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837A -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837A
KR20090051837A KR1020070118252A KR20070118252A KR20090051837A KR 20090051837 A KR20090051837 A KR 20090051837A KR 1020070118252 A KR1020070118252 A KR 1020070118252A KR 20070118252 A KR20070118252 A KR 20070118252A KR 20090051837 A KR20090051837 A KR 2009005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isplay
arc
flat panel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269B1 (ko
Inventor
김상훈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269B1/ko
Priority to CNA2008800037282A priority patent/CN101601285A/zh
Priority to US12/524,436 priority patent/US8746635B2/en
Priority to PCT/KR2008/006517 priority patent/WO2009066885A1/en
Priority to EP08851619.0A priority patent/EP2111716B1/en
Publication of KR2009005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8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sideward adjustment, i.e. left-right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549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limit means
    • Y10T403/32557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limit means for pivotal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549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limit means
    • Y10T403/32557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limit means for pivotal motion
    • Y10T403/32581Pin and slo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549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limit means
    • Y10T403/32557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limit means for pivotal motion
    • Y10T403/32591Opposed stops on on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제품 사이즈가 감소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의 측방향에서 관찰되는 부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서 구현되어야 하는 모든 동작성이 가능하면서도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동작 시에 마찰력이나 소음이 없이 자연스럽게 동작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일단 정하여진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빌트 인 기구의 삽입 및 장착이 편리하게 되어 빌트 인 구조에 대한 대응성이 뛰어나고,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포장 및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제 1 단부가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 연결부; 상기 한 쌍의 회동 연결부의 제 2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한 쌍의 기기 안착부가 포함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지지

Description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Mount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도 2는 지지장치의 좌우 스위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지지장치의 전방 이동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상하 틸팅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마찰력 조절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장착된 상태에서 평면 디스플레이의 측면도로서, 도 7은 일반적인 설치상태이고, 도 8은 빌트 인 구조로 장착되는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높이 조절부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Ⅰ-Ⅰ'의 단면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가 고정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0 : 고정부
20 : 회동 연결부 30 : 슬라이딩 연결부
40 : 틸팅 마찰부 50 : 기기 안착부 60 : 높이 조절부
US 6,905,101(인용문헌) : adjustable self-balancing flat 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면 디스플레이는, 좁은 공간에 장착이 가능하고,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구동방식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화질이 향상됨에 따라서, 근래들어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주종으로서 자리잡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는 평면구조로 제공될 뿐 아니라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근래들어서는 벽에 거치하여 시청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의 벽걸이 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인용문헌은 벽걸이 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평면 디스플레이가 상하 틸팅과 좌우 스위블과 전방 이동이 가능함과 함께, 상하틸팅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자중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서 오토틸트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의 자중과 상하 틸팅기구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는 기술(인용문헌의 도 5참조)이 개진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문헌에 개시되는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평면 디스플레이는 고가의 가격으로서 실제로 사용자는 외적 미감을 중요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지장치의 내부구조가 외부에서 인식될 정도의 큰 크기로 제공되기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인용문헌에 제시되는 물건을 구매하기를 꺼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가정용으로 공급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경우에 이와 같은 문제점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지지장치의 제작비용의 증가, 제작과정의 어려움으로 이어져서 더 큰 문제로 된다.
특히, 인용문헌에 제시되는 기술은, 벽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태인 빌트 인 타입의 경우에는 전혀 대응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용문헌에 제시되는 기술은 평면 디스플레이를 상하로 움직이면서도 특정의 마찰력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큰 마찰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다수의 아크서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도 적정한 마찰력을 발휘할 수 없어서 실제로 평면 디스플레이 자중의 모멘트로 인한 회전이 발생되고, 그와 같은 의도되지 않은 평면 디스플레이의 이동은 사용자의 불만이었다.
또한, 인용문헌에 제공되는 다수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소음은 결국 회동되는 양 부품의 마찰력의 상승, 예기치 못한 고장, 제품 신뢰성 저하등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제품의 크기가 크고, 이동 시에 발생되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제품의 자세가 쉽게 변하기 때문에, 포장, 이동 등의 경우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 설치등에, 포장 비용이 증가되고, 포장 사이즈도 커지고, 물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제품 사이즈의 감소, 외부에서 관찰되는 부분의 감소, 제품 신뢰성의 향상, 제품의 자연스러운 동작, 정해진 위치의 안정된 유지, 빌트 인 기구에 대한 적합성, 저렴한 제작비용, 간단한 제작공정, 물류비용의 절감 등을 달성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평면 디스플레이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와 기기 안착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기 안착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기기 안착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기 안착부의 상하 틸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아크 형상의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틸팅 마찰부가 포함되고, 상기 틸팅 마찰부에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함께 움직이는 제 1 아크부재; 및 상기 기기 안착부에 고정되어 함께 움직이는 제 2 아크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아크부재와 상기 제 2 아크부재는 서로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 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와 함께 움직이는 기기 안착부; 상기 기기 안착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걸림부; 상기 기기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지지되도록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에 장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기기 안착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와 함께 움직이는 기기 안착부; 및 상기 기기 안착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가 최대한으로 삽입되는 위치를 정의하는 돌출부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제 1 단부가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 연결부; 상기 한 쌍의 회동 연결부의 제 2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한 쌍의 기기 안착부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일측이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부의 타측이 연결되는 단일체인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의 양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한 쌍의 기기 안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에 가까와 짐에 따라서 축소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품 사이즈의 감소, 외부에서 관찰되는 부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소비자의 만족, 제품 신뢰성의 향상, 제품의 자연스러운 동작, 정해진 위치의 안정된 유지, 빌트 인 기구에 대한 적합성, 저렴한 제작비용, 간단한 제작공정의 효과가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1)는, 벽면등과 같은 거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 연결부(20)와, 상기 회동 연결부(20)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이 수행되는 슬라이딩 연결부(30)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에 대하여 상하 회동 운동이 수행되고 평면 디스플레이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50)와, 상기 슬라이딩 연결 부(30)와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하틸팅 운동에 대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틸팅 마찰부(40)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회동 연결부(20)는 좌우에 한 쌍으로 제공되어, 한 쌍의 회동 연결부(20)와 상기 고정부(10)의 대응되는 좌우방향의 회동은 기기의 전방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회동 연결부(20)의 안쪽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기기 안착부(50)는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의 좌우 양측에 각 하나씩 제공되어, 평면 디스플레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틸팅 마찰부(40)는 슬라이딩 연결부(30)와 기기 안착부(50)의 접촉부에 제공되어,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각도에서 기기가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한다.
상기 기기 안착부(50)에는 평면 디스플레이의 상하 높이를 더 엄격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60)가 더 마련되어 있어, 고정부(10)가 벽면등에 대하여 위치 선정이 잘못된 경우에는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서 평면 디스플레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장치에서 구현되는 가능한 동작 및 이를 뒷받침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는 지지장치의 좌우 스위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지 지장치의 전방 이동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상하 틸팅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우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기 회동 연결부(20)의 안쪽 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가 연결되는 상대적인 지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회동 연결부(20)의 회전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 연결부(30)와 한 쌍의 회동 연결부(20)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도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때, 만약 처음에 평면 디스플레이가 벽에 완전히 붙어 있는 상태였더라면, 평면 디스플레이는 일정거리 바깥으로 인출된 다음에 좌우방향으로 스위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우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기 회동 연결부(20)의 안쪽 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가 연결되는 상대적인 지점은 달라질 수 있지만, 회동 연결부(20)의 회전각도는 서로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회동 연결부(20)의 회전각도는 서로 동일하므로, 디스플레이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디스플레이의 좌우 스위블 각도는 설치상태와 동일하다. 그러나, 회동 연결부(20)의 안쪽 단부와 슬라이딩 연결부(30)는 슬라이딩 운동이 보장되므로, 디스플레이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라도 디스플레이는 일정거리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거리는, 어느 일측의 회동 연결부(30)의 안쪽 단부가 슬라이딩 연결부(30)의 이동한계에 다다르는 때로서, 이동한계로는 슬라이딩 연결부(30)의 양측단부와, 슬라이딩 연결부(30)의 대략 가운데에 마련되는 멈춤나사(도 5의 33참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 디스플레이의 전방이동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앞으로 이동시켜서 시청하고자 할 경우, 평면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고정시킬 경우, 및 좌우 스위블 및 상하 틸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평면 디스플레이가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에는 디스플레이를 좌우방향으로 어느 정도 위치를 변경(translation)시킬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구체적인 만족감에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범위는 디스플레이를 바깥으로 인출하는 거리에 비례하는데, 이는 디스플레이를 전방이동시키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회동 연결부(20)의 안쪽단부가 멈춤나사(33)와 멀어지기 때문에, 멈춤나사의 위치에 기인한 이동한계가 그만큼 더 길어지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슬라이딩 연결부(3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때 회전된 각도는 상기 틸팅 연결부(40)에 의해서 제공되는 마찰력에 의해서 유지가 가능하다. 이때, 만약 처음에는 평면 디스플레이가 벽에 완전히 붙어 있는 상태였더라면, 평면 디스플레이는 먼저 일정거리 바깥으로 인출된 다음에 상하 틸팅되도록 하여, 상하 틸팅 운동시에 기기의 배면이 벽면에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되는 각각의 동작은 서로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므로, 결국 사용자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상하 틸팅, 좌우 스위블, 전방이동을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서 로 중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평면 디스플레이는 어느 위치 및 각도라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 지지장치의 각 구성부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특별한 제시가 없는 경우에는 도면에서 좌우 양측 또는 상하 양측에 대칭적으로 제공되는 물품은 어느 하나의 물품만을 설명하고, 그 대응되는 쪽의 물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설명을 대칭적으로 원용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고정부(10)는 벽면등과 같은 고정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벽면에 고정되는 부분인 만큼 일정정도 이상의 고정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벽면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부(10)는 상하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로 길게 마련된다. 고정부(10)에 제공되는 홀(11)은 고정위치에 고정되는 나사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홀은 벽면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10)에는 상기 회동 연결부(20)의 외측단(27)이 체결부재(21)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러므로, 회동 연결부(20)는 고정부(1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20)의 내측단은 슬라이딩 연결부(30)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회동 연결부(20)는 안쪽으로 갈수록 그 상하 폭이 줄어드는, 다시 말하면, 외측단의 상하 길이는 L1이지만, 내측단의 상하 길이는 L2이다. 이와 같이 되는 이유는 사용자의 육안으로 연결부(20)(30)의 구성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어서, 슬라이딩 연결부(30)는 평면 디스플레이과 벽면 사이 간격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는 알루미늄을 압출로 제작한 부품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압출품을 크게 하는 것은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회동 연결부(20)는 가능한 한 안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를 줄여서 슬라이딩 연결부(30)의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물론, 슬라이딩 연결부(30)의 크기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외부로 부터 보이지 않아서 사용자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것도 물론이다. 이와 같은 목적 하에서, 상기 고정부(10)는 벽면에 대한 강도의 확보를 위하여 길게 마련되어야 하는 부재임에 반하여, 슬라이딩 연결부(30)는 재료비 및 가시성의 확보를 위하여 작게 마련되어야 하는 부재임을 감안하여, 상기 회동 연결부는 내측단과 외측단의 크기가 달리 제작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는 상하측에 가이더(31)가 형성되고, 가이더(31)에서도 그 상하단은 수축되는 형상으로서 오목부(32)가 제공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연결부(30)의 양측에는 홀이 형성되어 틸팅 마찰부(40)를 이루는 각 구성이 체결된다. 상기 홀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가 압출로 제작되는 공정에 의해서 더 편리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연결부(20)와 슬라이딩 연결부(30)의 접속부는, 상기 가이더(31)의 내부에 일 부분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동작되는 슬라이더(22)와, 상기 오목부에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더(22)의 자중을 지지하는 걸림턱(23), 상기 슬라이더(22)의 내부공간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넣어져서 슬라이더(22)에 걸리는 체결부재(26), 상기 체결부재(26)에서 나사산이 형성되는 꼬리부에 와셔(24)등이 개입된 상태에서 회동 연결부(20)의 내측단(28)을 지지하는 너트(25)등의 고정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26)와 상기 슬라이더(22)와의 체결관계를 위해서는, 상기 체결부재(26)는 머리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크게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더(22) 내부에 있는 홀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혀지는 부분이 제공된다. 이로써,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슬라이더(22)에 걸릴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회동 연결부(20)의 내측단은 슬라이딩 연결부(30)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동작은 슬라이딩 동작 중의 소음발생이 적고, 마찰력의 제어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 마찰부(40)에는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의 측단부에 체결되는 제 1 아크부재(41)와, 상기 기기 안착부(50)에 체결되는 제 2 아크부재(42)가 포함된다. 상기 아크부재(41)(42)의 접촉면은 특정 지점에서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마찰홈(43)(44)이 마련되고, 각각 아크부재의 마찰홈은 서로 대응삽입되는 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단일의 아크부재 각각에 복수개의 대응되는 삽입홈이 제공됨으로써, 마찰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작은 부재로도 큰 힘의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지지장치의 구성부품의 크기를 줄이는데 있어서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아크부재(41)(42)는 수지를 그 재질로 하여 제공되는데, 수지재에 의해서 마찰홈(43)(44)의 접촉면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마찰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상기 아크부재(41)(42)는 POM(polyoxymethylene)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적정한 마찰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크부재(41)는 체결부재(45)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의 측단부에 체결되고, 제 2 아크부재(42)는 체결부재(46)에 의해서 상기 기기 안착부(50)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45)는 압출로 제작되는 슬라이딩 연결부(30)의 홈에 체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나사홀을 제작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아크부재(42) 및 상기 기기 안착부(50)에는 각각 제 2 아크슬롯(48) 및 제 1 아크슬롯(47)이 각각 마련되는데, 상기 아크슬롯에 의해서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상하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는 한계가 설정된다. 만약, 이와 같은 구조가 없다면, 평면 디스플레이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되는 한계설정이 불가하기 때문에, 평면 디스플레이의 상하 회동 시에 벽면등과의 충돌로 인하여 과도한 충격이 가하여질 수 있고, 이는 기기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부재(41)(42)에 의해서 부드러운 마찰력의 인가가 가능하더라도,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평면 디스플레이의 종류를 무게 별로 다양하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크부재 간의 마찰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마찰력 조절을 위하여, 기기 안착부(50), 제 2 아크부재(42), 제 1 아크부재(41) 및 슬라이딩 연결부(30)를 서로 체결하면서 각 부재 간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마찰력 조절부(도 6의 70참조)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마찰력 조절부(70)에는, 기기 안착부(50), 제 2 아크부재(42), 및 제 1 아크부재(41) 및 슬라이딩 연결부(30)에 길게 삽입되는 주축으로서의 바(73)가 제 공된다. 상기 바(73)의 내측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30)의 측단에 고정되고, 외측은 상기 기기 안착부(50)를 통과하여 바깥쪽 까지 연장되어 돌출된다. 그리고, 조임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바깥쪽에는 하판(71), 스프링(72), 상판(75), 조임구(76) 및 멈춤링(77)이 순차적으로 상기 바(73)의 외주에 설치된다. 상기 멈춤링(77)은 가장 바깥쪽에서 상기 바(73)의 외측단에 형성되는 홈(74)에 끼워져서 상기되는 각 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조임구(76)를 조으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이 조절되어 더욱 정밀한 마찰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6은 상기 마찰력 조절부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상기 마찰력 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배면에서 측방향으로 조임구(76)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조임구(76)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마찰력을 조절한다. 상기 조임구(76)가 회전하면 상판(75)을 거쳐서 결국 스프링(72)을 수축시키는 수축력을 가하게 되고, 스프링의 수축력은 하판(71), 기기 안착부(50), 제 2 아크부재(42), 제 1 아크부재(41), 슬라이드 연결부(30)를 서로 결합시키는-접촉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72)에 의해서는 탄성력을 보다 알기쉽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프링의 수축구간은 탄성력이 조절되는 간격이기 때문에, 그 간격부의 간격을 나사산의 피치를 이용하여 넓히고 줄이는 과정에 의해서 상기 아크부재(41)(42)의 접합력이 조절되기 때문이다. 이는, 일반 적으로 와셔가 개입되어 양 부재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마찰력을 조절하는 경우에 양자 간의 사이가 용이하게 줄여지지 않는 구조와 비교하면, 그 장점이 더 선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크부재(41)(42) 간의 마찰력은, 마찰홈(43)(44)의 수평방향의 접촉면-홈의 안쪽면-과 수직방향의 접촉면-홈의 벽면-에 의해서 함께 제공된다. 그리고, 수평방향의 접촉면 간의 마찰력은 상기 마찰력 조절부(70)에 의해서 조절되는 상태에서 인가되고, 상기 수직방향의 마찰력은 평면 디스플레이의 자중에 의해서 인가된다. 나아가서, 마찰홈에 의해서 그 접촉면이 늘어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72)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은 탄성력에 의해서도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되고, 이로써 단일 장치인 아크부재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도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기 안착부(50)는, 상하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평면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안착부재(55)가 놓이는 기기 걸림부(52)가 다수개 제공된다. 상기 기기 걸림부(52)는 상측은 폭이 넓고 하측은 폭이 좁아서, 기기 안착부(50)의 상측간격부를 통하여 안착부재(55)가 삽입된 다음에 하측으로 내려짐으로써, 안착부재(55), 나아가서 평면 디스플레이가 기기 안착부(50)에 지지된다. 상기 기기 걸림부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안착부재(55)가 놓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가 증진되도록 한다.
한편, 만약 특정 위치의 기기 걸림부(52)에만 안착부재(55)가 놓이는 경우에,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절하는 중에 디스플레이가 기기 안착 부(5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기 걸림부(52)의 상측 개구는 안착부재(55)와 비슷한 크기로 제공된다. 또한, 최 상단의 기기 걸림부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와 같은 부품을 사용하여 이탈 방지턱(57)을 더 설치한다.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배면에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돌출되는 돌출부(53)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는 스토퍼(54)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스토퍼(54)는 평면 디스플레이가 벽면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로 삽입되었을 때, 과도한 힘에 의한 충격 발생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의 안착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부품이다. 상기 스토퍼(54)의 내부에는 돌출부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삽입부(56)가 제공되고, 상기 삽입부(56)에는 돌출부(53)의 돌출단부가 억지끼움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54) 중의 어느 하나가 벽면에 닿았으나, 모든 스토퍼(54)가 벽면에 닿아 있지는 아니할 때에는, 상기 연결부(20)(30)는 벽으로 더 들어가거나 좌우 스위블, 상하 틸트가 가능한 상태가 예상될 것이다. 이 경우에는 힘을 조정하여 약한 힘으로 다른 스토퍼(54)도 벽에 닿도록 다른 스토퍼(54)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밀면 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에 의해서 더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상기 스토퍼(54)에 의해서 가이드됨으로써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고, 그러한 상태-즉, 연결부에 의해서 계속해서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빌트 인 구조에 있어서는 안정되게 장착구조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네 귀퉁이 부분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어 있어서, 그 삽입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평면 디스플레이의 삽입 상태가 조작되는 양상을 측면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장착된 상태에서 평면 디스플레이의 측면도로서, 도 7은 일반적인 설치상태 도 8은 빌트 인 구조로 장착되는 설치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벽(83)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평면 디스플레이가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다양한 동작성을 가지면서도 지지장치에서 외부에서 관찰되는 부분의 감소되어 소비자가 만족감이 증가되는 이점을 알 수 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를 벽에 완전히 붙혀서 사용하기 위하여, 밀어 넣는 동작 중에 가속도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 상기 스토퍼(54)에 의해서 흡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54)는 연질 고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금속에 비하여 부드러운 재질로 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어느 정도의 깊이로 평면 디스플레이를 삽입한 다음에는, 평면 디스플레이의 네 귀퉁이 부위를 벽에 닿을 때까지 힘과는 상관없이 밀어 넣은 동작에 의해서 평면 디스플레이를 밀어 넣을 수 있어서, 사용자는 편리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벽(83)과 상기 벽(83)의 바깥쪽으로 장식공간(84)이 더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장식공간(84)이라고 하는 것은, 실내공간을 더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와이어(85)등과 같은 여타 장치가 수납되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평면 디스플레이(90)는 장식공간(84)이 비워져서 제공되는 공간 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식공간(84)과 평면 디스플레이의 외면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평면 디스플레이의 사양에 따라서 평면 디스플레이의 두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토퍼(54)의 길이등과 같은 구체적인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전후로 짧은 스토퍼를 사용하고, 디스플레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긴 스토퍼를 사용함으로써, 빌트 인으로 수납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무관하게 아름답게 평면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하단부에는 높이 조절부(60)가 더 제공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60)는 본 실시예인 지지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고정부(10)의 높이를 잘못 설정하여 고정부가 전체적으로 높거나 낮게 설치되거나, 좌우의 높이 수준이 다른 경우에 이를 보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높이 조절부(60)에 의해서 조절되는 높이는 그다지 큰 정도는 요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60)에는,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하측에 다른 부품으로서 장착되는 서포터 유닛(61)과, 상기 서포터 유닛(61)을 기기 안착부(50)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부재(80)와, 상기 서포터 유닛(61)의 높이와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가변시키는 미는부재(62)와, 상기 서포터 유닛(61)의 이동 시에 서포터 유닛(61)과의 상대적인 운동을 수행하는 하단리브(59)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서포터 유닛(61)에는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배면쪽에 놓이 는 부품으로서, 상기 체결부재(80)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하여 양측부에 제공되는 홀(65)과, 전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55)를 받혀서 지지하는 제 1 접촉부(63) 및 제 2 접촉부(64)와, 상기 미는부재(62)에 의해서 직접 밀리게 되는 받침부(67)와, 상기 받침부(67)에 가공되어 상기 미는부재(62)가 삽입되는 홀(66)이 제공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60)의 동작 내지 작용을 도 9에 제시되는 높이 조절부의 배면 사시도 및 도 10에 제시되는 도 9의 Ⅰ-Ⅰ'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미는부재(62)와 상기 하단리브(59)는 서로 치합되어 있고, 상기 미는부재(62)와 상기 받침부(67)는 서로 치합등과 같은 강제 결속관계가 없이 서로 삽입 및 이탈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미는부재(62)를 회전시키면 상기 미는부재(62)는 상기 하단리브(59)에 더 삽입되어 상승하거나 더 이탈하여 하강하고, 다시 말하면, 상기 하단리브(59)에 대하여 강제로 상승/하강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받침부(67)는 미는부재(62)의 머리부에 걸려서 상기 미는부재(62)와 함께 상승/하강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면, 상기 하단리브(59) 다시 말하면 기기 안착부(50)는, 미는부재(62)의 회전작용에 의해서 위치변화가 없고, 상기 서포터 유닛(61)은 미는부재(62)의 회전작용에 의해서 상승/하강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유닛(61)에는 안착부재(55)가 올려져 있기 때문에, 결국 미는부재(62)의 회전동작에 의해서 평면 디스플레이가 지지되는 안착부재(55)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이 되고, 이로써, 평면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조 절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동작의 수행 시에 평면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재(55)는 상하로 놓이는 두 개가 각각 상기 서포터 유닛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촉부(63)(64)는 두 개가 제공되는 것이다. 물론, 하나라도 높이 조절부(60)의 동작이 불가한 것은 아니나, 안정적인 하중 지지를 위하여 두개로 제공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만, 과도하게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에는 안착부재(55)가 기기 걸림부(52)의 상측부까지 이동하여 안착부재(55)가 빠져버릴 우려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높이 조절부(60)는 작업자가 고정부(10)에 고정시에 약간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오류를 보정하는 것이므로, 원래부터 많은 보정 동작은 필요치 아니하므로, 그러한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되는 높이 조절부(60)가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경우로는, 도 8에 제시된 빌트 인 구조의 경우에, 빌트 인을 위한 수납공간 안으로 삽입되어야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가 삽입이 되지 않는 경우나, 장식공간(84)의 외부라인과 접근하여 그 설치의 오류가 확연하게 드러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미세하게 평면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고, 고정부(10)를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재조립하는 것과 같은 과도한 수정작업을 없앨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특히,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가 완벽하게 고정적인 상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만을 판매하고자 하여 제품을 포장할 때 포장 및 이송의 안정성을 높이는 부분을 개량한 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가 고정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30)와 한 쌍의 상기 회동 연결부(20)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체결부재(26)를 서로 구속시키는 구속 연결구(81)가 마련된다. 상기 구속 연결구(81)는 판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26)에 끼워지는 두 개의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 연결구를 고정하기 위하여 너트(82)가 상기 체결부재(26)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상기 구속 연결구(8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멈춤나사(33)에는 각각의 체결부재(26)가 닿아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품이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는, 좌우 요동이 억제됨으로써 외부 기기의 충돌에 따른 기기의 파손이나, 사용상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속 연결부(81)에 의해서 연결부(20)(30)에 의한 움직임이 완전히 구속된다. 그러므로, 제품을 포장하고 난 다음에는 그 내부에서 각 부품이 서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있더라도 지지장치의 일 부분이 포장지를 뚫고 나오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장치의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지지장치의 자세유지를 위하여 스티로폼이나 종이 등을 사용하여 이를 자세를 고정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제품이 설치되고 난 다음에 안정적으로, 다시 말하면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평면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고자 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동작의 자유도를 더 향상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원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는 제시되어 있던 상기 멈춤나사(33)가 삭제되어 있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이 차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는 평면 디스플레이가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도, 평면 디스플레이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빌트 인 구조의 경우에는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지만 벽면에 단순 설치되는 경우에는 동작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더 편리하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상기되는 실시예와 제품의 형태는 다르지만, 제품 사이즈의 감소, 외부에서 관찰되는 부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사용자 만족감의 증진, 제품 신뢰성의 향상, 제품의 자연스러운 동작, 정해진 위치의 안정된 유지, 빌트 인 기구에 대한 적합성, 저렴한 제작비용, 간단한 제작공정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다만,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인용되는 내용을 지시하고,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하의 대칭 또는 좌우의 대칭 구성요소의 경우에는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지만, 그 설명은 그 대칭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100)는 벽면등과 같은 거치 위치에 볼트등의 도구에 의해서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 운동 및 전방 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링크 연결부(120), 상기 링크 연결부(120)의 바깥쪽 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패널 연결부(130), 상기 패널 연결부(130)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는 기기 안착부(150), 상기 패널 연결부(130)와 상기 기기 안착부(150)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하틸팅 운동에 대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틸팅 마찰부(14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기 안착부(150)의 하측에는 높이 조절부(160)가 제공되어 평면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00)는 체결부재(111)의 개입에 의해서 링크 연결부(120)의 제 1 링크(123)의 내측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링크 연결부(120)는 제 1 링크(123)와 제 2 링크(124)로 이루어지고, 제 1 링크(123)의 외측부는 제 2 링크(124)의 외측부와 연결되어, 링크(123)(124)는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동작에 의해서 링크 연결부(120)의 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안쪽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를 연결하는 부위에는 체결부재(122) 및 와셔(125)가 삽입되어 있어서, 일정한 수준 이상의 마찰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123)에는 스토퍼(121)가 형성되어, 제 2 링크(124)가 일정 각도 이상 펼쳐지면 상기 스토퍼(121)에 제 2 링크(124)가 닿아서, 더 이상 제 2 링크(124)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여, 평면 디스플레이의 인출 거리에 의한 평면 디스플레이의 하중에 기인하는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는 한계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링크(124)의 내측은 상기 패널 연결부(130)의 상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패널 연결부(130)는 앞으로 나오거나 좌우 스위블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부(130)의 좌우측에는 상기 틸팅 마찰부(140)가 제공된다. 상기 틸팅 마찰부(140)에는 상기 패널 연결부(130)에 체결되는 제 1 아크부재(141)와, 상기 기기 안착부(150)에 체결되는 제 2 아크부재(142)가 포함된다. 그리고, 각각의 아크부재(141)(142)의 접촉면에는 마찰홈(143)(144)이 형성되어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하틸팅의 한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기기 안착부(150)와 제 2 아크부재(142)에는 아크슬롯(145)(146)이 제공된다. 상기 아크슬롯(145)(146)에 마찰력 조절부(170)의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바(171)가 삽입되어 기기 안착부(150)의 회동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마찰력 조절부(170)는, 상기 패널 연결부(130)와 아크부재(141)(142)와 기기 안착부(150) 전체에 다다르는 바(171)와, 기기안착부(171)의 바깥쪽 면에 차례로 놓이는 하판(172), 스프링(173), 상판(174), 조임구(175), 멈춤링(176)의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마찰력 조절부(170)에 의해서 틸팅 마찰부(140)의 마찰력이 미세하게 조절가능한 것은 이미 살펴본 바가 있다.
상기 기기 안착부(171)의 최하단에는 높이 조절부(160)가 설치되어 고정부(110)가 장착된 상태에서 평면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달성되는 제 4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를 바깥쪽으로 당기면, 그에 대응하여, 링크 연결부(120)의 링크(123)(124)가 펼쳐지는 변화에 의해서 디스플레이가 바깥쪽으로 인출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를 상하방향으로 틸팅시키면, 그에 대응하여 기기 안착부(150)가 패널 연결부(13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틸팅동작하여, 디스플레이의 상하방향으로 틸팅한다. 이때, 평면 디스플레이와 벽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면 디스플레이는 일정 각도 외부로 인출된 상태일 수 있 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평면 디스플레이를 좌우 스위블 시키면, 그에 대응하여 링크 연결부(120)를 이루는 링크(123)(124)의 펼쳐지는 정도가 서로 다르게 된다. 그러면, 평면 디스플레이의 좌우 쪽에 있어서 어느 한 쪽은 많이 인출되고 다른 한 쪽은 적게 인출되어 평면 디스플레이는 좌우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로 된다.
상기되는 각 동작 상태는 어느 하나가 독립적이거나 중첩적으로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동작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토퍼(도 5의 54참조)구조가 개시되지 아니하였으나, 기기 안착부(150)의 배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예는 인용문헌의 오각링크와 달리 육각링크구조를 취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패널 연결부(130) 자체가 하나의 링크로 작용함으로써, 육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변화는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상기 틸팅 마찰부(140)를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과 함께, 평면 디스플레이가 작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좌우방향으로 틸팅이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일정한 정도 이상의 힘을 줄 경우에만 좌우방향으로 스위블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평면 디스플레이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기되는 실시예가 본 발명 사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인 것은 사실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와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더 제시한다.
상기 틸팅 마찰부의 아크부재는 두 부재가 전부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상기 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다른 하나는 금속과 같은 다른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소음이 없으면서 동작은 부드럽게 되는 기기가 가능할 것이다. 물론, 소음등의 문제가 없고 충분한 마찰계수를 얻을 수 있다면 양부재 모두를 금속을 재질로 하더라도 본 발명 사상의 구현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만, 수지로 제공되는 것이 소음감소, 마찰력감소, 및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상기 스토퍼는 연질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물품으로서, 돌출부에 별도로 장착되는 물품으로 설명이 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돌출부가 자체적으로 적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가 평면 디스플레이가 지지장치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으로 접근하였을 때, 돌출부의 연장단부가 벽면에 닿도록 설계만 된다면, 발명 사상의 실시에는 영향이 없다. 다만, 연질 재질을 이용한 별도의 스토퍼가 더 제시됨으로써, 벽면에 자국이 남지 않고, 디스플레이에 충격이 가하여지지 않는 등 장점이 있어서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 마찰부가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틸팅 마찰부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볼 수는 없으며, 상기 틸팅 마찰부가 삭제되는 경우라도, 틸팅 운동이 되지 않는 단점만이 있을 뿐, 그 외의 다른 장점은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틸팅 마찰부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평면 디스플레이의 운동 자유도가 증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개시되는 틸팅 마찰부와는 구조가 다른 마찰구조를 개입하는 경우에도 가능한 다른 실시예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생각은 상기 높이조절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물품은 상기되는 다양한 특징들이 서로 병합되어 제공되는 것으로서, 그 내용으로 볼 때 어느 하나의 기술적 특징이 다른 형태의 물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경우에는 그에 대한 권리범위만을 구체적으로 청구하여 본 발명 사상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사이즈가 감소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의 측방향에서 관찰되는 부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서 구현되어야 하는 모든 동작성이 가능하면서도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동작 시에 마찰력이나 소음이 없이 자연스럽게 동작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일단 정하여진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빌트 인 기구의 삽입 및 장착이 편리하게 되어 빌트 인 구조에 대한 대응성이 뛰어나고,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포장 및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5)

  1.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평면 디스플레이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와 기기 안착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기 안착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기기 안착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기 안착부의 상하 틸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아크 형상의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틸팅 마찰부가 포함되고,
    상기 틸팅 마찰부에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어 함께 움직이는 제 1 아크부재; 및
    상기 기기 안착부에 고정되어 함께 움직이는 제 2 아크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아크부재와 상기 제 2 아크부재는 서로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형상의 가이드부는, 상기 아크부재 간의 접촉면에 제공되는 아크 형상인 홈인 형성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크부재 및 상기 제 2 아크부재의 마찰면은, 각각의 아크부재의 공통되는 투영면보다 넓은 마찰면을 가지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부재 접촉면의 마찰계수를 조절하기 위한 마찰력 조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기기 안착부와 상기 제 2 아크부재에는 상기 마찰력 조정부의 이동궤적을 정의하는 아크슬롯이 제공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조정부에는,
    상기 아크부재 간의 수직항력을 조절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을 외주에 지지하는 바; 및
    상기 바에 지지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신축시키는 조임구가 포함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크부재 및 상기 제 2 아크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7.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와 함께 움직이는 기기 안착부;
    상기 기기 안착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걸림부;
    상기 기기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지지되도록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에 장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기기 안착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포함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안착부는,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 제공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기기 안착부에 각각 제공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기기 안착부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0.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와 함께 움직이는 기기 안착부; 및
    상기 기기 안착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가 최대한으로 삽입되는 위치를 정의하는 돌출부가 포함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되는 위치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스토퍼가 상기 돌출부에 더 설치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의 네 귀퉁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동일한 길이 이거나 서로 다른 길이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돌출부와 별도의 물품으로서, 상기 돌출부에 체결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되는 위치에 닿았을 때, 상기 연결부는 양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6.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제 1 단부가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 연결부;
    상기 한 쌍의 회동 연결부의 제 2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한 쌍의 기기 안착부가 포함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와 상기 기기 안착부의 접촉부에는 상기 기기 안착부의 상하 틸팅 동작을 허용하는 틸팅 마찰부가 개재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연결부의 제 2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의 중심부에서 저지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연결부가 완전히 접혔을 때, 상기 한 쌍의 회동 연결부의 제 2 단부는 서로 접근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는 내측부의 상하거리가 외측부의 상하거리보다 짧은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는 압출 물품인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회동 연결부의 제 2 단부는 서로 결속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23.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일측이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부의 타측이 연결되는 단일체인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의 양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평면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한 쌍의 기기 안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에 가까와 짐에 따라서 축소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기기 안착부의 접촉부에는 틸팅 마찰부가 개재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판상부재로서,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의 중심부에 가까운 곳이, 그 반대쪽 보다 상하 길이가 짧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118252A 2007-11-20 2007-11-20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KR101424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52A KR101424269B1 (ko) 2007-11-20 2007-11-20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CNA2008800037282A CN101601285A (zh) 2007-11-20 2008-11-05 用于显示设备的支撑装置
US12/524,436 US8746635B2 (en) 2007-11-20 2008-11-05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PCT/KR2008/006517 WO2009066885A1 (en) 2007-11-20 2008-11-05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EP08851619.0A EP2111716B1 (en) 2007-11-20 2008-11-05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52A KR101424269B1 (ko) 2007-11-20 2007-11-20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837A true KR20090051837A (ko) 2009-05-25
KR101424269B1 KR101424269B1 (ko) 2014-07-31

Family

ID=4066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252A KR101424269B1 (ko) 2007-11-20 2007-11-20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6635B2 (ko)
EP (1) EP2111716B1 (ko)
KR (1) KR101424269B1 (ko)
CN (1) CN101601285A (ko)
WO (1) WO20090668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12B1 (ko) * 2010-06-16 2011-05-26 (주)한국킹유전자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1080B1 (en) 2010-06-04 2019-05-07 Kurt William Massey Adjustable mounting systems for televisions
US9625091B1 (en) 2014-12-06 2017-04-18 Kurt William Massey Adjustable mounting systems for televisions
US8724037B1 (en) * 2010-06-04 2014-05-13 Kurt William Massey Mounting system
US8864092B2 (en) * 2010-08-04 2014-10-21 Brian Newville Television mount assembly
US9046216B2 (en) * 2011-09-23 2015-06-02 Syncmold Enterprise Corp. Monitor stand
TWI482495B (zh) * 2012-04-17 2015-04-21 Wistron Corp 可限制樞轉功能的顯示器
TWI524771B (zh) * 2012-08-14 2016-03-01 建碁股份有限公司 顯示器支撐模組
US9383060B2 (en) * 2012-12-06 2016-07-05 Synergy Global Supply, Inc. Security wall rack and television mount combination
US9829151B1 (en) * 2014-01-21 2017-11-28 Mw Products Llc Height adjustable flat panel display mounts
US20180010735A1 (en) * 2016-07-08 2018-01-11 Roam Directories Locking Articulating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US10477948B2 (en) * 2016-09-13 2019-11-19 Task Racing Llc Removable device for mounting accessories to a helmet
US10738941B2 (en) 2017-09-04 2020-08-11 Manehu Product Alliance, Llc Display mount assembly
WO2019084563A1 (en) * 2017-10-29 2019-05-02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WALL SUPPORT OF VIRTUAL AXIS
KR101949476B1 (ko) 2017-11-10 2019-02-18 (주)세아메카닉스 평면 디스플레이용 벽걸이 장치
KR101949477B1 (ko) 2017-11-10 2019-02-18 (주)세아메카닉스 평면 디스플레이용 벽걸이 장치
CN207702071U (zh) * 2017-12-25 2018-08-07 裴旭波 一种可调角度的电视固定装置
US10859201B2 (en) 2018-04-10 2020-12-08 Manehu Product Alliance, Llc Display mount assembly
US11191178B2 (en) * 2019-01-24 2021-11-30 Steelcase Inc. Display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WO2020215290A1 (zh) * 2019-04-25 2020-10-29 马骏 一种显示器安装装置
US11033107B2 (en) 2019-07-16 2021-06-15 Francis Douglas Warren Tilting mounting apparatus
WO2021127552A1 (en) 2019-12-19 2021-06-24 Manehu Product Alliance, Llc, D/B/A Adjustable display mounting system
CA3167490A1 (en) 2020-02-10 2021-08-19 Brian Newville Multidirectional display mount
CN117337367A (zh) 2021-05-12 2024-01-02 科尔布鲁克博松及桑德斯(产品)有限公司 用于高负载显示器支撑系统的倾斜头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1579A (en) * 1991-07-19 1994-06-14 Teknion Furniture Systems Office panelling system with a monitor screen mounted on a cantilevered adjustable arm
US5624202A (en) * 1995-10-19 1997-04-29 Ledalite Architectural Products, Inc. Integral joint and mounting assembly for suspended linear structures
US5805415A (en) * 1996-10-03 1998-09-08 Hewlett-Packard Company Detachable flat panel computer display and support
JP3242857B2 (ja) * 1997-03-13 2001-12-25 デイエツクスアンテナ株式会社 アンテナ取付具
FR2782400A1 (fr) * 1998-08-03 2000-02-18 Source Dev Ordinateur a ecran plat
US6209974B1 (en) * 1998-11-10 2001-04-03 Sony Corporation Wire dress protector for a television cabinet stand
KR100377629B1 (ko) * 2001-06-05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장치
US6766994B2 (en) * 2002-04-05 2004-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abilized flat panel touch monitor
US7152836B2 (en) 2003-01-09 2006-12-26 Csav, Inc. Adjustable tilt mount
US7380760B2 (en) * 2003-05-30 2008-06-03 Csav, Inc. Self-balancing adjustable mounting system with friction adjustment
KR100968455B1 (ko) * 2004-01-09 201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GB2410599B (en) * 2004-01-30 2006-01-04 Peter Ligertwood Panel mounting unit
US6979092B2 (en) 2004-04-02 2005-12-27 Ching-Shan Liang Adjustable accessory mirror for vehicles
US20060065800A1 (en) * 2004-09-29 2006-03-30 Jeff Bremmon Universal mount for flat panel displays
KR100643914B1 (ko) 2004-10-18 2006-11-10 (주)세아메카닉스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NL1027626C2 (nl) 2004-11-30 2006-05-31 Vogel S Holding Bv Inrichting geschikt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component.
EP1856439B1 (en) * 2005-03-11 2011-03-02 Omb S.R.L. Mounting system for a household appliance
US7641163B2 (en) * 2005-10-21 2010-01-05 Peerless Industries, Inc. Tilt mounting system
US8028964B2 (en) * 2006-01-13 2011-10-04 Peerless Industries, Inc. Incremental angular position and locking system for mounting devices
KR20070091467A (ko) * 2006-03-0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EP1837583A3 (en) * 2006-03-22 2009-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of display unit
KR101273595B1 (ko) 2006-03-22 201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TWM299816U (en) * 2006-05-12 2006-10-21 Seng-Ling Tan Hanging stand capable of adjusting angle for plasma television
US7448584B2 (en) * 2006-07-10 2008-11-11 Hoolin Research Company Limited Wall mounting monitor bracket
US7891622B1 (en) * 2007-02-02 2011-02-22 Peerless Industries, Inc. Adjustable tilt moun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12B1 (ko) * 2010-06-16 2011-05-26 (주)한국킹유전자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46635B2 (en) 2014-06-10
US20100006725A1 (en) 2010-01-14
WO2009066885A1 (en) 2009-05-28
CN101601285A (zh) 2009-12-09
EP2111716A1 (en) 2009-10-28
KR101424269B1 (ko) 2014-07-31
EP2111716B1 (en) 2017-07-05
EP2111716A4 (en)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1837A (ko)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US7667957B2 (en) Thin-type display
CN102774296B (zh) 车座的铰接装置以及包含该铰接装置的车座
US7663868B1 (en) Display devices mounting apparatus
JP6337047B2 (ja) 抽斗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及び、取付デバイス
US9016647B2 (en) Monitor mounting apparatus
US20090065658A1 (en) Cable management arm supporting device
US20040124330A1 (en) Hook device
US8695936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20160128471A1 (en) Tool Cabinet
US20180363349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and various opened and closed bodies having the same
EP2161490B1 (en) Supporting device to display apparatus
US7382606B2 (en) Computer device with anti-tip mechanism
KR20090051836A (ko)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US20240058633A1 (en) Horizontal lifeline shuttle apparatus
US20120205058A1 (en) Semi-automatic sunshade device
EP3051929B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JP5313060B2 (ja) ヒンジ
TW201347694A (zh) 拉鏈滑件及拉鏈
KR101905487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EP2378183A2 (en) Mount for a flat panel display
JP4669814B2 (ja) スライド蝶番及びそれを用いたキャビネット
JP4426274B2 (ja) 戸パネルの支持装置
WO2021007828A1 (zh) 高度调节装置、汽车及其调节方法
JP3140773U (ja) 操作コードの挟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