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877A - 청소 기구용 부착물 - Google Patents

청소 기구용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877A
KR20090046877A KR1020097003998A KR20097003998A KR20090046877A KR 20090046877 A KR20090046877 A KR 20090046877A KR 1020097003998 A KR1020097003998 A KR 1020097003998A KR 20097003998 A KR20097003998 A KR 20097003998A KR 20090046877 A KR20090046877 A KR 20090046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attachment
cleaned
suction holes
s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튜어트 로이드 젠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12), 및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28)를 가지는 본체(11)를 포함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10)을 제공한다. 헤드(12)는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각각은 청소될 표면(34, 36)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은 상기 통로(28)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모두는 청소될 표면(34, 36)과 독립적으로 맞닿을 수 있고 헤드(12)와 넥크(14) 사이의 회전 가능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Description

청소 기구용 부착물{AN ATTACHMENT FOR A CLEANING APPLIANCE}
본 발명은 청소 기구, 특히 진공 청소기용 부착물에 관한 것이지만, 오로지 이것에만 관한 것은 아니다.
진공 청소기용 부착물은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진공 청소기는 종종 다양한 목적을 위한 일련의 부착물과 함께 판매된다. 이러한 부착물은 통상적으로 직립형 또는 실린더형 진공 청소기의 원드 또는 호스의 단부에 맞추어져 있다.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는 표면의 먼지를 털어내기 위한 브러시 툴, 계단을 청소기 위한 스테어 툴(stair tool), 큰 부착물은 접근하기 어려워 부착물이 도달하기 힘든 곳을 청소하기 위한 크레비스 툴(crevice tool)을 구비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위해서는, 부착물의 흡입 구멍이 청소해야 할 표면에 가깝게 있거나 접촉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호하게, 전체적인 흡입 구멍은 청소해야 할 표면에 가깝게 있어야만 한다. 부착물의 흡입 구멍과 청소해야 할 표면 사이의 에어 갭이 너무 크면, 흡입 구멍으로 들어오는 공기가 청소해야 할 표면을 지나 또는 표면을 통하여 덜 통과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오물 및 먼지는 덜 픽업될 것이고 진공 청소기의 청소 성능은 떨어질 것이다.
이 문제를 줄이기 위해, 스테어 툴과 같은 진공 청소기용 부착물은 종종 툴 의 헤드와 툴의 연결부(원드 또는 호스의 입에 연결되어 있다)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한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는 흔히 헤드 또는 연결부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데, 원드 또는 호스와 관련해서 헤드의 다양한 각도의 방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로 위치하는 표면을 더 쉽게 청소될 수 있다.
연결부가 회전 가능한 부착물에 대한 다른 예가 GB 2 320 889에 도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2개의 흡입 구멍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브러시 헤드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흡입 구멍은 다양한 청소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넥크(neck)에 대한 헤드의 회전에 의해, 흡입 구멍 중 한 구멍과 넥크 사이의 공기 도관(air conduit)이 열리고, 흡입 구멍 중 다른 구멍과 넥크 사이의 공기 도관을 닫힌다. 이것은, 필요한 청소 동작에 따라 2개의 흡입 구멍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어셈블리의 넥크에 대해 헤드를 회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배치에 공통인 단점은 동작을 위해서는 어떤 형태의 회전 가능한 연결부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이동 가능한 연결부는 사용자가 다양한 표면을 청소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연결부에 대해 헤드의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불편하다. 또한, 사용자는 불쾌하고 비위생적일 수 있는 오물 및 먼지 진공 청소기 액세서리 헤드를 취급하여야 하고 알레르기 고통으로 인한 건강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부분은 종종 하나의 고정 부분보다 제조하는 것이 더 복잡해진다. 또한, 이동 연결부 는 종종 단일의 고정 부분보다 신뢰성이 덜하며 더 고장 나기 쉬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배치보다 더 쉽고 간단한 청소 모드들 사이를 전환할 수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 및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각각은 청소될 표면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상기 통로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모두는 청소될 표면과 독립적으로 맞닿을 수 있고 헤드와 넥크 사이의 회전 가능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양호하게, 제1 및 제2 흡입 구멍 각각은 청소될 표면과 맞닿을 때는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오물 및 먼지가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을 통과할 수 있고 또한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는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을 제공함으로써,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이 표면과 맞닿을 때 표면에 대한 청소가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중 하나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중 다른 하나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중 하나가 청소될 표면에 대해 위치할 때, 오물 및 먼지가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이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중 하나를 통과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이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중 다른 하나는 공기 블리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불려오는 공기에 의해, 사용자가 표면을 따라 툴을 밀기 위해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오물 및 먼지를 픽업하기 위한 부착물의 성능을 방해함이 없이 부착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양호하게, 본체는 세로축을 가지는 넥크를 더 포함하며, 제1 흡입 구멍은 청소될 표면에 대한 상기 세로축의 각도에 따라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또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더욱 양호하게, 상기 제1 흡입 구멍은, 상기 세로축과 상기 청소될 표면 사이의 각도가 45°미만일 때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상기 청소될 표면에 대한 상기 세로축의 각도가 45°이상일 때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세로축을 가지는 넥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흡입 구멍은 청소될 표면에 대한 상기 세로축의 각도에 따라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또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흡입 구멍은, 상기 세로축과 상기 청소될 표면 사이의 각도가 45°일 때는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상기 청소될 표면에 대한 상기 세로축의 각도가 45°미만일 때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부착물의 넥크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흡입 구멍이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도록 청소될 표면에 대해 제1 흡입 구멍 또는 제2 흡입 구멍을 위치시킬 수 있다.
양호하게, 상기 제1 흡입 구멍은 제1 평면에 놓여 있고 상기 제2 흡입 구멍은 제2 평면에 놓여 있으며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제2 평면에 각도를 이루어 놓여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중 하나는 선택적으로 청소될 표면에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이, 부착물에 대한 어떠한 조정을 할 필요 없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표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더욱 양호하게, 상기 제1 평면은 30 내지 60°범위 내에 있는 제2 평면에 대한 각도로 놓여 있다. 이 범위의 각도는 제1 흡입 구멍과 제2 흡입 구멍 사이에서 유용한 각도 차이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계단과 같이 서로 각도를 달리하는 표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양호하게, 상기 통로는 상기 제1 흡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본체로 연장하는 제1 흡입 도관 및 상기 제2 흡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본체로 연장하는 제2 흡입 도관을 포함한다. 2개의 흡입 도관을 서로 떨어뜨려 제공함으로써, 제1 흡입 구멍으로부터 본체에 이르는 경로 및 제2 흡입 구멍으로부터 본체에 있는 경로는 본체 내부에서 서로 떨어져서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흡입 개구는 통로에 직접적으로 열릴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흡입 구멍은 한쪽이 제1 립에 의해 바운드될 수 있고 다른 쪽이 통로로부터 또는 통로 근처로부터 부착물의 측벽 쪽으로 연장할 수 있는 2-부분 파티션에 의해 바운드될 수 있어서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사이에 부분적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흡입 구멍은 한쪽이 제1 립에 대해 헤드의 반대 측 상에 위치하는 제2 립에 의해 바운드될 수 있다. 제2 흡입 구멍의 다른 쪽은 2-부분 칸막이에 의해 바운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착물은 하나 이상의 공기 블리드, 예를 들어, 측-에지 공기 블리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공기 블리드는 부착물의 한쪽 에지 또는 양쪽 에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공기 블리드는 제2 흡입 구멍의 각각의 측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립은 적어도 하나의 보풀 채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립은 적어도 일부의 길이 및 양호하게는 모든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 있는 보풀 채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제1 실시예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부착물의 하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부착물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위치에서의 사용 시에 도 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위치에서의 사용 시에 도 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물의 제2 실시예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부착물의 하부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제1 위치에서의 사용 시에 도 6의 부착물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제2 위치에서의 사용 시에 도 6의 부착물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실린더형의 진공 청소기와 함께 사용되는 부착물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착물(10)을 도시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부착물(10)은 헤드(12)와 넥크(14)를 포함하는 본체(11)를 가진다. 넥크(14)는 실린더형이고 청소 기구,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510)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드 또는 호스(505)의 입에 연결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넥크(14)는 부착물(10)을 원드 또는 호스(505)에 대해 고정하여 유지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510)의 원드 또는 호스(505)의 일부를 잠그도록 배치되어 있는 환형의 오목부(16)를 포함한다. 유연성 있는 호스(500)는 원드(505)를 진공 청소기(510)의 본체(520)에 연결한다. 사이클로닉 분리기 또는 필터 백과 같은 분리기(530)는 오물, 먼지 및 부스러기를 본체(520)로 유입되는 더러운 공기흐름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510)는 실린더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지만 대안으로 직립형 또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헤드(12)는 넥크(14)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헤드(12)는 제1 흡입 구멍(18) 및 제2 흡입 구멍(20)을 포함한다. 제1 흡입 구멍(18)은 한쪽이 제1 립(22)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고 다른 한쪽이 파티션(24)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다. 제2 흡입 구멍(20)은 한쪽이 제1 립(22)에 대해 헤드(12)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제2 립(26)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다. 제2 흡입 구멍(20)의 다른 쪽은 파티션(24)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다. 파티션(24)은 제1 흡입 구멍(18)과 제2 흡입 구멍(20)을 분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는 통로(28)를 더 포함한다. 통로(28)는 넥크(14)로부터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으로 본체(11)를 통해 연장한다.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은 통로(28)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모두가 통로(28)에 대해 동시에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꿔 말하면,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통로(28)를 통해 항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파티션(24)은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통로(28)로 연장한다. 파티션(24)은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에 인접하는 통로(28)의 영역을 제1 흡입 도관(30) 및 제2 흡입 도관(32)으로 분할한다. 공기흐름 경로는 부착물(10)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제1 흡입 구멍(18)으로부터 제1 흡입 도관(30) 및 통로(28)를 따라 넥크(14)의 말단부로 제1 공기흐름 경로가 형성된다. 제2 흡입 구멍(2)으로부터 부착물(10)을 통해 제2 흡입 도관(32) 및 통로(28)를 따라 넥크(14)의 상기 말단부로 제2 공기흐름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각각은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기능하도록 적당한 치수로 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표면을 지나친 부담 없이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은 충분한 크기 및 단면적으로 되어 있어서 오물 및 먼지가 실려 있는 공기가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차단 없이 손쉽게 흐를 수 있 게 한다.
또한,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각각은 공기 블리드(air bleed)로서 기능하도록 적당한 치수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중 하나가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기 위해 청소될 표면에 대해서 위치할 때,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중 다른 하나는 특별한 범위 내에 있는 단위 시간당 공기량을 허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 블리드를 통해 허용된 공기량은, 더러운 공기 입구가 차단된 경우, 진공 청소기가 계속해서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특별한 값 이상이어야만 한다. 또한, 허용된 공기량은 최대값을 초과해서는 안 되며, 그렇지 않으면 부착물(10)의 본체(12)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공기가 더러운 공기 입구를 통하지 않은 채 공기 블리드를 통해 통과할 것이다. 이것은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 더러운 공기 입구에서 이용할 수 있는 흡입량을 줄어들게 하여 청소 동작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은 동일한 단면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흡입 도관(30, 32)의 치수는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 모두가 더러운 공기 입구 또는 공기 블리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절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및 제2 흡입 도관(30, 32)의 부분들은 동일한 단면적으로 되어 있다.
넥크(14)는 자신의 실린더형 부분과 동축 상에 놓여 있는 축 X-X(도 3)을 가진다. 제1 흡입 구멍(18)은 제1 평면 Y-Y에 놓여 있고 제2 흡입 구멍(20)은 제2 평면 Z-Z에 놓여 있다. 제1 평면 Y-Y는 제2 평면 Y-Y에 대해 각도 α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 α는 45°이다.
사용 중에, 부착물(10)은 진공 청소기(510)의 원드 또는 호스(505)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실린더형 넥크(14)를 원드 또는 호스(505)의 입에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환형의 오목부(16)는 잠그어지고 원드 또는 호스(505)의 부분에 대해 고정되며 부착물(10)을 원드 또는 호스(505)에 고정시켜 유지한다. 그런 다음 원드 또는 호스는 진공 청소기(510)에 연결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510)는 공기흐름을 발생하기 위해 모터 및 팬 유닛을 포함한다. 공기흐름은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을 통해 유입되며 제1 및 제2 흡입 도관(30, 32), 통로(28) 및 원드 또는 호스(505)를 따라 진공 청소기의 본체(520)로 통과한다. 진공 청소기(510)는 공기흐름으로부터 오물 및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어떤 형태의 분리 장치(530)를 더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이클로닉 분리기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오물 및 먼지를 분리 장치(530)에 의해 공기흐름으로부터 분리하고 난 후는, 깨끗해진 공기가 진공 청소기(510)로부터 빠져나간다.
사용 중에, 사용자는 부착물(10)을 청소될 표면에 가깝게 대기 위해 원드 또는 호스를 이동시킬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사용 중에 부착물(10)의 다른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제1 위치에 있는 부착물(10)을 나타낸다. 도 4의 제1 위치에서, 제1 흡입 구멍(18)은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청소될 표면과 맞닿아 있다. 제1 위치에서, 제2 흡입 구멍(20)은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공기 블리드의 동작은 더러운 공기 입구에서 흡인력의 추세(tendency)를 감소시켜 부착물(10)을 청소될 표면에 대해 아래로 빨아들인다. 그러므로 제2 흡입 구멍(20)을 통한 공기 블리드는 청소될 제1 표면(34)을 부착물(10)이 더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공기 블리드는 부착물(10)을 통해 원드 또는 호스에 대해 유지되므로 진공 청소기는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닉 분리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경우, 사이클로닉 분리기가 정확하게 동작하고 모터를 잘 작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초당(1/s) 13리터의 영역의 공기흐름이 필요하다.
제1 위치에서, 넥크의 세로축과 청소될 표면(34) 사이의 각도 β는 45°미만이다. 원드 또는 호스(505)는 넥크(14)의 직선 범위(straight extension)를 정상적으로 형성할 것이기 때문에, 넥크(14)의 세로축은 호스 또는 원드의 세로축에 대응할 것이다.
도 5는 제2 위치에서의 사용 시에 부착물(10)을 나타낸다. 제2 위치에서, 제2 흡입 구멍(20)은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청소될 제2 표면(36)에 맞닿아 있다. 청소될 제2 표면(36)은 청소될 표면(34)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청소될 제2 및 제2 표면(34, 36)은 예를 들어 계단의 경우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놓일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제1 흡입 구멍(18)은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공기 블리드는 더러운 공기 입구에서 흡인력의 추세를 감소시켜 부착물(10)을 청소될 표면(36)에 대해 아래로 빨아들이고 진공 청소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이 위치에서, 넥크(14)의 세로축 X-X과 청소될 표면(36) 사이의 각도 β는 45°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 2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부착물(10)을 조정하거나 변경할 필요 없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표면을 진공 청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드 또는 호스의 각도를 단순히 청소될 표면에 대해 변경하는 것으로 계단을 청소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성이 커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0)은 사용하기에 더욱 위생적이다. 부착물(10)은 더 적은 수의 부품을 포함하며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부착물(100)은 헤드(120)와 넥크(140)를 포함하는 본체(110)를 가진다. 넥크(140)는 실린더형이고 청소 기구,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 청소기(510)의 원드 또는 호스(505)의 입에 연결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넥크(140)는 부착물(100)을 원드 또는 호스(505)에 대해 고정하여 유지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510)의 원드 또는 호스(505)의 일부를 잠그도록 배치되어 있는 환형의 오목부(160)를 포함한다.
헤드(120)는 넥크(140)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헤드(120)는 제1 흡입 구멍(180) 및 제2 흡입 구멍(200)을 포함한다. 제1 흡입 구멍(180)은 한쪽이 제1 립(220)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고 다른 한쪽이 파티션(240)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으며, 이 파티션(240)은 제1 립(2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갭이 통로(280) 위에 걸쳐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240)은 제1 파티션(241) 및 제2 파티션(242)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경우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20) 사이에서 헤드(120)를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고 있다.
제2 흡입 구멍(200)은 한쪽이 제1 립(220)에 대해 헤드(120)의 반대 쪽에 위 치하는 제2 립(260)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다. 제2 흡입 구멍(200)의 다른 쪽은 파티션(240)에 의해 부분적으로 바운드되어 있다. 그러므로 파티션(240)은 제1 흡입 구멍(180)을 제2 흡입 구멍(20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통로(280)는 본체(110)를 통해 넥크(140)로부터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으로 연장한다.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은 그러므로 통로(280)로 직접적으로 이어져서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 모두가 통로(280)에 대해 동시에 열려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꿔 말하면,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통로(280)를 통해 항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관련해서,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 각각은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기능하도록 적당한 치수로 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표면을 지나친 부담 없이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은 충분한 크기 및 단면적으로 되어 있어서 오물 및 먼지가 실려 있는 공기가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차단 없이 손쉽게 흐를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 각각은 공기 블리드로서 기능하도록 적당한 치수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 중 하나가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기 위해 청소될 표면에 대해서 위치할 때,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 중 다른 하나는 특별한 범위 내에 있는 단위 시간당 공기량을 허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 블리드를 통해 허용된 공기량 은, 더러운 공기 입구가 차단된 경우, 진공 청소기가 계속해서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특별한 값 이상이어야만 한다. 또한, 허용된 공기량은 최대값을 초과해서는 안 되며, 그렇지 않으면 부착물(100)의 본체(120)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공기가 더러운 공기 입구를 통하지 않은 채 공기 블리드를 통해 통과할 것이다. 이것은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 더러운 공기 입구에서 이용할 수 있는 흡입량을 줄어들게 하여 청소 동작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은 동일한 단면적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길게 뻗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구멍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축들은 넥크의 세로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넥크(140)는 자신의 실린더형 부분과 동축 상에 놓여 있는 축 X-X(도 8)을 가진다. 제1 흡입 구멍(180)은 제1 평면 Y-Y에 놓여 있고 제2 흡입 구멍(200)은 제2 평면 Z-Z에 놓여 있다. 제1 평면 Y-Y는 제2 평면 Y-Y에 대해 각도 α로 배치되어 있다.
사용 중에, 부착물(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공 청소기(510)의 원드 또는 호스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 동안, 공기 흐름은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을 통해 유입되고 진공 청소기(510)의 통로(280) 및 원드 또는 호스(505)를 따라 통과하며, 상기 원드 및 호스는 진공 청소기(510)의 본체(520)에 위치하는 분리 장치(530)에 부착되어 있다.
사용 중에, 사용자는 부착물(100)을 청소될 표면에 가깝게 대기 위해 원드 또는 호스(505)를 이동시킬 것이다. 도 8은 제1 위치에 있는 부착물(100)을 나타 낸다. 이 제1 위치에서, 제1 흡입 구멍(180)은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청소될 표면과 맞닿아 있다. 이 제1 위치에서, 제2 흡입 구멍(200)은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공기 블리드의 동작은 더러운 공기 입구에서 흡인력의 추세를 감소시켜 부착물(100)을 청소될 표면에 대해 아래로 빨아들인다. 그러므로 제2 흡입 구멍(200)을 통한 공기 블리드는 청소될 제1 표면(34)을 부착물(100)이 더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공기 블리드는 부착물(100)을 통해 원드 또는 호스에 대해 유지되므로 진공 청소기는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닉 분리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경우, 사이클로닉 분리기가 정확하게 동작하고 모터를 잘 작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초당(1/s) 13리터의 영역의 공기흐름이 필요하다.
도 9는 제2 위치를 나타낸다. 제2 위치에서, 제2 흡입 구멍(200)은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청소될 제2 표면(360)에 맞닿아 있다. 제2 위치에서, 제1 흡입 구멍(180)은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한다. 공기 블리드는 더러운 공기 입구에서 흡인력의 추세를 감소시켜 부착물(100)을 청소될 표면(360)에 대해 아래로 빨아들이고 진공 청소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흡입 구멍(180, 20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부착물(100)을 조정하거나 변경할 필요 없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표면을 진공 청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드 또는 호스의 각도를 단순히 청소될 표면에 대해 변경하는 것으로 계단을 청소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성이 커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100)은 사용하기에 더욱 위생적이다. 부착물(100)은 더 적은 수의 부품을 포함하며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물은 또한 한 쌍의 측-에지 공기 블리드(side-edge air bleeds)(380, 390)를 더 포함한다. 이들 측-에지 공기 블리드(380, 390)는 제2 흡입 구멍(200)의 각각의 측벽(381, 391)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추가의 공기 블리드(380, 390)는 예를 들어 실내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물 및 먼지를 픽업하도록 위치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립(220, 260)은 보풀 채집기(lint pickers)(400, 410)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풀 채집기(400, 410)는 각각의 립(220, 26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운용된다. 이러한 배치는 헤드의 전체 길이를 따라 더 우수하게 픽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롭다. 이러한 배치는, 표면(340, 360) 위에서 부착물(100)이 사용되는데, 놀랍게도 부착물(100)과 표면(340, 360) 사이의 전체 마찰을 감소시키는 파티션(240)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보풀 채집기와 표면 사이의 높은 마찰로 인해 청소될 표면에 걸쳐 부착물을 조작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전에는 전체적인,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헤드의 폭에 걸쳐 보풀 채집기를 갖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부착물(100)은 청소될 표면에 립(220, 260) 중 하나만이 항상 한 번씩 접촉하고, 다른 표면은 파티션(240)인 마루와 접촉할 할 것이기 때문에 이로우며, 이것은 예를 들어 보풀 채집기로부터 자유로움으로써, 부드러운 표면을 가진다. 그러므로 파티션(240) 때문에, 각각의 립(220, 260)의 전체적인,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길이 를 따라 운용되는 보풀 채집기(400, 410)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한 실시예의 특징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형은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흡입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흡입 구멍의 치수 및 배치는 변할 수 있다. 흡입 구멍들은 동일한 단면적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적어도 2개의 흡입 구멍은 각각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그리고 공기 블리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흡입 구멍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각도와는 다른 여러 각도로 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 구멍은 실시예에서 도시된 각도들과는 다른 넥크의 세로축에 대해 여러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물은 넥크에 대한 헤드의 더 큰 범위의 각도 및 위치가 달성될 수 있도록 또는 전술한 각도가 사용자에 의해 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와 넥크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또는 피봇 가능한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착물은 넥크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원드 또는 호스는 부착물의 헤드에 간단히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는 전술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스테어 툴(stair tool)의 형태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구성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브러시 툴 또는 콤(comb)도 가능하다.
부착물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한 청소 기구는 전술한 청소기와는 다른 형태의 청소기일 수 있다. 진공 청소기는 사이클로닉 분리기 대신, 예를 들어 투과성 백 또는 필터 시스템과 같은 분리 장치를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와는 다른 청소 기구는 예를 들어 카펫 청소기 또는 웨트 및 드라이 머신(wet and dry machine)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3)

  1. 청소 기구용 부착물에 있어서,
    헤드, 및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각각은 청소될 표면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상기 통로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각각은 청소될 표면과 맞닿을 때는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중 하나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중 다른 하나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세로축을 가지는 넥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입 구멍은 청 소될 표면에 대한 상기 세로축의 각도에 따라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또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 구멍은, 상기 세로축과 상기 청소될 표면 사이의 각도가 45°미만일 때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상기 청소될 표면에 대한 상기 세로축의 각도가 45°이상일 때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세로축을 가지는 넥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흡입 구멍은 청소될 표면에 대한 상기 세로축의 각도에 따라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또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 구멍은, 상기 세로축과 상기 청소될 표면 사이의 각도가 45°일 때는 더러운 공기 입구로서 동작하고, 상기 청소될 표면에 대한 상기 세로축의 각도가 45°미만일 때는 공기 블리드로서 동작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 구멍은 제1 평면에 놓여 있고 상기 제2 흡입 구멍은 제2 평면에 놓여 있으며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제2 평면에 각도를 이루어 놓여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은 30 내지 60°범위 내에 있는 제2 평면에 대한 각도로 놓여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적으로 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제1 흡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본체로 연장하는 제1 흡입 도관(conduit) 및 상기 제2 흡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본체로 연장하는 제2 흡입 도관을 포함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제1 및 제2 흡입 도관의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적으로 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상기 통로로 열려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상기 통로에 항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은 파티션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구멍 사이의 부분적 장벽을 형성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공기 블리드를 더 포함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부착물은 상기 헤드의 하나 이상의 측벽 상에 제공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 구멍은 한쪽이 제1 립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고, 상기 제2 흡입 구멍은 한쪽이 상기 제1 립에 대해 헤드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제2 립에 의해 바운드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립의 전체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운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풀 채집기(lint pickers)를 더 포함하는 청소 기구용 부착물.
  21. 실질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거나, 도면에 설명된 바와 같은, 청소 기구용 부착물.
  22.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기구는 진공 청소기인, 청소 기구용 부착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물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097003998A 2006-08-08 2007-07-16 청소 기구용 부착물 KR200900468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615684.8A GB0615684D0 (en) 2006-08-08 2006-08-08 An attachment for a cleaning appliance
GB0615684.8 2006-08-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906A Division KR101269834B1 (ko) 2006-08-08 2007-07-16 청소 기구용 부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877A true KR20090046877A (ko) 2009-05-11

Family

ID=370273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998A KR20090046877A (ko) 2006-08-08 2007-07-16 청소 기구용 부착물
KR1020117022906A KR101269834B1 (ko) 2006-08-08 2007-07-16 청소 기구용 부착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906A KR101269834B1 (ko) 2006-08-08 2007-07-16 청소 기구용 부착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86027B2 (ko)
EP (1) EP2048999B1 (ko)
JP (1) JP5066759B2 (ko)
KR (2) KR20090046877A (ko)
CN (1) CN101500465A (ko)
AT (1) ATE512615T1 (ko)
AU (1) AU2007283501B2 (ko)
GB (1) GB0615684D0 (ko)
TW (1) TW200840538A (ko)
WO (1) WO2008017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6402C2 (ru) * 2008-03-14 2013-10-27 БИССЕЛЛ ХОУМКЭА, Инк. Переносной пылесос для очистки от волос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WO2012080712A1 (en) 2010-12-14 2012-06-21 Dyson Technology Limited A cleaner head
DK3047777T3 (da) * 2015-01-20 2020-01-20 Eurofilters Holding Nv Støvsugerrobot
WO2016123190A1 (en) 2015-01-28 2016-08-04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Surface cleaning head with a valve assembly
USD785884S1 (en) * 2015-09-03 2017-05-02 Mytee Products, Inc. Cleaning attachment
WO2017135699A1 (ko) * 2016-02-05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헤드
JP6707977B2 (ja) * 2016-05-10 2020-06-10 日本電産株式会社 吸引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GB2559992B (en) * 2017-02-23 2022-02-09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An accessory tool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989791A4 (en) 2019-06-26 2024-04-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VACUUM TOOLS
USD1021305S1 (en) * 2023-10-12 2024-04-02 Uproot Lint LLC Cleaning device attachment
USD1028404S1 (en) * 2023-10-24 2024-05-21 Uproot Lint LLC Cleaning device at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794B2 (ko) * 1972-12-18 1978-07-11
DE2602969A1 (de) * 1975-05-02 1977-07-28 Siemens Ag Polsterduese fuer staubsauger
JPS5237863U (ko) * 1975-09-09 1977-03-17
US4694529A (en) 1986-05-06 1987-09-22 Remi Choiniere Suction device
DE4304681C2 (de) 1993-02-16 1996-06-05 Wessel Werk Gmbh Einteilige Staubsaugerdüse
JPH0747040A (ja) 1993-08-06 1995-02-21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US5502870A (en) 1993-12-16 1996-04-02 Ragner; Gary D. Five-function vacuum cleaner nozzle
KR19980054304A (ko) 1996-12-27 1998-09-25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GB0104675D0 (en) 2001-02-24 2001-04-11 Dyson Ltd A tool for a vacuum cleaner
GB2378643A (en) 2001-08-17 2003-02-19 Paul Maheswar Jhuboo Vacuum cleaner with edge suction
GB0126494D0 (en) * 2001-11-03 2002-01-02 Dyson Ltd A floor tool
DE20312836U1 (de) * 2003-08-20 2004-01-22 Mörschel, Siegbert Saugdüse für ein Saugreinigungsgerät
JP2005245933A (ja) 2004-03-08 2005-09-15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GB2401310A (en) 2004-03-12 2004-11-10 Dyson Ltd Vacuum cleaner nozzle attach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40538A (en) 2008-10-16
KR101269834B1 (ko) 2013-05-29
CN101500465A (zh) 2009-08-05
US9186027B2 (en) 2015-11-17
ATE512615T1 (de) 2011-07-15
AU2007283501A1 (en) 2008-02-14
KR20110127724A (ko) 2011-11-25
JP5066759B2 (ja) 2012-11-07
EP2048999A1 (en) 2009-04-22
JP2010500066A (ja) 2010-01-07
GB0615684D0 (en) 2006-09-13
US20100037425A1 (en) 2010-02-18
EP2048999B1 (en) 2011-06-15
AU2007283501B2 (en) 2010-12-02
WO2008017801A1 (en)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834B1 (ko) 청소 기구용 부착물
US7124467B2 (en) Edge cleaning system for vacuum cleaner
JP4938876B2 (ja) 表面処理用ヘッド
KR101338268B1 (ko) 표면 처리 기구용 도구
US5502870A (en) Five-function vacuum cleaner nozzle
US7356874B2 (en) Vacuum cleaner
JP5600509B2 (ja) 表面処理ヘッド
US6807708B2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dual hoses and hose ports
JP5433718B2 (ja) 表面処理ヘッド
CA2522159C (en) Upright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telescopic wand assembly
JP2013141610A (ja) 真空清掃電気器具のための床ツール
US20100223753A1 (en) Floor tool
AU2010272316B2 (en) A surface treating head
CN102802482B (zh) 真空吸尘器棉绒刷子附件
JP2003061883A (ja) 電気掃除機
US7284297B2 (en) Holder for alternately receiving wand or cleaning tool
WO2003039317A1 (en) A cleaning head
KR20210045038A (ko) 솔부가 구비된 청소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9

Effective date: 201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