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254A -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254A
KR20090050254A KR1020070116598A KR20070116598A KR20090050254A KR 20090050254 A KR20090050254 A KR 20090050254A KR 1020070116598 A KR1020070116598 A KR 1020070116598A KR 20070116598 A KR20070116598 A KR 20070116598A KR 20090050254 A KR20090050254 A KR 2009005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ball bearing
sleeve
plunger
pow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보
김병수
원종대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0254A/ko
Publication of KR2009005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casing or by its strengthen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60T13/57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using resilient discs o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정상 작동시와 달리 패닉(panic) 작동시에 더욱 높은 출력 성능을 얻고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반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외측 일정 위치에 슬리브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밸브의 외측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슬리브 돌출부의 전면과 상기 파워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 스프링; 및 상기 슬리브 돌출부의 후면과 상기 에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정상 작동시에는 볼베어링이 에어밸브의 볼베어링용 홀 내에 위치하고, 패닉 작동시에는 슬리브와 에어밸브의 상대위치가 달라지면서 볼베어링이 슬리브의 내경부에 형성된 볼베어링용 그루브에 삽입되어 플런저가 에어밸브 측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요지로 한다.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파워 피스톤, 에어밸브, 플런저, 슬리브

Description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Panic assist boost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정상 작동시와 달리 패닉(panic) 작동시에 더욱 높은 출력 성능을 얻고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반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 속도가 점차 빨라졌으며, 내·외장 부품의 증대로 인해 자동차의 무게도 점차 중량화 되어왔다. 이로 인해 자동차의 관성력의 주요 인자인 질량과 가속도가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면서 증대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의 안전에 대한 관심도 아울러 고조되어 왔다.
그 결과, 자동차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것이 바로 브레이크 부스터(booster of brake)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차속을 감속(減速)하거나,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동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동장치는 크게, 기관의 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기 관 흡입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배가(倍加)시켜주는 부스터(booster)와 상기 부스터에 의해 배가된 힘에 따라 브레이크 회로에 브레이크 오일 유압을 형성시키는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와 브레이크 오일 압력에 의해 휠(wheel)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휠 실린더(wheel cylinder)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스터는 엔진 흡기매니폴드의 부압을 이용하는 진공식과 엔진으로 구동되는 압축기(compressor)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이용하는 공기식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소형차량에는 진공식이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의 배력 장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100)는 진공 챔버인 프론트 하우징(102)과 대기압 챔버인 리어 하우징(103)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102) 및 리어 하우징(103)으로의 진공 또는 대기의 연통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control valve,130) 및 에어 밸브(160)와 파워 피스톤(140)과 브레이크 페달(B/P)에 가해지는 답력을 전달하는 푸쉬 로드(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챔버(110, 120)를 구성하는 전방 정·변압실와 후방 정·변압실는 전방 다이어프램과 후방 다이어프램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전·후방 다이어프램은 각각의 전·후방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밸브(130)는 일단부 외주부에 상기 전방 다이어프램과 전방 서포트, 센터 플레이트 및 후방 다이어프램과 후방 서포트이 결합되며, 공기흡입부가 형성된 타단부는 후방 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대기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상기 전·후방 정압실과 전·후방 변압실을 연통시키는 정압통로와, 대기(大氣)와 전·후방 변압실을 연통시키는 변압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밸브(130)의 내부에는 상기 입력축의 단부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는 에어 밸브(1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 밸브(160)의 일단부와 제어밸브(130)의 일단부는 출력축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리액션 디스크(180)와 접촉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10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전 부스터(100)의 작동 정지(Rest)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밸브(130)가 에어 밸브(160)와 맞닿음되고, 이 때, 상기 제어밸브(130)와 파워 피스톤(140)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챔버(110)에 흡기매니폴드(미도시)로부터 부압이 작용하며, 이 부압은 파워 피스톤(140)과 제어밸브(130)의 간극을 통해 후방 챔버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 의해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전·후방 챔버가 부압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전·후방 다이어프램은 리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정지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부스터(100)는 초기견제(Initial Apply)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상기 제어밸브(130)는 압력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에어 밸브 피스톤(160)과의 접촉을 유지한 채 파워 피스톤(140)과 밀착상태가 되고, 후방 챔버에 가해지는 진공 부압이 단락된다. 이 때, 상기 푸쉬로드(150)가 약간 전진하여 에어 밸브 피스톤(16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파워 피스톤(140)과 에어 밸브 피스톤(160)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겨 부스터(100)는 부분 제동(Partial Braking) 상태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전방 챔버에는 부압이, 후방 챔버에는 대기압이 작용하지만, 진공 챔버인 전방 챔버와 대기압 챔버인 후방 챔버 간의 압력차가 크지 않아 다이어프램은 전방 챔버 쪽으로 미약하게 밀려 들어가면서 리턴 스프링을 서서히 압축한다. 이 때, 리턴 스프링이 압축되는 만큼 로드 피스톤이 전진하여 마스터 실린더에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에어 밸브 피스톤(160)이 로드 피스톤과 접할 정도로 푸쉬로드(150)가 밀려 들어오면, 에어 밸브 피스톤(160)은 파워 피스톤(140)과 밀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어밸브(130)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되어 완전 제동(Full Braking)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때, 진공 챔버인 전방 챔버는 부압 상태에서 폐쇄된 채로 유지되며, 대기압 챔버인 후방 챔버는 완전히 개방되어 대기압 상태가 되므로, 전·후방 챔버의 압력차는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후방 다이어프램이 전방으로 최대한 전진하여 리턴 스프링이 완전히 압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배력되며, 이 후, 브레이크 페달이 더 밟히면 푸쉬로드(150)에 의해 운전자의 입력이 마스터 실린더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 다.
결국, 기압차로 인해 발생된 힘은 압력이 큰 쪽에서 작은 쪽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전·후방 다이어프램과 파워 피스톤(140)과 연동되는 상기 제어밸브(130)는 압력차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 상기 전·후방 정압실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제어밸브(130) 중심부위를 통해 상기 리액션 디스크(180)를 밀게 된다.
이 때, 상기 리액션 디스크(180)는 플런저 선단부로부터 가해지는 힘과 제어밸브(13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가한 힘과 기압차에 의해 발생되어 가해지는 배력비는 상기 리액션 디스크(180) 선단의 면적비와 접촉하여 연동되는 출력축의 중심부 면적비로 귀결된다.
그러나, 이렇게 발생된 배력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B/P)을 밟는 힘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의 배력효과는 상실되며, 브레이크 페달(B/P)의 밟는 힘이 그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스터(100)는 긴급 제동을 요구하는 패닉 브레이킹(panic braking) 상황에서 운전자의 프레이크 페달(B/P) 입력 대비 출력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제동력이 부족하여 제동 거리가 길어지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상 작동시와 달리 패닉 작동시에 더욱 높은 출력 성능을 구현하고,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반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약자 및 연약한 여성 운전자 등이 작은 답력만으로도 효과적인 제동력을 출력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 발생시 제동력의 부족으로 제동거리를 단축시키지 못하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 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외측 일정 위치에 슬리브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밸브의 선단 외측에 형성된 리테이너용 그루브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슬리브 돌출부의 전면과 상기 파워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 스프링; 및
상기 슬리브 돌출부의 후면과 상기 에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쉬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의 제1 끝단부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에 푸쉬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테이너는 "C"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워피스톤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는,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외측 일정 위치에 슬리브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밸브의 선단 외측에 형성된 리테이너용 그루브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파워피스톤 접촉부의 일측면과 상기 에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쉬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의 제1 끝단부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에 푸쉬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테이너는 "C"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파워피스톤의 일단 외측 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외측은 큰 외경을 갖는 파워피스톤 접촉부가 형성된 슬리브; 및
상기 파워피스톤 접촉부의 일측면과 상기 에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벤딩형성된 슬리브고정용 벤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푸쉬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의 제1 끝단부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에 푸쉬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를 더 구비한다.
상기 파워피스톤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및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플런저 및 상기 에어밸브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슬리브부가 형성된 슬리브일체형 파워 피스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리브부의 내측면 일정 위치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푸쉬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의 제1 끝단부 내측면에 원 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에 푸쉬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를 더 구비한다.
상기 파워피스톤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에어밸브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외측 일정 위치에 슬리브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슬리브;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해 에어 밸브의 외측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슬리브 돌출부의 전면과 파워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 스프링; 및 슬리브 돌출부의 후면과 에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정 상 작동시에는 볼베어링이 에어밸브의 볼베어링용 홀 내에 위치하고, 패닉 작동시에는 슬리브와 에어밸브의 상대위치가 달라지면서 볼베어링이 슬리브의 내경부에 형성된 볼베어링용 그루브에 삽입되어 플런저가 에어밸브 측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로서, 정상 작동시와 달리 패닉 작동시에 더욱 높은 출력 성능을 구현하고,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반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약자 및 연약한 여성 운전자 등이 작은 답력만으로도 효과적인 제동력을 출력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 발생시 제동력의 부족으로 제동거리를 단축시키지 못하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어 긴급 제동시의 출력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플런저, 슬리브 및 에어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정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패닉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브레이크 페달(미도시)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128)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105) 및 제2 지지부(106)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124)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126)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141)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10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밸브(108)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108)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107)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173)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127)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101)을 포함한다.
또한,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102)와 제2 끝단부(10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102)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126)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133)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108)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밸브(108)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126)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138)가 형성되되, 외측 일정 위치에 슬리브 돌출부(121)가 돌출형성되는 슬리브(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2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밸브(108)의 선단 외 측에 형성된 리테이너용 그루브(140)에 결합되는 리테이너(135)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돌출부(121)의 전면과 상기 파워 피스톤(101)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 스프링(119)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슬리브 돌출부(121)의 후면과 상기 에어밸브(108)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1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쉬 로드(128)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108)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끝단부(109)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129)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129)에 상기 푸쉬 로드(128)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푸쉬 로드(12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쉬 로드 리테이너는 오링(O-ring)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리테이너(135)는 "C"형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파워피스톤(101)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113)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rear bearing,112)을 상기 파워피스톤(101)의 일단 외측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워피스톤(101)를 견고하게 지지해줌으로써 작동 중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128)가 상기 에어 밸브(108)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101)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슬리브 스프링(139)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슬리브(120)와 상기 에어 밸브(108)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 밸브(108)의 상기 볼베어링용 홀(141)에 구비되는 상기 볼 베어링(126)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15)의 반력에 의한 상기 플런저(130)의 외측면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어 상기 슬리브(120)에 구비된 상기 볼 베어링용 홈(138)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30)가 상기 에어 밸브(108) 및 상기 플런저(1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리액션 갭(153)이 증대되어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130)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플런저(130)를 상기 에어 밸브(108) 안쪽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플런저 스프링(124)이 상기 플런저(130) 및 상기 에어 밸브(108)의 내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정상 작동시와 달리 패닉 작동시에 더 높은 출력성능을 얻게 되고(도 14 참조), 노약자 또는 연약한 여성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반력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어 작은 힘으로도 효과적인 제동 작동을 할 수 있다.
즉, 정상 작동시 상기 볼베어링(126)이 상기 에어 밸브(108)의 상기 볼베어링용 홀(141)에 위치하고, 패닉 작동시에는 상기 슬리브(120)와 상기 에어밸브(108)의 상대위치가 달라지게 되면서 상기 볼베어링(126)이 상기 슬리브(120)의 상기 볼베어링용 그루브(138)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130)는 상기 에어밸브(108) 측으로 이동하여 접촉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런저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밀려 더이상 상기 에어밸브(108) 측으로의 이동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이는 상기 플런저(13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반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작동(normal apply), 패닉 작동 A,B(panic apply A,B0에 대한 출력성능의 선도가 잘 나타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정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패닉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128)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105) 및 제2 지지부(106)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124)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126)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141)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10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밸브(108)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108)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107)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173)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 로(127)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1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102)와 제2 끝단부(10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102)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126)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133)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108)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밸브(108)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126)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138)가 형성되되, 외측은 큰 외경을 갖는 파워피스톤 접촉부(161)가 형성된 접촉형 슬리브(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형 슬리브(16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밸브(108)의 선단 외측에 형성된 리테이너용 그루브(140)에 결합되는 리테이너(135)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피스톤 접촉부(161)의 일측면과 상기 에어밸브(108)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1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쉬 로드(128)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108)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끝단부(109)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129)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129)에 상기 푸쉬 로드(128)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푸쉬 로드(12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쉬 로드 리테이너는 오링(O-ring)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리테이너(135)는 "C"형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파워피스톤(101)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113)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rear bearing,112)을 상기 파워피스톤(101)의 일단 외측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워피스톤(101)를 견고하게 지지해줌으로써 작동 중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128)가 상기 에어 밸브(108)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101)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슬리브 스프링(139)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접촉형 슬리브(160)와 상기 에어 밸브(108)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 밸브(108)의 상기 볼베어링용 홀(141)에 구비되는 상기 볼 베어링(126)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15)의 반력에 의한 상기 플런저(130)의 외측면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어 상기 접촉형 슬리브(160)에 구비된 상기 볼 베어링용 홈(138)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30)가 상기 에어 밸브(108) 및 상기 플런저(1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리액션 갭(153)이 증대되어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130)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플런저(130)를 상기 에어 밸브(108) 안쪽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플런저 스프링(124)이 상기 플런저(130) 및 상기 에어 밸브(108)의 내측에 구비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개 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브레이크 페달(미도시)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128)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105) 및 제2 지지부(106)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124)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126)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141)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10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밸브(108)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108)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107)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173)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127)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101)을 포함한다.
또한,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102)와 제2 끝단부(10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102)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126)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133)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108)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13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밸브(108)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126)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138)가 형성되되, 외측은 큰 외경을 갖는 파워피스톤 접촉부(161)가 형성된 접촉형 슬리브(160)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피스톤 접촉부(161)의 일측면과 상기 에어밸브(108)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1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밸브(108)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벤딩형성된 스리브 고정용 벤딩부(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쉬 로드(128)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108)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끝단부(109)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129)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129)에 상기 푸쉬 로드(128)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푸쉬 로드(12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쉬 로드 리테이너는 오링(O-ring)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리테이너(135)는 "C"형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파워피스톤(101)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113)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rear bearing,112)을 상기 파워피스톤(101)의 일단 외측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워피스톤(101)를 견고하게 지지해줌으로써 작동 중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128)가 상기 에어 밸브(108)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101)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슬리브 스프링(139)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접촉형 슬리브(160)와 상기 에어 밸브(108)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 밸브(108)의 상기 볼베어링용 홀(141)에 구비되는 상기 볼 베어링(126)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15)의 반력에 의 한 상기 플런저(130)의 외측면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어 상기 접촉형 슬리브(160)에 구비된 상기 볼 베어링용 홈(138)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30)가 상기 에어 밸브(108) 및 상기 플런저(1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리액션 갭(153)이 증대되어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130)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플런저(130)를 상기 에어 밸브(108) 안쪽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플런저 스프링(124)이 상기 플런저(130) 및 상기 에어 밸브(108)의 내측에 구비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브레이크 페달(미도시)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128)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105) 및 제2 지지부(106)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124)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126)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141)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108)를 포함한다.
그리고,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102)와 제2 끝단부(10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102)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126)이 안착 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133)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108)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밸브(108)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108)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107)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173)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플런저(130) 및 상기 에어 밸브(108)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슬리브부(172)가 형성된 슬리브 일체형 파워 피스톤(17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리브부(172)의 내측면 일정 위치에는 상기 볼베어링(126)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162)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쉬 로드(128)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108)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끝단부(109)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129)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129)에 상기 푸쉬 로드(128)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푸쉬 로드(12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쉬 로드 리테이너는 오링(O-ring)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리테이너(135)는 "C"형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슬리브 일체형 파워피스톤(171)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113)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rear bearing,112)을 상기 슬리브 일체형 파워피스톤(171)의 일단 외측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슬리브 일체형 파워피스 톤(171)를 견고하게 지지해줌으로써 작동 중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100)는, 급제동시 상기 푸시 로드(128)가 상기 에어 밸브(108)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전진시키고, 상대적으로 상기 슬리브 일체형 파워피스톤(171)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슬리브부(172)와 상기 에어 밸브(108)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 밸브(108)의 상기 볼베어링용 홀(141)에 구비되는 상기 볼 베어링(126)이 상기 리액션 디스크(115)의 반력에 의한 상기 플런저(130)의 외측면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어 상기 슬리브부(172)에 구비된 상기 볼 베어링용 홈(138)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30)가 상기 에어 밸브(108) 및 상기 플런저(1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리액션 갭(153)이 증대되어 급제동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시 상기 플런저(130)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플런저(130)를 상기 에어 밸브(108) 안쪽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플런저 스프링(124)이 상기 플런저(130) 및 상기 에어 밸브(108)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플런저, 슬리브 및 에어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정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패닉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정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의 패 닉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2,3 및 4 실시예의 출력 성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101: 파워 피스톤
102: 제1 끝단부 103: 제2 끝단부
105: 에어밸브의 제1 지지부 106: 에어밸브의 제2 지지부
107: 대기 챔버 108: 에어밸브
111: 클립 112: 리어 베어링
113: 파워피스톤 지지부 114: 리액션 로드
115: 리액션 디스크 119: 접촉 스프링
120: 슬리브 121: 슬리브 돌출부
123: 실린더부 124: 플런저 스프링
126: 볼베어링 128: 푸쉬 로드
129: 푸쉬로드 리테이너 고정용 홈 130: 플런저
135: 리테이너 138: 볼베어링용 그루브
139: 슬리브스프링 140: 리테이너용 그루브
141: 볼베어링용 홀 150: 에어밸브 씰링부
151: 파워피스톤 씰링부 152: 컨트롤 밸브
153: 리액션 갭 156: 공기 통로
160: 접촉형 슬리브 163: 슬리브
170: 슬리브고정용 벤딩부 171: 슬리브일체형 파워피스톤
172: 파워피스톤의 슬리브부 173: 가변챔버

Claims (14)

  1.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외측 일정 위치에 슬리브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밸브의 선단 외측에 형성된 리테이너용 그루브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슬리브 돌출부의 전면과 파워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 스프링; 및
    상기 슬리브 돌출부의 후면과 에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의 제1 끝단부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에 푸쉬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C"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5.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외측 일정 위치에 슬리브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밸브의 선단 외측에 형성된 리테이너용 그루브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파워피스톤 접촉부의 일측면과 상기 에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의 제1 끝단부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에 푸쉬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C"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9.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플런저 통로가 더 형성된 파워 피스톤;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 외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외측은 큰 외경을 갖는 파워피스톤 접촉부가 형성된 슬리브; 및
    상기 파워피스톤 접촉부의 일측면과 상기 에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슬리브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밸브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벤딩형성된 슬리브고정용 벤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의 제1 끝단부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에 푸쉬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12.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전·후로 작동하는 푸쉬 로드의 선단과 접하되, 외측의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엔 플런저 스프링이 삽입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볼베어링이 결합되도록 볼베어링용 홀이 관통형성된 에어밸브;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 일정 위치에 상기 볼베어링이 안착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밸브의 내측에서 상대운동을 하는 플런저; 및
    상기 에어밸브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밸브의 일측에는 대기 챔버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가변 챔버를 포함하며, 선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플런저 및 상기 에어밸브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슬리브부가 형성된 슬리브일체형 파워 피스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리브부의 내측면 일정 위치에는 상기 볼베어링이 삽입되기 위한 볼베어링용 그루브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상기 에어밸브의 제1 끝단부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리테이너 고정용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홈에 푸쉬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푸쉬 로드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파워피스톤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어 베어링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KR1020070116598A 2007-11-15 2007-11-15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KR20090050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598A KR20090050254A (ko) 2007-11-15 2007-11-15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598A KR20090050254A (ko) 2007-11-15 2007-11-15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254A true KR20090050254A (ko) 2009-05-20

Family

ID=4085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598A KR20090050254A (ko) 2007-11-15 2007-11-15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0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3808A (zh) * 2017-11-17 2018-03-20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液压制动系统的气压助力器总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3808A (zh) * 2017-11-17 2018-03-20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液压制动系统的气压助力器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15006A (ja) 原動機付き車両用のブースタ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真空サーボブレーキ
KR100920467B1 (ko)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
JP3743967B2 (ja) 気圧式倍力装置
KR20090050254A (ko)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KR100382820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3784590B2 (ja) 負圧ブースタ
KR101345796B1 (ko) 자동차용 패닉부스터
KR100909999B1 (ko)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
KR20090106088A (ko)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US6955407B2 (en) Negative pressure type brake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device
JP4716100B2 (ja) 気圧式倍力装置
KR200293708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JPH10230840A (ja) 気圧式倍力装置
KR10041338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JPH10129458A (ja) 車両用ブレーキブースタ
JP4583932B2 (ja) 補助ブレーキのための空圧サーボ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502527B2 (ja) 負圧ブースタ
KR101345793B1 (ko) 자동차용 패닉부스터
KR20080064265A (ko) 자동차용 패닉 어시스트 부스터
JPH09323640A (ja) 気圧式倍力装置
KR100771022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JP2004058959A (ja) 気圧式倍力装置
KR200400886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0916397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1383643B1 (ko)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