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432A - 천정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천정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432A
KR20090047432A KR1020090034768A KR20090034768A KR20090047432A KR 20090047432 A KR20090047432 A KR 20090047432A KR 1020090034768 A KR1020090034768 A KR 1020090034768A KR 20090034768 A KR20090034768 A KR 20090034768A KR 20090047432 A KR20090047432 A KR 2009004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support unit
unit
ceil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084B1 (ko
Inventor
신용권
Original Assignee
범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아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0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컨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유닛(100)과, 상부천정벽(5)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유닛(200),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그릴이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천정형 에어컨을 하강시켜 에어컨을 작동함으로써 냉기의 방향을 하향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에어컨, 천정형 에어컨, 흡입그릴, 승강장치

Description

천정형 에어컨{Ceiling embedd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천정형 에어컨은 천정과 천정 마감재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유입한 뒤 공조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기기이다. 천정형 에어컨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은 상부천정벽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에어컨본체 및 상기 에어컨본체의 하측면에 접하는 전면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컨본체의 내부 중앙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아가 설치되고, 상기 블로아의 외측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열교환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본체의 하측면에는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 및 에어컨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에어컨본체의 하측면에 구비된 유출구를 통해 상기 전면판넬에 구비된 토출구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에는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그릴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에 형성된 흡입그릴의 외측 네 변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천정형 에어컨이 상부천정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에어컨의 작동중지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천정형 에어컨의 흡입그릴이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천정형 에어컨이 하부천정벽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므로 내부 인테리어의 미관을 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그릴이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천정형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어컨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부천정벽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유닛,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상부천정벽과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적인 길이를 갖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액체 또는 기체의 매개물을 가압하는 압력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는 일단이 상기 상부천정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유닛에 고정되되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는 상기 압력펌프에 의해 가압되는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로프와,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로프에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부는 상기 상부천정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로프권취기와, 상기 로프권취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권취기는 상기 지지유닛 상면의 대각선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를 권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천정벽의 중앙부에서 다른 로프권취기와 교차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권취기는 상기 지지유닛 상면의 한 변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를 권취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로프권취기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유닛은 다수의 선형부재가 힌지결합된 트러스(truss)구조의 승강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정형 에어컨은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차폐하는 흡입그릴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덮개를 폐쇄하고, 상기 승강유닛이 상기 지지유닛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그릴덮개는 상기 흡입그릴의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흡입그릴을 차폐하는 덮개부, 그리고 상기 덮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흡입그릴의 하부에 설치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단부가 힌지결합하여 연결된 다수의 덮개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을 구동하는 와이어구동모터와, 상기 와이어드럼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휠,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휠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중심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구동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덮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덮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에어컨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차폐하는 에어컨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컨덮개는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유닛을 차폐하는 덮개부, 그리고 상기 덮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단부가 힌지결합하여 연결된 다수의 덮개플레이트로 구 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을 구동하는 와이어구동모터와, 상기 와이어드럼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휠,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휠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중심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구동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덮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덮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정형 에어컨은 상부천정벽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상부천정벽과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적인 길이를 갖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액체 또는 기체의 매개물을 가압하는 압력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는 일단이 상기 상부천정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유닛에 고정되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는 상기 압력펌프에 의해 가압되는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로프와,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로프에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상부천정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로프권취기와, 상기 로프권취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권취기는 상기 지지유닛 상면의 대각선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를 권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천정벽의 중앙부에서 다른 로프권취기와 교차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권취기는 상기 지지유닛 상면의 한 변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를 권취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로프권취기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은 다수의 선형부재가 힌지결합된 트러스(truss)구조의 승강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형 에어컨의 전면판넬 또는 흡입그릴을 차폐하는 에어컨덮개를 구비함으로써 흡입그릴이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컨을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는 천정형 에어컨 을 외부천정벽의 높이까지 승강시키고 에어컨덮개 또는 흡입그릴덮개를 이용하여 전면판넬 또는 흡입그릴을 차폐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형 에어컨을 하강시켜 에어컨을 작동할 수 있으므로 냉기의 방향을 하향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지지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에어컨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본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유닛(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에어컨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105)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유닛(100)의 가장자리에는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1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100)의 상측에는 상기 에어컨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컨본체(10)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아(12)가 설치되고, 상기 블로아(12)의 외측에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4)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4)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받기 위한 응축수받이(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에어컨본체(10)의 블로아(12) 하부에는 상기 에어컨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에어컨필터(1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본체(10)의 상측에는 냉매가 유출입되는 송풍관(18)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송풍관(18)은 상기 에어컨본체(10)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될 수 있는 주름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승강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부천정벽(5)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즉,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승강유닛(200)은 액체 또는 기체를 가압하는 압력펌프를 이용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상부천정벽(5)과 지지유닛(100)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적인 길이를 갖는 실린더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210)는 제 1 실린더(212)와 제 2 실린더(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 다. 상기 제 1 실린더(212)는 일단이 상기 상부천정벽(5)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린더(212)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실린더(214)의 타단이 삽입되고, 상기 제 2 실린더(214)의 타단은 상기 지지유닛(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실린더부(210)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액체 또는 기체의 매개물을 가압하는 압력펌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실린더(212) 및 제 2 실린더(214)는 상기 압력펌프에 의해 가압되는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로부터 천정형 에어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승강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로부터 천정형 에어컨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승강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에 포함된 동력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로프(220)의 구동에 의해 지지유닛(1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유닛(200)을 구비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지지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지지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승강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부천정벽(5)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로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로프(220)는 윗면이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된 지지유닛(100)의 네 개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220)의 일단은 상기 지지유닛(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구동유닛(40)에 구비되는 로프권취기(232)와 연결되어 상기 로프권취기(232)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로프(220)에 제공하는 동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부(230)는 상기 상부천정벽(5)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로프권취기(232)와 상기 로프권취기(23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권취기(232)는 상기 지지유닛(100) 상면의 대각선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로프권취기(232) 에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대향하는 모서리에 연결되는 두 개의 로프(22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34)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대향하는 로프(220) 각각이 동시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권취기(232)는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220)에 연결되므로 상기 동력부(230)는 상기 상부천정벽(5)의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된 두 개의 로프권취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부(230)는 상기 상부천정벽(5)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동력부(230)에는 두 개의 로프권취기(232)가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로프권취기(232)는 각각 두 개의 로프(220)를 권취하도록 설치되어 네 모서리의 로프(220)를 'X'자 형태로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상부천정벽(5)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도르래(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르래(225)는 상기 로프(220)를 상기 로프권취기(232) 쪽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도르래(225)는 상기 상부천정벽(5)의 네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220)가 상기 상부천정벽(5)의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로프권취기(232)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로프권취기(232)의 중앙에는 상기 두 개의 로프(220)가 서로 겹치거나 꼬이지 않고 동시에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220)가 권취되는 구획을 구분하는 구분판(2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권취기(232) 각각은 하나의 로프(2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40)에는 네 개의 로프권취기(2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도르 래(225)가 상기 로프(220)의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써 하나의 로프권취기(232)에 네 개의 로프(220)가 모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로프(220) 대신에 와이어 등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로부터 천정형 에어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승강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로부터 천정형 에어컨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승강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승강유닛(200)은 로프(220)로 구성되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나, 로프권취기(232)와 도르래(225)의 구비 형태가 제 2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지지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지지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승강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부천정벽(5)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로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로프(220)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220)의 일단은 상기 지지유닛(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구동유닛(40)에 구비되는 로프권취기(232)와 연결되어 상기 로프권취기(232)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로프(220)에 제공하는 동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부(230)는 상기 상부천정벽(5)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로프권취기(232)와 상기 로프권취기(23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권취기(232)는 상기 지지유닛(100) 상면의 한 변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를 권취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로프권취기(232)에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이웃하는 모서리에 연결되는 두 개의 로프(22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34)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이웃하는 로프(220) 각각이 동시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로프권취기(232)는 이웃하는 모서리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220)에 각각 연결되므로 상기 동력부(230)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로 프권취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부(230)는 상기 상부천정벽(5)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동력부(230)에는 두 개의 로프권취기(232)가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로프권취기(232)는 각각 두 개의 로프(220)를 권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상부천정벽(5)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도르래(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르래(225)는 상기 로프(220)를 상기 로프권취기(232) 쪽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도르래(225)는 상기 상부천정벽(5)의 네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220)가 상기 상부천정벽(5) 상에 구비되는 상기 로프권취기(232)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로프권취기(232)의 중앙에는 상기 두 개의 로프(220)가 서로 겹치거나 꼬이지 않고 동시에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220)가 권취되는 구획을 구분하는 구분판(2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권취기(232) 각각은 하나의 로프(2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40)에는 네 개의 로프권취기(2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도르래(225)가 상기 로프(220)의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써 하나의 로프권취기(232)에 네 개의 로프(220)가 모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로프(220) 대신에 와이어 등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로부터 천정형 에어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승강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로부터 천정형 에어컨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승강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승강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승강프레임((240)을 포함하는 승강유닛(200)이 구비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지지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지지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지지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승강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부천정벽(5)과 연결하여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로프(220)와,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로프(220)에 제공하는 동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상기 로프(220) 및 동력부(230)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로프(220) 및 동력부(230)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로프(220)를 상기 동력부(230)에 포함된 로프권취기(232)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도르래(2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200)은 다수의 선형부재가 힌지결합된 트러스(truss)구조의 승강프레임(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240)은 복수 개의 선형부재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42)에 의해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240)을 구성하는 상기 선형부재는 각각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다른 선형부재의 단부와 상기 힌지(242)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승강프레임(24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선형부재는 다른 선형부재와 교차하는 중심부 및 양 단부에서 상기 힌지(242)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트러스(truss)구조 또는 팬터그래프(pantograph)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240)은 상기 상부천정벽(5)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체(15)와 상기 지지유닛(100)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5)와 결합되는 상기 승강프레임(240)의 단부에는 슬라이딩 힌지(24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15)에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244)가 상기 지지체(15)와 결합되어 평행한 높이에서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슬롯(2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100)과 결합되는 상기 승강프레임(240)의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이딩 힌지(244)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유닛(100)의 측면에도 상기 슬라이딩 힌지(244)가 상기 지지유닛(100)과 결합되어 평행한 높이에서 좌우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슬롯(246)이 형성된다.
*상기 로프권취기(232)에 의해 상기 로프(220)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100)이 승강하면, 상기 지지체(15)로부터 상기 지지유닛(100) 사이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240)의 수직 길이도 짧아지게 되며, 상기 승강프레임(240)의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244)는 상기 슬롯(246)을 따라 각각 바깥쪽으로 활주된다.
반면, 상기 로프권취기(23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100)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지지체(15)로부터 상기 지지유닛(100) 사이의 길이는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240)의 수직 길이도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프레임(240)의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244)는 상기 슬롯(246)을 따라 각각 안쪽으로 활주된다.
한편, 상기 승강프레임(240)은 상기 지지체(15)와 지지유닛(100) 사이에서 서로 대응되는 네 개의 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15)와 지지유닛(100)의 대응되는 네 개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변에만 설치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제어유닛(미도시)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로부터 천정형 에어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승강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로부터 천정형 에어컨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승강유닛(200)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을 구성하는 에어컨덮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을 구성하는 에어컨덮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지지유닛(100)의 하부를 차폐하는 에어컨덮개(300)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지지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지지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지지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에어컨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컨덮개(300)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에어컨덮개(300)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05)과 상기 지지유닛(10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토출구(110)를 차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컨덮개(300)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10)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12)은 후술할 휠(334) 및 구동휠(335)이 상기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턱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덮개(300)는 상기 가이드부(31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유닛(100)을 차폐하는 덮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320)는 단부가 힌지결합하여 연결된 다수의 덮개플레이트(322)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플레이트(322)는 힌지(242)에 의해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주름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덮개플레이트(322)는 상기 힌지(242)에 의해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242)는 후술할 복수 개의 휠(334)과 교대로 결합되어 커텐식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덮개(300)는 상기 덮개부(3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와이어드럼(331)과 상기 와이어드럼(331)을 구동시키는 와이어구동모터(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30)는 일단이 상기 와이어드럼(331)과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구동휠(335)과 연결되는 와이어(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힌지(242)에 의해 상기 덮개플레이트(322)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휠(334)과 구동휠(335)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은 상기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휠(335)은 회전중심에 상기 와이어(333)가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휠(334)보다 더 바깥쪽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드럼(331)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컨덮개(300)는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방되고, 다시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덮개(300)는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개방되고, 다시 양단으로부터 중심으로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승강유닛(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승강유닛(200) 각각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200)과 에어컨덮개(300)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컨덮개(300)를 동작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폐쇄하고, 상기 승강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100)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컨덮개(300)를 동작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컨덮개(200)의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유닛(100)만을 동작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승강유닛(100)의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덮개(200)만을 동작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흡입그릴(105)을 차폐하는 흡입그릴덮개(400)를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지지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지지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지지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흡입그릴덮 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흡입그릴덮개(4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에어컨덮개(30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에어컨덮개(300)가 상기 지지유닛(100)을 차폐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되는 점에 비해, 상기 흡입그릴덮개(400)는 상기 흡입그릴(105)을 차폐하기 위한 크기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흡입그릴덮개(400)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312) 및 덮개플레이트(322)는 상기 흡입그릴(105)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는 점에서 상기 에어컨덮개(300)와 차이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승강유닛(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승강유닛(200) 각각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은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200)과 흡입그릴덮개(400)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덮개(400)를 폐쇄하고, 상기 승강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100)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덮개(400)를 개 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덮개(400)의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유닛(100)만을 동작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승강유닛(100)의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그릴덮개(400)만을 동작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천정형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을 하강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이 외부천정벽(7)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천정형 에어컨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이 상기 외부천정벽(7)의 내부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천정형 에어컨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컨덮개(300) 또는 흡입그릴덮개(400)는 개방되고, 천정형 에어컨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컨덮개(300) 또는 흡입그릴덮개(400)는 폐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에 의하면, 에어컨을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키고 상기 에어컨덮개(300) 또는 흡입그릴덮개(400)를 동작시킴으로써 흡입그릴(105)의 오염을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을 살펴보면, 제 1 실린더(212)의 일단이 제 2 실린더(214)의 일단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실린더(212) 및 제 2 실린더(214)로 구성되는 실린더부(210)의 길이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210)의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천정벽(5)과 지지유닛(100) 사이의 길이가 가변된다.
상기 제 1 실린더(212)는 일단이 상기 상부천정벽(5)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실린더(214)의 일단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실린더의 타단은 상기 지지유닛(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린더(212) 및 제 2 실린더(214)는 압력펌프(미도시)에 의해 가압되는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압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실린더부(210)에는 작동유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작동유가 송출 또는 귀환됨에 따라 피스톤(미도시)과 로드(미도시)가 동작하며, 상기 피스톤과 로드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실린더(212)가 상기 제 2 실린더(2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린더(212)가 상기 제 2 실린더(21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210)는 길이가 짧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210)에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승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을 살펴보면, 동력부(23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234)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34)와 결합되는 로프권취기(232)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프권취기(232)에 연결된 로프(220)가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로프(220)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로프(220)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을 살펴보면, 구동모터(234)가 구동됨에 따라 로프권취기(232)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프권취기(232)에 연결된 로프가 권취되어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키는 방식에 의해 동작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은 상기 로프권취기(232)와 도르래(225)가 설치되는 위치와 상기 로프(220)를 권취하는 형태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과 서로 다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을 살펴보면, 로프권취기(232)가 작동되어 로프(220)가 권취됨에 따라 지지유닛(100)이 상승하고, 상기 지지유닛(100)이 상승함에 따라 승강프레임(240)을 구성하는 선형부재가 힌지(242)를 축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240)의 단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힌지(244)는 슬롯(246)을 따라 바깥쪽으로 활주되고, 상기 승강프레임(240)의 수직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240)은 상기 지지유닛(100)과 지지체(15) 사이에서 상기 지 지유닛(100)의 상승과 동시에 짧아지고, 하강과 동시에 길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을 안정적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을 살펴보면, 구동부(330)를 구성하는 와이어구동모터(332)가 구동되면, 상기 와이어구동모터(332)에 연결된 와이어드럼(331)이 작동되어 상기 와이어드럼(331)과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333)가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333)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333)의 타단이 연결된 구동휠(335)이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 구동휠(335)이 이동됨에 따라 복수 개의 휠(334)도 상기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휠(334)과 구동휠(335)에 결합되는 덮개플레이트(322)가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플레이트(322)가 펼쳐지면 에어컨덮개(300)는 폐쇄되어 지지유닛(100)을 차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을 구성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은 승강유닛(200)과 상기 에어컨덮개(300)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상기 승강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10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컨덮개(300)를 동작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차폐한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100)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컨덮개(300)를 동작시켜 상기 지지유닛(100)을 개방한다.
이때,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컨덮개(200)의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유닛(100)만을 동작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승강유닛(100)의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덮개(200)만을 동작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흡입그릴덮개(4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에어컨덮개(300)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어컨덮개(300)는 상기 지지유닛(100)을 차폐하기 위해 동작하는 점에 비해, 상기 흡입그릴덮개(400)는 상기흡입그릴(105)을 차폐하기 위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덮개(400)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312) 및 덮개플레이트는 상기 흡입그릴(105)을 차폐하기 위한 크기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와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에어컨덮개(300)와 흡입그릴덮개(400)는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방되고, 다시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방되고, 다시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폐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폐되는 에어컨덮개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폐되는 에어컨덮개의 구조를 살펴본다.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에는 덮개플레이트(322)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휠(33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타단쪽에 구동휠(33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플레이트(322)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에 고정되는 대신,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에 고정 설치된 휠(334)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휠(335)의 회전중심에는 두 개의 와이어(333)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와이어(333)는 각각 서로 다른 두 개의 와이어드럼(331)과 연결된다. 상기 두 개의 와이어드럼(331)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와이어드럼(331) 각각에는 와이어구동모터(332)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의 에어컨덮개가 가이드레일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폐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에어컨덮개(300)를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타단에 구비된 와이어구동모터(332)을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드럼(331)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333)를 권취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333)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333)의 타단에 연결된 구동휠(335)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타단쪽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구동휠(335)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휠(335)과 덮개플레이트(322)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휠(334)이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타단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휠(334)에 연결된 상기 덮개플레이 트(322)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타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상기 에어컨덮개(300)를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에어컨덮개(300)를 가이드레일(312)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폐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에 구비된 와이어구동모터(332)을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드럼(331)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333)를 권취한다. 이어서, 상기 와이어(333)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333)의 타단에 연결된 구동휠(335)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쪽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휠(335)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휠(335)과 덮개플레이트(322)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휠(334)이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휠(334)에 연결된 상기 덮개플레이트(322)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일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상기 에어컨덮개(300)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폐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에어컨덮개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에어컨덮개의 구조를 살펴본다.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에는 덮개플레이트(322)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을 둘로 나누어 그 경계에 해당하는 위치에 두 개의 구동휠(33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플레이트(322)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에 고정되는 대신,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에 고정 설치된 두 개의 휠(334)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구동휠(335)의 회전중심에는 각각 두 개의 와이어(333)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와이어(333)는 각각 서로 다른 두 개의 와이어드럼(331)과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333) 각각에 연결된 두 개의 와이어드럼(331)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단부와 중심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와이어드럼(331)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중심부에 두 개의 와이어드럼(331)이 구비되어 한 개의 가이드레일(312)에 총 네 개의 와이어드럼(3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와이어드럼(331) 각각에는 와이어구동모터(332)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의 에어컨덮개가 가이드레일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에어컨덮개(300)를 가이드레일(312)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에 구비된 각각의 와이어구동모터(332)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드럼(331)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333)를 권취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333)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333)의 타단에 연결된 두 개의 구동휠(335)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두 개의 구동휠(335)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구동휠(335)과 덮개플레 이트(322)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휠(334)이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으로 이동된다.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휠(334)에 연결된 상기 덮개플레이트(322)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상기 에어컨덮개(300)를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에어컨덮개(300)를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으로부터 중심으로 폐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중심에 구비된 각각의 와이어구동모터(332)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드럼(331)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333)를 권취한다. 이어서, 상기 와이어(333)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333)의 타단에 연결된 두 개의 구동휠(335)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중심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두 개의 구동휠(335)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구동휠(335)과 덮개플레이트(322)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휠(334)이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중심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복수 개의 휠(334)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휠(334)에 연결된 상기 덮개플레이트(322)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상기 에어컨덮개(300)를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단으로부터 중심으로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에 포함된 동력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승강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을 구성하는 에어컨덮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천정형 에어컨을 구성하는 에어컨덮개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천정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폐되는 에어컨덮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에어컨덮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상부천정벽 7: 외부천정벽
10: 에어컨본체 12: 블로아
14: 열교환기 15: 지지체
16: 응축수받이 18: 송풍관
19: 에어컨필터 100: 지지유닛
105: 흡입그릴 110: 토출구
200: 승강유닛 210: 실린더부
212: 제 1 실린더 214: 제 2 실린더
220: 로프 225: 도르래
230: 동력부 232: 로프권취기
234: 구동모터 236: 구분판
240: 승강프레임 242: 힌지
244: 슬라이딩 힌지 246: 슬롯
300: 에어컨덮개 310: 가이드부
312: 가이드레일 320: 덮개부
322: 덮개플레이트 330: 구동부
331: 와이어드럼 332: 와이어구동모터
333: 와이어 334: 휠
335: 구동휠 400: 흡입그릴덮개

Claims (15)

  1. 에어컨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차폐하는 에어컨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컨 덮개는,
    에어컨이 가동시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를 개방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에어컨이 비가동시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를 차폐하도록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덮개는,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유닛을 차폐하는 덮개부; 그리고
    상기 덮개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단부가 힌지결합하여 연결된 다수의 덮개플레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을 구동하는 와이어구동모터와;
    상기 와이어드럼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휠;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휠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중심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구동휠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덮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 정형 에어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덮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형 에어컨은,
    상부천정벽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 고정된 에어컨 본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에어컨이 가동시 상기 지지유닛이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에어컨이 비가동시 상기 지지유닛이 상승되도록 상기 승강유닛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상부천정벽과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적인 길이를 갖는 실린더 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액체 또는 기체의 매개물을 가압하는 압력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일단이 상기 상부천정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타단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유닛에 고정되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실린더 및 제 2 실린더는,
    상기 압력펌프에 의해 가압되는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로프와;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로프에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상부천정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로프권취기와;
    상기 로프권취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권취기는,
    상기 지지유닛 상면의 대각선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를 권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천정벽의 중앙부에서 다른 로프권취기와 교차되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권취기는,
    상기 지지유닛 상면의 한 변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로프를 권취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로프권취기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다수의 선형부재가 힌지결합된 트러스(truss)구조의 승강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에어컨.
KR1020090034768A 2009-04-21 2009-04-21 천정형 에어컨 KR10090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768A KR100909084B1 (ko) 2009-04-21 2009-04-21 천정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768A KR100909084B1 (ko) 2009-04-21 2009-04-21 천정형 에어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830A Division KR100902283B1 (ko) 2007-10-23 2007-10-23 천정형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432A true KR20090047432A (ko) 2009-05-12
KR100909084B1 KR100909084B1 (ko) 2009-07-23

Family

ID=4085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768A KR100909084B1 (ko) 2009-04-21 2009-04-21 천정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54Y1 (ko) * 2017-01-25 2018-01-11 장성록 천정형 에어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7778B2 (ja) * 1995-07-28 2006-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KR200293012Y1 (ko) * 2002-07-30 2002-10-25 공현덕 에어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54Y1 (ko) * 2017-01-25 2018-01-11 장성록 천정형 에어컨 장치
WO2018139817A1 (ko) * 2017-01-25 2018-08-02 장성록 천정형 에어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084B1 (ko)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6513A1 (en) Fan coil and air cleaning system
CN102878614B (zh) 一种满足面板升降和风道密封的空调嵌入式室内机
KR100949293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0902283B1 (ko) 천정형 에어컨
AU2007250890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5810658A (en) Interlocking device for closing or opening the suction and exhaust ports in air conditioners
KR101919775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3586249B2 (ja) 空気調和機
JP2007132629A (ja) 仮設設備用エアコン装置
KR100909084B1 (ko) 천정형 에어컨
WO2023174437A1 (zh) 天井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嵌入式空调
KR1013399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91415B1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CN218722140U (zh) 天井机空调
CN110409986A (zh) 内置遮阳中空玻璃制品
CN110030620A (zh) 空调器
JP378012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10111640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706601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および設置方法
KR101260020B1 (ko) 건축물 입구용 절첩 도어장치
CN109357318A (zh) 空调器
JPH10185297A (ja) 空気調和機
KR10078033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1033059A (ja) 空気調和機
KR100269463B1 (ko) 공기조화기용오토셔터블레이드구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