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563A -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 Google Patents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563A
KR20090047563A KR1020070109300A KR20070109300A KR20090047563A KR 20090047563 A KR20090047563 A KR 20090047563A KR 1020070109300 A KR1020070109300 A KR 1020070109300A KR 20070109300 A KR20070109300 A KR 20070109300A KR 20090047563 A KR20090047563 A KR 20090047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extract
pests
pest control
p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익
김선곤
최경주
이유석
이윤희
김진섭
조대원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07010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7563A/ko
Publication of KR2009004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5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딸기해충인 진딧물, 점박이응애, 배추좀나방 방제제로서 제충국을 건조-분쇄-에탄올에 침지-여과 과정을 통해 추출한 추출물을 9:1 비율로 혼합한 액을 90% 첨가하여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로서 지방산에 볏짚 잿물과 난황 레시틴을 함유하여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10%-50% 넣어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5~10% 보조성분으로 하는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및 그 제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딸기, 제충국

Description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Botanical pesticide from Chrysanthemum spp. extract with insecticidal soap to control of strawberry pest}
본 발명은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딸기해충인 진딧물, 점박이응애, 배추좀나방 방제제로서 제충국 건조-분쇄-에탄 올에 침지-여과 과정을 통해 추출한 추출물을 9:1 비율로 혼합한 액을 90% 첨가하여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로서 지방산에 볏짚 잿물과 난황 레시틴을 함유하여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10%-50% 넣어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5~10% 보조성분으로 하는 딸기해충 방제제 조성물 및 제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살충 조성물은 물과 희석하여 분무함으로써 해충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방제할 수 있는 살충제로 이용할 수 있는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약은 농업생산성 증가와 해충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해왔고 사용량도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현재 살충제와 제초제 등의 농약은 유기염소계. 유기인산계, 카바메이트계 등이 주종을 이루며, 이들 모두 심각한 독성과 낮은 분해성으로 인하여 생태계에서 먹이 사슬에 의하여 축적되게 된다. 이러한 화학 합성농약이 지니고 있는 단점은 약제를 살포하는 회수의 증가와 살포농도의 증가로 인한 저항성 해충의 출현으로 해충방제 효과는 점점 감소하는 반면에 천적들은 치명적인 타격을 받아 잠재적 곤충의 해충화에 따른 새로운 해충의 출현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농산물의 잔류 농약량의 증가로 농산물의 독성이 증가되어 식품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합성 농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농약의 개발 일환으로 생물학적 방제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생물학적 방제는 미생물, 천적 또는 천연추출물을 이용하는데 미생물과 천연물 제제는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상업화의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과 동식물에 무해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취급이 용이하고 생산 가격이 낮은 천연물 농약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의 천연 바이오메스 중에서 살충효과가 있는 물질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농약으로서의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생리활성 물질이 있는 유용한 식물자원을 이용하여 생태 친화적인 새로운 살충제의 개발이 매우 긴급한 실정이다.
기존 식물추출물은 제충국에 TDE7과 OA1019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는 친환경재배에 부적합하지만, 본 특허에서는 환경친화적인 보조성분을 혼합하므로써 기존 추출물과 같이 점박이응애, 진딧물에 대해 95%, 배추좀나방에 대해 80%이상의 살충효과를 가지며 독성이 낮고 인축에 안전하며 토양 및 수질오염 문제가 없어 친환경 딸기를 재배하는 농가에서 고품질 딸기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식물추출물은 제충국에 TDE7과 OA1019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는 친환경재배에 부적합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보조성분을 혼합하므로써 기존 추출물과 같이 점박이응애, 진딧물에 대해 95%, 배추좀나방에 대해 80%이상의 살충효과를 가지며 독성이 낮고 인축에 안전하며 토양 및 수질오염 문제가 없어 친환경 딸기를 재배하는 농가에서 고품질 딸기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딸기해충인 진딧물, 점박이응애, 배추좀나방 방제 조성물로 제충국을 건조-분쇄-에탄올 침지-여과 과정을 통해 추출한 추출물을 1:1에서 9:1까지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상기의 조성물에 지방산을 이용하여 볏짚잿물 10%-50% 난황레시틴 0.1%-10%를 넣어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10%-50%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해충의 발생밀도에 따라 500배액으로 희석하여 경엽처리하고, 해충 발생초기 살포간격을 3~5일 간격으로 하여 2~3회 주기적으로 살포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딸기해충인 진딧물, 점박이응애, 배추좀나방 방제제로서 제충국을 건조-분쇄-에탄 올에 침지-여과 과정을 통해 추출한 추출물을 9:1 비율로 혼합한 액을 90% 첨가하여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로서 지방산에 볏짚 잿물과 난황 레시틴을 함유하여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10%-50% 넣어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5~10% 보조성분으로 하는 딸기해충 방제제 조성물 및 제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살충 조성물은 물과 희석하여 분무함으로써 딸기 해충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살충제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딸기해충인 진딧물, 점박이응애, 배추좀나방 방제제로서 제충국을 건조-분쇄-에탄 올에 침지-여과 과정을 통해 추출한 추출물을 9:1 비율로 혼합한 액을 90% 첨가하여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로서 지방산에 볏짚 잿물과 난황 레시틴을 함유하여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10%-50% 넣어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5~10% 보조성분으로 하는 딸기해충 방제제 조성물 및 제제 방법으로 조성된다.
표 1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살충조성물의 주성분과 보조성분의 최적 혼합비율을 정리한 것이 다.
구 분 주성분 보조성분
성 분 제충국 꽃잎 복합 추출물 올레인산 벼짚잿물 난황lecithin
비 율 100 9 0.2 1.8
혼합비율 90% 1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이 가지는 살충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이 갖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제충국 추출물의 해충방제효과를 정리한 것이다.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제충국 추출물에 유화제 10% 첨가시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유화제농도(%) 처리전 마리수 살충율(%)
1DAT 3DAT 5DAT
3 112.3 69.7 94.4 95.5
5 124.7 63.6 96.5 98.7
10 108.0 88.6 91.0 100.0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이 갖는 점박이응애에 대한 제충국 추출물의 해충방제효과를 정리한 것이다.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제충국 추출물에 유화제 3, 5% 첨가시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유화제농도(%) 처리전 마리수 살충율(%)
1DAT 3DAT 5DAT
3 82.0 99.2 99.6 100.0
5 85.7 98.1 100.0 100.0
10 86.3 98.1 99.2 99.6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이 갖는 배추좀나방에 대한 제충국 추출물의 해충방제효과를 정리한 것이다.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제충국 추출물에 유화제 10% 첨가시 80.3%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유화제농도(%) 처리전 마리수 살 충 율(%)
1DAT 3DAT 5DAT
3 30.0 26.7 33.3 33.3
5 30.0 20.0 36.7 50.0
10 30.0 16.7 56.7 80.3
표 5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이 갖는 목화진딧물에 대한 제충국 추출물의 해충방제효과를 정리한 것이다.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은 제충국 추출물에 제충국 추출물에 유화제 5% 첨가시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유화제농도(%) 처리전 마리수 살 충 율(%)
1DAT 3DAT 5DAT
3 120.7 95.0 97.0 98.4
5 103.0 100.0 100.0 100.0
10 99.7 96.7 97.0 99.2

Claims (1)

  1. 제충국을 건조-분쇄-에탄올에 침지-여과 과정을 통해 추출한 추출물을 9:1 비율로 혼합한 액을 90% 첨가하여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로서 지방산에 볏짚 잿물과 난황 레시틴을 함유하여 만든 액상 살충비누를 10% 첨가하여 보조성분으로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KR1020070109300A 2007-10-30 2007-10-30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KR20090047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00A KR20090047563A (ko) 2007-10-30 2007-10-30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00A KR20090047563A (ko) 2007-10-30 2007-10-30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563A true KR20090047563A (ko) 2009-05-13

Family

ID=4085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300A KR20090047563A (ko) 2007-10-30 2007-10-30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75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49B1 (ko) * 2013-04-03 2013-09-23 주식회사 지디 나노리포좀 형태의 친환경 병충해 방제제 및 그 제조 방법
CN104041530A (zh) * 2014-05-29 2014-09-17 赵兰 一种防治草莓叶枯病的天然杀菌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49B1 (ko) * 2013-04-03 2013-09-23 주식회사 지디 나노리포좀 형태의 친환경 병충해 방제제 및 그 제조 방법
CN104041530A (zh) * 2014-05-29 2014-09-17 赵兰 一种防治草莓叶枯病的天然杀菌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8852A (zh) 可降解农用天然驱虫地膜及其制备方法
KR20180062787A (ko) 해충 및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KR101813078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KR20190052979A (ko)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060071380A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생물 농약으로써의 천연 살충제
KR20130114537A (ko)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JP2018530602A (ja) ピレトリン高含有殺虫剤
KR20190052978A (ko) 3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180058384A (ko) 제충국 및 자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20180065128A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20090047563A (ko) 딸기해충 방제용 제충국 추출 조성물
KR101920538B1 (ko) 제충국 및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5960A (ko) 진딧물 방제용 식물 추출 조성물
KR102115780B1 (ko) 목초액을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4596A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KR100644750B1 (ko) 살충, 살균 및 해충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제조방법.
RU2282994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борьбы с белокрылкой комнатных растений
KR101782842B1 (ko) 병충해에 강한 허브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천연허브복합비료 및 그 이용방법
KR101237051B1 (ko) 목화진딧물 방제 또는 살충용 조성물 및 이의 살포하는 방법
KR20090045961A (ko) 딸기해충 방제용 멀구슬 열매 추출 조성물
KR101740560B1 (ko)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CN103814961A (zh) 油桐桐饼提取物与球孢白僵菌复配杀虫剂及其制备方法
JP2001139410A (ja) 植物の病害虫防除・育成賦活組成物及び植物の成長促進方法
CN108294024A (zh) 一种生物农药组合物、制剂及其防治蔬菜黄条跳甲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