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385A -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385A
KR20130051385A KR1020110116687A KR20110116687A KR20130051385A KR 20130051385 A KR20130051385 A KR 20130051385A KR 1020110116687 A KR1020110116687 A KR 1020110116687A KR 20110116687 A KR20110116687 A KR 20110116687A KR 20130051385 A KR20130051385 A KR 20130051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ste
waste hot
pipe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6873B1 (ko
Inventor
이기화
Original Assignee
이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화 filed Critical 이기화
Priority to KR102011011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8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8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ed or 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빌딩 및 산업시설 등과 같은 온수 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온수를 폐온수탱크에 저장한 후에 간단한 구조로 상기 폐온수탱크에 저장된 폐온수에 있는 폐열을 통해 냉수를 승온시켜 보일러 등에 급수함으로써 폐온수를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은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탱크와; 냉수공급관과 연통된 온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와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고 폐온수유입관을 통해 폐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온수설비와; 상기 온수설비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폐온수유입관을 통해 상기 온수설비와 연결되며, 폐온수가 저장되는 폐온수탱크와; 상기 온수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폐온수가 상기 폐온수탱크의 상부측에서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온수설비와 상기 폐온수탱크의 상단 사이에 연결되는 폐온수유입관과; 상기 폐온수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폐온수가 배출되는 폐온수배출관과; 상기 폐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냉수유입관을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폐온수탱크 내의 폐온수와 열교환한 후에 가열된 온수를 온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보일러로 공급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냉수유입관과 온수공급관의 사이로 상기 냉수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냉수유입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온수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는 수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WASTE HOT WATER RECYCLING SYSTEM}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배출되어 생활 온수로 사용된 후에 버려지는 폐온수를 재활용하는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이나 빌딩 및 산업시설 등과 같은 온수 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온수를 폐온수탱크에 저장한 후에 간단한 구조로 상기 폐온수탱크에 저장된 폐온수에 있는 폐열을 통해 냉수를 승온시켜 보일러 등에 급수함으로써 보일러 가동 시간 절감 등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산업시설, 빌딩 등의 시설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보일러가 설치되지만 온수를 저장한 온수탱크는 구비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보일러에 의해 냉수가 가열되어 온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는 주택이나 빌딩과 같은 시설의 온수설비에서 필요한 용도로 사용된 후에 폐온수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폐온수는 고온 상태이어서 그대로 하수 시설에 배출하는 경우에는 하천의 온도 상승에 따른 각종 생태계, 환경 등의 여러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며, 고비용에 의해 공급되는 온수를 폐온수 상태로 방출하여 버리는 경우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상기한 폐온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들이 개시되었으며, 이러한 종래 재활용 시스템은 복잡한 구조를 이루어 폐온수의 재활용에 따른 부가 비용을 많이 요구하므로 실제적으로 적용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온수 탱크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곳에서는 종래의 폐열 회수기가 설치되지 못하는 맹점을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주택이나 아파트 빌딩 산업시설에서 고온의 폐온수를 그대로 하수구에 버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때문에 폐온수를 재활용하되, 간단한 구조로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하면서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택이나 빌딩 및 산업시설 등 온수 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온수를 폐온수탱크에 저장한 후에 간단한 구조로 상기 폐온수탱크에 저장된 폐온수에 있는 폐열을 통해 보일러의 급수를 가열하여 폐온수를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다시 말해, 폐온수를 폐온수탱크에 저장한 후 상기 폐온수탱크에 저장된 폐온수의 폐열을 통해 냉수의 온도를 높혀 보일러 등에 급수함으로써 기존의 온수 사용량이 줄어들어 에너지가 현저히 절약되는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온수배출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폐온수탱크에 저장된 폐온수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은, 수도관이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탱크와; 냉수공급관과 연통된 온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와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고 폐온수유입관을 통해 폐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온수설비와; 상기 온수설비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폐온수유입관을 통해 상기 온수설비와 연결되며, 폐온수가 저장되는 폐온수탱크와; 상기 온수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폐온수가 상기 폐온수탱크의 상부측에서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온수설비와 상기 폐온수탱크의 상단 사이에 연결되는 폐온수유입관과; 상기 폐온수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폐온수가 배출되는 폐온수배출관과; 상기 폐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냉수유입관을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폐온수탱크 내의 폐온수와 열교환한 후에 가열된 온수를 온수공급관을 통해 상기 보일러로 공급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냉수유입관과 온수공급관의 사이로 상기 냉수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냉수유입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와, 상기 온수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는 수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의 상기 폐온수배출관은, 그 선단이 상기 폐온수탱크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상기 폐온수탱크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택이나 빌딩 및 산업시설 등 온수 탱크가 구비되지 않는 장소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온수를 폐온수탱크에 저장한 후 간단한 구조로 상기 폐온수탱크에 저장된 폐온수에 있는 폐열을 이용하여 승온시킨 물을 보일러 등에 급수함으로써 폐온수를 경제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일러의 가동시간을 줄여 에너지 절감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폐온수배출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폐온수탱크에 저장된 폐온수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폐온수를 통해 열교환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의 계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은 냉수탱크(10)와, 상기 냉수탱크(10)와 열교환기(70)에 연결되는 보일러(20)와, 상기 보일러(20)에 연결되는 온수설비(30)와, 상기 온수설비(30)에 구비되는 폐온수탱크(40)와, 상기 온수설비(30)에서 배출되는 폐온수를 상기 폐온수탱크(40)로 유입시키는 폐온수유입관(50)과, 상기 폐온수탱크(40)에 설치되는 폐온수배출관(60)과,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70)와, 상기 보일러(20)와 폐온수탱크(40)로 냉수 또는 폐온수의 공급을 위한 유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상기 냉수탱크(10)는 수도관(11)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도관(11)을 통해 냉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도관(11)은 통상적인 상수관로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관로이다.
상기 보일러(20)는 냉수공급관(21)과 이 냉수공급관(21)과 연통되는 온수공급관(72)의 일부를 통해 상기 냉수탱크(10)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온수공급관(72)를 통해 후술하는 열교환기(70)와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보일러(20)는 냉수탱크(10) 또는 열교환기(70)를 통해 냉수 또는 일정온도의 온수를 공급받아 이들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냉수공급관(21)은 상기 냉수탱크(10)에 저장된 냉수가 배출된 관로로서, 이 관로상에 부스타 펌프와 같은 펌프(81)가 설치되어 유속을 증가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수공급관(21)은 후술할 냉수유입관(71)과 온수공급관(72)과 각각 연통되어 있다.
상기 온수설비(30)는 상기 보일러(20)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보일러(2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온수설비(30)는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용 수도꼭지와 온수가 배출되는 샤워기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에서 사용되는 온수를 배출시키는 설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온수설비(30)가 보일러(20)과 연결되지 않고 직접 온수공급관(72)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폐온수탱크(40)는 상기 온수설비(30)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폐온수유입관(50)을 통해 상기 온수설비(30)와 연결되어 온수설비로부터 배출된 폐온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7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폐온수유입관(50)은 상기 온수설비(30)와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상단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온수설비(30)로부터 배출되는 폐온수가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상부측에서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폐온수유입관(50)을 통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상부측으로 폐온수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측 상부에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폐온수가 위치하게 되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폐온수가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폐온수배출관(60)은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폐온수탱크(40)에서 열교환이 완료되어 온도가 저하된 폐온수가 배출되는 통로이다.
이와 같은 상기 폐온수배출관(60)은 그 선단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폐온수배출관(60)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하단측에서 상단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폐온수배출관(60)의 내측 하부에서 폐온수가 배출되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상단과 같은 높이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폐온수배출관(60)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폐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폐온수탱크(40)가 일정한 용량으로 완전히 채워진 다음에 연이어서 유입되는 폐온수만큼 폐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부에 수용된 폐온수가 상대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일정한 비율의 열교환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냉수공급관(21)과 연통되는 냉수유입관(71)을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폐온수탱크(40)의 폐온수와 열교환한 후에 가열된 온수를 상기 온수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수유입관(71)은 상기 냉수공급관(21)을 통해 유동되는 냉수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열교환기(70)로 공급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상기 온수공급관(72)은 상기 냉수유입관(71)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70)로 공급된 냉수가 상기 열교환기(70)를 통해 열교환되어 온수로 승온되고 이와 같이 승온된 온수를 상기 온수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교환기(70)를 통해 승온된 온수가 상기 보일러(20)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보일러(20)에서는 작은 열원으로 고온의 온수를 생성할 수 있어 에너지의 절감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30℃ 내지 40℃의 폐온수를 통해 겨울철을 기준으로 통상 5℃의 냉수가 20℃ 이상으로 승온된 상태로 상기 보일러(20)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보일러(20)에서 통상 70℃ 정도로 온수를 생성할 때 5℃의 냉수에서 70℃의 온수를 생성하는 것보다 20℃ 이상의 냉온수에서 70℃의 온수를 생성하는 것이 훨씬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냉수유입관(71)과 온수공급관(72)의 사이로 상기 냉수공급관(21)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82)와, 상기 냉수유입관(71)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83)와, 상기 온수공급관(72)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84)를 포함하며,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70)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상기 보일러(20)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펌프(81) 내지 상기 개폐밸브(82, 83, 84)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기전자적 장치이지만,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보일러(20)의 작동에 따른 상기 펌프(81)와 상기 개폐밸브(82, 83, 84)의 제어를 위해 상기 보일러(20)와 전기신호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81)는 상기 냉수탱크(10)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냉수공급관(21)을 거쳐 온수공급관(72)를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공급하거나 상기 냉수공급관(21)을 통해 상기 냉수유입관(71)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개폐밸브(82)는 상기 냉수공급관(21)으로 통하는 수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제1 개폐밸브(82)의 개방 시에는 상기 냉수공급관(21)을 거쳐 냉수공급관(21)과 연통된 온수공급관(72)을 통해 보일러(20)로 직접 냉수가 공급될 수 있지만, 상기 제1 개폐밸브(82)의 폐쇄 시에는 상기 냉수공급관(21)에서 상기 냉수유입관(71)으로 냉수가 바이패스된다.
상기 제2 개폐밸브(83)는 상기 냉수유입관(71)의 관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제2 개폐밸브(83)의 개방 시에는 상기 냉수유입관(71)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70)로 냉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2 개폐밸브(83)의 폐쇄 시에는 상기 냉수공급관(21)을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직접 냉수가 공급된다.
상기 제3 개폐밸브(84)는 상기 온수공급관(72)의 관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제3 개폐밸브(84)의 개방 시에는 상기 온수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폐온수가 공급되지만, 상기 제3 개폐밸브(84)의 폐쇄 시에는 상기 보일러(20)로 상기 열교환기(70)로부터의 폐온수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의 작동 관계를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
우선, 상기 보일러(20)에 의해 공급되는 70 ℃ 정도의 온수를 상기 온수설비(30)를 통해 사용자가 계속 사용하면 상기 폐온수유입관(50)을 통해 상기 폐온수탱크(40)에 상기 온수설비(30)에서 나온 40℃ 정도의 폐온수가 저장된다.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외벽은 보온단열재로 이루어지고 폐온수배출관(60)의 선단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하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그 타단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폐온수탱크(40)내에 저장된 폐온수는 급속히 외부로 배출되지않고 폐온수탱크(40)내에서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하게된다.
통상적으로, 컨트롤러(80)를 의해 제1 개폐밸브(82)는 폐쇄시키고 제2 개폐밸브(83)와 제3 개폐밸브(84)를 개방시키면, 상기 냉수탱크(10)에서 배출된 냉수는 냉수유입관(71)을 거쳐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상기 폐온수탱크(40)에 저장된 40℃ 정도의 폐온수와 열교환을 하게됨으로써 대략 20℃ 이상의 온수로 승온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개폐밸브(82)는 폐쇄된 상태이고 상기 제3 개폐밸브(84)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20℃ 이상으로 승온된 온수는 온수공급관(72)을 통해 보일러(20)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20℃ 이상의 온수가 상기 온수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공급되면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로 재가열될 수 있어 에너지의 절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온수공급관(72)를 통해 공급된 20℃ 이상의 온수를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 수는 온수설비가 갖추어질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냉수탱크(10)의 냉수를 직접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컨트롤러(80)를 통해 제1 개폐밸브(82)는 개방시키고 제2 개폐밸브(83)와 제3 개폐밸브(84)를 폐쇄시키면, 냉수탱크(10)의 냉수는 냉수공급관(21)을 거쳐 제1 개폐밸브(82)를 지나 온수공급관(72)의 일부를 통해 직접 보일러(20)나 기타 수도설비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평상시에 상기 보일러(20)를 통해 상기 온수설비(30)로 온수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펌프(81)를 가동시켜 상기 냉수탱크(10)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냉수공급관(21)을 거쳐 온수공급관(72)의 일부를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직접 공급하여 상기 보일러(20)에 의한 냉수의 가열로 70℃ 정도의 온수를 상기 온수설비(3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제1 개폐밸브(82)를 개방시키면서 상기 제2 개폐밸브(83)와 제3 개폐밸브(84)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일러(20)에 의해 공급되는 70 ℃ 정도의 온수를 상기 온수설비(30)를 통해 사용자가 계속 사용하면 상기 폐온수유입관(50)을 통해 상기 폐온수탱크(40)에 상기 온수설비(30)에서 나온 40℃ 정도의 폐온수가 저장된다.
계속해서 폐온수가 상기 폐온수탱크(40)에 저장되다가 일정한 수위나 일정한 온도 혹은 가득 채워지는 것을 상기 컨트롤러(80)가 감지하면,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제1 개폐밸브(82)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2 개폐밸브(83)와 제3 개폐밸브(84)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2 개폐밸브(83)의 개방과 함께 상기 펌프(81)에 의해 5℃ 정도의 냉수가 상기 냉수공급관(21)에서 상기 냉수유입관(71)으로 바이패스되고, 상기 냉수유입관(71)으로 바이패스된 냉수는 상기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상기 폐온수탱크(40)에 저장된 40℃ 정도의 폐온수와 열교환되면서 20℃ 이상의 온수로 변한다.
이와 같이 20℃ 정도의 온수는 상기 제3 개폐밸브(84)의 개방과 함께 상기 온수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로 재가열되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절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80)가 냉수를 상기 열교환기(70)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개폐밸브들(82, 83, 84)의 개폐 제어를 위한 상기 폐온수탱크(40)의 폐온수에 대한 감지는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센서를 통해 수위의 감지, 또는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통해 폐온수의 온도의 감지, 또는 상기 폐온수배출관(60)에 설치되는 유동감지센서를 통한 폐온수의 배출의 감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에서 온도센서를 통한 폐온수의 온도 감지를 통해 열교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부에 수용된 폐온수의 온도가 30℃ 이상일 때 상기 제1 개폐밸브(82)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개패밸브와 제3 개폐밸브(84)를 개방시켜 열교환 작동을 수행하고, 20℃ 이하일 때는 반대로 상기 제1 개폐밸브(82)를 개방하고 상기 제2 개패밸브와 제3 개폐밸브(84)를 폐쇄시켜 열교환 작동을 정지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폐온수에 대한 재활용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폐온수배출관(60)은 그 선단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폐온수탱크(40)내의 폐온수가 급속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을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냉수탱크
11 : 수도관
20 : 보일러
21 : 냉수공급관
30 : 온수설비
40 : 폐온수탱크
50 : 폐온수유입관
60 : 폐온수배출관
70 : 열교환기
71 : 냉수유입관 72 : 온수공급관
80 : 컨트롤러
81 : 펌프 82 : 제1 개폐밸브
83 : 제2 개폐밸브 84 : 제3 개폐밸브

Claims (2)

  1. 수도관(11)이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11)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탱크(10)와;
    냉수공급관(21)과 연통된 온수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10)와 열교환기(70)로 연결되는 보일러(20)와;
    상기 보일러(20)와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2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고 폐온수유입관(50)을 통해 폐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온수설비(30)와;
    상기 온수설비(30)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폐온수가 저장되는 폐온수탱크(40)와;
    상기 온수설비(30)로부터 배출되는 폐온수가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상부측에서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온수설비(30)와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상단 사이에 연결되는 폐온수유입관(50)과;
    상기 폐온수탱크(40)의 일측에 연결되어 폐온수가 배출되는 폐온수배출관(60)과;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수공급관(21)과 연통되는 냉수유입관(71)을 통해 냉수를 공급받아 폐온수와 열교환한 후에 가열된 온수를 온수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보일러(20)로 공급하는 열교환기(70)와;
    상기 냉수유입관(71)과 온수공급관(72)의 사이로 상기 냉수공급관(21)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82)와, 상기 냉수유입관(71)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83)와, 상기 온수공급관(72)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84)를 포함하며,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보일러(20)와 연결되는 수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온수배출관(60)은,
    그 선단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상기 폐온수탱크(4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KR1020110116687A 2011-11-09 2011-11-09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KR10138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87A KR101386873B1 (ko) 2011-11-09 2011-11-09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87A KR101386873B1 (ko) 2011-11-09 2011-11-09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85A true KR20130051385A (ko) 2013-05-20
KR101386873B1 KR101386873B1 (ko) 2014-04-21

Family

ID=4866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687A KR101386873B1 (ko) 2011-11-09 2011-11-09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8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8549A (zh) * 2014-05-23 2014-08-06 上海海事大学 基于自动控制器的热水器出水管路冷水回收利用系统
CN105202749A (zh) * 2015-07-10 2015-12-30 舒城圣桂食品有限公司 一种锅炉烟气余热回收热水器
CN105466037A (zh) * 2016-01-04 2016-04-06 西华大学 一种热水器节约冷水装置
KR20220152727A (ko) * 2021-05-10 2022-11-17 배석환 건물용 열 회수 열 교환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877A (ko) * 2007-04-03 2008-10-08 노기혁 목욕 시설의 폐수열 회수장치 및 방법
JP2009287792A (ja) * 2008-05-27 2009-12-10 Hanshin Electric Co Ltd 浴槽廃熱回収制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8549A (zh) * 2014-05-23 2014-08-06 上海海事大学 基于自动控制器的热水器出水管路冷水回收利用系统
CN105202749A (zh) * 2015-07-10 2015-12-30 舒城圣桂食品有限公司 一种锅炉烟气余热回收热水器
CN105466037A (zh) * 2016-01-04 2016-04-06 西华大学 一种热水器节约冷水装置
KR20220152727A (ko) * 2021-05-10 2022-11-17 배석환 건물용 열 회수 열 교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873B1 (ko)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021B2 (en) Modular water-saving device
GB2468551A (en) Water supply system and method
CN201885402U (zh) 热水器节能循环控制系统
KR101386873B1 (ko)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JP5462009B2 (ja) 太陽熱給湯システム
CN201517865U (zh) 一种家用太阳能热水器供水系统
KR100993832B1 (ko) 순간식 보일러의 온수 저탕장치
CN207162916U (zh) 新型节能即热式热水器系统
KR101105495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다줄 순환 방식의 조립식 온돌 난방 시스템
JP5537971B2 (ja) 太陽熱給湯システム
US10407881B1 (en) Water diverter and recycler
WO2019064668A1 (ja) 給湯システム
CN201628366U (zh) 一种内置循环泵燃气热水器
KR20090005699A (ko)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급탕온수공급시스템
KR100923745B1 (ko) 태양열 이용 난방시스템
KR100852511B1 (ko) 정수기의 온수 가열 장치
KR101402137B1 (ko)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0926015B1 (ko) 저탕식 보일러
CN105135688A (zh) 一种淋浴装置及淋浴装置控制方法
KR200398102Y1 (ko) 물 절약형 보일러
JP6376389B2 (ja) 貯湯給湯装置
CN203177517U (zh) 太阳能热水器节水防冻系统
CN211559749U (zh) 一种直饮水机
KR20150078412A (ko) 절수형 온수공급장치
JP2013076239A (ja) 捨て水無し節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