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053A -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053A
KR20090049053A KR1020097003433A KR20097003433A KR20090049053A KR 20090049053 A KR20090049053 A KR 20090049053A KR 1020097003433 A KR1020097003433 A KR 1020097003433A KR 20097003433 A KR20097003433 A KR 20097003433A KR 20090049053 A KR20090049053 A KR 20090049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evice
region
card
usb receptacle
substantially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즈 단
이츠하크 포머란츠
Original Assignee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6118912A external-priority patent/EP1755072A3/en
Priority claimed from US11/464,499 external-priority patent/US7377448B2/en
Application filed by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filed Critical 샌디스크 아이엘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04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88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in boxes or containers comprising additional sound reproducing or activ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3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taining at least one further contact interface not conform ISO-78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3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capable of functioning as a record carrier on its own and a second part being only functional as a form factor changing part, e.g. SIM cards type ID 0001, removably attached to a regular smart card form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드 디바이스는 플렉시블 재료로 형성되고 전기 콘택트의 세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대략 직사각형인 본체를 가지고 있다. 카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카드 재료의 고유의 탄성이 이러한 전기 콘택트를 USB 리셉터클의 전기 콘택트에 대해 누르기 위한 힘을 제공한다.
카드 디바이스, 플렉시블 재료, 전기 콘택트, 전자 회로, 본체, 탄성력, USB 리셉터클, 폴드 라인, 커트

Description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CARD DEVICE FOR CONNECTION TO A USB RECEPTACLE}
본 발명은 카드 형상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표준 USB 리셉터클에 직접 접속하도록 구성된 카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및 유사한 기술에 기초한 다른 디바이스는 키-홀더, 펜, 포켓나이프등과 같은 다수의 형태 및 형상으로 패키징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브에 대한 하나의 유용한 폼 팩터는 신용 카드 지갑으로 운반될 수 있고 스마트 카드, 신용 카드 또는 ID 카드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할 수 있는 플라스틱 카드의 폼 팩터이다.
USB 표준의 명세로 인해, 최소 약 1mm이어야 하는 USB 플러그의 커넥터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한 좁은 허용오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두께는 신용카드 및 스마트 카드에서 사용되는 것의 거의 두배이고, 어떤 경우에는, 카드의 바람직한 두께 치수의 두배보다 상당히 더 크다.
박막 카드에 USB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공지된 솔루션은 USB 소켓에 신뢰성 있게 맞물리기 위해 충분한 두께의 두꺼운 카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거나, 카드가 커넥터로서 사용될 때 커넥터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의 파트가 또 다른 파트에 대해 이동하는 적어도 2개의 피스의 어셈블리로서 형성된 카드를 채용한다. 양쪽 솔루션은 모두 표준 USB 명세에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카드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생산비가 보다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Atsmon 등의 PCT 특허 출원 공개 WO 2005/124932호는 (도 6b에서) 카드의 두께가 카드 자체에 더블링함으로서 증가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제안된 방법은 종래의 직사각형의 신용카드 타입 디바이스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도 8-11에 도시된 Atsmon의 실시예와 유사한 플러그-폭 프로젝팅 엘리먼트를 필요로 한다.
표준 신용카드의 형상 및 두께를 갖고 USB 커넥터를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탬핑 및 인쇄의 프로세스에 있어서 하나의 피스로 제조된 카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카드내에 내장된 임의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호스트 디바이스와 접속하기 위한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단일 파트, 바람직하게는 표준 신용 카드의 형상 및 두께를 갖는 단일 파트로 제조된 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스라엘 크파르 사바) M-Systems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DiskOnKey 프로덕트와 같은 주지된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인 "USB 플래시 디스크" (또는 "UFD")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UFD는 보통 http://www.usb.org/developers/docs로부터 유용한 USB 상세에 따라 설계된 USB 커넥터에 의해 호스트 디바이스(컴퓨터, PDA, 휴대폰등)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배지 또는 스마트 카드와 같이 카드의 일반적인 사용에 대한 최소의 혼란으로 신용 카드, 피고용인 배지 또는 명함 카드와 같은 표준 카드내에 UFD를 패키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이러한 카드가 UFD로서 사용되기 전에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후에 실질상 직사각형인 형상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USB 커넥터는 카드가 일시적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호스트 디바이스의 USB 소켓내에 직접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위치지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카드의 본체가 제조되는 재료의 탄성을 사용하고, 커넥터의 도전성 핀의 USB 소켓내의 상응하는 핀에 대한 적합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그 스프링 액션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일부 계속 출원이 되는 공통 양도된 미공개 미국 특허 출원 제11/444,385호에 기술되어 있고 도 8A-8C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로서, 플렉시블 재료로 형성된 실질상 직사각형 본체를 포함하고, (a) 전자 회로; (b) 상기 본체의 제1 영역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콘텍트의 세트; 및 (c)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통과하고, 플랫 상태로부터 폴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상기 본체의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폴딩하기 위한 라인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콘택트의 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본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을 따라 폴딩될 때, 상기 전기 콘택트가 USB 리셉터클의 전기 콘택트와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USB 리셉터클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플러그 구성부를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이 형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플랫 상태로 복귀하는 상기 제2 영역의 탄성 바이어스가 상기 USB 리셉터클의 콘택트에 대한 상기 전기 콘택트의 접촉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카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본체는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통과하고 상기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커트에 실질상 수직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본체는 상기 제1 영역의 양 사이드에 있고 상기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는 2개의 평행한 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2개의 평행 커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2개의 평행 커트에 실질상 수직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평행한 커트는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의 주변부를 가로지르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는 상기 평행한 커트 및 제3 커트가 함께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의 주변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본체의 플러그 형성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커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플러그 구성부는 삽입 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삽입 방향과 실질상 수직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플러그 구성부는 삽입 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삽입 방향에 실질상 평행하도록 뻗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의 전체는 상기 플러그 구성부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3개의 실질상 평행한 폴드 라인을 따라 폴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는 USB 리셉터클과 기계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실효 두께의 절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로서, 플렉시블 재료로 형성된 실질상 직사각형 본체를 포함하고, (a) 전자 회로; (b) 상기 본체의 제1 영역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콘텍트의 세트; 및 (c) 적어도 하나의 플렉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콘택트의 세트 및 상기 플렉션 영역은, 상기 본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션 영역에서 플렉싱될 때, 상기 전기 콘택트가 USB 리셉터클의 전기 콘택트와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USB 리셉터클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플러그 구성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영역이 형성하도록, 그리고 플랫 상태로 복귀하는 상기 플렉션 영역의 탄성 바이어스가 상기 USB 리셉터클의 콘택트에 대한 상기 전기 콘택트의 접촉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만 예시로 기재되어 있다.
도 1A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카드 디바이스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1B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된 도 1A의 카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도 1A의 카드 디바이스의 제1 변형의 정면도,
도 2B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된 도 2A의 카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도 1A의 카드 디바이스의 제2 변형의 정면도,
도 4A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카드 디바이스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4B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준비 구성된 도 4A의 카드 디바이스의 대략 등거리도,
도 5A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카드 디바이스의 제3 실시예의 정면도,
도 5B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된 도 5A의 카드 디바이스의 측면도,
도 6A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되는, 카드 디바이스의 제4 실시예의 정면도,
도 6B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해 준비 구성된 도 6A의 카드 디바이스의 개략 확대 단면도,
도 7A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되는, 카드 디바이스의 제5 실시예의 정면도,
도 8A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되는, 카드 디바이스의 제6 실시예의 정면도,
도 8B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된 도 8A의 카드 디바이스의 개략 측면도, 및
도 8C는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해 준비된 도 8A의 카드 디바이스의 단면도.
본 발명은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바이스의 원리 및 동작은 도면 및 그에 따른 설명을 참조할 때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대한 공통 기초는 플렉시블 재료로부터 형성된 실질상 직사각형의 본체를 갖고 이러한 본체의 제1 영역의 표면에 배치된 전기 콘택트의 세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카드 디바이스의 제공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본체는 최대 0.9mm 및 바람직하게는 0.5mm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어 그 두께가 USB 리셉터클과 확실히 맞물리기에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카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카드 재료의 고유의 탄성이 USB 리셉터클의 전기 콘택트에 대하여 콘택트의 세트를 누르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플렉싱되거나, 구부러지거나 접어진다. 도 1A-7B의 실시예에서, 카드내에 하나 이상의 폴드의 적어도 일부는 USB 리셉터클의 내부 볼륨내에 삽입된다. 도 8A-8C의 실시예에서, 플렉싱은 완전히 USB 리셉터클의 볼륨부의 외측에서 일어난다.
이제 도 1A-7B의 실시예에서, USB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각각의 경우에, 카드 디바이스는 본체(10)의 제1 영역(16)의 표면상에 배치된 한 세트의 전기 콘택트(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 회로(12)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재료로부터 형성된 실질상 직사각형 본체(10)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의 독특한 특징은 본체(10)가 플랫 상태(도 1A, 2A, 3, 4A, 5A, 6A, 7A)로부터 접힌 상태(도 1B, 2B, 4B, 5B, 6B, 7B)로 본체의 제1 영역에 대하여 본체의 상응하는 제2 영역을 접기 위한 라인을 형성하고 제1 영역(16)에 인접하여 지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접는 선(18:도 1A-5B 또는 42 및 44:도 6A-7B)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절단선과 함께 결합된, 전기 콘택트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접는선의 구성에 있어서, 본체가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접는 선을 따라 접힐 때, 본체(10)의 제1 및 제2 영역은 USB 리셉터클의 전기 콘택트와 접촉하도록 위치 지정된 전기 콘택트(14)와 함께 USB 리셉터클내에 삽입되도록 크기 지정된 플러그 구성부를 형성하고, 카드 디바이 스의 플랫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제2 영역의 탄성 바이어스는 USB 리셉터클의 콘택트에 대한 전기 콘택트의 접촉력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특정 용어를 정의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먼저,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10)를 살펴보겠다. 이러한 문맥에서, 용어 "실질상 직사각형"은 대부분이 직사각형인 에지에 의해 바운딩되고 플러그부 또는 다른 엘리먼트가 주변 직사각형의 바운더리를 벗어나 상당히 돌출하지 않는 형상을 말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카드의 코너가 날카롭거나 다양한 각도로 라운딩되는 경우 또는 직사각형의 하나의 측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에지가 직사각형 카드의 전체 시각적 인상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오정렬된 경우를 포함한다.
카드의 "플랫" 상태에서, 단어 "플랫"은 신용카드 지갑 등내에 삽입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편평한 구성을 말하는데 사용되었다. 본 발명이 만들어지는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의 성질에 있어서, 특히 카드의 반복된 폴딩 및 언폴딩 동작 후에 어느 정도의 잔존하는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조차, 언폴딩된 상태는 "플랫" 상태로 불린다.
카드내에 포함된 전자 회로(12)에 있어서, 이러한 전자 회로는 신용 카드, 스마트 카드, 아이덴티티 태그 또는 USB 주변 디바이스내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전자 회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플래시 메모리 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칩의 저장된 콘텐트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특정 의도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임의의 저장된 콘텐트일 수 있다.
본체(10)의 두께는 카드의 면적에 있어서 균일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박막 실시예에서, 보통 0.09mm의 영역의 내장된 칩의 두께에 의해 카드의 상응하는 영역이 감지가능할 정도로 두꺼워질 수 있다. 카드 디바이스의 두께에 있어서, 이것은 보통 카드 대부분의 두께에 상응하는, 전기 콘택트의 영역에서의 두께로서 여겨져야 하고, 카드의 다른 영역에서의 임의의 국지적으로 증가된 두께는 고려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경우에, 본체(10)는 디바이스의 삽입 방향에 상응하는,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정의하는 영역(16)의 양측상의 2개의 평행한 커트(24, 26)를 포함한다. 커트(24, 26)는 본체(10)의 길이(보다 긴 치수)의 대략 50%와 90% 사이에서 뻗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회로(12)는 보통 커트 라인 사이의 공간에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18)은 커트(24, 26) 사이에 뻗어 있고 상기 커트(24, 26)에 실질상 수직으로 뻗어 있어서, USB 소켓의 콘택트에 대하여 콘택트(14)를 누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되접혀지는 제2 영역(28)을 형성한다.
최종 플러그 구성부는 폴드 라인(18)의 일측상의 영역(16, 28)이 측면으로부터 보는 바와 같이, 탄성 "V" 형상 플러그 구성부를 형성하는 도 1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영역(28)은 맞물릴 때 그 단부가 리셉터클 외부에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어서 사용 후에 리셉터클로부터 디바이스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특정 대안의 실시예에서, 소켓내의 플러그 구성 부의 맞물림은 삽입시에 전체가 USB 리셉터클내에 있는 보다 짧은 제2 영역(28)을 사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영역(16)의 추가 주변 표면 및/또는 제2 영역(28)의 표면은 USB 리셉터클의 실딩에 접촉하여 디바이스의 전기 그라운딩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도전성 콘택트 표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구성부는 노트북 컴퓨터, PDA 또는 휴대폰과 같은 비교적 얇은 호스트(102)의 USB 리셉터클(100)내에 삽입된다. 호스트 본체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리셉터클과의 맞물림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본체(10)의 사이드 플랩(30, 32)은 호스트 디바이스의 상부 코너에 있도록 상방으로 플렉싱되어, 리셉터클의 콘택트에 대하여 콘택트(14)의 일부 추가적인 탄성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설명된 카드 디바이스는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필요한 대로 추가적 특징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제한되지 않는 예에서, 여기에 사용된 카드 디바이스는 식별 사진(70), 회사 엠블렘(72), 시리얼 넘버(74) 및/또는 인증된 카드 소지자(76)의 이름 및 다른 상세사항과 같은 다양한 인쇄된 정보를 포함하는 종업원 식별 배지이다. 선택적으로, 사용을 위한 명령어(78)가 또한 디바이스의 정면 또는 후면에 인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카드 디바이스는 박막 카드 형상의 디바이스에 통합되는 것으로 알려진 자기 스트립, RF 트랜스폰더 칩 또는 임의의 다른 내부 또는 외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드 디바이스의 다른 가능한 사용은 전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명함; 모든 타입의 식별 카드; 신용 카드; 스마트 카드; 및 다른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USB 리셉터클(100)이 보통 호스트의 에지로부터 먼 상대적 큰 표면에 배치된 데스크톱 컴퓨터(104)와 같은 호스트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사이드 플랩(30, 32)이 USB 리셉터클내의 디바이스의 맞물림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플랩에 추가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34)이 제공되어 각 플랩의 적어도 일부가 플러그 구성부의 영역으로부터 폴딩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딩된 구성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모든 특징에서,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는 도 1A 및 도 1B의 것과 유사하다. 도 1A에 도시된 추가적인 인쇄된 정보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생략되었다.
도 3은 단일 커트(24)가 본체(10)의 주변에지의 일부와 관련하여 그리고 그에 평행하여 사용되어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는 또 다른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플랩(30)은 확대되고 제2 플랩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용시에, 이러한 실시예의 측면도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플러그 구성부를 구성하는 스트립의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2 에지에 의해 형성되거나 커트(24)에 수직인 추가적인 커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특징에서, 이러한 실시예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
도 1A-3의 실시예에서, 플러그 구성부를 구성하는 본체(10)의 스트립은 본체의 외주의 일부로 뻗는다. 이것은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허용가능하지만, 일부 경우에 본체(10)의 외주가 연속적인 언브로큰 에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카드의 에지에 뻗은 임의의 커트가 삽입 동안 포켓의 에지에 캐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용카드 지갑등내의 플랫 포켓내에 또는 슬롯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특별히 유익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주변 에지로부터 멀리 커넥터를 위치시킴으로써 커넥터를 기계적 손상에서 보호할 수 있고 전체 카드가 손상에 덜 취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실시예는 도 4A-5B에 설명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평행한 커트(24, 26)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본체의 주변부를 가로지르지 않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대신에, 커트(24, 26)에 실질상 수직인 제3 커트(36)가 상술된 커트들의 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함께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의 주변부로부터 삽입되는 본체의 플러그 형성 영역을 구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영역(28)은 폴드 라인(18)과 커트(36)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 폴드 라인(34)은 플러그 형성 스트립을 둘러싸는 카드(10)의 전체 "U" 형상의 영역(38)을 뒤로 접는 역할을 하여 스트립 자체가 도 2A 및 도 2B의 것과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다른 모든 특징에서,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의 것과 구조 및 기능에서 유사하다.
도 5A 및 도 5B에, 평행한 커트(24, 26)가 실질상 직사각형의 본체의 주변부를 가로지르지 않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커트 사이의 중앙 스트립과 커트 외측의 사이드 스트립은 반대 방향으로, 즉, 중심은 상방으로 그리고 사이드는 하방으로 접혀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 형상으로 접혀진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성을 얻기 위해, 폴드 라인(18)에 더하여, 본체(10)에 각 외부 에지를 따라 추가적인 3개의 폴드 라인(40)이 형성되어 있다. 대안으로, 유사한 효과가 각 외부 에지의 중앙 폴드 라인을 사용하고 중앙 스트립의 각 단부에 폴드 라인을 추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모든 다른 특징에서,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은 상술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언급된 커트 라인에 있어서, 처음에 커트의 2개의 사이드를 상호접속하는 작은 브레이크-어웨이 탭을 가지고 구현될 수 있어서 커트의 양 사이드상의 일부가 디바이스의 제조, 배송 또는 분배 동안 플레인의 밖으로 구부러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 후에 이러합 탭은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해 카드의 최초 사용 바로 전에 사용자에 의해 보통 파손된다. 이러한 탭은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용한 부정 조작 방지 표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6A-7B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이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뻗은 이전의 실시예와는 달리, 이러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이 삽입 방향과 실질상 평행하게 뻗은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도 6A 및 도 6B에서, 이것은 접을 때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는 2개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42, 44)을 본체(10)가 포함하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 본체(10)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폴드 라인(46)이 제공되는데,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커트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10)의 전체가 플러그 구성부내에 접힐 수 있도록 폴드 라인(42, 44)에 실질상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접힌 플러그 구성부가 도 6B에 끝을 앞으로 하고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얇은 실시예에 적합하고 본체(10)의 두께가 최대 약 0.2mm 인 경우에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도록 폴드 라인(42, 44)을 채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 폴드 라인은 상응하는 제2 영역(48, 50)을 각각 갖고 있는데, 이러한 제2 영역은 제1 영역(16) 아래에 접혀서 플러그 구성부의 각 사이드의 스프링 엘리먼트를 형성한다. 한 쌍의 커트 라인(52, 54)은 영역(48, 50)의 외부 에지를 묘사하고 있다. 또한 작은 제2 커트(56)는 영역(48, 50)이 자유롭게 접히는데 통상적으로 필요하다. 도 7B는 USB 리셉터클(100)내에 삽입되는 플러그 구성부의 확대 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뒤로 접힌 사이드 플랩은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7B에서 생략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플러그 구성부는 카드 디바이스의 주변부 또는 카드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커트 라인중 하나 대신에 카드의 에지를 채용할 수 있다.
도 8A-8C에서, 이렇게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본체(10)내에 폴드를 포함하고 있지만, USB 리셉터클의 콘택트에 대하여 콘택트(14)의 유사한 플렉시블 바이어싱을 달성하기 위해 광범위한 영역에서 본체의 분포된 플렉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플렉싱이 리셉터클의 외부에 크게 일 어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하나의 예는 여기에 도 8A-8C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일렉트로닉스(12) 및 콘택트(14)가 위치된 플러그 형성 스트립을 형성하는 2개의 평행한 커트 라인(24, 26)을 갖고 있는 카드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아무런 국부적인 폴드 라인도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에, USB 리셉터클내에 플러그 형성 스트립을 삽입하는 단계는 단순히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플랩으로부터 상이한 평면으로 상방향으로 중앙 스트립을 플렉싱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카드 디바이스의 재료의 탄성은 카드 디바이스의 일부를 이들의 동평면 스타팅 포지션으로 클로즈하도록 하는 경향을 갖는 외부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0)의 하부 외부 에지(106)에 대한 최종 하방성 힘은 삽입된 스트립의 팁부에 레버리지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어서, 상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에 대하여 콘택트(14)를 누르게 된다.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기술 및 그 변형이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한되지 않는 예로서, 생산 기술은 보통 다음의 공정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한다.
A.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컨트롤러를 플라스틱 카드에 내장하는 공정. 이러한 공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미국 캘리포니아 서니베일 Emosyn America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로서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B. 상기 도면에 기술된 구성중 하나에서, 플라스틱 카드의 일측에 도전성 리드를 제공하는 공정. USB 커넥터를 플라스틱 카드에 내장하는 공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이스라엘, 리숀 레지온 I.B.D.A Ltd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로서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C. 상기 도면중 하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드의 구부림 및 폴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롯 및 덴트를 생성하도록 카드를 스탬핑하는 공정.
D. Fargo로부터 유용하고 미국 미시간 인더스트리얼 코벳 언리미티드에 의해 판매되는 DTC300 배지 프린터와 같은 배지 프린터를 사용하여, 카드에 그래픽 및 문자 정보를 인쇄하는 공정.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용카드와 같은, 전형적인 플라스틱 카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USB 리셉터클과의 신뢰성있는 맞물림을 위한 USB 커넥터 플레이트의 요구되는 공칭 두께의 절반 보다 적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33%이다.
상기 설명은 오직 예로서 제공된 것이며, 많은 다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3)

  1.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로서, 플렉시블 재료로 형성된 실질상 직사각형 본체를 포함하고,
    (a) 전자 회로;
    (b) 상기 본체의 제1 영역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콘텍트의 세트; 및
    (c)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통과하고, 플랫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상기 본체의 상응하는 제2 영역을 접기 위한 라인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콘택트의 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본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을 따라 접힐 때, 상기 전기 콘택트가 USB 리셉터클의 전기 콘택트와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USB 리셉터클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플러그 구성부를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이 형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플랫 상태로 복귀하는 상기 제2 영역의 탄성 바이어스가 상기 USB 리셉터클의 콘택트에 대한 상기 전기 콘택트의 접촉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본체는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여 통과하고 상기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트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커트에 실질상 수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본체는 상기 제1 영역의 양 사이드에 있고 상기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는 2개의 평행한 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2개의 평행 커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2개의 평행 커트에 실질상 수직으로 뻗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한 커트는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의 주변부를 가로지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는 상기 평행한 커트 및 제3 커트가 함께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의 주변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본체의 플러그 형성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구성부는 삽입 방향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삽입 방향과 실질상 수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구성부는 삽입 방향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삽입 방향에 실질상 평행하도록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은 상기 플러그 구성부의 에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사전 형성된 폴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의 전체는 상기 플러그 구성부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3개의 실질상 평행한 폴드 라인을 따라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상 직사각형인 본체는 USB 리셉터클과 기계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필요한 최소 유효 두께의 절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13.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로서, 플렉시블 재료로 형성된 실질상 직사각형 본체를 포함하고,
    (a) 전자 회로;
    (b) 상기 본체의 제1 영역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콘텍트의 세트; 및
    (c) 적어도 하나의 플렉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콘택트의 세트 및 상기 플렉션 영역은, 상기 본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션 영역에서 플렉싱될 때, 상기 전기 콘택트가 USB 리셉터클의 전기 콘택트와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USB 리셉터클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플러그 구성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영역이 형성하도록, 그리고 플랫 상태로 복귀하는 상기 플렉션 영역의 탄성 바이어스가 상기 USB 리셉터클의 콘택트에 대한 상기 전기 콘택트의 접촉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디바이스.
KR1020097003433A 2006-08-14 2007-08-14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 KR20090049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8912A EP1755072A3 (en) 2005-08-15 2006-08-14 Card device for connectrion to a USB receptacle
EP06118912.2 2006-08-14
US11/464,499 US7377448B2 (en) 2005-06-01 2006-08-15 Card device for connection to a USB receptacle
US11/464,499 2006-08-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053A true KR20090049053A (ko) 2009-05-15

Family

ID=3752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433A KR20090049053A (ko) 2006-08-14 2007-08-14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52353A1 (ko)
KR (1) KR20090049053A (ko)
TW (1) TW200828687A (ko)
WO (1) WO20080204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58B1 (ko) * 2011-04-15 2013-02-28 왈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 인크. 박형 데이터 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7745B2 (en) * 2006-09-22 2012-02-21 Johan Wenngren Method of using a foldable card as a USB contact
KR100984137B1 (ko) * 2008-05-28 2010-09-28 엔큐스(주) 카드형 유에스비 장치
KR20110086112A (ko) * 2008-10-23 2011-07-27 오셀롯, 엘엘씨. 데이터 저장 장치
ITPI20100025A1 (it) * 2010-03-10 2011-09-11 Daniele Murabito Supporto per la memorizzazione dati su documenti cartacei.
GB2486399A (en) 2010-11-22 2012-06-20 Goosewire Ip Ltd Memory card and adapter having alignment mea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9721A1 (en) * 2003-03-12 2004-10-07 Power Data Communication Co., Ltd. Multi-transmission interface memory card
ATE517396T1 (de) * 2003-09-23 2011-08-15 Giesecke & Devrient Gmbh Tragbarer datenträger
US7458825B2 (en) * 2004-06-17 2008-12-02 Walletex Microelectronics Ltd. Double-sided USB-compatible plug connector adapted for insertion in either orientation into a USB-compatible receptacle
US7377448B2 (en) * 2005-06-01 2008-05-27 Sandisk Il Ltd Card device for connection to a USB recepta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58B1 (ko) * 2011-04-15 2013-02-28 왈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 인크. 박형 데이터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2353A1 (en) 2009-04-29
WO2008020442A1 (en) 2008-02-21
TW200828687A (en)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448B2 (en) Card device for connection to a USB receptacle
JP5097216B2 (ja) Simアダプタ
EP1755072A2 (en) Card device for connectrion to a USB receptacle
EP1503464B1 (en) Connector
US7811135B2 (en)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KR20090049053A (ko) Usb 리셉터클로의 접속을 위한 카드 디바이스
EP2000948A1 (en) Card connector
EP1168228A2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JP4195449B2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へのicミニカードの電気接続用アダプタ
EP1850266A2 (en) Smartcard reading/writing device
TWI377484B (en) Electronic device with data protection function
WO2006008594A1 (en) Mini-plug sim card with improved positioning capacibility
EP0338080A1 (en) Ic card
USRE48179E1 (en) Universal serial bus (USB) memory device
US7255603B2 (en) Memory card connector
JP2008021484A (ja) カードコネクタ
WO2005004043A1 (ja) Pcカード
JP2009181303A (ja) 電子カード
EP1143371B1 (en) Electrical connector
TWI509416B (zh) Portable disc structure
US20070032136A1 (en) Card reader
US20040145878A1 (en) USB plug and memory card combination with integrally formed housing
US6629644B2 (en) Memory card connector for preventing memory card from short circuit
EP2000949A2 (en) Card connector
JP2526848B2 (ja) 情報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