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63039A1 -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63039A1
WO2020263039A1 PCT/KR2020/008409 KR2020008409W WO2020263039A1 WO 2020263039 A1 WO2020263039 A1 WO 2020263039A1 KR 2020008409 W KR2020008409 W KR 2020008409W WO 2020263039 A1 WO2020263039 A1 WO 20202630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fixing member
cylindrical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84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도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0831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958390A4/en
Priority to US17/608,660 priority patent/US20220223987A1/en
Priority to CN202080030873.0A priority patent/CN113728497B/zh
Priority to JP2021565965A priority patent/JP7326677B2/ja
Publication of WO20202630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630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tab fixing member, specifically omitting the current blocking member from the cap assembly, directly coupl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to the venting member, and includ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It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or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and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shaped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Classified.
  • cylindrical secondary batteries have the advantage of having a relatively large capacity and structural stability.
  • the cap assembly is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open cylindrical case, and a gasket is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rical case and the cap assembly to be sealed.
  • the gasket also has a function of securing insulation between the cap assemb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ylindrical cas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 FIG.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an electrode assembly 110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can 120, and a cap assembly 1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100, and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s formed by a clamping gasket 133. 100) is sealed.
  • the cap assembly 130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p cap 131 and is located under the venting member 123 while in contac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nting member 132 and the venting member 132 located under the top cap. It includes a current blocking member 135.
  • a lower gasket 134 is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135 to prevent the venting member 132 and the current blocking member 135 from contacting at portions other than the center.
  •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135 so that the cap assembly 130 functions as a positive terminal.
  • the cap assembly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 top cap, a venting member, a crimping gasket, a current blocking member, and a lower gaske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ssure at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short-circuited due to deformation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is reduced. .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safety vent of the electrode assembly are welded,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due to gas generation, the welding portion of the safety vent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broken to cause a short circuit,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fixed by a gasket. It relates to a cap assembly made of a structure.
  • Patent Document 1 the structure is simplified by fix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to the safety vent, but the positive electrode tab must be attached across the center of the gasket so that it is fixed by the gasket, and a modified gasket is used.
  • Patent Document 2 electrically connects an electrode assembly and a cap assembly, and an electrode tab having a notch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a safety vent,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notch is cut when a current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urrent flows.
  • Patent Document 3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ssembly comprising an anode grid in contact with an anode and a conductive anode current collector plate supporting the anode grid, by placing a mesh-shaped metal grid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on the upp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and the current collector increases, so that the contact resistance may decrease.
  •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can provide a battery cell with improved safety, but fail to provide a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ell even when the structure is changed.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8-0005455 (2018.01.16)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082270 (2014.07.02)
  • 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26860 (2000.05.15)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simplifying the components of the cap assembl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the venting membe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ab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by gas generat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able structure in which gas can be discharged.
  •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to be wound, a cylindrical can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 open top of the cylindrical can.
  • the cap assembly includes a top cap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a protruding structure, a venting member formed in a downwardly concave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p cap and located under the top cap, and the cylindrical It is composed of a gasket for sealing the can,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direct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and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n insulating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 the positive electrode tab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ab body, and a coupling portion bent at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body a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body and the coupling portion.
  • the fixing member may be bonded to the coupling portion on a surface facing the coupling portion.
  •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fixing member may be greater than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venting member.
  • the fixing member may be located under the gasket.
  • the fixing member may form an engaging connection with the gasket.
  • the fixing member may have a flat fan shape or a rod shape.
  • the fixing member may have a structure integrally coupled to an upper insulating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p assembly.
  • the fixing member may have a structure that extends up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insulating plate and then bent toward a central portion to be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insulating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wound in a cylindrical can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the electrode assembly Positioning the upper insulating plate on the top of the, forming a beading part, coupl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constituting the cap assembly, coupling the fixing member to the gasket constituting the cap assembly And coupling and crimping the cap assembly to the cylindrical can.
  • the coupling of the fixing member to the gasket may include coupl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fixing memb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wound in a cylindrical can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the electrode Positioning the upper insulating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forming the beading part, coupl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constituting the cap assembly, the fixing member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insulating plate It may include fix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coupling and crimping the cap assembly to the cylindrical can.
  • the step of fix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may be a step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bent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 FIG.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gener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FIG.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fixing member of FIG. 4 is coupled.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insulating plate to which a fixing member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 electrode assembly 210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can 220, a cap assembly 230 is positioned at the top, and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200 is formed by a gasket 233. 200) is sealed.
  • the cap assembly 230 includes a top cap 231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protrudes upward, and a venting member 232 disposed under the top cap and a cylindrical shape tha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p cap 231 and is concave downward. It is composed of a gasket 233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n and seals the secondary battery.
  • the cap assembly 230 does not include a current blocking member and a gasket ad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in a cap assembly applied to a convention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1 is direct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232.
  • the lower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a coupling portion 211b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body 211a and the venting member. It can be composed of.
  • the coupling portion 211b is a portion extending b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body 211a, and the coupling portion 211b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body 211a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ortion 211b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body When the fixing member 240 is positioned between the 211a and the venting member 232 is separa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ab,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fixed in position so that it does not move.
  • Separa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body 211a may be prevented by the fixing member 240, but in order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211b coupled with the venting member 232 from moving upward together with the venting member 232,
  • the fixing member 240 and the coupling portion 211b may be bonded to each other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1b is coupled to the venting member 23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1b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240.
  •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ortion 211b and the fixing member 240 should be maintained, and the coupling portion 211b and the fixing member 24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bined coupling force is greater than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211b and the venting member 232.
  •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nce a wid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secured, a secondary battery of high capacity can be provided.
  • FIG. 3 is an enlarged top view of FIGS. 1 and 2.
  • the top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100 of FIG. 1 and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200 of FIG. 2 are shown side by side, and the components of the cap assembly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cap assembly can be compared and venting You can check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deformation space of the member.
  •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gasket 134 and the current blocking member 135 are omitted from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100.
  •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cap 231 and the venting member 232 in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cap 131 and the venting member 132 in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100 Increases.
  •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cap and the venting member is designed to be short. Accordingly, even though a short circuit is required due to a sudden deformation of the venting membe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increases, a gentle deformation has to be made, and there is a problem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pecify the point at which the short circuit occurs.
  •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esigning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cap and the venting member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3.
  • the overall height of the cap assembly in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100, and the purpose of manufacturing a high-capacity secondary battery can be achieved.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200 includes the steps of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wound structure in a cylindrical can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and placing an upper insulating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Forming the beading part, coupl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constituting the cap assembly, coupling the fixing member to the gasket constituting the cap assembly, and forming the cap assembly It may comprise the step of bonding and crimping to the cylindrical can.
  • coupling the fixing member to the gasket may include coupl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fixing member.
  • FIG. 4 shows a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fixing member of FIG. 4 is coupled.
  • an electrode assembly 210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can 220, an upper insulating plate 250 is positioned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bead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insulating plate 250. 260 is formed.
  •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1 attached to the electrode assembly 21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232 while the cap assembly 230 is assembled.
  •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1 is coupled to the venting member 232, the other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1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240, and the cap assembly 230 is fix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1
  • the member 240 is coupled, 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n 220 and subjected to a process of crimping.
  • the fixing member 240 is located under the gasket 233, and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240 overlapping with the gasket 233 may form an engaging connection with the gasket 233.
  • the fixing member 240 may be formed in a flat fan shape or a rod shape.
  • FIG.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fixing member 241 is formed in a rod shape on a plane, and includes a base portion 241a having a rectangular shape for fixing the anode tab and an engaging portion 241b engaged with the gasket.
  • a base portion 241a having a rectangular shape for fixing the anode tab
  • an engaging portion 241b engaged with the gasket.
  • the fixing member 242 may have a flat fan shape, for example, a semicircular shape, and a semicircular base portion 242a for fixing the anode tab and an engaging portion 242b engaged with the gasket. ).
  • a fixing member including a wide base portion such as the fixing member 242
  • a fixing member is integrally added to a conventional battery cell component,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is integrally coupled to an upper insulating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p assembly. It can be a structured structure. 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may extend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insulating plate and then bend toward the center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insulating plate.
  • FIG. 7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insulating plate to which a fixing member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 fixing member 243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insulating plate 251 is ad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plate 251, and the fixing member 243 is a flat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plate 251. It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reference and is bent 90 degrees to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upper insulating plate.
  • the upper insulating plate 251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1 attach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passes through,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1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the fixing member 243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upper insulating plate 251, it is bent 180 degrees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43.
  •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1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upper insulating plate in a stat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nting membe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 the case of using the fixing member 243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so that a short circuit can occur wh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venting member when the venting member is deformed, and a stable short circuit can be achieved by securing a wider space in which the venting member can be deformed. And, by reduc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cap assemb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of high capacity.
  •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ssembly in which a current blocking member and a gasket ad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rrent blocking member are omitted.
  • the electrode assembly A secondary battery with increased capacity can be provided by securing a wider space occupied by
  • a fixing member can be used to stably fix the positive electrode tab attached to the venting member.
  • the venting member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ed positive electrode tab. The flow of can be block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원통형 캔, 및 상기 원통형 캔의 개방 상단에 탑재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캡 어셈블리는, 돌출 구조로 상부에 위치하는 탑 캡, 상기 탑 캡의 외주변을 감싸며 하향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 캡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팅부재, 및 상기 원통형 캔의 밀봉을 위한 가스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은 상기 벤팅부재의 하면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극 탭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절연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대표도) 도 2

Description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본 출원은 2019년 6월 28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2019-0077738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원 발명은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캡 어셈블리에서 전류차단부재를 생략하고 양극 탭을 벤팅부재에 직접 결합시키며 상기 양극 탭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또는 각형 이차전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된다. 그 중 원통형 이차전지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크고 구조적으로 안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원통형 이차전지는 개방된 원통형 케이스 상단에 캡 어셈블리를 위치시키고 원통형 케이스와 캡 어셈블리 사이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밀봉한다. 상기 가스켓은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과 연결되는 캡 어셈블리와 음극 탭과 연결되는 원통형 케이스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기능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이차전지(100)는 원통형 캔(120) 내부에 전극조립체(110)가 수납되어 있고, 상부에는 캡 어셈블리(130)가 위치하고 클림핑 가스켓(133)에 의해 원통형 이차전지(100)가 밀봉된다.
캡 어셈블리(130)는 탑 캡(131)의 외주를 감싸며 탑 캡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팅부재(132)와 상기 벤팅부재(132)의 중심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벤팅부재(123)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류차단부재(135)를 포함한다. 전류차단부재(135)의 외주변에는 벤팅부재(132)와 전류차단부재(135)가 상기 중심부 이외의 부분에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 가스켓(134)이 위치한다.
전류차단부재(135)의 하면에는 전극조립체(110)의 양극 탭(111)이 부착되어 캡 어셈블리(130)가 양극 단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는 탑 캡, 벤팅부재, 클림핑 가스켓, 전류차단부재 및 하부 가스켓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류차단부재의 변형에 의해 이차전지가 단락되는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캡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캡 어셉블리의 높이를 줄이는 경우에는 벤팅부재의 변형 공간이 부족하여 완만하게 변형되는 바, 단락이 일어나는 시점을 특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가스 배출 통로가 좁아져서 가스 배출에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과 안전 벤트가 용접되어 있고, 가스 발생으로 내압 증가시 안전 벤트와 양극 탭의 용접부가 파단되어 단락을 일으키며, 상기 양극 탭은 가스켓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양극 탭을 안전 벤트에 고정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이루고 있으나, 양극 탭이 가스켓에 의해 고정되도록 가스켓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부착해야 하며, 변형된 형태의 가스켓을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전극 조립체와 캡 조립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노치가 형성된 전극 탭은 안전 벤트의 하부에 부착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기준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상기 노치가 절단되는 구조이다.
특허문헌 3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메시 형상의 금속 그리드를 전극조립체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양극과 접촉되는 양극 그리드와 상기 양극 그리드를 지지하는 도전성 양극 집전판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과 집전체의 접촉점이 증가하여 접촉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으나, 구조의 변경에도 전지셀의 용량을 증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캡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임으로써 전지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안정적으로 단락이 일어날 수 있는 구조의 원통형 이차전지에 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05455호 (2018.01.16)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2270호 (2014.07.02)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26860호 (2000.05.15)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에 의해 내압 증가시 벤팅부재가 양극 탭과 용이하게 분리되어 가스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의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원통형 캔, 및 상기 원통형 캔의 개방 상단에 탑재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캡 어셈블리는 돌출 구조로 상부에 위치하는 탑 캡, 상기 탑 캡의 외주변을 감싸며 하향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 캡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팅부재, 및 상기 원통형 캔의 밀봉을 위한 가스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은 상기 벤팅부재의 하면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극 탭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절연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 탭은 양극 탭 본체, 및 상기 양극 탭 본체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되며 벤팅부재의 하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양극 탭 본체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대면하는 면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된 결합력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벤팅부재가 결합된 결합력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스켓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스켓과 맞물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평면상 부채꼴 형태 또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캡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절연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 절연판의 외주부에서 상향 연장된 후 중심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부 절연판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에 상부 절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비딩부를 성형하는 단계,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벤팅부재의 하면에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가스켓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캡 어셈블리를 원통형 캔에 결합하고 클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양극 탭의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또한,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에 상부 절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비딩부를 성형하는 단계,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벤팅부재의 하면에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절연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고정부재에 상기 양극 탭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캡 어셈블리를 원통형 캔에 결합하고 클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탭을 고정하는 단계는, 양극 탭이 고정부재의 하면을 통과하여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원통형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상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원통형 이차전지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부 절연판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통형 이차전지(200)는 원통형 캔(220) 내부에 전극조립체(210)가 수납되어 있고, 상부에는 캡 어셈블리(230)가 위치하며 가스켓(233)에 의해 원통형 이차전지(200)가 밀봉된다.
캡 어셈블리(230)는 중심부가 상향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탑 캡(231), 탑 캡(231)의 외주변을 감싸며 하향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탑 캡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팅부재(232), 원통형 캔과 밀착되면서 이차전지를 밀봉하는 가스켓(233)으로 구성된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캡 어셈블리(230)는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에 적용된 캡 어셈블리에서 전류차단부재 및 전류차단부재의 외주변에 부가되는 가스켓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200)는 벤팅부재(232)의 하면에 양극 탭(211)이 직접 결합된다.
다만, 원통형 이차전지의 내압 증가로 인해 벤팅부재가 반전 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 양극 탭과 분리되어 단락이 이루어져야 하는 바, 양극 탭(211)의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240)가 부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양극 탭의 하측 끝단은 전극조립체에 부착되어 있고 상측 끝단은 벤팅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바, 상기 양극 탭은 양극 탭 본체(211a)와 벤팅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1b)는 양극 탭 본체(211a)의 상측 끝단이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으로서 결합부(211b)와 양극 탭 본체(211a)는 서로 대면하게 위치하고, 결합부(211b)와 양극 탭 본체(211a) 사이에 고정부재(240)가 위치하여 양극 탭으로부터 벤팅부재(232)가 분리될 때 양극 탭이 이동하지 않도록 정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고정부재(240)에 의해 양극 탭 본체(211a)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나, 벤팅부재(232)와 결합되는 결합부(211b)가 벤팅부재(232)와 함께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재(240)와 결합부(211b)가 대면하는 면에서 서로 간에 접착될 수 있다.
즉, 결합부(211b)의 상면은 벤팅부재(232)와 결합하고 결합부(211b)의 하면은 고정부재(240)와 결합된다. 다만, 벤팅부재(232)가 변형되어 결합부(211b)에서 분리될 때, 결합부(211b)와 고정부재(240)의 결합은 유지되어야 하는 바, 결합부(211b)와 고정부재(240)가 결합된 결합력은 결합부(211b)와 벤팅부재(232)가 결합된 결합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종래에 캡 어셈블리를 구성했던 부재들이 생략됨에 따라, 전체적인 캡 어셈블리의 높이가 작아지게 되는 바, 원통형 이차전지의 길이가 동일한 전지셀들 간의 용량을 비교할 때, 본원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넓은 전극조립체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상부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원통형 이차전지(100)와 도 2의 원통형 이차전지(200)의 상부를 나란히 도시하고 있는 바, 캡 어셈블리의 구성요소 및 캡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높이를 비교할 수 있고 벤팅 부재의 변형 공간 크기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200)는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100)에서 하부 가스켓(134) 및 전류차단부재(135)가 생략된 구조이다.
또한,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100)에서 탑 캡(131)과 벤팅부재(132)의 거리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200)에서 탑 캡(231)과 벤팅부재(232) 간의 거리는 더 증가한다.
종래에는, 전지셀의 용량을 증가하기 위하여 캡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킴에 따라, 탑 캡과 벤팅부재의 간격이 짧게 설계되었다. 이에, 전지셀 내압 증가시 벤팅부재의 급격한 변형에 따른 단락이 필요함에도, 완만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고, 단락이 일어나는 시점을 특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캡과 벤팅부재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200)에서 전체적인 캡 어셈블리의 높이는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100)와 비교할 때 감소되는 바,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200)의 제조방법은,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에 상부 절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비딩부를 성형하는 단계,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벤팅부재의 하면에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가스켓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캡 어셈블리를 원통형 캔에 결합하고 클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양극 탭의 결합부와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도 4의 원통형 이차전지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원통형 캔(220) 내부에는 전극조립체(210)가 수납되어 있고, 전극조립체의 상부에는 상부 절연판(250)이 위치하며, 상부 절연판(250)의 상부에는 비딩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210)에 부착된 양극 탭(211)은 캡 어셈블리(230)가 조립된 상태에서 벤팅부재(232)의 하면에 부착된다. 양극 탭(211)의 일측면은 벤팅부재(232)와 결합되고, 양극 탭(211)의 타측면은 고정부재(240)와 결합되는 바, 캡 어셈블리(230)는 양극 탭(211) 및 고정부재(2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형 캔(220)의 상부에 결합하고 클림핑하는 과정을 거친다.
고정부재(240)는 가스켓(233)의 하부에 위치하고, 가스켓(233)과 중첩되는 고정부재(240)의 일측 끝단은 가스켓(233)과 맞물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고정부재(240)는 평면상 부채꼴 형태 또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41)는 평면상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극 탭을 고정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부(241a)와 가스켓과 맞물림 결합하는 맞물림부(241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크기가 작은 고정부재(24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의 부가로 인한 원통형 이차전지의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42)는 평면상 부채꼴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극 탭을 고정하기 위한 반원 형태의 베이스부(242a)와 가스켓과 맞물림 결합하는 맞물림부(242b)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42)와 같이 넓은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극 탭의 연장 위치에 따른 고정부재의 위치 설정에 제한이 적고 복수의 양극 탭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전지셀 구성요소에 일체형으로 고정부재가 부가된 형태를 더 제안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캡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절연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 절연판의 외주부에서 상향 연장된 후 중심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부 절연판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부 절연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절연판(251)의 상면 외주부에는 상부 절연판(251)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고정부재(243)가 부가되어 있는 바, 고정부재(243)는 상부 절연판(251)의 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상향 연장된 후 90도 절곡되어 상부 절연판과 평행한 형태로 위치한다.
상부 절연판(251)은 전극조립체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부착된 양극 탭(211)이 관통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를 통과한 양극 탭(211)은 고정부재(243)와 상부 절연판(251)의 중첩 부분을 통과한 후 180도 절곡되어 고정부재(243)의 상면에 결합된다.
다만, 양극 탭(211)은 벤팅부재의 하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부재와 상부 절연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바, 고정부재(243)를 사용하는 경우의 원통형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에 상부 절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비딩부를 성형하는 단계,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벤팅부재의 하면에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절연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고정부재에 상기 양극 탭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캡 어셈블리를 원통형 캔에 결합하고 클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벤팅부재의 형태 변형시 양극 탭이 벤팅부재와 완전히 분리되어 단락이 일어날 수 있도록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벤팅부재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여 안정적인 단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캡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임으로써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200: 원통형 이차전지
110, 210: 전극조립체
111, 211: 양극 탭
120, 220: 원통형 캔
130, 230: 캡 어셈블리
131, 231: 탑 캡
132, 232: 벤팅부재
133: 클림핑 가스켓
134: 하부 가스켓
135: 전류차단부재
211a: 양극 탭 본체
211b: 결합부
233: 가스켓
240, 241, 242, 243: 고정부재
241a, 242a: 베이스부
241b, 242b: 맞물림부
250, 251: 상부 절연판
260: 비딩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전류차단부재 및 상기 전류차단부재의 외주변에 부가되는 가스켓을 생략한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인 바, 전체적인 캡 어셈블리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전극조립체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하여 용량이 증가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벤팅부재에 부착된 양극 탭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바, 이차전지의 내압 증가로 벤팅부재의 형상 변경시 고정된 양극 탭으로부터 벤팅부재가 분리될 수 있는 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Claims (13)

  1.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원통형 캔; 및
    상기 원통형 캔의 개방 상단에 탑재되는 캡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캡 어셈블리는
    돌출 구조로 상부에 위치하는 탑 캡, 상기 탑 캡의 외주변을 감싸며 하향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 캡의 하부에 위치하는 벤팅부재, 및 상기 원통형 캔의 밀봉을 위한 가스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은 상기 벤팅부재의 하면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극 탭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절연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은 양극 탭 본체, 및 상기 양극 탭 본체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되며 벤팅부재의 하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양극 탭 본체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개재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대면하는 면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착되어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된 결합력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벤팅부재가 결합된 결합력 보다 큰 원통형 이차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스켓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스켓과 맞물림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평면상 부채꼴 형태 또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 이차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캡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절연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 이차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 절연판의 외주부에서 상향 연장된 후 중심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부 절연판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 이차전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에 상부 절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비딩부를 성형하는 단계;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벤팅부재의 하면에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가스켓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캡 어셈블리를 원통형 캔에 결합하고 클림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양극 탭의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양극 시트 및 음극 시트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된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부에 상부 절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비딩부를 성형하는 단계;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벤팅부재의 하면에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절연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고정부재에 상기 양극 탭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캡 어셈블리를 원통형 캔에 결합하고 클림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을 고정하는 단계는, 양극 탭이 고정부재의 하면을 통과하여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단계인 원통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PCT/KR2020/008409 2019-06-28 2020-06-26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WO20202630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31904.6A EP3958390A4 (en) 2019-06-28 2020-06-26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positive electrode tab fixing member
US17/608,660 US20220223987A1 (en) 2019-06-28 2020-06-26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sitive Electrode Tab Fixing Member
CN202080030873.0A CN113728497B (zh) 2019-06-28 2020-06-26 包括正极接片固定构件的圆柱形二次电池
JP2021565965A JP7326677B2 (ja) 2019-06-28 2020-06-26 正極タブ固定部材を含む円筒型二次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38A KR20210001517A (ko) 2019-06-28 2019-06-28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KR10-2019-0077738 2019-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3039A1 true WO2020263039A1 (ko) 2020-12-30

Family

ID=7406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8409 WO2020263039A1 (ko) 2019-06-28 2020-06-26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23987A1 (ko)
EP (1) EP3958390A4 (ko)
JP (1) JP7326677B2 (ko)
KR (1) KR20210001517A (ko)
CN (1) CN113728497B (ko)
WO (1) WO2020263039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860A (ko) 1998-10-23 2000-05-15 손욱 2차 전지 조립체
KR20060085444A (ko) * 2005-01-24 2006-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KR20080036249A (ko) * 2006-10-23 2008-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딩 보형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KR20090046469A (ko) * 2007-11-06 2009-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97592A (ko) * 2009-02-26 2010-09-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KR20140017743A (ko) * 2012-07-31 2014-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진동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140082270A (ko)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05455A (ko)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90077738A (ko) 2017-12-26 2019-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698B1 (ko) 2002-09-05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이차전지와 이의 제조방법
JP4780598B2 (ja) * 2004-09-29 2011-09-28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密閉角形電池
KR100670526B1 (ko) 2005-03-0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JP2011216382A (ja) 2010-04-01 2011-10-27 Hitachi Vehicle Energy Ltd 蓄電器
US8802281B2 (en) 2010-08-05 2014-08-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movement prevention tape
KR101184403B1 (ko) * 2010-10-21 2012-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JP2012185912A (ja) 2011-03-03 2012-09-27 Hitachi Vehicle Energy Ltd 円筒形二次電池
JP2013093294A (ja) * 2011-10-27 2013-05-16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860A (ko) 1998-10-23 2000-05-15 손욱 2차 전지 조립체
KR20060085444A (ko) * 2005-01-24 2006-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KR20080036249A (ko) * 2006-10-23 2008-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딩 보형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KR20090046469A (ko) * 2007-11-06 2009-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97592A (ko) * 2009-02-26 2010-09-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KR20140017743A (ko) * 2012-07-31 2014-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진동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140082270A (ko)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05455A (ko)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90077738A (ko) 2017-12-26 2019-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8960A (ja) 2022-09-07
EP3958390A4 (en) 2022-06-29
CN113728497A (zh) 2021-11-30
JP7326677B2 (ja) 2023-08-16
KR20210001517A (ko) 2021-01-06
US20220223987A1 (en) 2022-07-14
CN113728497B (zh) 2023-07-25
EP3958390A1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3275A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2077967A2 (ko)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15141920A1 (ko) 비대칭 구조 및 만입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0098571A2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WO2013119003A1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WO2021241939A1 (ko) 이차전지
WO2022039369A1 (ko) 이차전지
WO2014137017A1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WO2019031702A1 (ko) 배터리 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9139220A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88533A1 (ko) 멤브레인을 갖는 이차 전지
WO2012008745A2 (ko) 신규한 구조의 팩 케이스
WO2018026105A1 (ko) 이차 전지
KR20140124247A (ko) 이차 전지
WO2018043880A1 (ko) 이차 전지
WO2016056776A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8030836A1 (en)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cap assembly
WO2020263039A1 (ko) 양극 탭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WO2021206393A1 (ko) 이차전지
WO2021162238A1 (ko)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19112149A1 (ko) 배터리 모듈
WO2022075584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8074846A1 (ko) 이차 전지
WO2018056557A1 (ko) 이차 전지,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WO2023033604A1 (ko) 버튼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6596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319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18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