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446A - 저탕식 보일러 - Google Patents

저탕식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446A
KR20090050446A KR1020070116874A KR20070116874A KR20090050446A KR 20090050446 A KR20090050446 A KR 20090050446A KR 1020070116874 A KR1020070116874 A KR 1020070116874A KR 20070116874 A KR20070116874 A KR 20070116874A KR 20090050446 A KR20090050446 A KR 20090050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heating
boil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015B1 (ko
Inventor
오원호
정준환
이승현
윤성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롯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롯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롯데기공
Priority to KR102007011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0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저탕식 보일러가 개시된다. 온수탱크는 유입되는 직수를 담수하고 담수된 직수 및 난방수간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며, 담수된 직수를 온수로 송출한다. 판형열교환기는 온수탱크로부터 송출된 온수를 난방수와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여 배수한다. 유량조절밸브는 유입되는 난방수를 선택적으로 온수탱크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의하면, 온수탱크에 담수된 직수가 온수탱크에서 데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풍부한 온수를 공급할 수 있고, 온수 샌드위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온수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은 크기의 온수탱크를 구비함으로써, 설치비가 저렴해지고 온수를 가열하는데 이용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가스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밸브의 조절로 판형열교환기 및 온수탱크로 적절하게 난방수가 분배되고 송출된 온수가 판형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되어 배출됨으로, 온수의 온도를 단시간에 설정온도로 높이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저탕식, 보일러, 온수탱크, 난방수, 판형열교화기, 온수

Description

저탕식 보일러{ENERGY SAVING TYPE BOILER}
본 발명은 저탕식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및 온수를 원활하게 공급하는 저탕식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주택 및 건물의 난방은 물론 거주자가 사용하는 온수를 제공한다. 보일러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 보일러로 공급되는 직수를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여 제공한다.
도 6은 기존의 순간식 보일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존의 순간식 보일러(1)는 난방수로 이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와, 물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열발생 수단(20)과,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을 열발생 수단(20)으로 공급하며, 열발생 수단(20)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펌프(30)와, 수류 스위치(40)에 의해 직수를 공급하는 직수배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직수와 난방수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60)와, 난방수를 열교환기(60) 또는 난방배관(7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삼방변(80)과, 열교환기(60)에 의해 열교환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배관(90)과,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95)와, 조작부(95)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에 따라 보일러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의 순간식 보일러(1)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온수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우선 기존의 순간식 보일러(1)는 수류 스위치(40)가 온 상태로 컨트롤러(97)의 제어에 의해 삼방변(80)이 온수배관(90)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수류 스위치(40)는 배관의 내부에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가 흐르는 것을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구성요소로 수류 스위치(40)의 상태는 컨트롤러(97)에 전달되고, 컨트롤러(97)는 삼방변(80)의 통로 연결을 온수배관(90)측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펌프(30)에 의해 열발생 수단(20)에 공급되고 열발생 수단(20)에서 가열된 물인 가열수(난방수)는 삼방변(80)을 경유하여 열교환기(60)로 흐른다. 열교환기(60)에서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열발생 수단(20)에서 가열된 물과 직수배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직수배관(50)으로부터 공급된 직수는 열교환기(6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온수배관(90)을 통해 공급된다.
기존의 순간식 보일러(1)는 온수의 흐름을 감지하여 필요할 때 보일러를 가동함으로, 풍부한 온수 사용에 한계가 있고 온수 사용 후 재 사용시까지 온수 샌드위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온수 초기 사용 시에 보일러가 가동되고 온수 사용 중지 시에 보일러가 꺼진 후, 온수 재가동되어 다시 보일러가 가동된 경우에, 보일러가 꺼진 후 재 가동되어 설정 온도에 도달 시까지 온수는 미지근한 물 또는 찬물이 출탕됨으로, 온수 재 사용시는 초기 따뜻한 물이 출탕 후에 일정한 시 간 동안 찬물이 출탕되고 다시 따뜻한 물이 출탕되는 온수 샌드위치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풍부한 온수를 사용할 수 있고, 온수 샌드위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저탕식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직수를 가열하는데 이용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설치비가 저렴한 저탕식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온수의 온도를 단시간에 설정온도로 높이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저탕식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는, 유입되는 직수를 담수하고 상기 담수된 직수 및 난방수간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담수된 직수를 온수로 송출하는 온수탱크; 및 유입되는 난방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저탕식 보일러는, 상기 온수탱크의 크기는 10리터(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낭반수를 가열하는 열발생 수단으로부터 직접 난방수를 유입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탕식 보일러는,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송출된 온수를 난방수와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여 배수하는 판형열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판형열교환기 및 온수탱크에 선택적으로 난방수를 송출한다. 또는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판형열교환기로부터 난방수를 유입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의하면, 온수탱크에 담수된 직수가 온수탱크에서 데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풍부한 온수를 공급할 수 있고, 온수 샌드위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온수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의하면, 작은 크기의 온수탱크를 구비함으로써, 설치비가 저렴해지고 온수를 가열하는데 이용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가스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의하면, 유량조절밸브의 조절로 판형열교환기 및 온수탱크로 적절하게 난방수가 분배되고 송출된 온수가 판형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되어 배출됨으로, 온수의 온도를 단시간에 설정온도로 높이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불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100)는 물탱크(110), 열발생 수단(120), 펌프(130), 수류 스위치(140), 직수배관(150), 판형열교환기(160), 온수탱크(165), 난방배관(170), 유량조절밸브(180), 온수배관(190), 컨트롤러(197) 및 조작부(195)를 구비한다.
물탱크(110)는 난방수로 이용되는 물을 저장하고, 열발생 수단(120)은 물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한다. 펌프(130)는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인 난방수를 열발생 수단(120)으로 공급하며, 열발생 수단(120)이 가열한 난방수를 유량조절밸브(180) 및 난방배관(170)을 통해 순환시킨다.
수류 스위치(140)는 직수배관(150)으로부터 온수로 이용되는 직수를 공급하여 온수탱크(165)에 유입시킨다. 온수탱크(165)는 수류 스위치(140)가 유입하는 직수를 담수한다. 여기서 온수탱크(165)의 크기는 10리터(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탱크(165)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온수탱크(165)에는 작은 량의 직수를 담수하고 있으므로 담수된 직수를 온수로 가열하는데 이용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온수탱크(165)를 설치하는 비용이 적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100)는 설치비가 저렴하고, 온수로 가열하는데 이용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가스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탱크(165)는 유량조절밸브(180)로부터 공급된 난방수의 열을 이용하여 담수된 직수를 가열한다. 즉 온수탱크(165)는 담수된 직수 및 난방수간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담수된 직수를 난방수의 열로 가열한다. 따라서 담수된 직수는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담수된 직수의 온도는 공급되는 난방수의 온도 및 량에 따라 조절된다.
그리고 온수탱크(165)는 담수된 직수를 온수로 송출한다. 온수탱크(165)에 담수된 직수가 온수탱크(165)에서 데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100)는 이를 통해 풍부한 온수를 공급할 수 있고, 온수 샌드위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온수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량조절밸브(180)는 열발생 수단(120)이 가열한 난방수를 유입받고, 유입한 난방수를 선택적으로 온수탱크(165)로 공급한다. 유량조절밸브(180)가 온수탱크(165)로 공급한 난방수는 온수탱크(165)에 담수된 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유량조절밸브(180)는 열발생 수단(120)으로부터 직접 직수를 유입받거나 다른 삼방변을 통해 직수를 유입받을 수 있다. 여기서 유량조절밸브(180)는 일종의 삼방변으로 유량조절밸브(180)의 인입구는 열발생 수단(120)과 연결되거나 다른 삼방변과 연결될 수 있고, 유량조절밸브(180)의 출구일측은 온수탱크(165)와 연결되고 출구타측은 다양한 실시 태양에 따라 난방배관(170), 판형열교관기(160) 또는 다른 삼방변과 연결될 수 있다.
판형열교환기(160)는 온수탱크(165)가 송출한 온수를 난방수와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여 온수배관(190)으로 배수한다. 판형열교환기(160)는 단시간에 온수 온도를 높이고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100)는 온수의 온도를 단시간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설정된 온수 설정온도로 높여 출탕할 수 있고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온수를 계속적으로 출탕할 수 있다.
온수배관(190)은 온수탱크(165)가 송출한 온수 또는 판형열교환기(160)가 가열한 온수를 보일러 외부로 배출한다.
조작부(195)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예로 조작부(195)는 온수탱크(165)에 담수된 직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저탕고온설정온도 및 저탕저온설정온 또는 판형열교환기(160)로부터 배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수고온설정온도를 입력받거나 이들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트롤러(197)는 조작부(95)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에 따라 보일러의 장치 전반을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197)는 저탕고온설정온도, 저탕저온설정온도 및 온수고온설정온도를 기초로 유량조절밸브(180) 및 삼방변의 출구 변경을 제어함으로서 난방수의 흐름을 조절한다. 또한 컨트롤러(197)는 판형열교환기(160) 및 온수탱크(165)로의 난방수의 유입을 조절하여 판형열교환기(160) 및 온수탱크(165)의 가열을 제어하고, 판형열교환기(160) 및 온수탱크(165)의 가열을 제어를 통해 온수의 온도를 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량조절밸브(280)의 인입구는 열발생 수단(220)과 연결된 삼방변(282)의 출구일 측과 연결되고, 유량조절밸브(280)의 출구일측은 온수탱크(265)와 연결되며, 출구타측은 판형열교환기(260)와 연결된다. 여기서 삼방변(282)의 출구타측은 난방배관(270)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200)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온수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200)는 수류 스위치(140)가 온 상태로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유량조절밸브(280)가 판형열교환기(260)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물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펌프(230)에 의해 열발생 수단(220)에 공급되고 열발생 수단(220)에서 가열된 물인 난방수(I0)는 삼방변(282)을 경유하여 유량조절밸브(280)로 흐른다. 삼방변(282)으로부터 유량조절밸브(280)로 유입된 난방수(I2)는 판형열교환기(260)로 유입된다. 판형열교환기(26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밸브(280)로터 유입된 난방수(I3)와 온수배관(265)으로부터 송출된 온수(L1)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온수탱크(265)로부터 공급된 온수(L1)는 판형열교환기(26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온수배관(290)을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수류 스위치(140)가 오프 상태가 되면,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유량조절밸브(280)가 온수탱크(165)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난방수(I4)는 온수탱크(265)로 유입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탱크(265)에서는 담수된 직수(L0)와 유입된 난방수(I4)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수류 스위치(140)가 오프 상태가 되면,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삼방변(282)이 난방배관(270)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난방수(I1)는 난방배관(270)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따라 온수탱크(265)로의 난방수(I4) 유입이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200)는 온수 온도를 유지하는데 충분한 열량이 보일러에서 나올 경우에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따라 남는 열량의 일부를 온수탱크(265)로 돌려 온수탱크(265)의 물을 미리 약간 가열함으로 보다 많은 온수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수 샌드위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량조절밸브(380)의 인입구는 판형열교환기(360)와 연결되고, 유량조절밸브(380)의 출구일측은 온수탱크(365)와 연결되며, 출구타측은 펌프(330)와 연결된다. 또한 삼방변(382)의 인입구는 열발생 수단(320)과 연결되고 삼방변(382)의 출구일측은 판형열교관기(360)와 연결되면, 출구타측은 난방배관(370)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300)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온수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300)는 수류 스위치(140)가 온 상태로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삼방변(382)이 판형열교환기(360)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물탱크(3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펌프(330)에 의해 열발생 수단(320)에 공급되고 열발생 수단(320)에서 가열된 물인 난방수(I0)는 삼방변(382)을 경유하여 판형열교환기(360)로 흐른다. 즉 삼방변(382)으로부터 판형열교환기(360)로 난방수(I2)가 유입된다. 판형열교환기(360)에 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삼방변(382)으로부터 유입된 난방수(I2)와 온수배관(365)으로부터 송출된 온수(L1)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온수탱크(365)로부터 공급된 온수(L1)는 판형열교환기(36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온수배관(390)을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판형열교환기(360)에서 열교환이 된 난방수(I3)는 유량조절밸브(380)로 유입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탱크(365)에서는 담수된 직수(L0)와 유입된 난방수(I3)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수류 스위치(140)가 오프 상태가 되면,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삼방변(382)이 난방배관(370)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난방수(I1)는 난방배관(370)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300)는 판형열교환기(360)에서 유입되는 난방수를 온수탱크(365)에서 사용함으로, 온수탱크(365)에 담수된 온수를 데우기 위해 별도의 에너지가 요구되지 않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스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량조절밸브(480)의 인입구는 삼방변(482)과 연결되고, 유량조절밸브(480)의 출구일측은 온수탱크(465)와 연결되며, 출구타측은 난방배관(470)과 연결된다. 그리고 삼방변(482)의 인입구는 열발생 수단(420)과 연결되고 삼방변(482)의 출구일측은 판형열교관기(460)와 연결되면, 출구타측은 유량조절밸 브(480)의 인입구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400)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온수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400)는 수류 스위치(140)가 온 상태로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삼방변(482)이 판형열교환기(460)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물탱크(4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펌프(430)에 의해 열발생 수단(420)에 공급되고 열발생 수단(420)에서 가열된 물인 난방수(I0)는 삼방변(482)을 경유하여 판형열교환기(460)로 흐른다. 즉 삼방변(482)으로부터 판형열교환기(460)로 난방수(I2)가 유입된다. 판형열교환기(46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삼방변(482)으로부터 유입된 난방수(I2)와 온수배관(465)으로부터 송출된 온수(L1)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온수탱크(465)로부터 공급된 온수(L1)는 판형열교환기(46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온수배관(490)을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판형열교환기(460)에서 열교환이 된 난방수(I3)는 펌프(430)로 유입된다.
이때, 수류 스위치(140)가 오프 상태가 되면,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삼방변(382)이 유량조절밸브(480)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난방수(I1)는 유량조절밸브(480)로 유입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유량조절밸브(480)가 온수탱크(465) 측으로 통로 연결되면, 난방수(I4)는 온수탱크(465)로 유입된다. 그러 면,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탱크(465)에서는 담수된 직수(L0)와 유입된 난방수(I4)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400)는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따라 유량조절밸브(480)를 조절하여 난방수와 온수 사이의 열량을 적절 분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량조절밸브(580)의 인입구는 열발생 수단(520)과 연결되고, 유량조절밸브(580)의 출구일측은 온수탱크(565)와 연결되며, 출구타측은 삼방변(582)의 인입구와 연결된다. 그리고 삼방변(582)의 출구일측은 난방배관(570)과 연결되고, 출구타측은 판형열교환기(560)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500)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온수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500)는 수류 스위치(140)가 온 상태로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유량조절밸브(580)가 삼방변(582) 측으로 통로 연결되고 삼방변(582)이 판형열교환기(560) 측으로 통로 연결되고 온수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물탱크(5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펌프(530)에 의해 열발생 수단(520)에 공급되고 열발생 수단(520)에서 가열된 물인 난방수(I0)는 유량조절밸브(580)를 경유하여 삼방변(582)으로 흐른다. 유량조절밸브(580)로부터 삼방변(582)으로 유입된 난방수(I1)는 판형열교환기(560)로 유입된다. 판형열교환기(56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삼방변(582)로 유입된 난방수(I3)와 온수배관(565) 으로부터 송출된 온수(L1)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온수탱크(565)로부터 공급된 온수(L1)는 판형열교환기(56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온수배관(590)을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수류 스위치(140)가 오프 상태가 되면,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유량조절밸브(580)가 온수탱크(165)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난방수(I2)는 온수탱크(565)로 유입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탱크(565)에서는 담수된 직수(L0)와 유입된 난방수(I2)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수류 스위치(140)가 오프 상태가 되면,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의해 삼방변(582)이 난방배관(570) 측으로 통로 연결되어 난방수(I4)는 난방배관(570)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따라 난방배관(570) 및 온수탱크(565) 사이의 난방수 유입이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500)는 온수 온도를 유지하는데 충분한 열량이 보일러에서 나올 경우에 컨트롤러(197)의 제어에 따라 열발생 수단(520)으로부터 가열된 난방수(I0)를 온수탱크(565)로 바로 유입할 수 있어 난방수 및 온수탱크에 담수된 직수 사이에 열량을 적절히 분해하여, 풍부한 온수 사용 및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불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탕식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그리고,
도 6은 기존의 순간식 보일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6)

  1. 유입되는 직수를 담수하고 상기 담수된 직수 및 난방수간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담수된 직수를 온수로 송출하는 온수탱크; 및
    유입되는 난방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탕식 보일러는,
    상기 온수탱크의 크기는 10리터(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보일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열발생 수단으로부터 직접 난방수를 유입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보일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탕식 보일러는,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송출된 온수를 난방수와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여 배수하는 판형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보일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판형열교환기 및 온수탱크에 선택적으로 난방수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보일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판형열교환기로부터 난방수를 유입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보일러.
KR1020070116874A 2007-11-15 2007-11-15 저탕식 보일러 KR10092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74A KR100926015B1 (ko) 2007-11-15 2007-11-15 저탕식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74A KR100926015B1 (ko) 2007-11-15 2007-11-15 저탕식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46A true KR20090050446A (ko) 2009-05-20
KR100926015B1 KR100926015B1 (ko) 2009-11-11

Family

ID=4085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874A KR100926015B1 (ko) 2007-11-15 2007-11-15 저탕식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163B1 (ko) * 2012-09-28 2014-06-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탱크 열교환기를 이용한 배열회수시스템의 급탕온도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22B1 (ko) * 2011-08-05 2013-03-25 권영중 마찰히터를 이용한 급탕 및 난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559Y1 (ko) * 2002-03-20 2002-07-04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저탕식 온수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163B1 (ko) * 2012-09-28 2014-06-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탱크 열교환기를 이용한 배열회수시스템의 급탕온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015B1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74596A1 (ja) 給湯機
JP2008002776A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KR101355124B1 (ko) 예열기능을 구비한 팽창탱크 및 이를 사용한 보일러시스템
KR100436029B1 (ko) 히트펌프식 온수발생장치
KR100926015B1 (ko) 저탕식 보일러
RU2006135180A (ru) Система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и подачи горячей воды (варианты)
JP5567948B2 (ja) 熱源装置
JP4437987B2 (ja) 熱湯循環システム
JP5944614B2 (ja) 熱源装置
KR20130051385A (ko)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JP6682002B2 (ja) 貯湯式給湯機、給湯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62753B2 (ja) 給湯システム
CN210463568U (zh) 一种采暖热水两用锅炉系统
KR20090050448A (ko) 저탕식 보일러 제어방법
JP6143092B2 (ja) 貯湯給湯装置
JP2004150650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WO2012102185A1 (ja) 給湯システム
JP2005076932A (ja) 貯湯式給湯装置
JP2011202882A (ja) ヒートポンプ給湯システム
KR102312524B1 (ko)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JP2007107742A (ja) 給湯装置
JP4779571B2 (ja) 給湯装置
JP4141294B2 (ja) 給湯機
JP2006207842A (ja) 給湯装置
JP4770381B2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