것에 대응할 수 있고, 본 방법은 3개의 아이콘 이미지 중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줌 레벨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줌인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줌 레벨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줌인과 줌아웃 둘 다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줌 레벨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줌아웃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전화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착신 통신(incoming communication)이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지 화면을 상기 뷰파인더를 오버레이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지 화면은 착신 통신의 발신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식별자는 발신자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사진 대신에 발신자를 대표하는 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지 화면은 무시 필드 및 수락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지 화면이 처음에 활성화될 때 디폴트로 무시 필드가 하이라이트(highlight)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트랙볼, 감광 변환기, 디스플레이, 영구 저장 디바이스 및 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를 상호접속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뷰파인더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뷰파인더는 상기 감광 변환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신되고 있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재현(reproduce)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랙볼을 통하여 회전 입력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회전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뷰파인더 상의 이미지를 확장하거나 감소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감광 변환기는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의 어레이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랙볼이 눌리는 것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영구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감광 변환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캡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쳐된 이미지의 시야는 상기 뷰파인더 상의 이미지의 시야에 대응한다.
제1 방향의 회전 입력은 줌인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의 회전 입력은 줌아웃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상기 뷰파인더와 함께, 트랙볼이 정지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회전 위치에 있는지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볼의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지 위치는 줌이 최소 줌 레벨, 중간 줌 레벨 및 최대 줌 레벨 중 임의의 하나에 있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아이콘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 중 제1 아이콘은 줌인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는 최소 줌 레벨에 대응한다. 중간 줌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 중 제2 아이콘은 줌인과 줌아웃 둘 다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최대 줌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 중 제3 아이콘은 줌아웃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전화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뷰파인더 위에 상기 전화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착신 통신이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지 화면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통지 화면은 착신 통신의 발신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식별자는 발신자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통지 화면은 무시 필드 및 수락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폴트로 무시 필드가 하이라이트된다.
다른 양상은 전술한 것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프로그래밍 명령들 세트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신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무선 이메일과 전화의 결합된 특징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카메라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카메라로서 사용되고 있을 때 뷰파인더에 보이는 이미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트랙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랙볼은 터치패드를 대신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순히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전면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후면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의 특정 컴포넌트의 등거리 분해도(isometric exploded view)이다.
도 4는 도 1의 디바이스의 트랙볼을 보다 상세하게 3가지 동작 모드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디바이스의 특정 내부 컴포넌트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진찍을 피사체(subject)와 관련하여 도 1에서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디바이스의 뷰파인더를 통하여 도 7에서의 피사체를 도시한다.
도 9는 줌인 기능의 일부 수행 중의 도 7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도시한다.
도 10은 줌아웃 기능의 일부 수행 중의 도 7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도시한다.
도 11은 줌인 기능 수행을 끝마친 도 7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도시한다.
도 12는 줌아웃 기능 수행을 끝마친 도 7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미리보기(preview) 화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잘라내기(crop) 선택 화면을 도 시한다.
도 15는 선택 윈도우가 이동된 도 14의 잘라내기 선택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화면을 도시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전면도가 전반적으로 30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는 무선 전화, 무선 이메일 페이징 디바이스 및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포함한다.
도 1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디바이스(30)는 키보드(38), 소프트 키 세트(42), 트랙볼(46) 및 마이크로폰(50) 형태의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를 프레임하는 하우징(34)을 포함한다. 하우징(34)은 또한 디스플레이(54) 및 스피커(58) 형태의 복수의 출력 디바이스를 프레임한다.
따라서, 디바이스(30)의 사용자는, 이메일을 송신 및 수신하고, 음성 전화 통화를 행하고, 일정 및 연락처를 관리하고,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고, 디바이스(30)와 같이 공지되거나 또는 아직 착상되지 않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찾아낼 수 있는 것과 같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30)는 설명을 위해 단순화된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가 추가 및/또는 기타 기능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타 기능은 음악 재생, 오디오 녹음 및 비디오 재생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된 입력 /출력 디바이스의 예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포트, 핸즈프리 헤드셋을 디바이스(30)에 접속시키는 헤드셋 잭, 또는 블루투스(BluetoothTM)(또는 동등 기술) 트랜시버를 포함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로부터 디바이스(30)에 포함된 특정 기능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는 또한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30)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30)는 또한 카메라 렌즈/감광 변환기(62) 형태의 추가의 입력 디바이스 및 플래시(66) 형태의 추가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감광 변환기(62)는 각각의 변환기가 픽셀에 대응하는 것인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감광 변환기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공지된 감광 변환기의 예는 카메라의 감광 변환기(들)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의 전자 신호를 실제로 생성하는 전하 결합 소자(CCD)를 포함한다.
이 시점에서,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의 폼 팩터는 사용자가 왼손이나 오른손으로 디바이스(30)를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소프트키(42)와 트랙볼(46)을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트랙볼(46)은 엄지 손가락용으로 구성되지만, 사용자가 자신의 다른 손가락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과 마찬가지로, 렌즈 및 감광 변환기(62)가 디스플레이(54) 뒤에 배치되며, 그리하여 디바이스(30)를 감쌀 때 사용자의 둘째 손가락이 렌즈를 가 리지 않음으로써 카메라로서의 디바이스(30)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감광 변환기(62)를 디스플레이(54) 뒤에 위치시키는 것은 또한, 디스플레이(54)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54) 바로 뒤에 있는 풍경을 제시할 것이므로, 디바이스(30)가 카메라로서 동작하는 경우 뷰파인더로서 디스플레이(54)의 사용 편이성을 향상시킨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키보드(38), 소프트 키(42), 트랙볼(46), 및 하우징의 (디스플레이(54)를 프레임하는) 일부분(34)이 보다 세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키보드(38)는 감소된 QWERTY 스타일 키보드이며, 그에 따라 디바이스(30)의 너비는 디바이스(30)를 한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다른 키보드 레이아웃 및 구성이 고려될 수도 있다. 주목할 것은 트랙볼(46)과 소프트 키(42)가 디스플레이(54) 아래에 그리고 키보드(38) 위에 위치된다는 점이다. 트랙볼(46)은 소프트 키들(42) 사이에 배치된다. 트랙볼(46)과 소프트 키(42)는 그것들의 기능(들)이 디스플레이(54) 상에 제시되고 있는 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정황에 따라 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특히, 소프트 키(42)는 특정 소프트 키(42)의 위치와 직관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적합하게 그와 연관된 기능이 디스플레이(54) 상에 제시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도 3에 또한 도시된 것은, 트랙볼(46)을 유지하고 트랙볼(46)이 그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캐비티를 제시하는 변환기-하우징(70)이다. 트랙볼(46)은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트랙볼(46)의 회전은 변환기-하우징(70) 내의 변환기에 의해 감지된다. 트랙볼(46)은 또한 안쪽으로 눌려질 수도 있고, 그에 의해 소프트 키(42)와 키보드(38) 상의 임의의 다른 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는 또한 트랙볼(46)의 둘레를 둘러싸며 변환기-하우징(70)에 장착되는 스커트(skirt)(74)가 포함되어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트랙볼(46), 변환기-하우징(70) 및 스커트(74)가 3가지 상이한 동작 모드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모드 A에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T는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움직이며 트랙볼(46)을 화살표 F1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하, 방향 F1은 정방향 F1로 부를 것이다. 모드 B에서, 엄지 손가락 T는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움직이며 트랙볼을 정방향 F1과 반대 방향인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하, 방향 R1은 역방향 R1로 부를 것이다. 모드 C에서, 엄지 손가락 T는 스커트(74)를 향하여 움직이며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트랙볼(46)을 누르고 트랙볼(46)을 화살표 D1의 방향으로 압박(urging)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방향 D1은 누름 방향 D1로서 부를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이제 누름 방향 D1은 엄지 손가락 T가 키보드(38) 상의 키를 누를 때 키에 미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라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모드 A 및 B는 본질적으로 서로 반대인 방향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트랙볼(46)이 어느 방향으로든 움직임 수 있고, 모드 A 및 B에서 도시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모드 A 및 B, 그리고 트랙볼(46)의 비슷한 회전들은, 디스플레이(54)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고, 콘텐츠를 스크롤하거나 브 라우징하고, 또는 디스플레이(5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대화 박스 내의 포커스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과 마찬가지로, 모드 C는 디스플레이(5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최종 선택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 주목할 것은, 엄지 손가락 T가 모드 A 및 B 중에는 스커트(74)와 접촉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트랙볼(46)이 모드 A 및 B로 회전되고 있을 때 트랙볼(46)을 상대적으로 노출된 위치에 남기도록, 스커트(74)의 깊이, 그리고 트랙볼(46)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테이퍼(taper)가 엄지 손가락 T의 형상에 맞추어 선택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모드 C 중에는 엄지 손가락 T가 눌림 방향 D1로 움직일 때, 스커트의 노출된 에지가 엄지 손가락 T와 맞물림으로써 엄지 손가락 T에 마찰을 도입하고, 사용자가 실제로 모드 C를 통하여 트랙볼(46)을 누르려고 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의도치않게 트랙볼(46)을 회전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스커트(74)의 깊이가 또한 선택된다. 이 양상은 아래에 더 설명될 것이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30)의 특정 내부 컴포넌트를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30)는 디바이스(30)의 입력 디바이스(즉, 트랙볼(46), 소프트 키(42), 키보드(38), 카메라 감광 변환기(62) 및 마이크로폰(50))와 디바이스(30)의 출력 디바이스(즉, 스피커(58), 디스플레이(54) 및 플래시(66)를 상호 접속시키는 프로세서(7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8)는 또한 영구 저장 디바이스(82)에 접속된다. (영구 저장 디바이스(82)는 플래시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탈착가능한 "스마트 카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30)는 또한, 디바이스(30)의 무선 이메일, 전화 및 웹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하도록 기지국의 네트워크 중 하나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하우징(34) 내에 배치된 무선 라디오(86)를 포함한다.
디바이스(30)는 또한 통상적으로 재충전가능하며 디바이스(30)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90)를 포함한다. 단순히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66)는 최소 약 3.0 볼트와 최대 약 42 볼트 사이의 동작 전압을 갖는 리튬 배터리이다. 도 5에서는, 단순성을 위해, 배터리(90)가 프로세서(78)에만 접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배터리(90)는 동작하는데 전력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30) 내의 임의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CCD 관련 감광 변환기(62), 라디오(88), 디스플레이(54) 및 플래시(66))에 접속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디바이스(30)는 또한 휘발성 저장장치(94)를 포함하는데, 이는 프로세서(78)에 의해 사용되고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흐름도에 나타나며, 이는 전반적으로 300으로 표시되어 있다. 방법(300)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방법(300)은 트랙볼(46)에 관련하여 디바이스(30)를 사용한 그 성능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방법(300)이 디바이스(30)가 아닌 다른 디바이스에 대해 수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방법(300)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단계 310에서 시작하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이 수신된다. 디바이스(30) 상에서, 이 단계는 디바이스(30)의 사용자에게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시하는 도 7에서의 메뉴 화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트랙볼(46)을 회전시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하이라이트될 때까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되면, 사용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제로 요청하도록 트랙볼(46)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는 피사체 S의 디지털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하여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78)는 사용자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원한다는 트랙볼(46)을 통한 입력을 수신하면, 방법(300)은 단계 310에서 단계 315로 진행할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315 및 320에서, 디폴트 줌 레벨에서 뷰파인더가 활성화된다.
디바이스(30)에 대하여, 용어 "뷰파인더"는 변환기(62) 및 디스플레이(54)와 함께, 프로세서(78)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되는 디지털 뷰파인더를 칭한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종래의 카메라 상에서 사용되는 광학 뷰파인더의 기능을 본딴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교시는 종래의 카메라 상에서 사용되는 광학 뷰파인더에, 그리고/또는 광학 뷰파인더와 디지털 뷰파인더를 둘 다 갖는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30)에 대하여, 용어 "줌"은 프로세서(78)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달성되는 줌잉(zooming) 효과인 디지털 줌을 칭하는 것을 또한 주목하자.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변환기(62)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54) 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러나, 방법(300)은 "광학 줌"을 채용하는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줌잉 효과는 카메라 렌즈의 이동을 통하여 달성된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교시는 디지털 줌, 광학 줌, 및 이들 조합에 적용된다.
단계 310과 단계 315 사이에서 트랙볼(46)의 기능이 적어도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탐색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줌 제어 입력 디바이스로 즉각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방법(300)의 나머지 수행 동안, 디바이스(30)의 거동은 줌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입력 디바이스(즉, 트랙볼(46))를 구비한 종래 기술의 카메라와 비슷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경험은 사용자가 종래 기술의 카메라를 동작할 때 일어날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디폴트 줌 레벨은 2.6x(2.6배)로 설정된다. 단계 315 및 320은 도 8에 나타나는데, 여기서 디스플레이(54)는 뷰파인더(100)를 제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뷰파인더(100)는 감광 변환기(62)를 통하여 피사체 S의 이미지를 수신한 다음 디스플레이(54) 상에 그 이미지의 표현을 생성하도록 프로세서(78)를 구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예에서, 뷰파인더(100) 상의 피사체 S의 사이즈는 2.6x의 줌 레벨과 일치하며, 그에 따라 피사체 S 전부가 디스플레이(54) 상의 뷰파인더 영역을 차지하는 것으로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뷰파인더(100) 외에도, 프로세서(78)는 또한 그 위에 상태 바(104)를 제시하 도록 디스플레이(5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태 바(104)는 줌 레벨 표시자(108) 및 플래시 아이콘(112)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8에 줌 레벨 표시자(108)가 도시되어 있으며 값 "2.6x"는 줌 레벨을 표시한다. 플래시 아이콘(112)은 활성화되면 실제 사진이 찍힐 때 플래시(66)가 터질 것임을 표시한다. 상태 바(104)는 또한 사진 카운트 표시자(116)를 포함하며, 이는 찍을 수 있고 디바이스(30)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사진의 수를 표시한다. 상태 바(104)는 또한 셔터 제어 표시자(120)를 포함한다.
셔터 제어 표시자(120)는 트랙볼(46)과 줄을 맞추어 디스플레이(54) 상에 나타나며, 이는 트랙볼(46)의 작동이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할 것임을 표시한다. 셔터 제어 표시자(120)는 중심에 카메라 사진 형태의 아이콘을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가 모드 C와 같은 방식으로 트랙볼(46)을 누르면 뷰파인더(100) 내의 피사체의 사진이 찍히고 저장될 것임을 나타낸다.
셔터 제어 표시자(120)는 또한 움푹 들어간 원(hollow circle) 내에 입체 원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모드 A 또는 B(또는 기타)와 같은 방식의 트랙볼(46)의 회전이 피사체 S로 줌인하거나 피사체 S로부터 줌아웃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할 것임을 나타낸다. 셔터 제어 표시자(120)는 실질적으로 상태 바(104)의 수평 및 수직 중간선의 교차점에 위치된다. 이 위치는 트랙볼(46)이 정지(rest) 상태에 있고 회전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셔터 제어 표시자(120)의 외관이 트랙볼(46)의 전반적인 외관을 본땀으로써 카메라에 관련한 트랙볼(46)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표시한다는 것을 이제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325에서, 트랙볼이 회전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 방법(300)은 단계 330으로 진행하고, 이 시점에서 트랙볼(46)이 눌려졌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 방법(300)은 단계 330에서 단계 335로 진행하고, 카메라 기능을 계속할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단계 335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아니오(no)"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호를 관리하는 디바이스(30)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유리하도록 착신 호가 자동으로 카메라 기능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디바이스(30)의 사용자는 소프트 키(42) 또는 키보드(38)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끝내기를 원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330으로 돌아가서 트랙볼(46)이 모드 C와 같은 방식으로 눌린 경우, 방법(300)은 단계 330에서 단계 345로 진행하고, 이 시점에서 뷰파인더(100) 내에 보이는 대로 피사체의 이미지가 캡쳐될 것이다.
그러나 단계 325로 돌아가서 트랙볼(46)이 회전된 경우, 방법(300)은 단계 325에서 단계 350으로 진행한다. 단계 350에서, 트랙볼(46)의 회전이 "줌인"하라는 명령을 지시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트랙볼(46)이 모드 A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됨으로써 방향 F가 셔터 제어 표시자(120)를 향하는 경우, 단계 350에서 "예(yes)"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다르게 말하자면, 트랙볼(4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방향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위 기점과 일치하는 경우, 트랙볼이 "북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예" 판정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트랙볼(46)이 "동쪽" 방향을 향하여 회전될 때, 단계 350 에서 "예"의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350에서의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 단계 360에서, 트랙볼(46)의 회전이 "줌아웃"하라는 명령을 지시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트랙볼(46)이 모드 B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됨으로써 방향 R이 키보드(38)를 향하는 경우, 단계 350에서 "예"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다르게 말하자면, 트랙볼(4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방향이 방위 기점과 일치하는 경우, 트랙볼이 "남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예" 판정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트랙볼(46)이 "서쪽" 방향을 향하여 회전될 때, 단계 350에서 "예"의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계 355 및 365는 각각 실제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의 수행에 대하여 준비되는 것이다. 단계 355의 초기 부분으로서, 트랙볼이 북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셔터 제어 표시자(120)는 외관이 변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콘(120a)의 형태로 보인다. 셔터 제어 아이콘(120a)은 상태 바(104)의 수평 중간선 위에 있는 위치의 상태 바(104) 내에 나타나고, 이는 사용자에게 "북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트랙볼의 입력이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아이콘(120a)은 또한 그 외측 둘레의 상부에서의 불록부(bulge)를 특징으로 하며, 그리하여 불록부에서의 선 두께가 외측 둘레의 하부에서의 선 두께보다 크다. 또한, "+" 사인이 아이콘(120a)에 나타나며, 이는 "줌인"을 위한 커맨드가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점과 마찬가지로, 단계 365의 초기 부분으로서, 트랙볼이 남쪽 방향 으로 회전되면, 셔터 제어 표시자(120)는 외관이 변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콘(120b)의 형태로 보인다. 셔터 제어 아이콘(120b)은 상태 바(104)의 수평 중간선 아래에 있는 위치의 상태 바(104) 내에 나타나고, 이는 사용자에게 "남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트랙볼의 입력이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아이콘(120b)은 또한 그 외측 둘레의 하부에서의 불록부를 특징으로 하며, 그리하여 불록부에서의 선 두께가 외측 둘레의 상부에서의 선 두께보다 크다. 또한, "-" 사인이 아이콘(120b)에 나타나며, 이는 "줌아웃"을 위한 커맨드가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355에서의 줌인(그리고 더 나아가 단계 320으로의 복귀)의 결과가 도 11에 나타난다. 도 11에서, 줌 레벨 표시자는 이제 "5x"를 나타내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에 대한 줌인의 최대 레벨이다. 따라서 피사체 S는 뷰파인더(100) 내에서 더 가까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이콘(120c)은 이제 상태 바(104)의 수평 및 수직 중간선의 교차점에 나타난다. 아이콘(120c)의 위치는 트랙볼(46)이 이제 정지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아이콘(120c)이 더 이상의 "줌인"이 불가능하고 이제 "줌아웃"만 선택권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 사인을 하부에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아이콘(120c)은 다른 점에서 아이콘(120)과 똑같이 보인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줌인"하기를 시도하면,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8)는 아이콘(120c)이 상태 바(104)의 수평 중간선 위에 보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아이콘(120a)과 동일한 위치), 더 이상의 줌인은 실제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 사인 표시자가 더 이상의 줌인이 가능하지 않다는 사용자에의 시각적 큐(visual cue)로서 남아있을 것이다. 부가의 보조를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현재 줌 레벨을 알려주는 줌 레벨 표시자(108)를 검사(examine)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120)이 트랙볼(46)을 회전시키는 동안 외관이 변하지만 줌 레벨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디바이스(30)가 입력을 수신하고 있지만 극단적인 줌 레벨에 도달했기 때문에 응답할 수 없다는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단계 365에서의 줌아웃(그리고 더 나아가 단계 320으로의 복귀)의 결과가 도 12에 나타난다. 도 12에서, 줌 레벨 표시자는 이제 "1x"를 나타내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에 대한 줌의 최소 레벨이다. 따라서 피사체 S는 뷰파인더(100) 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이콘(120d)은 이제 상태 바(104)의 수평 및 수직 중간선의 교차점에 나타난다. 아이콘(120d)의 위치는 트랙볼(46)이 이제 정지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아이콘(120d)이 더 이상의 "줌아웃"이 불가능하고 이제 "줌인"만 선택권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 사인을 상부에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아이콘(120d)은 다른 점에서 아이콘(120)과 똑같이 보인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줌아웃"하기를 시도하면,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8)는 아이콘(120d)이 상태 바(104)의 수평 중간선 아래에 보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아이콘(120b)과 동일한 위치), 더 이상의 줌아웃은 실제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 사인 표시자가 더 이상의 줌아웃이 가능하지 않다는 사용자에의 시각적 큐로서 남아있을 것이다. 다시, 부가의 보조를 위해, 사용자는 줌 레벨 표시자(108)를 검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120)이 트랙볼(46)을 회전시 키는 동안 외관이 변하지만 줌 레벨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디바이스(30)가 입력을 수신하고 있지만 극단적인 줌 레벨에 도달했기 때문에 응답할 수 없다는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3개의 줌 레벨을 고려하고 있지만,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수의 줌 레벨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3개 레벨이 본 실시예에서는 높은 수준의 사용 편이성을 달성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전술한 실시예는 또한 뜻하지 않게 1x에서 5x로 곧장 가지 않도록 트랙볼(46)의 소정의 회전 동안 하나의 줌 레벨(줌인 또는 줌아웃)만 이루어진다고 고려하지만, 이것이 필수조건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양상의 실시예는 도 4를 다시 참조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는데, 여기서 단계 350에서 "예" 판정을 얻기 위하여, 트랙볼(46)은 정방향 F1로 최소 범위 회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최소 범위가 초과되면, 트랙볼(46)이 실제로 회전되는 실제 범위(또는 도수)에 관계없이, 트랙볼(46)이 정지 위치로 돌아가고 회전을 멈출 때까지 단계 350은 완료되지 않는다. 최소 범위는 트랙볼(46)의 누름 동안 트랙볼(46)의 우발적인 회전이 줌인 또는 줌아웃에 대한 커맨드인 것으로서 잘못 해석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마찬가지로, 단계 360에서 "예" 판정을 얻기 위하여, 트랙볼(46)은 역방향 R1로 최소 범위 회전된다. 그러나, 최소 범위가 초과되면, 트랙볼(46)이 실제로 회전되는 실제 범위(또는 도수)에 관계없이, 트랙볼(46)이 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멈출 때까지 단계 350은 완료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피사체 S의 사진을 구성하는 것은 복잡하고 사용자측에서는 많 은 집중을 요한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30)의 높은 수준의 사용 편이성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사진의 구성 동안, 사용자는 까다로운(awkward) 광 조건, 움직이는 피사체, 및 감광 변환기(62)와 피사체 S 사이에 보이는 다른 피사체로부터의 방해를 처리해야 할 수 있다. 사진을 구성할 때 다른 어려움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사진을 찍을 때 트랙볼(46)을 누름으로써 줌잉이 의도치않게 트리거되지 않도록 트랙볼(46)의 회전 민감도(sensitivity)를 충분히 낮도록 구성하는 것이 현재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스커트(72), 트랙볼(46) 및 변환기-하우징(7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배열되었고, 그리하여 방법(300)이 단계 325와 단계 330 사이에서 동작할 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세서(78)에 자신의 의도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이 감소되고, 따라서 사용자에 대하여 디바이스(30)의 사용 편이성을 향상시킨다. 즉, 본 구성은 사용자가 줌인 또는 줌아웃 커맨드를 명시적으로 제공하도록 트랙볼(46)과 명백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고, 또는 사용자가 트랙볼(46)을 명시적으로 누를 수 있게 함으로써 뷰파인더(100) 내에 현재 구성된 대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로 이전에 찍은 사진을 보기 위한 신규의 미리보기 화면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규 화면은 도 13에서 전반적으로 124로 표시되어 있다. 미리보기 화면(124)은, 예를 들어 방법(300)의 단계 345가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54) 상에 프로세서(78)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를 이용하여 계속하면, 도 13의 화면(124)은 도 12에 따라 구성되었던 피사체 S의 사진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미리보기 화 면(124)은 도 12에서 뷰파인더(100)에 구성된 바와 같이 피사체 S를 보여주는 사진 윈도우(128)를 포함한다. 미리보기 화면(124)은 또한 상태 바(104)를 교체한 미리보기 상태 바(132)를 포함한다.
미리보기 상태 바(132)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5개의 상이한 옵션에 대응하는 5개 아이콘을 포함한다. 이들 아이콘은, 뷰파인더로 돌아가기(136); 사진 삭제(140); 잘라내기(144); 전송(148); 및 파일(152)이다. 방법(300)의 수행 후에 미리보기 화면(124)이 제시되면, (사진(124) 내의) 사진은 파일 아이콘, 파일(152) 옆의 파일 위치에 저장되었을 것이다. 뷰파인더로 돌아가기(136)는, 이름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파일(152) 옆에 발견된 파일 이름 및 위치에 따라 영구 저장장치(82)에 저장된, 사진 윈도우(128)에 보이는 사진을 나간다. 뷰파인더로 돌아가기(136)를 선택하는 것은 방법(300)을 다시 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진 삭제(140)는 영구 저장 디바이스(82)로부터 사진 윈도우(128)에 보이는 사진을 삭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진 삭제(140)가 선택되면, 사진이 삭제되고, 그 다음에 방법(300)이 다시 시작된다. 잘라내기(144)는 사진 윈도우(128)에 저장된 사진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부분은 영구 저장 디바이스(82) 상에 새로운 사진으로서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30) 상에서 실행되는 연락처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연락처와 연관될 수 있다. 전송(148)은 디바이스(30)의 무선 이메일 능력을 사용하여 이메일,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등을 통하여 사진 윈도우(128) 내의 사진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파일(152)은 사진의 파일 이름을 보기 및/또는 편집하고 그리고/또는 영구 저장 디바이스(82) 상에 저장된 다른 사진을 브라우징하고 그것들을 미리보기 화면(124) 내에서 보기 위해 로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트랙볼(46)을 사용하여 원하는 아이콘이 하이라이트될 때까지 아이콘들의 각각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하이라이트한 다음 트랙볼(46)을 눌러 그 아이콘과 연관된 기능을 실제로 선택함으로써, 미리보기 상태 바(132) 상의 개별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잘라내기 아이콘(144)의 선택을 통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잘라내기 선택 화면이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른 신규 화면은 도 14에서 전반적으로 156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잘라내기 선택 화면(156)은 디바이스(30) 상의 연락처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연락처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는 잘라내기된 사진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잘라내기된 사진은 통상적으로 개개인의 얼굴일 것이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잘라내기 선택 화면(156)은 선택 윈도우(160)를 포함하며, 이는 이어서 선택 서브윈도우(164) 및 콘텍스트 서브윈도우(168)로 구성된다. 선택 서브윈도우(164)는 원형이고 투명하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눈에 보이는 범위를 정한 경계선을 가지며 완전히 투명하다. 콘텍스트 서브윈도우(168)는 직사각형이고, 디스플레이(54)의 전체(full) 높이를 차지하지만, 전체 너비는 아니다. 콘텍스트 서브윈도우는 반투명하고, 바람직하게는 선택 서브윈도우(164)보다 덜 투명하다. 잘라내기 선택 화면(156)은 얼굴을 저장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사진에서의 피사체의 얼굴을 선택하도록 사용자가 사진을 잘라내기할 수 있게 최적화된다. 잘라내기 선택 화면(156)은 또한 선택 화면(156)이 디바 이스(30) 등 상에서 구현될 때 사용자를 위한 잘라내기 기능을 단순화하도록 사용 편이성을 위해 최적화된다. 피사체의 얼굴 이미지의 캡쳐가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그들 동일한 캡쳐된 얼굴 이미지가 디바이스(30) 상에서 운용되는 연락처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 내의 필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배경으로써, 연락처 관리자에서의 레코드는 사진찍힌 피사체에 대한 연락처 및 주소 세부항목의 전체 세트와 연관된다. 이는 또 다시 사용자가 전화 또는 이메일하거나 아니면 디바이스(30)를 사용하여 연락할 원하는 사람을 선택하기 위하여 연락처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진들을 스크롤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30)의 전반적인 사용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과 마찬가지로, "시각적" 식별 특징(예를 들어, "발신자-ID")이 디바이스(30)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피사체로부터 디바이스(30)로의 착신 호(또는 이메일이나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른 통신)는 피사체의 저장된 사진을 디스플레이(54) 상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디바이스(30)의 사용자가 착신 통신의 출처를 식별하는 것을 돕고 사용자가 그에 따라 반응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사용자가 화면(156)에 액세스하면, 사용자는 트랙볼(46)을 사용하여 선택 윈도우(160)를 "동쪽" 또는 "서쪽"(도 14에서 보이는 것에 관련됨)으로 이동시키는 옵션을 가질 것이다.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선택 서브윈도우(164)는 피사체 S의 얼굴이 선택 서브윈도우(164)의 중심에 나타나도록 피사체 S의 얼굴을 프레임하고 있지 않다. 트랙볼(46)을 사용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서브윈도우(164)를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리하여 피사체 S의 얼굴을 선택 서브윈도 우(164)의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콘텍스트 서브윈도우(168)는 사용자가 선택된 부분을 둘러싸는 사진 부분을 볼 수 있게 하고, 그리하여 트랙볼(46)을 통한 선택 윈도우(160)의 이동 동안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진의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부가의 정보를 갖는다. 선택 윈도우(160)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사진을 실제로 잘라내기하도록 트랙볼(46)을 누를 수(또는 동등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선택 서브윈도우(164)는 원형이고 투명한 반면, 콘텍스트 서브윈도우(168)는 직사각형이고 디스플레이(54)의 전체 높이를 차지하지만 전체 너비는 아니다. 선택 서브윈도우(164)는 콘텍스트 서브윈도우(168) 내에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비롯하여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콘텍스트 서브윈도우(168)도 또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선택 서브윈도우(164)보다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 윈도우가 콘텍스트 서브윈도우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선택 서브윈도우(164)가 아예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 서브윈도우(164) 및/또는 콘텍스트 서브윈도우(168)의 형상 및/또는 사이즈를 미리 정의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3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잘라내기 선택 화면(156)에 더하여, 또는 잘라내기 선택 화면(156) 대신에, 사용자가 잘라내기 아이콘(144)을 선택하면, 사용자에게 디바이스(30)에 대한 홈(home) 화면으로서 미리보기 화면(124) 내의 사진을 설정할 옵션이 주어질 수 있고, 그리하여 이 사진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메인 메뉴 화면 상의 배경으로서 보일 것이다. 잘라내기 아이콘(144)을 선택하면, 사용자에게 잘라내기 선택 화면(156)으로 진행할 옵션이 주어질 수 있거나, 또는 단순히 홈 화면에 대한 사진으로서 사진을 설정하거나, 연락처 관리자에서 연락처와 연관하여 사진을 저장할 옵션이 주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잘라내기 선택 화면(156)은 단순히 연락처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에 저장하기 위한 개개인의 얼굴을 선택하는 것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사진을 잘라내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300)의 수행 중에 어느 때라도 발생될 수 있는 착신 호 화면이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른 신규의 착신 호 화면은 도 16에서 전반적으로 172로 표시되어 있다. 착신 호 화면(172)은 디바이스(30)가 방법(300)의 수행 중에 착신 전화 통신(또는 기타)을 수신하는 경우 나타나며, 따라서 착신 호 화면(172)은 사용자에게 착신 호를 알리도록 뷰파인더(100)를 오버레이한다.
착신 호 화면(172)은 본 예에서 "샐리 찬으로부터의 착신 호(Incoming Call from Sally Chan) +1 (555) 555-5555"로 나타나는 식별 필드(176)를 포함한다. 따라서, 식별 필드(176)는 착신 통신의 속성(즉, 전화 아니면 인스턴트 메시지); 발신자의 이름(즉, 샐리 찬), 및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식별한다.
착신 호 화면(172)은 또한 사진 필드(180)를 포함하며, 여기서 착신 발신자(이 경우에는, "샐리 찬")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진 필드(18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은 방법(300)을 사용하여 이전에 캡쳐되고 영구 저장 디바이스(82)에 저장되었던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사진이 일부 다른 수단에 의해 영구 저장 디바이스(82) 상에 저장되었을 수 있다.
착신 호 화면(172)은 또한 무시 필드(184) 및 수락 필드(188)를 포함한다. 무시 필드(184)와 수락 필드(188) 중 어느 하나가 트랙볼(46)을 사용하여 그들 사이를 스크롤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되는 실제의 필드가 하이라이트되고, 도 16의 경우에는 무시 필드(184)가 하이라이트된다. 하이라이트된 필드에 대응하는 옵션은 결국 트랙볼(46)을 누름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무시 필드(184)를 선택하면 착신 호가 거부되고 음성메일을 통하여 아니면 다른 원하는 바에 따라 처리될 것이다. 무시 필드(184)가 선택된 경우, 디바이스(30)는 방법(300)의 동작을 다시 시작하며, 이로 인해 본 예에서 디스플레이(54)는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수락 필드(188)를 선택하면 착신 호가 수락될 것이고, 디바이스(30)와 착신 발신자 사이의 통신이 보통의 방식으로 확립될 것이다. 원하는 바에 따라, 디바이스(30)는 가능하면 스피커폰 옵션을 활성화시키거나 헤드셋을 사용함으로써 전화 통화 동안 방법(300)의 수행을 계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행하는 동시에 방법(300)을 완료할 수 있게 해준다. 대안으로서, 디바이스(30)는 착신 호가 수락되는 경우 방법(300)을 종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면(172)은 디폴트로 무시 필드(184)가 하이라이트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사용자가 착신 호의 속성을 빠르게 평가하고 간단히 트랙볼(46)을 누름으로써 그 통화를 거부할 수 있게 해주고, 사용자가 가능한 빨리 방법(300)의 수행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주며, 그리하여 착신 호는 방법(300)의 수행에 최소한의 방해를 제시한다. 그러나, 디폴트로 수락 필드(188)가 하이라이트되어 사용자가 호를 빠르게 수락할 수 있게 해주도록 화면(172)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172)이 활성화될 때 디폴트로 무시 필드(184) 또는 수락 필드(188) 중 어느 것이 하이라이트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해주도록 디바이스(30)가 구성될 수 있는 것도 고려된다.
화면(172)과 관련한 전술한 설명은 또한 사진이 찍히는 동안 일어날 수 있는 기타 유형의 통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착신 이메일, 착신 텍스트 메시지, 착신 인스턴트 메시지, 및 달력 알람이 이러한 기타 유형의 통지의 예이다. 원한다면, 디바이스(30)는 방법(300)의 수행 중에 나타날 수 있는 화면(172)과 같은 화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사용자에게 이러한 통지 중 어느 유형이 방법(300)의 수행을 방해하도록 허용될 것인지 그리고 어느 유형의 통지는 안 될 것인지 개인 선호도에 따라 구성할 옵션이 주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1)

  1.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감광 변환기 및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하는 트랙볼(trackball)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디폴트 줌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하며 상기 디폴트 줌 레벨에 대응하는 시야를 갖는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함으로써 뷰파인더(viewfinder)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트랙볼로부터 회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입력은 상기 시야에 대해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하라는 명령을 나타내는 것인, 입력 수신 단계;
    상기 명령이 줌인을 지시하는지 아니면 줌아웃을 지시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줌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줌 레벨에 따라 확장되거나 감소된 시야를 갖는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뷰파인더 상에 재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카메라 기능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능을 포 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능은 무선 전화 및 무선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방향의 상기 회전 입력은 줌인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의 상기 회전 입력은 줌아웃을 나타내는 것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볼이 눌리는 것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캡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부분은 상기 줌 레벨에 따른 상기 뷰파인더 내의 상기 제2 이미지에 대응하는 것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볼이 정지(rest)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회전 위치에 있는지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볼의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지 위치는 상기 줌이 최소 줌 레벨, 중간 줌 레벨 및 최대 줌 레벨 중 어느 하나에 있는 것에 대응하고, 상기 방법은 3개의 아이콘 이미지 중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최소 줌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은 줌인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중간 줌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은 줌인과 줌아웃 둘 다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최대 줌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은 줌아웃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화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착신 통신이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지 화면을 상기 뷰파인더를 오버레이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지 화면은 상기 착신 통신의 발신자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발신자의 사진을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지 화면은 무시 필드 및 수락 필드를 포함하고, 디폴트로 상기 무시 필드가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것인,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로서,
    트랙볼, 감광 변환기, 디스플레이, 영구 저장 디바이스 및 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를 상호접속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광 변환기를 통하여 수신되며 시야를 갖는 이미지를 재현하는 뷰파인더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랙볼로부터 회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회전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뷰파인더 상의 상기 이미지의 상기 시야를 확장하거나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랙볼이 눌리는 것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영구 저장 디바이스 상에 저장하기 위한 캡쳐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캡쳐 이미지는 상기 줌 레벨에 따른 상기 뷰파인더 상의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 방향의 상기 회전 입력은 줌인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의 상기 회전 입력은 줌아웃을 나타내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뷰파인더와 함께, 상기 트랙볼이 정지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회전 위치에 있는지에 대응하는 상기 트랙볼의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정지 위치는 상기 줌이 최소 줌 레벨, 중간 줌 레벨, 최대 줌 레벨 중 어느 하나에 있는 것에 대응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3개의 아이콘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아이콘 중 제1 아이콘은 줌인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최소 줌 레벨에 대응하고, 상기 아이콘 중 제2 아이콘은 줌인과 줌아웃 둘 다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중간 줌 레벨에 대응하고, 상기 아이콘 중 제3 아이콘은 줌아웃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최대 줌 레벨에 대응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8.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뷰파인더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전화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착신 통신이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지 화면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통지 화면은 상기 착신 통신의 발신자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발신자의 사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통지 화면은 무시 필드 및 수락 필드를 포함하고, 디폴트로 상기 무시 필드가 하이라이트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른 프로그래밍 명령들 세트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97005172A 2006-09-01 2006-09-01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99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A2006/001437 WO2008025120A1 (en)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356A true KR20090052356A (ko) 2009-05-25
KR100999026B1 KR100999026B1 (ko) 2010-12-09

Family

ID=3913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172A KR100999026B1 (ko) 2006-09-01 2006-09-01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057621A4 (ko)
JP (1) JP5085654B2 (ko)
KR (1) KR100999026B1 (ko)
CN (1) CN101506869B (ko)
BR (1) BRPI0621981A2 (ko)
CA (1) CA2661250C (ko)
WO (1) WO2008025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391B1 (ko) 2008-11-18 2011-11-21 주식회사 코아로직 영상 지시 방법 및 장치
US20110267523A1 (en) * 2010-04-29 2011-11-03 Ability Enterprise Co., Ltd.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EP2385694A1 (en) * 2010-05-04 2011-11-09 Ability Enterprise Co., Lt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of
CN102520865A (zh) * 2011-12-19 2012-06-27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自适应图片剪裁的实现方法
CN103903292B (zh) * 2012-12-27 2017-04-19 北京新媒传信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头像编辑界面的方法和系统
EP3958557A1 (en) 2015-04-23 2022-02-23 Apple Inc. Digital viewfinder user interface for multiple cameras
CN105827757A (zh) * 2016-04-12 2016-08-03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滚轴式手机相机拍照系统及方法
US9716825B1 (en) 2016-06-12 2017-07-25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CN106878778A (zh) * 2016-12-08 2017-06-20 环球智达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电视机多功能飞轮按键
DK201870623A1 (en) 2018-09-11 2020-04-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321857B2 (en) 2018-09-28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CN109766019B (zh) * 2019-02-14 2022-03-22 超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轨迹球鼠标及其实现防淋雨和电磁兼容的方法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8333B1 (en) * 1997-11-12 2003-09-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instant camera having a printer
US6384861B1 (en) * 1998-12-22 2002-05-07 Gateway, Inc Image capture device having cursor generating and control apparatus
JP2001197347A (ja) * 2000-01-05 2001-07-19 Fuji Photo Film Co Ltd 情報記録装置、情報取得方法、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3931947B2 (ja) * 2000-07-31 2007-06-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撮像装置
US7016704B2 (en) * 2001-04-02 2006-03-21 Move Mobile Systems, Inc. Coordinating images displayed on devices with two or more displays
JP2002351598A (ja) * 2001-05-24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電子機器
JP2003087756A (ja) * 2001-09-07 2003-03-20 Minolta Co Ltd テレビジョン電話機
WO2004073284A2 (en) * 2003-02-06 2004-08-26 Flextronics Sales & Marketing (A-P) Ltd.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JP4374610B2 (ja) * 2003-04-18 2009-1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データ記憶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43404B2 (en) * 2003-10-17 2008-10-2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US7317449B2 (en) * 2004-03-02 2008-01-08 Microsoft Corporation Key-based advanced navigation techniques
JP2004274777A (ja) * 2004-03-22 2004-09-30 Sharp Corp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CN100346388C (zh) * 2004-06-08 2007-10-3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的数字图像信号处理装置
JP4507188B2 (ja) * 2005-01-19 2010-07-21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5120A1 (en) 2008-03-06
CA2661250A1 (en) 2008-03-06
JP2010502134A (ja) 2010-01-21
EP2057621A4 (en) 2010-10-20
CA2661250C (en) 2017-06-27
CN101506869B (zh) 2012-02-29
EP2057621A1 (en) 2009-05-13
CN101506869A (zh) 2009-08-12
KR100999026B1 (ko) 2010-12-09
BRPI0621981A2 (pt) 2011-12-20
JP5085654B2 (ja)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026B1 (ko)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78557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11010020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shortcut operation panel
JP5422042B2 (ja) クロームレス・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KR100595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방법
KR101851612B1 (ko) 텍스트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1802085A1 (en) Method of displaying at least one function command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WO2018227618A1 (zh) 应用图标的移动方法和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20050101162A (ko) 통신 기능을 구비한 영상장치,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과컴퓨터 프로그램
US20080030474A1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77260A (ko)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컨트롤 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방법
JP2004128909A (ja) 携帯端末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JP2004128910A (ja) 携帯端末
JP4359717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16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gesture operation and storage medium
KR101248165B1 (ko) 휴대전화 및 그 데이터 검색방법
JP493236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202882A (ja) 携帯通信端末
JP2004128908A (ja) 携帯端末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1689599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공유 방법
JP2009136031A (ja) 携帯通信端末
CN115686651A (zh) 勿扰模式的设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9105641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