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146A -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 Google Patents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146A
KR20090048146A KR1020070114379A KR20070114379A KR20090048146A KR 20090048146 A KR20090048146 A KR 20090048146A KR 1020070114379 A KR1020070114379 A KR 1020070114379A KR 20070114379 A KR20070114379 A KR 20070114379A KR 20090048146 A KR20090048146 A KR 20090048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wall
conduit
bas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049B1 (ko
Inventor
박승준
문명식
Original Assignee
(주)밸류우드
문명식
박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밸류우드, 문명식, 박승준 filed Critical (주)밸류우드
Priority to KR102007011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 F16L1/166Reclaiming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관로의 좌측과 우측을 차단하는 한 쌍의 보호벽에 의해 채움토를 채우는 별도의 격리된 채움공간을 마련하여, 매설작업시 관로 보호를 위해 채워야 하는 값비싼 채움토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관로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메인몸체와, 메인몸체의 좌편 및 우편에 각각 세워지되 메인몸체에 지지되는 관로의 높이를 초과한 높이로 세워져서 관로의 좌측과 우측을 차단하는 한 쌍의 보호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 쌍의 보호벽 사이로 관로 보호를 위한 채움토를 채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로, 채움토, 보호벽

Description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PIPE STAND WITH FILL-SOIL PREVENTION WALLS}
본 발명은 지하에 관로를 매설하는 관로의 매설작업과 관련된 것으로, 관로의 좌측과 우측을 차단하는 한 쌍의 보호벽에 의해 채움토를 채우는 별도의 격리된 채움공간을 마련하여, 매설작업시 관로 보호를 위해 채워야 하는 값비싼 채움토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데 적당한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 상수를 공급하거나 각종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크고 작은 관로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관로들은 도시 미관 및 기능상의 이유로 주로 지하에 매설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들 관로들의 매설작업은 사용하는 관로의 종류, 토질, 지내력, 시공방법, 하중조건 및 매설조건, 관로의 내구성 및 경제성을 충분히 검토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된다.
이때 매설작업은 상당히 신중을 기하여야 하는데, 만일 기초공이 부실한 경우 관로의 부등침하로 인해 하수의 정체, 부패 및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뿐 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에는 관로가 파손되어 누수가 일어나거나 지하수의 침입을 초래하여 관로주변의 토사가 유입되고 심하면 도로가 함몰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도 1 및 도 2는 지하에 관로를 매설하는 종래기술 중 하나를 예시하기 위한 참조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먼저 굴삭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원하는 깊이만큼 지면을 굴착하여 터파기한 후 채움토(A,B,C)를 단계적으로 채워 다지면서 관로(1)를 매설하였다. 이때 채움토(A,B,C)의 종류 및 채움 방법은 관로(1)의 종류 및 토질 등을 고려하여 규정된 하수도시설기준을 적용하여 시행해야 한다. 이 중 관로(1)가 연성관인 경우 상기 채움토(A,B,C)는 모래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기준으로 관로(1)의 매설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관로(1)가 연성관인 경우 현재 개정중인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에 따르면 모래기초 360°로 명시되어 있다. 즉, 채움토로서 모래를 사용하고, 관로 하측에 깔아주는 모래의 두께는 100 내지 300mm로 하고 차후에는 관로 상단에서 200mm까지 모래를 되메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명시되어있다.
이에 따라, 먼저 도 1과 같이 지면을 굴착하여 터파기한 후 그 굴착된 지면 바닥에 200 내지 300mm 정도의 두께로 모래기초(A 해당부위)를 다진 후 하부가 밀착되게 관로(1)를 견고히 지지한다. 이때 모래기초가 관로(1)에 접하는 폭(또는 받침각)에 따라 관로(1)의 보강효과가 다르며, 받침각이 클수록 내하력이 증가한다. 중요한 점은 필요한 받침각을 확보하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시공상의 받침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관로(1)가 연성관인 경우 모래기초가 대략 관로(1)의 120° 정도까지 받쳐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관로(1)가 연성관인 경우에는 통상 모래기초로 시공되지만 관로(1)가 강성관인 경우 모래기초를 비롯, 쇄석기초, 철근콘크리트기초, 콘크리트기초, 말뚝기초 등 다양한 종류의 기초공으로 시공된다.
이후, 도 2와 같이 다져진 상기 1차 모래기초(A 해당부위) 위로 관로(1)의 하부를 최소 120° 정도에서 180° 정도까지 되도록 모래를 채우고 다짐장비에 의해 물다짐을 하여 2차 모래기초(B 해당부위)를 다진다. 이는 받침각 90° 내지 120° 사이에서 작용하는 하중의 영향으로 인해 관로(1)가 납작하게 퍼진 형태로 변형되는 문제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는 하중에 보다 안정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관로의 하부를 180°까지 채워 다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후, 관로(1)의 상단을 덮는 수준까지 모래를 채워 물다짐을 하여 3차 모래기초(C 해당부위)까지 다짐으로써 현재 개정중인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에 따른 모래기초 360° 기준을 적용한다. 이는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관로(1)의 변형을 대비하는 동시에 거친 흙으로 인한 관로(1)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굴착시 발생한 원래의 흙(D)을 사용하여 표면부위를 덮어주는 것으로 관로(1)의 매설작업은 완료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관로(1)의 매설방법에 따르면, 굴착되어 비어있는 넓은 공간 대부분에 모래와 같이 가격이 비싼 양질의 채움토(A,B,C)를 채워 넣다보니 전체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특히 차집관로와 같이 직경이 1.3[m] 이상 달하는 대형의 관로를 매설해야하 는 경우라면 지면을 더 깊고 넓게 굴착해야 하는 관계로 사용되는 채움토(A,B,C)의 양이 많아지면서 문제가 더욱 악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매설작업 중 상측에서 채움토로서 뿌려지는 모래의 일부가 화살표(T)로 표시된 것처럼 관로(1)의 하측으로 침투하면서 토압(P-1)을 발생시켜 관로(1)가 들뜨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는 매설작업시 상측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거의 없는 관계로 관로(1)의 상태가 불안정하여 하측으로 모래가 침투하면 들뜨기 쉬웠기 때문이다. 이처럼 관로(1)가 하측으로 침투하는 모래에 의해 일단 들뜨게 되면 관로(1)간 연결부위가 어긋나면서 관로(1)의 매설작업 전반이 곤란해지고 작업시간도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관로(1)의 하부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의 바로 밑 공간에는 2차 모래기초(B 해당부위)를 채워 다지는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관로(1)의 하부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안정되게 지지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매설작업이 완료된 후 지하에 침투한 빗물 등으로 인해 그 부위의 모래가 유실되기 쉬웠다. 이로 인해 관로(1) 하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측에서 강한 하중이 인가되면 그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관로(1)가 납작하게 퍼진 형태로 변형되기 쉬웠다.
또한, 연약지반에서는 관로(1)의 일부구간이 침하되면서 하수와 함께 관로(1) 내를 흐르는 이물질들이 점차 퇴적되고, 이로 인해 유로가 줄어들다가 하수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되는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되기도 하였다. 관로(1)의 종류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정도는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변형률이 허용변형률인 5%를 초과하는 경우 변형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면서 최악의 경우에는 관로(1)가 파손되어 누수가 일어나거나 지하수의 침입을 초래하여 관로(1) 주변의 토사가 유입되고 심하면 도로가 함몰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의 매설작업시 관로 보호를 위해 채워 넣는 채움토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격리된 채움공간을 마련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는, 관로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좌우에 각각 세워져서 관로의 좌측과 우측을 차단하는 한 쌍의 보호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보호벽 사이로 관로 보호를 위한 채움토를 채울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벽은 상기 지지되는 관로의 높이를 초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벽 외측면으로부터 메인몸체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수직리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에는 관로의 하부에 대응하여 밀착되게 받쳐주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관로의 틈새로 침투하는 채움토를 포집하여 수용하는 여유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는, 굴착된 지면의 바닥과 상기 관로의 하부 사이를 가 로막아 차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후에 각각 세워져서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쳐주는 전측벽 및 후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좌우에 각각 세워지되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을 연결하여 이들 및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좌측벽 및 우측벽과;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관로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감싸면서 받쳐주고 상단부는 상기 보호벽의 하단부와 연접된 연장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의 상면과 연장지지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유공간 내에 좌측벽 및 우측벽을 연결하여 세워진 복수의 격벽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과 함께 상기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관로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관로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하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측면 모퉁이에는 각각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지지용 돌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으로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는, 관로의 좌측과 우측을 차단하는 한 쌍의 보호벽에 의해 격리된 채움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매설작업시 관로 보호를 위해 채워야 하는 값비싼 채움토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관로의 하측으로 침투하여 토압을 야기하는 채움토를 전량 포집함으로써 매설작업시 관로의 하측으로 침투하는 채움토에 의해 관로가 들뜨거나 흐트러지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의해 굴착된 지면과 관로의 하부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는 구성에 의해 관로의 하측 지면에서 발생되는 토압에 대해서도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굴착된 지면과 관로의 하부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여 관로를 받쳐주기 때문에 굴착된 지면의 일부 거친 바닥과 깨진 돌 및 자갈 등에 의한 관로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격벽을 구비하여 관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물론 구조적으로도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와 연장지지부재가 관로의 하부를 감쌀 수 있는 곡률로 형성되어 관로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지면에 접촉하는 베이스의 면적은 줄이고 전체 부피를 줄이면서도 관로의 하부를 더 넓은 범위로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 하부의 중앙부위는 물론 연장지지부재에 의해 관로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때문에 상측에서 강한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관로가 변형되는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관로의 120 내지 180°의 수평팽창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용 돌기에 의해 굴착된 지면이 돌출부위, 깨진 돌 및 자갈들에 의해 거친 상태로 있더라고 이들을 회피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1-A2에 따른 참조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로(1)의 좌측과 우측을 완전히 차단하는 한 쌍의 보호벽(170)에 의해 채움토를 채우는 격리된 채움공간(S1, 도 4 참조)을 마련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별도의 제한된 채움공간(S1)을 마련하는 구성에 의해 관로(1)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모래 등과 같이 값비싼 채움토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채움토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의 구성을 각 구성요소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인몸체를 이루는 베이스(110), 전측벽 및 후측벽(120), 좌측벽 및 우측벽(130), 복수의 격벽(140), 지지용 돌기(150), 연장지지부재(160), 그리고 상기 별도의 채움공간(S1)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보호벽(170)과 수직리브(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보호벽(170)은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상단부와 연접되어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때 상기 보호벽(170)은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상면과 연장지지부재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안착부(120A,160A)에 지지된 관로(1)의 높이를 초과한 높이로 세워진다. 상기 초과 높이는 관로(1)의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략 5[cm] 정도면 관로의 상부까지 채움토로 완전히 덮을 수 있어 적당하다.
이같이 한 쌍의 보호벽(170)이 구비되면 그 사이로 채움토를 채울 수 있는 별도의 격리된 채움공간(S1)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관로(1)의 매설작업시 관로(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비싼 채움토를 굴착된 부위 전체에 채워 넣지 않아도 된다. 대신 상기 한 쌍의 보호벽(170) 사이에 형성된 작은 채움공간(S1)에 채우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나머지 굴착된 부위는 굴착시 발생된 원래의 거친 흙을 채우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 모래와 같이 값비싼 양질의 흙으로 사용되는 채움토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한편, 굴착시 발생된 흙은 조금만 남게 되어 처리하기 용이하다.
상기 메인몸체는 전술된 것처럼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0), 전측벽 및 후측벽(120), 좌측벽 및 우측벽(130), 복수의 격벽(140), 복수의 지지용 돌기(150) 및 연장지지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중 상기 베이스(110), 전측벽 및 후측벽(120), 좌측벽 및 우측벽(130)에 의해 상기 안착부(120A,160A)와 관로(1) 사이로 침투하는 일부 채움토를 포집하여 수용하는 여유공간(S2)이 형성된다. 아래에 서는 상기 메인몸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여유공간(S2)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굴착된 지면의 바닥과 관로(1)의 하부 사이를 가로막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10)는 좌우폭에 비해 관로(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전후길이가 긴 직사각 평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110)는 작은 통공으로 형성된 배수공(111)을 제외하고는 절개되거나 개구된 부위 없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111)은 격벽(140)을 고려하여 그 사이사이에 구비되며, 상측에서 침투하는 물을 하측으로 배수하는 역할은 물론 지하에 물이 차는 경우 부력의 영향을 무력화하는 역할도 겸한다. 하지만 이같은 배수공(111)은 충분히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토압에 의해 굴착된 지면이 일부 돌출되면서 여유공간(S2)으로 침투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평편하게 다듬어진 굴착지면에 내려놓고 작업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은 상기 베이스(110)의 전후에 각각 세워지고 그 상면에는 관로(1)의 하부에 대응하여 밀착 지지하는 안착부(120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안착부(120A)는 관로(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130)은 상기 베이스(110)의 좌우에 각각 세워지되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끝단들을 각각 연결한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110), 전측벽 및 후측벽(120)과 더불어 관로(1)의 하측으로 침투하는 일부 채움토 전량을 포집하는 여유공간(S2)을 형성한다.
상기 격벽(140)은 상기 여유공간(S2) 내에서 좌측벽 및 우측벽(130)을 연결하여 전측벽 및 후측벽(120)과 나란한 방향이면서 같은 높이로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격벽(140)의 상면(140A)은 안착부(120A)와 같이 관로(1)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곡선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격벽(140)은 전측벽 및 후측벽(120)과 함께 협력하여 관로(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40)은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사이 간격이 넓을수록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 중간 지점들에서 관로(1)가 쳐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격벽(140)은 상기 베이스(110),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 좌측벽 및 우측벽(130)들을 구조적으로 한데 묶어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 지지용 돌기(150)는 베이스(110)의 하측면 모퉁이에 각각 구비되고 베이스(110)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중간 중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같은 지지용 돌기(150)는 굴착된 지면의 바닥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깨진 돌이나 자갈 같은 거친 이물질을 쉽게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만일 상기 지지용 돌기(150) 없이 베이스(110)의 하측면 전체가 굴착된 지면의 바닥에 접촉토록 한다면 깨진 돌이나 자갈 같은 이물질을 회피하기가 어려워서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 및 관로(1)가 들뜨면서 관로(1)간 연결부위가 어긋나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연장지지부재(160)는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130)의 상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부(160A)에 의해 상기 관로(1)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감싸면서 받쳐준다.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는 관로(1)를 감싸면서 받쳐줄 수 있도록 관로(1)와 같은 곡률을 갖는 곡 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는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20A)와 함께 전체 안착부(120A,160A)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안착부(120A)는 상기 관로(1)의 하부를 받치되 상기 관로(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받침각(G1, 도 4참조) 90° 이상 180° 미만에 속한 범위까지 받치도록 하고,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는 그 이후부터 시작하여 받침각(G2, 도 4 참조) 180°까지 받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되면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의 안착부(120A)는 관로(1)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쳐주어 관로(1)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상기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는 채움토를 채우더라도 다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했던 관로(1)의 하부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담당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연장지지부재(160)를 구비하게 되면 관로(1)의 하부를 지지하는 동일한 면적을 기준으로, 제품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굴착된 지면과 접촉하는 베이스(110)의 면적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수직리브(180)는 상기 보호벽(170)의 외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연장지지부재(160) 및 좌측벽 및 우측벽(130)의 외측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호벽(170) 및 연장지지부재(160)가 하중을 받을 때 이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보호벽(170)은 채움토가 채움공간(S1)에 채워질 때 수평방향의 하중에 대해서 취약하기 쉽기 때문에 이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 수직리브(180)의 역할이 중요하다. 상기 수직리브(180)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 며, 전후측 각 끝단부에 구비된 수직리브(180)에는 체결공(17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71)은 간단히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용 부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를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를 사용하여 시행하는 관로(1)의 매설작업 과정을 도 7 내지 도 9 및 첨부된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시행하는 관로의 매설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먼저, 관로(1)를 매설하기 위한 지면을 굴삭기 등의 장비로 굴착하여 터파기한다. 그리고 굴착된 지면에서 깨진 돌이나 자갈 등을 제거하고 바닥을 평편하게 다듬는다.
이후, 평편하게 다듬어진 굴착된 지면의 바닥에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대 여러 개를 내려놓고 일렬로 정렬한다. 이때 베이스(110) 하측면에 구비된 지지용 돌기(150)가 굴착된 지면의 바닥 중 극히 일부 면적에만 접촉하기 때문에 굴착된 지면의 바닥에 아직 남아있을지 모르는 깨진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을 쉽게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깨진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에 의해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가 들뜨거나 흐트러지는 일은 거의 없다. 만일 상기 지지용 돌기(150)가 굴착된 지면 바닥에 남아있을 수 있는 깨진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 위에 놓여져서 본 발명의 관로 받침대가 들뜨거나 제대로 정렬이 되지 않으면 위치를 약간 움직여 보정하는 것만으로 직면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받침대에 관로(1)를 상측으로부터 올려놓으면 안착 부(120A,160A)에 의해 관로(1)의 하부 중앙부위와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로써 차후에 흙이 채워지면서 상측으로부터 강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관로(1)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베이스(110)가 관로(1) 하부와 굴착된 지면의 바닥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여 토압의 영향이나 굴착된 지면에 남아 있는 깨진 돌 및 자갈 등으로 인해 관로(1)가 손상되는 일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8과 같이 한 쌍의 보호벽(170) 사이에 형성된 채움공간(S1)에 채움토(T1)를 채워 넣는다. 그러면 상기 채움공간(S1)에서 관로(1)의 상부를 채움토(T1)가 덮으면서, 관로(1)의 상부는 채움토(T1)가, 관로(1)의 하부 중앙부위는 전측벽 및 후측벽(120)의 안착부(120A)와 격벽(140)의 상면(140A)이, 관로(1)의 하부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는 연장지지부재(160)의 안착부(160A)가 지지하면서 감싸는 형태가 되어 이물질들로부터 관로를 안전히 보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표기된 채움토(T1) 중 일부가 안착부(120A,160A)와 관로(1) 사이에 침투하게 되더라도 넓은 여유공간(S2)에 전량 포집되면서 관로(1)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1)의 하측으로 일부 채움토(T1)가 침투하여 토압을 야기하면서 관로(1)를 들뜨게 했던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후, 도 9와 같이 굴착된 부위의 나머지 공간은 굴착작업시 발생된 원래의 거친 흙(T2)으로 채워 다진다. 그러면 관로(1)의 매설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로 받침대는 보호벽(170)에 의해 형성된 작은 크기로 채움공간(S1)에만 채움토(T1)를 채워 넣으면 된다. 따라서 값비싼 채움토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110)에 의해 관로(1)의 하부와 굴착된 지면의 바닥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여 거친 굴착 지면의 바닥, 깨진 돌이나 자갈 등과의 접촉으로 인한 관로(1)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여유공간(S2)에 의해 관로(1)의 하측으로 침투하는 일부 채움토(T1)가 야기할 수 있는 관로(1)의 들뜸 현상이나 변위문제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지하에 관로를 매설하는 종래기술 중 하나를 예시하기 위한 참조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1-A2에 따른 참조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면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시행하는 관로의 매설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 채움공간 S2 : 여유공간
110 : 베이스 120 : 전측벽 및 후측벽
120A, 160A : 안착부 130 : 좌측벽 및 우측벽
140 : 격벽 150 : 지지용 돌기
160 : 연장지지부재 170 : 보호벽
180 : 수직리브

Claims (8)

  1. 관로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좌우에 각각 세워져서 관로의 좌측과 우측을 차단하는 한 쌍의 보호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보호벽 사이로 관로 보호를 위한 채움토를 채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은 상기 지지되는 관로의 높이를 초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 외측면으로부터 메인몸체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수직리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에는 관로의 하부에 대응하여 밀착되게 받쳐주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관로의 틈새로 침투하는 채움토를 포집하여 수용하는 여유공 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는,
    굴착된 지면의 바닥과 상기 관로의 하부 사이를 가로막아 차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후에 각각 세워져서 상기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쳐주는 전측벽 및 후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좌우에 각각 세워지되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을 연결하여 이들 및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좌측벽 및 우측벽과;
    상기 좌측벽 및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관로 하부의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를 감싸면서 받쳐주고 상단부는 상기 보호벽의 하단부와 연접된 연장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의 상면과 연장지지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공간 내에 좌측벽 및 우측벽을 연결하여 세워진 복수의 격벽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전측벽 및 후측벽과 함께 상기 관로의 하부 중앙부위를 받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관로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관로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측면 모퉁이에는 각각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지지용 돌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KR1020070114379A 2007-11-09 2007-11-09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KR10094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379A KR100947049B1 (ko) 2007-11-09 2007-11-09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379A KR100947049B1 (ko) 2007-11-09 2007-11-09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146A true KR20090048146A (ko) 2009-05-13
KR100947049B1 KR100947049B1 (ko) 2010-03-10

Family

ID=4085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379A KR100947049B1 (ko) 2007-11-09 2007-11-09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37B1 (ko) * 2009-04-28 2010-01-15 대현산업 (주) 지하 매설 파이프 보호용 받침대
KR101412093B1 (ko) * 2014-01-08 2014-06-26 주식회사 파스텍 관로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53B1 (ko) 2010-10-29 2011-05-16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관로 보호대
KR101577604B1 (ko) * 2015-06-01 2016-01-19 주식회사 넥스코 관거 받침대
KR102261222B1 (ko) * 2019-10-18 2021-06-24 그린라운드 주식회사 정화조 설치용 거푸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0576U (ja) 1981-11-05 1983-05-1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管支承体
KR100243402B1 (ko) * 1997-03-24 2000-03-15 김종천 제방구조물
KR200363330Y1 (ko) 2004-07-13 2004-10-01 김종한 지하 매설용 파이프 받침대
KR200417474Y1 (ko) 2005-12-30 2006-06-01 이정규 관로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37B1 (ko) * 2009-04-28 2010-01-15 대현산업 (주) 지하 매설 파이프 보호용 받침대
KR101412093B1 (ko) * 2014-01-08 2014-06-26 주식회사 파스텍 관로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049B1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49B1 (ko) 채움토 보호벽을 구비한 관로 받침대
JP4695037B2 (ja) 雨水貯留槽
US10584471B2 (en) Integrated retaining wall and fluid collection system
KR20090065858A (ko) 관로 보호용 하우징
KR100819890B1 (ko) 관로용 흙받이 용기
JP6854479B2 (ja) 地下構造物の液状化対策構造物
US11802389B2 (en) Ecological seawall water close side embankment slope draina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803409B2 (ja) 盛土の液状化対策構造
KR20090048147A (ko) 관로 받침대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JP7343188B2 (ja) 谷地形用排水構造および暗渠ブロック
JP7183819B2 (ja) 堤体の浸透破壊抑止構造
CN112832288A (zh) 一种坡地建筑地下室抗浮构造及其施工方法
JPH08302661A (ja) 噴砂防止マット工法
JPH01125413A (ja) 液状化抑止用鋼矢板
CN113605904B (zh) 超浅覆土大直径盾构下穿河流反压防护结构的施工方法
JPH05255941A (ja) 埋設構造物の液状化対策工法
CN220183971U (zh) 一种室外装配式排水机构
JP2524537B2 (ja) 地中構造物の基礎構造
CN216787153U (zh) 一种地下室排水管廊提前回填土结构
CN215164313U (zh) 一种道路快速排水系统
JP4194679B2 (ja) 液状化防止のための地盤改良工法
JPH06108478A (ja) 液状化対策工法
JP4155519B2 (ja) 暗渠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躯体の構築方法
JP2813835B2 (ja) 舗装下の液状化地盤中に設けられる地中構造物の地震対策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