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469A -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469A
KR20090046469A KR1020070112643A KR20070112643A KR20090046469A KR 20090046469 A KR20090046469 A KR 20090046469A KR 1020070112643 A KR1020070112643 A KR 1020070112643A KR 20070112643 A KR20070112643 A KR 20070112643A KR 20090046469 A KR20090046469 A KR 20090046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sulating
secondary battery
safety vent
ca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989B1 (ko
Inventor
형유업
김용태
추성민
김종구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989B1/ko
Priority to US12/250,812 priority patent/US20090117459A1/en
Priority to EP08167811A priority patent/EP2058876B1/en
Priority to DE602008002884T priority patent/DE602008002884D1/de
Priority to JP2008277660A priority patent/JP5279448B2/ja
Priority to CN2008101728665A priority patent/CN101431164B/zh
Publication of KR2009004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캔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캡조립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캡조립체와 캔을 결합시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일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캡업, 캡업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소자, 안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벤트, 캡업과 안전소자 및 안전 벤트의 외곽부를 감싸는 절연가스킷 및, 절연가스킷의 외곽부에 클램핑된 캡바디를 구비하는 캡조립체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캔의 개구부에 캡바디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캡조립체, 캔, 용접, 안전 벤트, 서브 조립체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조립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캡조립체와 캔을 결합시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콤팩트하고 경량화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 및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기/전자 장치들은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전지 팩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전지 팩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채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전지에는 니켈-카드뮴(Ni-Cd)전지와 니켈-수소(Ni-MH)전지 및 리튬(Li) 전지와 리튬 이온(Li-ion) 이차 전지 등이 있다.
특히, 리튬 이온 전지는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작동 전압이 약 3배나 높다. 또한,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차전지의 제조공정은 개구부가 형성된 캔에 전극조립체를 수용한다. 그런 다음, 캔의 측면에 골을 만드는 비딩공정과,비딩공정 이후에 절연가스킷과 캡 업으로 캔의 개구부를 덮은 후 캔의 개구부를 구부리는 클램핑공정을 시행하여 전극조립체를 밀폐시킨다.
하지만, 상기한 비딩공정은 공정시 오차가 조금만 발생하여도 비딩부위가 파단되거나, 비딩시 금속이물이 전극조립체로 떨어져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또한, 비딩공정이 과도하게 진행된 채로 제조된 이차전지가 노트피씨와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사용되다가 외부 충격들로 인해 비딩부위와 전극조립체가 쇼트되어 발화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캔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캡조립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캡조립체와 캔을 결합시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캔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캔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 최대한으로 줄어든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캔과 결합하는 캡조립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전지의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수율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캔과 결합하는 캡조립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일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캡업, 상기 캡업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소자, 상기 안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벤트, 상기 캡업과 상기 안전소자 및 상기 안전 벤트의 외곽부를 감싸는 절연가스킷 및,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에 클램핑된 캡바디를 포함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 기 캡바디는 상기 캔의 개구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캡바디와 상기 캔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 벤트의 하부에는 서브 조립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조립체는 절연 플레이트, 상기 절연플레이트에 밀착된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접속된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상기 안전 벤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절연시키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일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캡업, 상기 캡업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소자, 상기 안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벤트, 상기 안전 벤트와 상기 안전소자 사이에 배치된 전류 차단 소자, 상기 캡업과 상기 안전소자와 상기 안전 벤트 및 상기 전류 차단 소자의 외곽부를 감싸는 절연가스킷 및,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에 클램핑된 캡바디를 포함하는 캡조립체; 를 포함하며, 상기 캡바디는 상기 캔의 개구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캡바디와 상기 캔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조립체는 상기 안전 벤트와 상기 안전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전류차단소자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안전 벤트는 상기 전류 차단 소자의 일부를 파단시켜 상기 캡업과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기적으로 단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는 테두리 기판, 상기 테두리 기판을 가로 지는 크로스 기판, 상기 크로스 기판 및 테두리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전소자와 전기적 으로 연결된 상부 회로 패턴 및, 상기 크로스 기판 및 테두리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전 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 회로 패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회로 패턴과 상기 하부 회로 패턴은 상기 크로스 기판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전 벤트는 상기 크로스 기판을 파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캔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캔의 개구부와 결합하는 캡조립체는 원형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이차전지들은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이 구성요소들이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가스킷은 캡업의 상부 테부리부 일부를 감싸는 제 1 절연부와, 상기 캡업과 안전 벤트의 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부 및 상기 안전변의 하부 테두리부 일부를 감싸는 제 3 절연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가스킷은 상기 절연가스킷의 상기 제 2 절연부와 상기 제 3 절연부가 만나는 부위에서 상기 안전 벤트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바디는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 가운데 상부 절곡부를 감싸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 가운데 제 3 절연부를 감싸는 제 2 절곡부 및,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를 이으며 캡업의 측면과 안전 벤트의 측면을 감싸는 외곽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바디의 외곽 테두리부 또는 상기 제 2 절곡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은 상기 캔 의 개구부 상부 면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바디의 단턱과 상기 캔이 맞닿는 외곽 부위 가운데 적어도 일부에는 용접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바디와 상기 캔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조립체는 유동방지용 절연판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 방지용 절연판은 상기 캡바디의 제 2 절곡부와 맞닿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면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바디의 제 2 절곡부와 맞닿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중앙에 형성된 통공 주변에 하부 돌출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의 중앙에는 상기 통공의 직경보다 큰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의 상기 통공 주변에는 탭 삽입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면에는 상부 절연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절연판의 상부면에는 불연성 탄성부재가 더 형성되어 상기 캡바디와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캡업과 안전 벤트를 절연가스킷에 삽입하고,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주면을 캡바디로 클램핑하여 캡조립체를 형성하는 클램핑 단계; 일 단부가 개구된 캔에 수용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캡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결합단계; 및 상기 캔과 상기 캡조립체의 캡바디가 맞닿은 부위를 용접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단계에서는 상기 캡업과 상기 안전 벤트 사이에는 안전 소자 또는 회로 기판을 선택적으로 삽입한 후 상기 캡바디를 클링핑하여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 단계를 진행하기 전에는 상기 안전 벤트에 서브 조립체를 부착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단계에서는 상기 절연가스킷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에 상기 캡업과 안전 벤트를 고정시킨 후 상기 캡바디를 클램핑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접단계에서는 상기 캔과 상기 캡조립체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하는 캔의 개구부와 상기 회전하는 캡조립체가 맞닿은 부위에 레이져를 조사시켜 용접하여 상기 캔과 상기 캡조립체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캡조립체와 캔이 결합되어 조립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캡업, 캡바디, 절연가스킷 및, 안전 벤트등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캡조립체가 단일의 부품으로 통합 관리되므로, 자재코드의 간소화, 수입검사의 간소화 및 공정관리 요소들이 대폭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종래에 캔을 비딩하던 공정이 사라지므로, 비딩공정에 의한 금속이물이 캔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캔의 밀폐압을 현재의 20~30 kgf/cm2 에서 30 kgf/cm2 이상의 고압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캔의 내부 압력에 따른 설계의 제약을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종래의 전지보다 캔 내부의 빈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내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기 쉬운 구조로 형성되어 과충전 설계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상부 절연판을 외부로 빼낸 상태에서 전해액을 주액할 수 있어, 전극조립체의 주액성 및 함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지의 균일성이 향상되어 개방전압(OCV)의 전압편차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싸이클 특성 향상으로 인한 전지의 수명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캔의 개구부 가운데 절단된 면은 캡조립체와 용접되기 때문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플래시 도금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종래의 비딩 공정을 생략하게 되므로, 이차 전지의 길이방향에 대한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종래의 이차전지보다 내부 공간을 더 확보하여 전지용량을 더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캡조립체와 전극조립체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판이 캡조립체와 전극조립체 사이에 꽉 끼어 조립될 수 있으므로, 전극조립체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들 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 및 작용에 대해 중복해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캡조립체만이 결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캡조립체의 I-I선을 절개하여 본 캡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b에 도시된 이차전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e는 도 1d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II-II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f는 도 1e에 도시된 안전 벤트가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10), 캔(120), 및, 캡조립체(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차전지(100)는 유동방지용 절연판(1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100)는 서브 조립체(15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사이에 세퍼레이터(113)를 개재하여 적층한 후, 젤리롤 형태로 권취하여 형성된다. 또한, 전극조립체(110)는 양극판(111)에 부착된 양극탭(114)과, 음극판(112)에 부착된 음극탭(115)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조립체(110)의 권취 중심부에는 통로(110a)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110a)에 센터핀(116)이 삽입되어 전극조립체(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양극판(111)은 양극집전체와 양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극 활물질층은 리튬을 포함하고 있는 층상화합물과,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바인더, 전 도성을 향상시키는 도전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양극활물질층에서 발생하는 전하의 이동 통로가 되고 양극활물질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음극판(112)은 음극집전체와 음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음극활물질층은 탄소를 함유하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하드 카본과, 혹은 흑연, 활물질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구리가 사용되며 음극활물질층에 발생하는 전하의 이동 통로가 되고 음극활물질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을 절연하고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의 전하들은 통과시킨다. 일반적으로 세퍼레이터(113)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캔(120)은 일 단부에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전극조립체(110)를 수용한다. 또한, 캔(120)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캔(120)의 하부면에는 하부 절연판(142)이 삽입되어 전극조립체(110)의 하부면과 캔(120)을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절연판(142)은 음극탭(115)을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에 음극탭(115)이 통과하여 캔(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캡조립체(130)는 캡업(131), 안전소자(132), 안전 벤트(133), 절연가스킷(134) 및, 캡바디(135)를 포함한다. 도 1b와 도 1c에 도시된 캡조립체(130)는 캡 업(131), 안전소자(132), 안전 벤트(133), 절연가스킷(134) 및, 캡바디(13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이다.
상기 캡업(131)은 원형판(131a)과 상기 원형판(131a)의 중앙에서 돌출된 돌출부(131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캡업(131)은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통공(131c)이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캡업(131)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소자(132)는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안전소자(132)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안전소자(132)는 PTC 소자로 형성될 수 있는데, PTC소자로 형성된 안전 소자(132)는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 사이에 과전류가 일정 시간 흐르거나,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 사이의 온도가 임계값 이상으로 상승시에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 사이의 전류를 차단하여 이차전지(100)의 과열 및 폭발을 방지한다.
상기 안전 벤트(133)는 상기 안전소자(132)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안전 벤트(133)는 하부에 돌출부(133a)를 구비하며, 돌출부(133a)의 중앙에는 중앙홈(133b) 및 중앙홈(133b)을 기준으로 하는 십자홈(133c)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전 벤트(133)는 캔(120)의 내부 압력 상승시 상부로 팽창되어 중앙홈(133b)과 십자홈(133c)의 주변이 파단된다. 그로 인해 캔(120)의 내부에 차있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차전지(100)의 폭발을 방지한다. 한편, 안전 벤트(133)는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안전소자(132)와 전극조립체(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 다.
상기 절연가스킷(134)은 외곽 원주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캡업(131)과 상기 안전 벤트(133)의 외곽 원주부를 감싼다. 도 1a에 도시된 절연가스킷(134)은 상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가스킷(134)은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가 절연가스킷(134)에 감싸진 상태에서 제 1 절연부(134a)와 제 2 절연부(134b) 및, 제 3 절연부(134c)를 구비한다. 제 1 절연부(134a)는 캡업(131)의 상부 외곽부를 감싸고, 제 3 절연부(134c)는 안전 벤트(133)의 하부 외곽부를 감싼다. 또한, 제 2 절연부(134b)는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의 측부 외주면을 감싼다. 이러한 절연가스킷(134)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나 PE(Polyethylene)와 같은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가스킷(134)은 제 2 절연부(134b)와 제 3 절연부(134c)가 만나는 부위에 안전 벤트(133)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스토퍼(134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34d)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전 벤트(133)의 하부 외곽부가 걸치게 형성되므로, 안전 벤트(133)와 안전소자(132) 및 캡업(131)이 절연가스킷(134)에 1차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도 1c와 도 1e에 도시된 스토퍼(134d)의 형상은 캡바디(135)가 클램핑 되는 공정에 의해 변형된 스토퍼(134d)의 형상이다.
상기 캡바디(135)는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를 감싸고 있는 절연가스킷(134)의 외곽 원주부를 감싼다. 여기서, 캡바디(135)는 제 1 절곡부(135a)와 제 2 절곡부(135b), 외곽 테두리부(135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 1 절곡부(135a)는 절연가스킷(134)의 외곽 원주부 가운데 제 1 절연부(134a)를 감싼다. 제 2 절곡 부(135b)는 절연가스킷(134)의 외곽 원주부 가운데 제 3 절연부(134c)를 감싼다. 외곽 테두리부(135c)는 제 1 절곡부(135a)와 제 2 절곡부(135b)를 연결하며 제 2 절연부(134b)를 감싼다. 이 경우, 외곽 테부리부(135c)의 외주면에는 단턱(135d)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135d)은 제 1 단턱(135d1)과, 상기 제 1 단턱(135d1)보다 깊은 깊이로 이어지는 제 2 단턱(135d2) 및 상기 제 2 단턱(135d2)에서 깊은 깊이로 이어지는 제 3 단턱(135d3)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턱(135d) 중 제 1 단턱(135d1)은 상기 캔(120)의 개구부 상부 면과 맞닿게 된다.
또한, 상기 캡바디(135)와 상기 캔(120)이 맞닿는 외곽 부위 가운데 적어도 일부에는 용접부(136)가 형성된다. 도 1d에서는 캡바디(135)와 캔(120)이 맞닿은 부위인 원주부에 용접부(136)가 형성되었다. 여기서, 용접부(136)는 캡바디(135)와 상기 캔(120)이 맞닿는 부위 가운데 외곽 전체를 둘러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부(136)는 캡조립체(130)와 캔(120)을 밀폐시키는 역할 하게 되므로, 캔(120)의 내부에 형성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기 않게 차단하고, 내부가 공기와 접촉되지 않게 하여 습기를 차단한다.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140)은 상부 면의 외곽부에 상부 돌출부(14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돌출부(141)는 캡바디(135)의 제 2 절곡부(135c)와 맞닿게 된다. 반면, 유동방지용 절연판(140)의 하부면은 전극조립체(110)의 상부면과 맞닿게 된다. 따라서, 유동방지용 절연판(140)은 캡바디(135)와 전극조립체(110) 사이에 압착 되므로, 전극조립체(11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유동방지용 절연판(140)의 중앙에는 통공(140a)이 형성되어 있다. 통 공(140a)은 전극조립체(110) 및 전해액에서 발생된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이다. 또한, 중앙에 형성된 통공(140a) 주변에는 하부 돌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142)는 전극조립체(110)에 형성된 센터홀(110a)에 삽입되어 유동방지용 절연판(140)과 전극조립체(110)를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전극조립체(110)는 하부 돌출부(142)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유동방지용 절연판(140)의 중앙에는 양극탭(114)dl 접혀져 수용되는 안착홈(140b)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40b)은 양극탭(114)이 무리하게 꺽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로에 의한 양극탭(114)의 파단을 방지한다.
또한, 유동방지용 절연판(140)은 탭 삽입홀(140c)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탭 삽입홀(140c)을 통해 양극탭(114)이 통과될 수 있다. 탭 삽입홀(140c)은 양극탭(114)을 통과시키게 되고, 양극탭(114)이 접혀질 시에 전극조립체(110)의 상부와 쇼트되지 않게 한다. 또한, 탭 삽입홀(140c)을 통과한 양극탭(114)은 일정 부분에 한하여 유동이 방지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양극탭(114)의 피로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탭 삽입홀(140c)이 형성되지 않은 절연판(미도시)을 사용하게 될 시에는 양극탭(114)은 중앙홀(110a)을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조립체(150)는 안전 벤트(133)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 조립체(150)는 절연 플레이트(151)와 절연플레이트(151)에 밀착된 메인 플레이트(152) 및 메인 플레이트(152)에 접속된 서브 플레이트(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151)는 안전 벤트(133)와 메인 플레이트(152)를 절연시 킨다. 이 경우, 절연 플레이트(151)는 메인플레이트(152)의 원주 외곽부에만 형성되어 안전 벤트(133)와 메인 플레이트(152)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52)는 메인 플레이트(152)의 지름보다 작은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 돌출부의 중앙에는 중앙홀(152a)이 형성된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152)에 형성된 중앙홀(152a)의 주변에는 캔(120)의 내부가스 배출을 원할히 하기 위한 홀(152b)들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153)는 메인 플레이트(152)의 중앙홀(152a)을 덮도록 메인 플레이트(152)의 하부에 접속된다. 또한, 서브 플레이트(153)는 안전 벤트(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플레이트(153)에는 양극탭(114)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 벤트(133)의 하부 면에 부착된 서브 조립체(150)의 일부는 절연플레이트(151)에 의해 안전 벤트(133)와 절연된다. 또한, 서브 조립체(150)의 나머지 일부인 서브 플레이트(153)는 양극탭(114)과 안전 벤트(13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도 1f를 참조하면, 도 1f는 캔(12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변형된 안전 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벤트(133)는 캔(120)의 내부 압력이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되었을 때, 안전 벤트(133)의 중앙홈(133b)의 주변은 상부로 돌출되어 변형된다. 이 경우, 안전 벤트(133)는 중앙홈(133b)의 주변이 파단되어 캔(120)의 내부에 형성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안전 벤트(133)는 중앙홈(133b)의 변형에 의해 서브 플레이트(153)와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된다. 따라서, 이차전지는 서브 조립체(150)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캡조립체(130)와 캔(120)이 결합하여 조립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캔(120)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캔(120)의 개구부와 결합하는 캡조립체(130)는 원형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캡조립체(130)는 원형이기 때문에 한번의 공정으로 클램핑이 되기 쉬운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캔(120)과 상기 캡조립체(130)를 결합하여 형성된 원통형의 이차전지(100)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캔(120)과 캡조립체(130)의 맞닿은 부위에 레이저 용접이 시행되므로, 용접이 매우 간단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0)는 전극조립체(110), 캔(120) 및, 캡조립체(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이차전지(200)는 상부 절연판(241)과, 상기 상부 절연판(241)과 상기 캡조립체(130)에 사이에 형성된 불연성 탄성부재(242)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조립체(110), 캔(120) 및, 캡조립체(130)를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절연판(241) 및, 불연성 탄성부재(242)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절연판(241)은 전극조립체(110)의 상부면을 절연한다. 이러한 상부 절연판(241)은 원형의 판형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 홀(241a)이 형성된다. 또한, 상 부 절연판(241)은 중앙에 형성된 홀(241a)의 주변에서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241b)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돌출부(241b)는 전극조립체(110)의 중앙홀(110a)에 삽입되어 전극조립체(110)와 결합된다.
상기 불연성 탄성부재(242)는 상부 절연판(241)의 상부에 형성되고, 불연성 탄성부재(242)의 중앙에는 홀(242a)을 형성되는데, 홀(242a)은 양극탭(114)이 접혀져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불연성 탄성부재(242a)의 상부 외곽에는 캡바디(135)와 맞닿는 상부 돌출부(242b)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돌출부(242b)는 캡바디(135)와 맞닿으며, 캡바디(135)의 제 2 절곡부(135c)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불연성 탄성부재(242)의 하부에 배치된 상부 절연판(241)은 전극조립체(110)의 상부면을 누룰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전극조립체(110)는 하부방향으로 힘을 받게되므로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불연성 탄성부재(242)는 전극조립체(110)가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전극조립체(110)의 유동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차전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3b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III-III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c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전류 차단 소자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300)는 전극조립체(110), 캔(120) 및, 캡조립체(33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캡조립체(330)는 캡업(131), 안전소자(132), 안전 벤트(333), 절연가스킷(134), 캡 바디(135), 전류 차단 소자(336)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소자(132)를 원형 PTC소자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전류 차단 소자(336)와 안전 벤트(333)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류 차단 소자(336)는 원형 링 형상의 테두리 기판(336a)과, 상기 테두리 기판(336a)을 가로지르는 크로스 기판(336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전류 차단 소자(336)에는 회로 패턴(336c,336d)이 형성된다. 회로 패턴(336c,336d)은 크로스 기판(336b)과 테두리 기판(336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회로 패턴(336c)과 크로스 기판(336b)과 테두리 기판(336a)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회로 패턴(336d)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회로 패턴(336a)과 하부 회로 패턴(336d)은 크로스 기판(336b)의 중앙에 형성된 비아홀(336a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전 벤트(333)는 돌출홈(333a)이 하부로 형성되고, 전류 차단 소자(336)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안전 벤트(333)는 캔(120)의 내부 압력이 임계값 이상으로 상승시 돌출홈(333a)의 원주부가 상승되어 크로스 기판(336b)의 중앙을 파단시킨다. 그로 인해 안전 벤트(333)와 안전소자(132)는 전기적으로 단전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 경우, 안전 벤트(333)의 중앙은 파단되어 캔(120)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시킨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b 내지 도 4f는 는 도 4a에 도시된 제조공정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클램핑 단계(S1), 결합 단계(S2) 및, 용접 단계(S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하였던 캡업(131)과, 안전소자(132), 절연가스킷(134) 및 캡바디(135)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130) 및, 서브조립체(150)를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단계(S1)에서는 캡업(131)과, 안전소자(132) 및, 안전 벤트(133)를 순차적으로 절연가스킷(134)의 제 1 절연부(134a)에 맞닿게 삽입한다. 이 경우, 절연가스킷(134)의 외곽부에는 캡바디(135)의 제 1 절곡부(135a)가 절연가스킷(134)의 제 1 절연부(134a)를 감싼 형태로 된다. 이 경우, 서브조립체(150)의 서브 플레이트(153)는 용접등의 공정에 의해 안전 벤트(133)의 중앙홈(13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바디(135)의 제 2 절곡부(135c)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 2 절곡부(135c)는 안전 벤트(133)의 밀착되어 캡업(131)과 안전 벤트(133) 사이를 밀폐시킨다. 이후의 공정으로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바디(133)의 외주면에 단턱(135d)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싱 공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단턱은 제 1 단턱(135d1)과 제 2 단턱(135d2)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단턱(135d1)은 캔(120)의 개구부와 맞닿기 위한 면이며, 제 2 단턱(135d2)은 프레싱 공정에 의한 제 1 단턱(135d1)의 과도한 소성 변형을 방지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단계(S2)에서는 전 단계(S1)에서 형성된 캡조립체(130)의 서브플레이트(153)와 캔(120)에 수용된 전극조립체(110)의 양극 탭(114)을 용접등으로 접합시킨다. 이 경우 캔(120)에 수용된 전극조립체(110)는 음극탭이 캔(120)의 내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며, 캔(120)의 내측 및 전극조립체(110)는 전해액이 주액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캡조립체(130)를 캔(120)의 개구부와 결합시킨다. 이 경우, 캔(120)과 캡조립체(130)의 결합은 캡바디(135)에 형성된 제 1 단턱(135d1)을 캔(120)의 개구부 상부면에 밀착시켜 결합한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단계(S3)에서는 캔(120)의 개구부와 캡조립체(130)가 맞닿은 부위에 레이져 용접 장치(450)로 레이져(451)를 조사하여 용접시킨다. 이 경우,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은 용접성을 향상시키고, 용접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캡조립체(130)와 캔(120)을 지그(460)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캔(120)의 개구부와 캡조립체(130)가 맞닿은 부위를 용접시킬 수 있다.
상기한 단계(S1,S2,S3)들을 거쳐 제조된 이차전지는 제조공정이 종래의 공정보다 줄어들어 수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도 종래의 공정보다 월등히 뛰어나다. 또한, 제조 단가가 절감되어, 종래의 제조 방법보다 저렴하게 되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클램핑 단계(S1)에서는 캡업(131)과 안전소자(132), 서브 조립체(150)를 절연가스킷(134)의 제 1 절연부(134a)와 순차적으로 결합시킬때, 절연가스킷(134)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134d)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스토퍼(134d)는 캡업(131)과 안전소자(132), 안전 벤트(133)를 절연가스킷(134)의 제 1 절연부(134a)에 밀착시킴으로 인해, 스토퍼(134d)가 안전 벤트(133)의 하면에 걸쳐 있게 된다. 따라서, 캡업(131)과 안전소자(132) 및 안전 벤트(133)는 스토퍼(134d)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바디(135)의 제 2 절곡부(135c)를 형성하는 클램핑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캡업(131)과 안전소자(132), 안전 벤트(133)가 스토퍼(134d)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캡바디(135)가 클램핑 될때의 조립오차를 줄여 이차전지의 수율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캡조립체만이 결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캡조립체의 I-I선을 절개하여 본 캡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b에 도시된 이차전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e는 도 1d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II-II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f는 도 1e에 도시된 안전 벤트가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차전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3b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III-III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c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전류 차단 소자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b 내지 도 4f는 는 도 4a에 도시된 제조공정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이차전지
110 ; 전극조립체 111 ; 양극판
112 ; 음극판 113 ; 세퍼레이터
114 ; 양극탭 115 ; 음극탭
116 ; 센터핀 120 ; 캔
130 ; 캡조립체 131 ; 캡업
132 ; 안전소자 133, 333 ; 안전 벤트
134 ; 절연가스킷 134a ; 제 1 절연부
134b ; 제 2 절연부 134c ; 제 3 절연부
134d ; 스토퍼 135 ; 캡바디
135a ; 제 1 절곡부 135b ; 제 2 절곡부
135c ; 외곽 테두리부 135d ; 단턱
135d1 ; 제 1 단턱 135d2 ; 제 2 단턱
140 ; 유동방지용 절연판 150 ; 서브 조립체
151 ; 절연 플레이트 152 ; 메인 플레이트
153 ; 서브 플레이트 241 ; 상부 절연판
242 ; 불연성 탄성부재 336 ; 전류 차단 소자
336a ; 테두리 기판 336b ; 크로스 기판
336c, 336d ; 회로 패턴 336a1 ; 비아홀
450 ; 레이져 용접 장치

Claims (30)

  1. 전극조립체;
    일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캡업, 상기 캡업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소자, 상기 안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벤트, 상기 캡업과 상기 안전소자 및 상기 안전 벤트의 외곽부를 감싸는 절연가스킷 및,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에 클램핑된 캡바디를 포함하는 캡조립체;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바디는 상기 캔의 개구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캡조립체가 상기 캔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가스킷은 캡업의 상부 테두리부 일부를 감싸는 제 1 절연부와, 상기 캡업과 안전 벤트의 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부 및, 상기 안전 벤트의 하부 테두리부 일부를 감싸는 제 3 절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가스킷은 상기 절연가스킷의 상기 제 2 절연부와 상기 제 3 절연부가 만나는 부위에서 상기 안전 벤트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는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 가운데 상기 제 1 절연부를 감싸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 가운데 제 3 절연부를 감싸는 제 2 절곡부 및,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를 이으며 상기 절연가스킷의 제 2 절연부를 감싸는 외곽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의 외곽 테두리부 또는 상기 제 2 절곡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의 단턱과 상기 캔이 맞닿는 외곽 부위 가운데 적어도 일부에는 용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의 제 2 절곡부와 맞닿으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면과 맞닿는 유동방지용 절연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의 제 2 절곡부와 맞닿는 상부 돌출부;및,
    상기 중앙에 형성된 통공 주변에 하부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의 중앙에는 상기 통공의 직경보다 큰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의 상기 통공 주변에는 탭 삽입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면에는 상부 절연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절연판의 상부면에는 불연성 탄성부재가 더 형성되어 상기 캡바디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캔의 개구부와 결합하는 캡조립체는 원형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벤트의 하부에는 서브 조립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서브 조립체는
    절연 플레이트;
    상기 절연플레이트에 밀착된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접속된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상기 안전 벤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절연시키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전극조립체;
    일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캡업, 상기 캡업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소자, 상기 안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 벤트, 상기 안전 벤트와 상기 안전소자 사이에 배치된 전류 차단 소자, 상기 캡업과 상기 안전소자와 상기 안전 벤트 및 상기 전류 차단 소자의 외곽부를 감싸는 절연가스킷 및,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에 클램핑된 캡바디를 포함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바디는 상기 캔의 개구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캡바디와 상기 캔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벤트는 상기 전류 차단 소자의 일부를 파단시켜 상기 캡업과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기적으로 단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는
    테두리 기판;
    상기 테두리 기판을 가로지르는 크로스 기판;
    상기 크로스 기판 및 테두리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회로 패턴; 및
    상기 크로스 기판 및 테두리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전 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회로 패턴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 회로 패턴과 상기 하부 회로 패턴은 상기 크로스 기판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전 벤트는 상기 크로스 기판을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가스킷은 캡업의 상부 테두리부 일부를 감싸는 제 1 절연부와, 상기 캡업과 안전 벤트의 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부 및 상기 안전 벤트의 하부 테두리부 일부를 감싸는 제 3 절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 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가스킷은 상기 절연가스킷의 상기 제 2 절연부와 상기 제 3 절연부가 만나는 부위에서 상기 안전 벤트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는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 가운데 상기 제 1 절연부를 감싸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곽부 가운데 제 3 절연부를 감싸는 제 2 절곡부 및,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를 이으며 상기 절연가스킷의 제 2 절연부를 감싸는 외곽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의 외곽 테두리부 또는 상기 제 2 절곡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의 단턱과 상기 캔이 맞닿는 외곽 부위 가운데 적어도 일부에는 용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캡바디의 제 2 절곡부와 맞닿으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맞닿는 유동방지 용 절연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캡바디의 제 2 절곡부와 맞닿는 상부 돌출부; 및,
    상기 중앙에 형성된 통공 주변에 하부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의 중앙에는 상기 통공의 직경보다 큰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용 절연판의 상기 통공 주변에는 탭 삽입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면에는 상부 절연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절연판의 상부면에는 불연성 탄성부재가 더 형성되어 상기 캡바디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캔의 개구부와 결합하는 캡조립체는 원형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6. 캡업과 안전 벤트를 절연가스킷에 삽입하고, 상기 절연가스킷의 외주면을 캡바디로 클램핑하여 캡조립체를 형성하는 클램핑 단계;
    일 단부가 개구된 캔에 수용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캡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결합단계; 및
    상기 캔과 상기 캡조립체의 캡바디가 맞닿은 부위를 용접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단계에서는
    상기 캡업과 상기 안전 벤트 사이에는 안전 소자 또는 전류 차단 소자를 선택적으로 삽입한 후 상기 캡바디로 클링핑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단계 이전에
    상기 안전 벤트에 서브 조립체를 부착하는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단계에서는
    상기 절연가스킷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에 상기 캡업과 안전 벤트를 고정시킨 후 상기 캡바디를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에서는
    상기 캔과 상기 캡조립체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하는 캔의 개구부와 상기 회전하는 캡조립체가 맞닿은 부위에 레이져를 조사시켜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0070112643A 2007-11-06 2007-11-06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643A KR100947989B1 (ko) 2007-11-06 2007-11-06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12/250,812 US20090117459A1 (en) 2007-11-06 2008-10-14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8167811A EP2058876B1 (en) 2007-11-06 2008-10-29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e
DE602008002884T DE602008002884D1 (de) 2007-11-06 2008-10-29 Sekundärbatteri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8277660A JP5279448B2 (ja) 2007-11-06 2008-10-29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8101728665A CN101431164B (zh) 2007-11-06 2008-11-05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643A KR100947989B1 (ko) 2007-11-06 2007-11-06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469A true KR20090046469A (ko) 2009-05-11
KR100947989B1 KR100947989B1 (ko) 2010-03-18

Family

ID=4029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643A KR100947989B1 (ko) 2007-11-06 2007-11-06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17459A1 (ko)
EP (1) EP2058876B1 (ko)
JP (1) JP5279448B2 (ko)
KR (1) KR100947989B1 (ko)
CN (1) CN101431164B (ko)
DE (1) DE602008002884D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408B1 (ko) * 2011-08-18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101293208B1 (ko) * 2010-03-22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
US8501333B2 (en) 2010-10-21 2013-08-06 Lg Chem,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310731B1 (ko) * 2010-03-22 2013-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US8603668B2 (en) 2009-12-22 2013-12-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446153B1 (ko) * 2010-11-15 2014-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이러한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46161B1 (ko) * 2011-08-17 2014-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453783B1 (ko) * 2010-10-15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8980463B2 (en) 2010-03-22 2015-03-17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cover assembly employed therein
KR20190104687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9072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11656570A (zh) * 2017-12-13 2020-09-11 三星Sdi株式会社 二次电池
WO2020263039A1 (ko) * 2019-06-28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KR20210052590A (ko) * 2016-06-23 2021-05-10 테슬라, 인크. 용접된 배터리 캡을 갖는 배터리 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425B1 (ko) * 2008-12-24 2011-08-1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062787B2 (en) 2009-09-11 2011-11-2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KR20110048774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156240B1 (ko) * 2009-12-08 2012-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802281B2 (en) 2010-08-05 2014-08-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movement prevention tape
JP5232840B2 (ja) * 2010-09-03 2013-07-10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98294B1 (ko) * 2010-10-04 2012-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184403B1 (ko) * 2010-10-21 2012-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281038B1 (ko) * 2010-12-07 2013-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229229B1 (ko) * 2010-12-28 2013-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이차전지용 탑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973048B1 (ko) * 2012-08-06 2019-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및 제조 방법
KR102052063B1 (ko) * 2013-01-11 2019-1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716260B2 (en) * 2013-04-16 2017-07-25 Soode Nagano Co., Ltd. Battery case
KR102246728B1 (ko) * 2014-07-25 2021-04-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절연층을 갖는 이차 전지
KR101826389B1 (ko) 2014-08-22 2018-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20170081449A (ko) * 2016-01-04 201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767347B1 (ko) * 2016-12-06 2017-08-23 전천석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
KR102345403B1 (ko) * 2017-08-14 2021-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압용 마스크 및 가압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탑 캡 어셈블리와 전극 탭을 결합시키는 방법
KR102263435B1 (ko) * 2017-09-13 2021-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CN108091786A (zh) * 2018-03-07 2018-05-29 江苏镭腾能源科技有限公司 动力锂电池盖帽
WO2019179206A1 (en) * 2018-03-23 2019-09-26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Battery cell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KR102323809B1 (ko) 2018-06-18 2021-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벤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95153B1 (ko) * 2019-03-20 2023-10-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절연판 및 그 절연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618121B1 (ko) * 2019-05-22 2023-1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210021841A (ko) * 2019-08-19 2021-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EP4084173A1 (en) 2020-09-15 2022-11-02 LG Energy Solution, Ltd.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JP2023542596A (ja) * 2020-11-11 2023-10-11 ジアンス・コンテンポラリー・アンプ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電池セル、電池、電力消費機器及び電池製造方法
CN112467268A (zh) * 2020-11-30 2021-03-09 惠州市恒泰科技股份有限公司 纽扣电池的制备方法及其纽扣电池
US20230063841A1 (en) * 2021-01-14 2023-03-02 Lg Energy Solution, Lt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ell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2787004B (zh) * 2021-03-12 2022-12-27 惠州市超聚电池有限公司 钢壳扣式电池封装结构及钢壳扣式电池
EP4358283A1 (en) * 2021-12-13 2024-04-24 LG Energy Solution, Ltd. Cap assembly,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0308A (en) * 1994-05-02 1996-03-19 Rayovac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n inner seal member
JPH0864198A (ja) * 1994-08-24 1996-03-08 Ship & Ocean Zaidan スパイラル形電池
KR200152092Y1 (ko) * 1995-12-28 1999-07-15 정강환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장치
CN1178314C (zh) * 1996-07-09 2004-12-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可充电电池及可充电电池用安装封口板
JP3956456B2 (ja) 1997-12-26 2007-08-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円筒形電池用防爆封口板
JP4284712B2 (ja) * 1998-03-10 2009-06-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電池用防爆封口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密閉型電池
US6524739B1 (en) * 1998-08-25 2003-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 battery
TWI224881B (en) * 2000-01-14 2004-12-01 Sony Corp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secondary battery
JP2003142146A (ja) * 2001-10-31 2003-05-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KR100551396B1 (ko) * 2003-10-15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일체형 캡조립체를 갖는 이차전지 및 일체형 캡조립체형성 방법
JP4806936B2 (ja) * 2005-02-03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電池
KR100670526B1 (ko) * 2005-03-0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0719725B1 (ko) * 2005-12-29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EP2102926A4 (en) * 2006-12-05 2011-01-05 Moon Seung J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3668B2 (en) 2009-12-22 2013-12-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980463B2 (en) 2010-03-22 2015-03-17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cover assembly employed therein
KR101310731B1 (ko) * 2010-03-22 2013-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101293208B1 (ko) * 2010-03-22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
KR101453783B1 (ko) * 2010-10-15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8501333B2 (en) 2010-10-21 2013-08-06 Lg Chem,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446153B1 (ko) * 2010-11-15 2014-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이러한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46161B1 (ko) * 2011-08-17 2014-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279408B1 (ko) * 2011-08-18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20210052590A (ko) * 2016-06-23 2021-05-10 테슬라, 인크. 용접된 배터리 캡을 갖는 배터리 셀
CN111656570A (zh) * 2017-12-13 2020-09-11 三星Sdi株式会社 二次电池
CN111656570B (zh) * 2017-12-13 2023-06-13 三星Sdi株式会社 二次电池
KR20190104687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9072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20263039A1 (ko) * 2019-06-28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CN113728497A (zh) * 2019-06-28 2021-11-30 株式会社Lg新能源 包括正极接片固定构件的圆柱形二次电池
CN113728497B (zh) * 2019-06-28 2023-07-25 株式会社Lg新能源 包括正极接片固定构件的圆柱形二次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1164B (zh) 2013-06-26
CN101431164A (zh) 2009-05-13
JP2009117362A (ja) 2009-05-28
EP2058876A1 (en) 2009-05-13
JP5279448B2 (ja) 2013-09-04
US20090117459A1 (en) 2009-05-07
EP2058876B1 (en) 2010-10-06
KR100947989B1 (ko) 2010-03-18
DE602008002884D1 (de)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989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4827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6955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0399783B1 (ko) 이차 전지와 그 제조방법
KR100624919B1 (ko) 이차 전지
US20040228061A1 (en) Protec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101073891B1 (ko) 원통형 이차전지
US20140045009A1 (en) Secondary battery
KR100938062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302B1 (ko) 이차 전지
KR101446153B1 (ko)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이러한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EP4117096A1 (en) Secondary battery
KR101308206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1453782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563680B1 (ko) 이차 전지
KR100601542B1 (ko)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060037832A (ko) 이차 전지
KR102619683B1 (ko) 이차 전지
KR101305461B1 (ko) 이차 전지
KR102659830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06936A (ko) 이차 전지
KR20060085443A (ko) 이차 전지
KR100949329B1 (ko) 이차전지
KR100770098B1 (ko) 이차 전지
CN116368681A (zh) 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